[include(틀:관련 문서, top1=오드아이즈, top2=펜듈럼(유희왕), top3=펜듈럼 드래곤)] || '''{{{#!html오드아이즈 펜듈럼 드래곤 관련 틀}}}'''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0px" [include(틀:오드아이즈 펜듈럼 드래곤 관련 카드군)] ---- [include(틀:유희왕 시리즈 주인공들의 에이스 몬스터)] ---- [include(틀:오드아이즈 드래곤)] ---- [include(틀:ARC-V 각 차원의 닮은 꼴 드래곤)] ---- [include(틀:사카키 유우야 덱 관련 문서)] }}}}}}}}} || ||<-3> '''{{{#!html오드아이즈 펜듈럼 드래곤}}}''' || ||<|6>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OddeyesPendulum.jpg|width=100%]]}}} || '''등장 시리즈''' || [[유희왕 ARC-V|ARC-V]] || || '''사용 캐릭터''' || [[사카키 유우야]] || || '''첫 수록 ''' || [[유희왕/OCG 시리즈 정보#s-1.7|9기]] [[더 듀얼리스트 어드벤트]] || || '''서포트''' || [[펜듈럼 소환|펜듈럼]] || || '''소속 테마군''' || [[오드아이즈]], [[펜듈럼 드래곤]], [[펜듈럼(유희왕)|펜듈럼]] || || '''재정'''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px]] [[http://www.db.yugioh-card.com/yugiohdb/faq_search.action?ope=4&cid=11213&request_locale=ja|OCG DB Q&A]] || ||<-3> {{{#ffffff 웅장하고도 아름답게 빛나는 [[오드아이|두 색의 눈동자]]! '''{{{#!html오드아이즈 펜듈럼 드래곤!}}}'''[* 기분이 좋을 때에는 소환 대사 앞에 "자, 박수로 맞이해 주시죠!"를 붙인다. 흑화했을 때에는 소환 대사를 쓰지 않는다.][br]雄々しくも美しく輝く二色のまなこ!'''{{{#!html オッドアイズ・ペンデュラム・ドラゴン!}}}'''}}} || ||<-3> {{{#ffffff 용맹스럽고 아름답게 빛나는 두 색깔의 눈!}}} '''{{{#!html오드아이즈 펜듈럼 드래곤!}}}'''[* 듀얼링크스 소환시] || [목차] == 개요 == [[유희왕]]의 최상급 펜듈럼 몬스터 카드. == 설명 == === 원작 ===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OddEyesPendulumDragon-JP-Anime-AV-2.pn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펜듈럼=, 효과=, 한글판명칭=오드아이즈 펜듈럼 드래곤, 일어판명칭=オッドアイズ・ペンデュラム・ドラゴン, 영어판명칭=Odd-Eyes Pendulum Dragon, 속성=어둠, 종족=드래곤족, 레벨=7, P스케일=4, P효과1=①: 1턴에 1번\, 자신의 펜듈럼 몬스터의 전투로 발생하는 자신에게로의 전투 데미지를 0으로 할 수 있다., 공격력=2500, 수비력=2000, 효과1=①: 이 카드가 상대의 레벨 5 이상의 몬스터와 전투를 실행할 경우\, 이 카드가 상대에게 주는 전투 데미지는 배가 된다.)] ||||<#fff,#1f2023> [[파일:Ep13_Yūya_activates_the_effect_of_his_Partnaga.webp|width=100%]] || ||<#fff,#1f2023> [[파일:Ep14_Yūya_and_Odd-Eyes.webp|width=100%]] ||<#fff,#1f2023> [[파일:Ep20_Odd-Eyes_Pendulum_Dragon.webp|width=100%]] || [[유희왕 ARC-V]]의 주인공 [[사카키 유우야]]의 에이스 카드. 