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오늘 밤, 세계에서 이 사랑이 사라진다 해도'''}}} (2022)[br]''Even If This Love Disappears from the World Tonight''[br]''今夜、世界からこの恋が消えても''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오늘 밤, 세계에서 이 사랑이 사라진다 해도(영화) 메인 포스터.jp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0px -11px" {{{#!folding 일본 포스터 ▼ [[파일:세카코이_포스터_고화질.png|width=100%]]}}}}}} || || '''장르''' ||[[로맨스]], [[멜로]], [[드라마]] || || '''감독''' ||미키 타카히로[* 《[[나는 내일, 어제의 너와 만난다(영화)|나는 내일, 어제의 너와 만난다]]》등을 연출.] || || '''각본''' ||츠키카와 쇼[* 《[[너의 췌장을 먹고 싶어(2017)|너의 췌장을 먹고 싶어]]》의 연출.], 마츠모토 하나 || || '''원작''' ||이치조 미사키의 소설 『[[오늘 밤, 세계에서 이 사랑이 사라진다 해도]]』|| || '''제작''' ||하루나 케이, 키시다 카즈아키, 카와키타 나오히로 || || '''주연''' ||[[미치에다 슌스케]], [[후쿠모토 리코]] || || '''촬영''' ||야나기다 히로 || || '''음악''' ||[[카메다 세이지]] || || '''주제곡''' ||[[요루시카]] [[좌우맹|「좌우맹」]] || || '''제작사'''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TOHO 스튜디오 || || '''수입사'''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미디어캐슬]] || || '''배급사'''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도호]][b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바이포엠스튜디오]], 홀리가든 || || '''개봉일'''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22년]] [[7월 29일]][br][[부산국제영화제|[[파일:부산국제영화제 아이콘.svg|width=20&bgcolor=#ffffff]]]] [[2022년]] [[10월 9일]][br][[대만|[[파일:대만 국기.svg|width=20]]]] [[2022년]] [[11월 11일]][br][[태국|[[파일:태국 국기.svg|width=20]]]] [[2022년]] [[11월 17일]][br][[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2년]] [[11월 30일]] || || '''상영 시간''' ||121분 (2시간 1분 21초) || || '''스트리밍''' ||[[wavve|[[파일:wavve 로고.svg|width=60]]]] [[https://www.wavve.com/player/movie?movieid=MV_MC01_MC000000028|▶]][br][[네이버 시리즈온|[[파일:네이버 시리즈온 로고.svg|height=16&theme=light]][[파일:네이버 시리즈온 로고 화이트.svg|height=16&theme=dark]]]] [[https://serieson.naver.com/v2/movie/552429|▶]] || || '''상영 등급''' ||'''[[12세 관람가|[[파일:영등위_12세이상_2021.svg|width=30]] {{{#373a3c,#dddddd 12세 이상 관람가}}}]]''' || || '''공식 홈페이지''' ||[[https://sekakoi-movie.toho.co.jp/|[[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4]]]]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sekakoimovie, 크기=24)] | [[https://instagram.com/sekakoimovie|[[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 [[https://www.tiktok.com/@sekakoimovie|[[파일:틱톡 아이콘.svg|width=24]]]] || [목차] [clearfix] == 개요 == ||||{{{#!wiki style="margin:10px" {{{-1 '''지워야 했던 건 너와 보낸 1년이었다.''' '''消さなきゃいけなかったのは 君と過ごした一年だった。'''