원래는 펜듈럼 몬스터가 아닌 평범한 효과 몬스터인 [[오드아이즈 드래곤]]이었지만, 1화에서 [[스트롱 이시지마]]와 듀얼하던 도중에 유우야가 걸고 있던 목걸이의 힘으로 패에 있던 오드아이즈 드래곤이 이 카드로 진화하였고, 듀얼이 끝난 뒤에도 다시 원래 모습으로 돌아가지 않은 채 펜듈럼 드래곤 상태를 계속 유지하고 있다. 작중 유우야가 듀얼 중에 주로 오드아이즈 펜듈럼 드래곤의 골침(骨針)을 손잡이처럼 잡고 등에 타고 다닌다. 공격명은 '''[[나선의 스트라이크버스트]](Spiral Flame Strike).'''[* 전에는 붉은색 + 검은색의 색을 띤 공격이었지만, 98화부터는 스마일 월드와 중복으로 사용할 때는 무지개색의 공격.] 효과명은 '''리액션 포스(Reaction Force).''' ||<#fff,#1f2023> [[파일:odd concept art.jpg|width=100%]] || ||<#901522> '''{{{#fff 설정화}}}''' || === OCG === [include(틀:유희왕/OCG/9기 부스터 팩 커버 카드)] [include(틀:유희왕/OCG/스트럭처 덱 커버 카드)] ||[[파일:card100133337_1.jpg|width=100%]]||[[파일:オッドアイズ・ペンデュラム・ドラゴン(DBLE).jpg|width=100%]]||[[파일:オッドアイズ・ペンデュラム・ドラゴン(イラスト違い).jpg|width=100%]]|| || 일반판 || [[디멘션 박스 리미티드 에디션|Dimension Box Limited Edition]] || [[20th ANNIVERSARY DUELIST BOX]] ||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펜듈럼=, 효과=, 한글판명칭=오드아이즈 펜듈럼 드래곤, 일어판명칭=オッドアイズ・ペンデュラム・ドラゴン, 영어판명칭=Odd-Eyes Pendulum Dragon, 속성=어둠, 레벨=7, 종족=드래곤족, P스케일=4, 공격력=2500, 수비력=2000, P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펜듈럼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P효과1=①: 자신의 펜듈럼 몬스터의 전투로 발생하는 자신에게로의 전투 데미지를 0으로 할 수 있다., P효과2=②: 자신 엔드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파괴하고\, 덱에서 공격력 1500 이하의 펜듈럼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 효과1=①: 이 카드가 상대 몬스터와의 전투로 상대에게 주는 전투 데미지는 배가 된다.)] ||<-5>{{{#!wiki style="margin: -5px -11px;" {{{#!wiki style="width: 100%; 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left; vertical-align: top;background-color:#FFFFFF; border: rgba(255,165,0,1) solid 1px;" 영혼이 크게 흔들려 각성한 [[사천룡(유희왕)|{{{#FFA500 사천의 용}}}]] 중 1장. 무수한 듀얼을 겪은 그 두 눈동자는 무엇을 보고 있을까. ▶[[유희왕 크로스 듀얼|{{{#FFA500 유희왕 크로스 듀얼}}}]]의 [[플레이버 텍스트|{{{#FFA500 플레이버 텍스트}}}]] }}}}}}|| 펜듈럼 소환이 추가된 9기 1번째 팩 [[더 듀얼리스트 어드벤트]]의 커버 카드. 그리고 9기 부스터 팩의 커버 카드 중 유일한 메인 덱 몬스터이다. 펜듈럼 1번 효과는 1턴에 1번 펜듈럼 몬스터가 전투할 때의 데미지 부담을 덜어주지만 쓸 일이 없다. 기본적으로 2 효과로 펜듈럼 서치에만 쓰기 때문. 펜듈럼 효과 2를 사용해서 자괴한 후 덱에서 8 이상의 펜듈럼 스케일을 가진 몬스터를 가져와 다음 턴에 엑스트라 덱에서 [[펜듈럼 소환]]하기 용이한 구조다. 원작에서는 2의 효과가 없었지만, OCG에서 활용성을 높이기 때문인지 추가되었다. 몬스터 효과는 원작의 레벨 5 이상의 몬스터와 전투를 할 때라는 조건이 사라져, 아무 몬스터와 전투를 하면 되는 것으로 바뀌었다. 공격력이 직접 올라가는 것이 아니라 상대의 공격력 2500 이상의 몬스터를 처리하기는 힘들지만, 대신 그보다 낮은 몬스터에게 공격해 상대에게 타격을 입힐 수 있다는 점은 메리트. 게다가 펜듈럼 몬스터이기 때문에 엑스트라 덱에서 다시금 소환할 수도 있다. 원작에 없었던 펜듈럼 효과 2가 추가되어 서치를 할 수 있으나 엔드 페이즈 시에 발동하는 효과다. 엑스트라 덱의 이 카드를 2500 어태커로 재활용할 수는 있다. 현재 이 카드를 가장 잘 활용할 수 있는 덱은 애니메이션 사용자의 덱인 [[EM(엔터메이트)|EM]]으로 [[EM 오드아이즈 유니콘]]과 [[EM 도크로배트 조커]]와 같은 고 스케일, 서치 효과를 가진 카드들이 있으며 자신 필드의 EM 몬스터의 공격력을 오드아이즈 몬스터에 추가하는 [[EM 오드아이즈 유니콘]]의 펜듈럼 효과와도 매우 궁합이 좋아, EM 몬스터의 공격력을 추가하고 전투시 데미지를 2배로 끌어올리면 10000 데미지도 손쉽게 해낼 수 있다. 상술한 문단에서 볼 수 있듯이 초기에는 서치 효과로 인해 은근히 여러 펜듈럼 덱에 자주 불려나갔으나 펜듈럼도 다른 서치 카드가 늘어 느린 이 카드가 거의 쓰이지 않게되고 [[링크 소환]]의 여파로 펜듈럼 덱 상당수가 몰락하거나 추가 지원으로 빠르고 능동적인 전용 서치 효과를 얻어서 투입률이 0인 실정이다. 게다가 [[패왕룡 즈아크]]의 소재가 될 수 있다는 점도 홍채의 마술사라는 대체 카드가 생겨 더욱 암울해진 상황이다.[* [[다크 리벨리온 엑시즈 드래곤]]은 [[패왕흑룡 오드아이즈 리벨리온 드래곤-오버로드]]로 인해 몇몇 덱에 [[네가로기어 아제우스]]를 소환하기 위한 용도로 종종 들어가고, [[크리스탈윙 싱크로 드래곤]]은 소재 제약이 살짝 무겁지만 쓸 수만 있다면 고순위로 들어가는 범용 퍼미션 몬스터고, [[스타브 베놈 퓨전 드래곤]]은 어둠 속성 융합 테마군 쪽에서 용병으로 쓰거나 [[초융합]]으로 소환하기 위한 용도로 OCG에서 활약 중인데, 정작 주인공의 사천룡이 가장 푸대접을 받고 있다.] 그래도 이 정도면 역대 주인공 에이스 중에는 나름 선방한 편이다. [[유희왕 마스터 듀얼]]에서는 등장하는 [[유희왕 마스터 듀얼/시크릿 팩|시크릿 팩]]만 [[유희왕 마스터 듀얼/시크릿 팩/ㅂ#불사의 기사단|불사의 기사단]], [[유희왕 마스터 듀얼/시크릿 팩/ㅅ#신비의 광채룡|신비의 광채룡]], [[유희왕 마스터 듀얼/시크릿 팩/ㅈ#진자의 마술사|진자의 마술사]]으로 셋이나 되는 데다가 스트럭처 덱 [[유희왕 마스터 듀얼/스트럭처 덱#매지션 오브 펜듈럼|매지션 오브 펜듈럼]]에서도 나온다. 그런데 정작 스트럭쳐 덱만 사도 3장을 그냥 먹을 수 있기에 팩에서 나온다면 사실상 지뢰 카드, UR 가루 10개 정도의 취급을 받는 편이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더 듀얼리스트 어드벤트|THE DUELIST ADVENT]] || DUEA-JA004 || [[울트라 레어]][br][[시크릿 레어]][br][[홀로그래픽 레어]] || 아시아 || 세계 최초 수록 || || [[더 듀얼리스트 어드벤트]] || DUEA-KR004 || [[울트라 레어]][br][[시크릿 레어]][br][[홀로그래픽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스트럭처 덱]] - [[마스터 오브 펜듈럼]] || SD29-KR008 || [[슈퍼 레어]] || 한국 || || || [[더 듀얼리스트 어드벤트|THE DUELIST ADVENT]] || DUEA-JP004 || [[울트라 레어]][br][[얼티밋 