}}}}}} ---- {{{#!wiki style="margin:4px" {{{-2 [[캐치프레이즈]]}}}}}} || 2022년 7월 29일에 개봉한 [[일본 영화]]. [[오늘 밤, 세계에서 이 사랑이 사라진다 해도|동명의 도서]]가 원작이다. == 포스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세카코이 포스터 (나이트).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세카코이_포스터_고화질.png|width=100%]]}}} || || {{{#!wiki style="margin: -3px -10px;" {{{-2 '''나이트'''}}}}}} || {{{#!wiki style="margin: -3px -10px;" {{{-2 '''선셋'''}}}}}} || ||<-2> '''일본 포스터''' || ||<-2> {{{#!wiki style="margin: -16px -11px; letter-spacing: -0.3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오늘 밤, 세계에서 이 사랑이 사라진다 해도(영화) 티저 포스터.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오늘 밤, 세계에서 이 사랑이 사라진다 해도(영화) 메인 포스터.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오늘 밤, 세계에서 이 사랑이 사라진다 해도(영화) 하나비 포스터.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3px -10px;" {{{-2 '''티저'''}}}}}} || {{{#!wiki style="margin: -3px -10px;" {{{-2 '''메인'''}}}}}} || {{{#!wiki style="margin: -3px -10px;" {{{-2 '''하나비'''}}}}}} || ||<-3> '''한국 포스터''' ||}}} ||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dKWbgcKkn20)]}}}|| || ''' {{{#fff 메인 예고편 1분30초ver.}}}''' || ||
'''{{{#7ec0ce 예고편 더 보기}}}'''[br]{{{#!wiki style="margin: 0 -1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PgrUxw2nrS0)]}}}|| || ''' {{{#fff 메인 예고편 30초ver.}}}'''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APceh6tOPS0)]}}}|| || ''' {{{#fff 제27회 부산국제영화제 공식 트레일러 영상}}}'''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O2c4tHlqqqM)]}}}|| || ''' {{{#fff 런칭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KX6_9kdUG2k)]}}}|| || ''' {{{#fff '우리들의 1일'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1PWUjadeZn0)]}}}|| || ''' {{{#fff '우리들의 1년'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rkfyOl-2j9c)]}}}|| || ''' {{{#fff 15초 TV CM ver.1}}}'''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zxTKrYYqlx4)]}}}|| || ''' {{{#fff 15초 TV CM ver.2}}}'''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qnvVgfzvKts)]}}}|| || ''' {{{#fff 15초 TV CM ver.3}}}''' ||}}}}}}}}} || == 시놉시스 == ||
[br][[오늘 밤, 세계에서 이 사랑이 사라진다 해도(영화)|[[파일:오늘 밤, 세계에서 이 사랑이 사라진다 해도(영화) 스틸컷.jpg|width=95%]]]][br][br][br]{{{#!wiki style="text-align:left" {{{-1 '''“카미야 토오루에 대해 잊지 말 것”''' 자고 일어나면 전날의 기억을 잃는 '선행성 기억상실증'에 걸린 소녀 `마오리`. '''“내일의 마오리도 내가 즐겁게 해줄 거야”''' 누구에게도 기억되지 않는 무색무취의 평범한 소년 `토오루`. 