레어]][br][[홀로그래픽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스트럭처 덱]] - [[마스터 오브 펜듈럼|MASTER OF PENDULUM]] || SD29-JP008 || [[슈퍼 레어]] || 일본 || || || [[골드 시리즈|GOLD PACK 2016]] || GP16-JP004 || [[골드 레어]][br][[골드 레어|골드]] [[시크릿 레어]] || 일본 || || || [[스타터 덱 2016|STARTER DECK 2016]] || ST16-JP008 || [[패러렐 레어]] || 일본 || || || [[더 듀얼리스트 어드벤트|Duelist Alliance]] || DUEA-EN004 || [[시크릿 레어]][br][[얼티밋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스트럭처 덱]] - [[마스터 오브 펜듈럼|Master of Pendulum]] || SDMP-EN009 || [[노멀]] || 미국 || || || [[스타터 덱 2016|Starter Deck: Yuya]] ||YS16-EN008|| || 미국 || || || [[스타터 덱 2016]] ||ST16-KR008|| [[패러렐 레어]] || 한국 || || || [[펜듈럼 에볼루션]] ||PEVO-EN023|| [[슈퍼 레어]] || 미국 || || || Legendary Dragon Decks || LEDD-ENC01 || [[울트라 레어]] || 미국 || || || [[디멘션 박스 리미티드 에디션|Dimension Box Limited Edition]] || DBLE-JPS01 || [[엑스트라 시크릿 레어|엑스트라 시크릿]] [[패러렐 레어]] || 일본 || 2nd 일러스트 || || [[디멘션 박스 리미티드 에디션|디멘션 세트]] || DBLE-KRS01|| [[엑스트라 시크릿 레어|엑스트라 시크릿]] [[패러렐 레어]] || 한국 || 2nd 일러스트 || || [[20th ANNIVERSARY DUELIST BOX]] || 20TH-JPBS5 || 20th 시크릿 레어 || 일본 || 3rd 일러스트 || || [[20th ANNIVERSARY DUELIST BOX|크로니클 바인더]] || CHBI-KRBS5 || [[엑스트라 시크릿 레어]] || 한국 || 3rd 일러스트 || == 진화체 == 작품이 전개되면서 [[유희왕 ZEXAL|전작]]의 [[츠쿠모 유마|주인공]]의 에이스 [[No.39 유토피아]]처럼 진화체가 다양해졌는데, 역대 소환법이 모두 등장한 작품인 것을 따라 여러 소환법을 통해 진화한다. [[유희왕 5D's|전전작]]의 [[후도 유세이|주인공]]의 [[스타더스트 드래곤|주력 드래곤]]이 주 진화체는 2장만 가지고 있었던 것과는 대조된다.[* [[슈팅 퀘이사 드래곤]]은 최종 병기 포지션이었고, 스타더스트 드래곤을 소재로 필요로 하지 않는다.] 역대 주인공들이 각 소환법에 맞추어 진화체를 등장시킨 것[* DM 원작의 [[의식 소환]]은 진화에 더 가까운 모습이었다. 유희는 의식 소환을 통해 [[암흑 기사 가이아]]를 [[카오스 솔져]]로, 그리고 [[블랙 매지션]]을 [[매지션 오브 블랙 카오스]]로 진화시켰다.]과는 달리 이 카드는 끝까지 펜듈럼 몬스터로서의 진화체를 얻지 못했다.[* 굳이 따지자면 [[패왕룡 즈아크]]가 진화체와 가장 근접하다.] 물론 작중에서도 [[아카바 레이지]]가 말한 '펜듈럼 너머의 것'은 펜듈럼 소환을 다른 엑스트라 덱 소환으로 잇는 것, 그리고 엑시즈 / 펜듈럼 등의 하이브리드 몬스터를 뜻하는 것인 만큼 다른 소환법을 통해 진화하는 게 오드아이즈의 진화법인 듯하다. 펜듈럼 소환이라는 게 소재를 사용하는 소환법이 아닌 만큼 더더욱.[* 참고로 이 카드의 코믹스 버전인 [[오드아이즈 팬텀 드래곤]]의 경우, 고유한 진화체인 [[오드아이즈 판타즈마 드래곤]]이 등장한 것과는 대조된다. 하지만 이도 진화체가 아닌 아종으로 볼 수도 있는데, 아래 참조.] 유우야가 융합 소환을 먼저 습득해서 그런지 오드아이즈의 고유 진화체는 전부 융합 몬스터며, 싱크로나 엑시즈의 고유 진화체는 없다.[* OCG 오리지널 진화체엔 있긴 한데, 이들은 '''[[펜듈럼 드래곤]]'''이 아니다. 다른 고유 진화체가 [[크리스탈윙 싱크로 드래곤|크리스탈윙 '''싱크로 드래곤''']], [[다크 레퀴엠 엑시즈 드래곤|다크 레퀴엠 '''엑시즈 드래곤''']], 그리고 [[그리디 베놈 퓨전 드래곤|그리디 베놈 '''퓨전 드래곤''']]이라는 이름을 가진 것을 보면 OCG 오리지널 진화체들은 다른 종류의 진화체로 보는 게 타당하다.] 그러나 진화체의 등장 빈도나 활약이 부족해 보이기도 한다. 각 진화체의 데뷔 에피소드엔 당연히 강렬한 인상을 남겼지만, 그 후엔 쉽게 당하는 경우가 잦다. 작중 초반엔 유우야가 융합 소환을 습득한 후 융합 진화체들이 자주 등장했지만, 룬아이즈, 비스트아이즈 펜듈럼 드래곤은 3기 이후부터 전혀 등장하지 않았고, 새로운 브레이브아이즈는 5기에서 딱 에드 피닉스전에서만 등장하고 출연이 끝났다. 유우야의 내면에 존재하는 [[유토(유희왕)|유토]]의 에이스 [[다크 리벨리온 엑시즈 드래곤]]과의 융합체인 [[패왕흑룡 오드아이즈 리벨리온 드래곤]]은 작품의 극후반 전까지는 잡몹들만 파괴하고, 어쩌다 몇 번인가 스스로를 희생해서 승리하거나 듀얼이 도중에 중단되어 승패를 가리지 못하는 경우를 빼면 유우야에게 처참한 패배만 안겨줬다. [[패왕열룡 오드아이즈 레이징 드래곤]]은 등장한 2번의 듀얼을 모두 승리하고 카드도 필드에 잘 살아남는 등 취급은 나은 편이지만 세레나 & 루리와의 듀얼과 아카바 레오와의 듀얼에서 각각 1번씩 총 2번만 나왔고, 그 이후엔 나오지 않았다. 애초에 활약상과는 별개로 레이징 드래곤은 유우야의 내면에 잠든 [[즈아크|사악한 존재]]가 깨어나는 것을 알리는 몬스터였기 때문에, 극후반엔 오드아이즈는 결국 최종 보스인 [[패왕룡 즈아크]]의 소재가 되어 [[패왕권룡 오드아이즈]]로 변했다. 그나마 마지막 화에선 싱크로 / 펜듈럼 및 융합 / 펜듈럼 몬스터인 [[패왕백룡 오드아이즈 윙 드래곤]]과 [[패왕자룡 오드아이즈 베놈 드래곤]]을 불러내는 데에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 두 진화체는 그야말로 마지막화니까 어떻게든 우겨넣은 카드로 같이 등장한 패왕흑룡이 그 이전부터 승패와는 별개로 착실히 활약해왔던 것에 비해 마지막 화가 어떻게든 다가오니 갑툭튀로 등장시켰다고 온갖 욕을 먹었다. 또한 패왕백룡은 그 이전에 얻어뒀던 싱크로 / 펜듈럼 몬스터인 [[니르바나 하이 파라딘]]을 대놓고 무시했다는 점까지 덤으로 포함해서 더 욕을 먹었다. 그 외엔 원본인 [[오드아이즈 드래곤]]과 관련 카드 [[오드아이즈 세이버 드래곤]]과 [[오드아이즈 랜서 드래곤]]도 등장했다. 이후 OCG 오리지널 몬스터로 [[패왕천룡 오드아이즈 아크레이 드래곤]]이 발매된 이후에는 적절한 뇌내보정을 거친 다음 아크레이 드래곤이 최종 몬스터로 인정되는 분위기. [[패왕룡의 기적]]의 일러스트를 보면 공식에서도 반쯤 그렇게 밀어주는 상황이다. 오드아이즈만이 다른 사천룡과 합쳐져 패왕룡이 된 것을 보아,[* [[유리(유희왕)|유리]]는 [[클리어윙 싱크로 드래곤]]을 손에 넣은 후 [[초월융합]]이라는 융합 / 싱크로 / 엑시즈 소환을 보조하는 카드를 사용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클리어윙과 스타브 베놈을 융합하거나 그러진 않았다. 나중엔 다크 리벨리온도 강탈했는데도 합치거나 그러진 않았다.] 오드아이즈는 사천룡 중에서 '''중심''' 같은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듀얼 룰에 대입해서 보면 재밌는데 오드아이즈 드래곤과 그것이 변형된 이 카드는 사천룡 중에서 유일하게 메인 덱에 들어간다. 