매일 밤 사랑이 사라지는 세계,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음 날 서로를 향한 애틋한 고백을 반복하는 두 소년, 소녀의 가장 슬픈 청춘담}}}}}}[br][br] || ||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aver?code=220733|{{{#fff {{{-2 네이버 영화}}}}}}]] || == 등장인물 == === 주요 인물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세카코이_등장인물.jpg|width=100%]]}}} || || [[가미야 도루|{{{#fff 카미야 토오루}}}]][br]{{{-2 [[미치에다 슌스케|{{{#fff 미치에다 슌스케}}}]] 扮}}} || [[히노 마오리|{{{#fff 히노 마오리}}}]][br]{{{-2 [[후쿠모토 리코|{{{#fff 후쿠모토 리코}}}]] 扮}}} || || {{{-1 특별한 이유로 마오리에게 진심 아닌 고백을 하는 소년.}}} || {{{-1 [[선행성 기억상실증]]에 걸려, 잠이 든 뒤에 깨어나면 자기 전의 모든 기억이 사라져버리는 소녀.}}} || === 그 외 인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와타야 이즈미 사진.jpg|width=100%]]}}} || || [[와타야 이즈미|{{{#fff 와타야 이즈미}}}]][br]{{{-2 [[후루카와 코토네|{{{#fff 후루카와 코토네}}}]] 扮}}} || || {{{-1 마오리를 신경써주는 마오리의 절친한 친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카미야 사나에.jpg|width=100%]]}}} || || 카미야 사나에[br]{{{-2 [[마츠모토 호노카|{{{#fff 마츠모토 호노카}}}]] 扮}}} || || {{{-1 토오루의 누나. 아버지와의 불화로 집을 나가지만 토오루를 집에 두고 간 것에 대해 신경을 쓰고 있다. 토오루가 연애를 하는 모습을 보고 토오루에게 소중한 사람이 생겨서 다행이라고 생각한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히노 코지.jpg|width=100%]]}}} || || 히노 코지[br]{{{-2 [[노마구치 토오루|{{{#fff 노마구치 토오루}}}]] 扮}}}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히노 케이코.jpg|width=100%]]}}} || || 히노 케이코[br]{{{-2 [[미즈노 마키|{{{#fff 미즈노 마키}}}]] 扮}}} || || {{{-1 마오리의 어머니. 딸을 항상 걱정하며 남편 코지와 함께 마오리의 곁에 있어 준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카미야 유키히코.jpg|width=100%]]}}} || || 카미야 유키히코[br]{{{-2 [[하기와라 마사토|{{{#fff 하기와라 마사토}}}]] 扮}}} || || {{{-1 토오루의 아버지. 아내를 잃고 목표로 삼고 있던 소설가의 꿈이 좌절된다. 방종한 나날을 보내고 있다.}}} || === 기타 인물 === * 마에다 코키 * [[니시가키 쇼]] * 노나미 마호 == 줄거리 == ==# 원작과의 차이점 #== [include(틀:스포일러)] * 원작에서는 두 주인공이 고등학생일 때 카미야 토오루가 히노 마오리에게 고백하는 장면으로 시작하여 순차적으로 사건이 진행되지만, 영화에서는 대학생 마오리가 책장 뒤에 감춰진 크로키 스케치북을 발견하는 장면에서 시작하며 과거 회상-현재가 교차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 카미야 토오루가 누나인 카미야 사나에에 대해 소개할 때 사용했던 '위생감'[* 토오루에 말에 의하면 청결감과는 다르다고 한다. 청결감은 그렇게 보이도록 꾸밀 수가 있지만 위생감은 불가능하다고.] 이라는 단어는 원작에서만 나오고 영화에서는 나오지 않는다. * 원작에 있었던 자전거 둘이서 같이 타기, 마오리가 탄 자전거를 토오루가 밀어주기[* 마오리는 이것을 '공주님 말타기(お姫様乗り)' 라고 부른다.] 장면은 영화에서 나오지 않는다. * 토오루의 반 친구로, 사에구사 무리에게 괴롭힘을 당하던 시모카와가 원작에서는 부모님의 사정으로 중국으로 전학을 가지만, 영화에서는 전학을 가지 않고 같은 학교에서 졸업한다. 또한 원작에서는 시모카와가 교사에게 괴롭힘에 대해 이야기하여, 결국 괴롭히던 무리들끼리 멀어지고 빼앗은 돈을 돌려주게 된다. 이 장면이 영화에서는 없다. * 원작에서는 토오루의 아버지 유키히코가 첫 데이트를 가는 아들에게 잘 놀다 오라며 용돈을 주지만, 영화에서는 이 장면이 없다. 