메인 덱이 40장 이상만 있으면 엑스트라 덱 상관없이 듀얼이 가능하지만 엑스트라 덱에 카드가 얼마든지 있어도 메인 덱이 없으면 소용이 없다. 그런 오드아이즈가 중심 역할을 하는 건 당연하다 할 수 있다.] 펜듈럼만이 다른 카드 종류와 하이브리드로 섞일 수 있는 듯하고,[* 원작에선 패왕룡 즈아크는 융합 / 싱크로 / 엑시즈 / 펜듈럼 / 효과 몬스터로 나타났지만, 현재 OCG에선 펜듈럼 외엔 하이브리드 카드가 등장하지 않았다. 원작에서도 펜듈럼 없이 싱크로 / 엑시즈 등의 몬스터는 존재하지 않는다.][* 현재 패왕룡 즈아크는 융합 / 펜듈럼 몬스터로 나와있다.] 전술했듯이 펜듈럼 소환은 다른 소환법으로 이어진다는 특징이 있어서 그런 듯하다. 그리고 즈아크가 처음 봉인될 시기엔 아직 개발되지 않았던 소환법이 펜듈럼 소환이고, 첫 화에서 오드아이즈 드래곤이 펜듈럼화한 것도 이 카드가 사천룡 중에서도 특별함을 알리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최강의 D에선 이 카드가 [[초천신룡 오드아이즈 레볼루션 드래곤]]으로 변하고, 나머지 사천룡 3마리를 릴리스하여 소환되었다. 관련 카드는 작중 등장한 카드만 해도 총 12장으로, 역대 최다 수의 진화체를 보유하고 있는 [[엘리멘틀 히어로 네오스]]의 진화체 14종[* [[엘리멘틀 히어로 어니스티 네오스]] 포함시 15종]과 유토피아의 진화체 7종[* [[FNo.0 미래황 호프]]를 1장으로 포함한 숫자, 코믹스와 [[No.98 절망황 호프리스]] 포함시 12종]과 비교해도 적은 수준은 아니다. 또한 OCG 오리지널 드래곤 8종, 코믹스판 드래곤 3종, 그리고 최강 D의 초천신룡까지 24종이며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1. 펜듈럼화 전의 모습과 그 진화체 (3장) * [[오드아이즈 드래곤]] * [[오드아이즈 세이버 드래곤]] * [[오드아이즈 랜서 드래곤]] 2. 고유 진화체 (3장) - "OO아이즈 [[펜듈럼 드래곤]]"[* 다른 사천룡의 [[크리스탈윙 싱크로 드래곤|고유]] [[다크 레퀴엠 엑시즈 드래곤|진화체들이]] [[그리디 베놈 퓨전 드래곤|그렇듯이]] 이름에 본체의 소환법을 뜻하는 [[펜듈럼 드래곤|"펜듈럼 드래곤"]]이 포함되어 있어 [[아스트로그래프 매지션]]과 [[크로노그래프 매지션]]의 효과에 대응한다. '''정작 전원이 펜듈럼이 아닌 융합 몬스터다.''' 이 때문에 사천룡 중 유일하게 고유 진화체들이 원본의 카드 종류가 아니다.]이라는 작명법을 가지고 있으며, 전원이 융합 몬스터다. 원작에선 "[[펜듈럼 드래곤]] 몬스터 + XX족 몬스터"라는 소재 조건을 가져 서로를 소재로 할 수 있었다.[* 소재 조건의 종족들은 유우야의 카드군인 [[EM(엔터메이트)|EM]]과 [[마술사(유희왕)|마술사]]에서 자주 등장하는 몬스터와 아우를 수 있도록 한 듯하다. [[프레데터 플랜츠]]를 융합해야 하는 [[그리디 베놈 퓨전 드래곤|어느 독룡 진화체]]와 영 다르지 않은 셈.] * [[룬아이즈 펜듈럼 드래곤]] - 마법사족과 융합.[* OCG화되면서 반드시 오드아이즈 펜듈럼 드래곤을 사용해야 하도록 바뀌었다.] * [[비스트아이즈 펜듈럼 드래곤]] - 야수족과 융합.[* OCG화되면서 [[펜듈럼 드래곤|"펜듈럼 드래곤"]]이 아니라 아무 어둠 속성 드래곤족 몬스터를 소재로 할 수 있도록 바뀌었다.] * [[브레이브아이즈 펜듈럼 드래곤]] - 전사족과 융합. 3. 다른 사천룡과의 진화체, 패왕룡 (4장) - "패왕X룡 오드아이즈 OOO 드래곤"이라는 작명법을 가지고 있다.[* 레이징 외의 전원의 이름의 X는 다른 사천룡, 그리고 그들의 소환법의 색(검정, 하양, 자주)이며 OOO은 그들의 키워드(리벨리온, 윙, 베놈)다. 레이징 드래곤은 오히려 즈아크와 관련이 더 깊다.] * [[패왕흑룡 오드아이즈 리벨리온 드래곤]] - 최초의 엑시즈 / 펜듈럼 몬스터. [[다크 리벨리온 엑시즈 드래곤]]에 대응. * [[패왕열룡 오드아이즈 레이징 드래곤]] - 엑시즈 / 펜듈럼. [[다크 리벨리온 엑시즈 드래곤]]에 대응. 다만 이례적인 점이 많다. 문서 참조. * [[패왕백룡 오드아이즈 윙 드래곤]] - 싱크로 / 펜듈럼. [[클리어윙 싱크로 드래곤]]에 대응. * [[패왕자룡 오드아이즈 베놈 드래곤]] - 융합 / 펜듈럼. [[스타브 베놈 퓨전 드래곤]]에 대응. 4. 패왕룡 즈아크 관련 카드 (2장) * [[패왕룡 즈아크]] - 다른 사천룡과 함께 소재가 되어 "통합 소환"되는 형태. * [[패왕권룡 오드아이즈]] - [[패왕권룡]]으로서의 모습. 5. 코믹스판 버전, 그리고 진화체 (3장) * [[오드아이즈 팬텀 드래곤]] - 코믹스에서의 유우야의 에이스 몬스터. * [[오드아이즈 판타즈마 드래곤]] - 팬텀 드래곤의 진화체. 그러나 팬텀 드래곤을 소재로 하지는 않고 '오버스케일 펜듈럼'이라는 방식으로 소환된다.[* 코믹스의 사천룡의 진화체는 직접 진화를 하지 않는 것으로 보이는데, [[스타브 베너미 리설도스 드래곤]]도 [[스타브 베너미 드래곤]]이 아닌 오드아이즈 몬스터 3장을 소재로 하여 소환됐다.] * [[갓아이즈 팬텀 드래곤]] - 이름을 보아 팬텀 드래곤의 다른 진화체로 보이나, [[EVE(유희왕)|이브]]와의 듀얼에서 [[오드아이즈 팬텀 드래곤|유우야]][[다크 앤서리온 드래곤|즈의]] [[클리어윙 패스트 드래곤|펜듈럼]] [[스타브 베너미 드래곤|에이스들을]] 전부 릴리스하여 소환되었다. 6. 최강의 D 진화체 (1장) * [[초천신룡 오드아이즈 레볼루션 드래곤]] - 마지막화에서 오드아이즈 펜듈럼 드래곤이 이 카드로 변했으며, 융합, 싱크로, 엑시즈 몬스터를 릴리스하여 소환됐다. 7. OCG 오리지널 아종 (4장) - 엑스트라 덱의 몬스터는 전원 레벨 / 랭크 7 드래곤족이며 바람, 화염, 물, 땅 속성이다. 적색/녹색이 아닌 눈이 적색/청색이고, 각각 다른 소환법에 대응한다.그러나 [[펜듈럼 드래곤|"펜듈럼 드래곤"]]은 아니다. * [[오드아이즈 볼텍스 드래곤]] - 바람 속성의 융합 드래곤. [[디멘션 오브 카오스]]에서 발매. * [[오드아이즈 메테오버스트 드래곤]] - 화염 속성의 싱크로 드래곤. [[스트럭처 덱]] [[마스터 오브 펜듈럼]]에서 발매. 함께 발매된 [[마술사(유희왕)#귀룡의 마술사|귀룡의 마술사]]와 속성이 같으며, 귀룡의 효과로 오드아이즈 펜듈럼 드래곤의 레벨을 내리고 둘을 소재로 하여 소환할 수 있다. * [[오드아이즈 앱솔루트 드래곤]] - 물 속성의 엑시즈 드래곤. [[마스터 오브 펜듈럼]]에서 같이 발매된 [[마술사(유희왕)#용혈의 마술사|용혈의 마술사]]와 속성이 같고 오드아이즈 펜듈럼 드래곤과 함께 소재로 하여 소환할 수 있다. * [[오드아이즈 그라비티 드래곤]] - 땅 속성의 의식 드래곤. [[브레이커즈 오브 섀도우]]에서 발매. 8. OCG 오리지널 진화체 (4장) - 애니와 코믹스에는 등장한 적없는 OCG 오리지널 카드지만, 7번 아종들과 달리 눈색이 적색/녹색 눈으로 원본 '오드아이즈 드래곤/오드아이즈 펜듈럼 드래곤'과 같아 동일한 계열로 보인다. * [[오드아이즈 아크펜듈럼 드래곤]] - 펜듈럼 드래곤의 아종으로 보이는 일반 / 펜듈럼 몬스터. TCG권 오리지널 상품인 Legendary Dragons Decks에서 발매. * [[오드아이즈 어드밴스 드래곤]] - OCG 오리지널 '오드아이즈 드래곤'의 진화체. 20주년 듀얼리스트 박스에서 발매. * [[오드아이즈 위저드 드래곤]] - OCG 오리지널 '[[오드아이즈 드래곤]]'의 진화체. [[듀얼리스트 팩|듀얼리스트 팩 레전드 듀얼리스트 편 6]]에서 발매. * [[오드아이즈 펜듈럼그래프 드래곤]] - OCG 오리지널 '오드아이즈 펜듈럼 드래곤'이 진화한 의식+펜듈럼 몬스터. [[디멘션 포스]]에서 발매. == 기타 == 이름에 걸맞게 서로 색이 [[오드아이|다른 눈]]을 가지고 있으며, 애니메이션판 오드아이즈 시리즈는 [[오드아이즈 드래곤]] 때부터 적색/녹색의 두 눈을 가지고 있는 반면 OCG 오리지널 오드아이즈 드래곤들은 적색/청색의 두 눈을 가진다. 