마오리 역시 원작에서는 외출하면서 데이트 하러 간다고 부모님께 이야기하고 가지만, 영화에서는 그런 장면이 없다. * 소설가인 누나 사나에의 필명이 원작에서는 니시카와 케이코, 영화에서는 니시카와 후미노이다. * 누나의 사인회 장면에서, 원작에서는 사나에가 먼저 토오루를 발견하고 자신의 담당 직원을 통해 나중에 토오루와 만날 약속을 잡지만, 영화에서는 이즈미가 사인회에 왔다가 토오루에게 큰 소리로 인사를 하는 바람에 사나에가 토오루를 발견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또한 원작에서는 이즈미가 사나에의 사인을 받아가는 장면이 없다. * [[아쿠타가와 상]] 수상자 발표날, 마오리의 방에 처음으로 들어간 토오루가 원작에서는 마오리가 기억 장애에 대해 자신에게 쓴 편지(나는 기억 장애가 있어요, 라고 적힌 종이 등)들을 보게 되지만, 영화에서는 수족관 데이트 때 세트로 샀던 커플 키링을 발견한다.[* 수족관 데이트 날, 선물로 사준 키링을 마오리가 가방에 단 것을 발견한 토루는 마오리에게 자신도 집열쇠에 달았다며 자랑하지만 이 일을 기억하지 못하는 마오리를 보고 당황한 토루는 어쩔줄 모른다. 이내 분위기를 무마하고자 이즈미가 눈치를 보며 마오리에게 알려준다. 하지만 토루와 있었던 소중한 추억마저 기억해내지 못하는 자신에게 당황한 마오리는 허겁지겁 푸딩스푼을 가지러 방에서 나간다. 혼란에 빠져 집으로 돌아가려는 토루에게 이즈미는 마오리가 침대에 몰래 숨겨놓았던 자신에게 쓴 수많은 메모와 일기장을 보여주며 매일 절망같은 아침을 맞이하면서도 도망치지 않고 오히려 현실에 직면하고 있다고 알려준다.] * 원작에서는 아버지 유키히코가 아쿠타가와 상 수상자가 자신의 딸 사나에라는 사실을 기자회견 사진을 보고 알지만, 영화에서는 라이브 인터뷰 동영상을 보고 그 사실을 안다. * 아쿠타가와 상 발표가 난 후, 영화에서는 아버지 유키히코와 토오루 둘의 분위기가 험악해지는 와중에 사나에가 집으로 돌아와 싸움을 말리고, 결국 셋이 대화를 하여 화해를 하게 된다. 원작에서는 사나에가 등장하지 않는 대신 토오루 혼자 말로 아버지를 설득한다. 토오루의 설득에 납득한 아버지가 스스로 사나에한테 전화를 걸어 축하 인사를 하며 화해하게 된다. * 원작에서는 공원에서 데이트를 할 때 토오루가 마오리에게 정말로 좋아하게 되었다고 고백을 하지만, 영화에서는 불꽃 축제 데이트에서 고백을 한다. * 마오리가 자신의 기억 장애에 대해 털어놓게 되는 계기가 서로 다르다. 원작에서는 토오루에게 받은 고백을 거절하기 위해 자신의 처지를 설명하면서 털어놓게 되지만, 영화에서는 마오리가 데이트 중 깜빡 잠이 들면서 기억이 사라져 토오루를 못 알아보게 되면서 사실대로 털어놓게 된다. * 원작에서는 토오루가 마오리에게 일기장에 적지 말라고 한 항목이 한 개 더 많다. '기억 장애에 대해 토오루가 알고 있다' 라는 사실과 '토오루가 마오리를 정말로 좋아한다' 라는 사실 두 가지를 비밀로 하자고 한다. 하지만 영화에서는 고백을 하지 않았으므로 기억 장애에 대한 부분만 비밀로 하자고 한다. * 원작에서는 불꽃 축제 데이트에 토오루의 아버지와 누나도 함께 오지만[* 참고로 아버지는 토오루의 여자친구가 누군지 궁금해서 따라왔다고 한다.], 영화에서는 오지 않는다. 또한 원작에서는 토오루가 감색 유카타를 입고 축제에 오지만, 영화에서는 평상복을 입고 온다. * 원작에서는 불꽃 축제를 보러 간 토오루와 마오리가 손을 잡거나 간접 키스[* 타코야키를 사서 같이 먹었는데, 같은 이쑤시개를 사용하여 먹었다.]를 하는 듯한 장면이 있지만 직접적인 키스 신은 나오지 않는다. 영화에서는 직접적인 키스 신이 불꽃 축제 데이트 장면에서 2회 나온다.[* 불꽃축제 데이트 씬 1회, 같은장면 다른 각도에서 1회] * 이즈미에게 토오루가 마오리의 일기장에서 자신에 대한 내용을 삭제해 달라고 부탁할 때, 원작에서는 이즈미가 '하고 싶지 않다', '하고 싶으면 본인이 직접 해라' 라며 거절하는 장면이 있지만, 영화에서는 삭제되었다. * 이즈미가 마오리의 방을 정리하며 토오루에 관련된 물건들을 치우는 장면에서, 원작에서는 '''어떤 종이'''의 뒷면에 붙은 포스트잇에 토오루에 대한 내용이 적혀 있다. 내용은 '기억 장애가 낫더라도 카미야 토오루 군을 기억해 줘. 소중한 것은 소중한 장소에 반드시 있을 테니까'. 영화에서는 ''''나는 사고를 당해 기억 장애를 앓고 있습니다. 책상 위의 일기와 수첩을 읽어 봐요.' 라고 적힌 종이'''의 뒷면에 붙은 포스트잇에 해당 내용이 적혀 있다. 내용도 더 짧게 변경되어 '카미야 토오루를 잊지 마' 가 되었다. * 고등학교 때 토오루의 반에서 시모카와를 괴롭혔던 사에구사에 대한 사연이 원작에서는 설명되어 있다. 중학교 때까지만 해도 공부나 운동 모두 잘했던 자신이 고등학교로 올라오면서 성적이 오르지 않게 되자 비뚤어지게 되었다고 한다. 영화에서는 이 부분에 대한 설명이 나오지 않는다. * 원작에서는 시모카와에 대한 후일담이 나온다. 중국으로 이민간 후 학생 신분으로 벤처 기업을 세웠다고 한다. 인터넷으로 검색하면 바로 이름이 나올 정도로 유명해진 듯하다. 참고로 토오루의 사망 소식을 듣고[* 시모카와가 용기를 내어 연락했다고 한다.] 곧바로 귀국하여 장례식에서 남들의 두 배 이상 울었다고 한다.