용인지 공룡인지 모를 기묘하고 괴랄한 비주얼 때문에 공개 초기에 [[타조]]라고 놀림을 많이 받았다. 멸칭은 [[실장석|참피]]룡(...) 원작 설명에도 있듯, 카드 자체가 바뀐 최초의 에이스 몬스터다. 이는 사카키 유우야의 [[즈아크|본래 힘]]을 발휘하는 듯한 묘사라 할 수 있다. 주인공의 메인 에이스가 해당 작품 마지막 듀얼을 승리로 끝낸 최초의 몬스터다.[* 블랙 매지션은 사일런트 매지션에 공격하다가 공격력이 역전되어 전투 파괴되었고, 엘리멘틀 히어로 네오스는 오시리스의 천공롱에 공격하는 모습으로 듀얼이 끝났으나 정황상 패배한 걸로 보인다. 스타더스트 드래곤은 슈팅 스타 드래곤의 소재로 사용된 게 끝으로 해당 듀얼의 마무리는 정크 워리어가 했으며, No.39 유토피아는 듀얼 초~중반부 즈음 파괴되어 묘지에 있었다. 요약하면 DM은 전투 파괴되었고, GX는 끝까지 듀얼을 보여주지 않았으며, 5D's는 진화체 소환 셔틀, ZEXAL은 초~중반 즈음 파괴되었다.][* ZEXAL은 파괴된 직후 RDM으로 [[No.39 유토피아 루츠|유토피아 루츠]]의 소환 소재가 되었으며, 유토피아 루츠에 RUM을 사용해 간접적으로 후반부의 [[No.99 희망황룡 호프드라군|최종 진화에 가까운 몬스터]]로까지 연결되긴 하나 자체적인 등장은 없다.][* 다음 작품인 VRAINS에서는 파이어월 드래곤은 아예 마지막 시즌에 등장 자체가 없으며, 사실상 에이스 자리를 넘겨받은 디코드 토커가 마지막 듀얼을 승리로 마무리하여 두 번째 사례라고 볼 수 있다. 정확히는 주인공의 메인 에이스가 방영 도중 금지 카드가 되어 애초에 등장 빈도가 낮은 상황에서 종영시까지 출연하지 못하게 된 비하인드 때문에 에이스 역할을 뺏겼다는 인식이 더해진 결과로 반쪽짜리 사례다.] 성우 듀얼 이벤트 등지에서 [[오노 켄쇼]]가 부르는 애칭이 있는데 오드아이즈 펜듈럼(Odd Eyes Pendulum)에서 'O'와 'P'만을 따서 오피라는 애칭으로 부르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재록 횟수가 [[No.39 유토피아]]보단 덜하지만 많은 편이다. [[더 레어리티 컬렉션]], [[마스터 오브 펜듈럼]]과 [[스타터 덱 2016]], [[골드 시리즈|골드 팩 2016]],[* 참고로 스타터 덱과 '''거의 동시에''' 재록 정보가 떴다.] [[디멘션 박스 리미티드 에디션|디멘션 박스]], [[20th ANNIVERSARY DUELIST BOX]]에 총 6번 재록되었다.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PlayerIcon_0074.png|width=100%]]}}} || 유희왕 크로스 듀얼의 프로필 아이콘 중에는 샵에서 메달과 교환할 수 있는 아이콘이 있으며, 그중에 오드아이즈 펜듈럼 드래곤도 있다. 똑같이 샵에서 교환할 수 있는 [[스타더스트 드래곤]]과 마찬가지로 여성형.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유루기오타조.jpg|width=100%]]}}} || 공식 굿즈로 발매된 유루☆기☆오~(ゆる☆ぎ☆お~) 버전 일러스트. == 관련 카드 == * [[패왕흑룡 오드아이즈 리벨리온 드래곤]] * [[패왕열룡 오드아이즈 레이징 드래곤]] * [[패왕권룡 오드아이즈]] * [[패왕룡 즈아크]] * [[아스트로그래프 매지션]] * [[크로노그래프 매지션]] * [[패왕자룡 오드아이즈 베놈 드래곤]] * [[패왕백룡 오드아이즈 윙 드래곤]] * [[오드아이즈 아크펜듈럼 드래곤]] * [[오드아이즈 트윈 테일 캣]] [[분류:유희왕 ARC-V]][[분류:유희왕/OCG/드래곤족]][[분류:유희왕/OCG/펜듈럼 소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