[* 졸업식 날, 마오리에게 말을 건 시모카와가 도루에 대해 이야기하려는 조짐이 보이자 이즈미는 말을 자르고 마오리와 서둘러 자리를 피한다. 이때, 시모카와의 눈이 많이 울어서 빨개져있는 걸 확인할 수 있다.] * 마오리가 자신의 진짜 일기, 수첩을 돌려받는 부분이 서로 다르다. 원작에서는 일기와 수첩만 받고 스마트폰은 아예 받지 않는다. 대신 토오루의 동영상 속 음성파일만을 추출한 것을 이즈미에게 받아 반복 재생하면서 기억을 떠올린다. 이유는 사진이나 동영상을 직접 보면 자신이 일기나 수첩을 읽으며 만든 토오루에 대한 이미지를 억지로 덮어쓰기 당하는 것 같아 왠지 내키지 않았다고. 영화에서는 직접 스마트폰 동영상 속 토오루의 얼굴을 보며 기억을 떠올린다. * 원작에서 차를 마시며 가미야를 인식(?)하게되는 계기가 있는데 영화에선 차에 관련된 이야기가 별로 나오지 않았다. == OST == === 주제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Gf2W-DLPRm0)]}}} || || {{{-2 '''[[요루시카|{{{#fff 요루시카}}}]] / [[左右盲|{{{#fff 左右盲 (좌우맹)}}}]]'''}}}[br]{{{-5 ( 주제가 )}}}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좌우맹)] === 트랙리스트 === [include(틀:오늘 밤\, 세계에서 이 사랑이 사라진다 해도(영화)/OST)] == 평가 == [include(틀:평가/IMDb, code=tt21115444, user=7.2)]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even-if-this-love-disappears-from-the-world-tonight, user=3.5)] [include(틀:평가/키노포이스크, code=5041524, user=없음)] [include(틀:평가/mymovies.it, code=2022/even-if-this-love-disappears-from-the-world-tonight, MYMOVIES=없음, CRITICA=없음, PUBBLICO=없음)] [include(틀:평가/야후! 재팬 영화, code=381457, user=4.3)] [include(틀:평가/Filmarks, code=101624, user=4.1)]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35772573, user=7.7)] [include(틀:평가/야후! 키모, code=14233, user=4.7)] [include(틀:평가/왓챠, code=mOAk7MX, user=2.9)] [include(틀:평가/키노라이츠, code=111935, light=79.59)] [include(틀:평가/네이버 영화, code=220733, expert=5.33, audience=7.99, user=8.63)] [include(틀:평가/다음 영화, code=162710, user=7.4)] [include(틀:평가/CGV, code=86503, egg=92)] [include(틀:평가/롯데시네마, code=19256, user=9.2)] [include(틀:평가/메가박스, code=22091200, user=8.8)] [include(틀:평가/TMDB, code=977871, user=75)] [include(틀:평가/MyDramaList, code=721335-konya-sekai-kara-kono-koi-ga-kietemo, user=8.4)] 전체적으로 10대~20대 여성들에게 인기를 얻고 있으며 되게 감동적이고 슬퍼서 울었다는 반응이 많았다. 그에 비해 급전개 때문에 혹평을 받은 부분도 있다. === 평론가 === ||||{{{#!wiki style="margin:10px" ★★★☆ {{{-1 '''허구는 힘이 세다, 그만큼 울어버렸다'''}}}}}} ---- {{{#!wiki style="margin:4px" {{{-2 - [[이용철(평론가)|이용철]]}}}}}} || ||||{{{#!wiki style="margin:10px" ★★☆ {{{-1 '''각설탕이 목에 걸린 기분'''}}}}}} ---- {{{#!wiki style="margin:4px" {{{-2 - [[박평식]]}}}}}} || ||||{{{#!wiki style="margin:10px" ★★☆ {{{-1 '''익숙한 일본 감성으로 풀어낸 기억상실 로맨스'''}}}}}} ---- {{{#!wiki style="margin:4px" {{{-2 - [[김수영]]}}}}}} || == 흥행 == ||<-4>
출처: [[https://www.boxofficemojo.com/title/tt21115444/|박스오피스 모조]] || || 국가 || 개봉일 || 총수입 (단위: [[미국 달러]]) || 기준일 || || '''전 세계''' || [[2022년]] [[7월 29일]] || '''$16,474,515''' || '''[[2023년]] [[3월 5일]]''' || ||<-4> 개별 국가 (개봉일 순, 전 세계 영화 시장 1, 2위인 북미, 중국은 볼드체) || || '''[[북미]]''' || 미정 || '''미개봉''' || 미정 || || '''[[중국]]''' || 미정 || '''미개봉''' || 미정 || || [[일본]] || [[2022년]] [[7월 29일]] || $7,810,235 || [[2022년]] [[8월 21일]] || || [[대한민국]] || [[2022년]] [[11월 30일]] || $8,608,649 || [[2023년]] [[3월 5일]] || || [[홍콩]] || [[2022년]] [[12월 8일]] || $55,631 || [[2022년]] [[12월 18일]] || * '''2022년 외화 흥행 9위''' * '''2022년 수입 실사 영화 흥행 1위''' * '''역대 국내 개봉 일본 실사 영화 흥행 2위'''[* 1위 [[러브레터(일본 영화)|러브레터]]] * '''21년 만에 역대 국내 개봉 일본 실사 영화 누적 관객수 100만 명 돌파''' * '''10번째 국내 개봉 누적 관객수 100만 명 돌파 일본 영화''' === [[대한민국]] === ||<-7>
'''대한민국 누적 관객 수''' || || '''주차''' || '''날짜''' || '''일일 관람 인원''' || '''주간 합계 인원''' || '''순위''' || '''일일 매출액''' || '''주간 합계 매출액''' || || 개봉 전 || || 1,347명 || 1,347명 || 미집계 || 15,887,000원 || 15,887,000원 || ||<-7> {{{#ffffff '''개봉 1주차 성적'''}}} [br]{{{#!wiki style="margin: 0 -1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7>
'''대한민국 누적 관객 수''' || || '''주차''' || '''날짜''' || '''일일 관람 인원''' || '''주간 합계 인원''' || '''순위''' || '''일일 매출액''' || '''주간 합계 매출액''' || ||<|7> 1주차 ||2022-11-30. 1일차(수) || 9,212명 ||<|7> 70,454명 || 9위 || 74,287,517원 ||<|7> 685,496,517원 || ||2022-12-01. 2일차(목) || 6,294명 || 8위 || 59,216,844원 || ||2022-12-02. 3일차(금) || 7,495명 || 7위 || 75,707,632원 || ||2022-12-03. 4일차(토) || 14,332명 || 7위 || 148,752,247원 || ||2022-12-04. 5일차(일) || 16,275명 || 6위 || 167,206,672원 || ||2022-12-05. 6일차(월) || 8,106명 || 4위 || 78,525,039원 || ||2022-12-06. 7일차(화) || 8,740명 || 4위 || 81,800,566원 ||}}}}}} || ||<-7> {{{#ffffff '''개봉 2주차 성적'''}}} [br]{{{#!wiki style="margin: 0 -1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7>
'''대한민국 누적 관객 수''' || || '''주차''' || '''날짜''' || '''일일 관람 인원''' || '''주간 합계 인원''' || '''순위''' || '''일일 매출액''' || '''주간 합계 매출액''' || ||<|7> 2주차 ||2022-12-07. 8일차(수) || 11,378명 ||<|7> 145,187명 || 4위 || 110,218,878원 ||<|7> 1,462,998,528원 || ||2022-12-08. 9일차(목) || 12,681명 || 3위 || 120,442,770원 || ||2022-12-09. 10일차(금) || 17,186명 || 3위 || 176,537,041원 || ||2022-12-10. 11일차(토) || 32,039명 || 3위 || 334,919,426원 || ||2022-12-11. 12일차(일) || 35,694명 || 2위 || 370,453,084원 || ||2022-12-12. 13일차(월) || 16,438명 || 2위 || 160,157,333원 || ||2022-12-13. 14일차(화) || 19,771명 || 2위 || 190,269,996원 ||}}}}}} || ||<-7> {{{#ffffff '''개봉 3주차 성적'''}}} [br]{{{#!wiki style="margin: 0 -1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7>
'''대한민국 누적 관객 수''' || || '''주차''' || '''날짜''' || '''일일 관람 인원''' || '''주간 합계 인원''' || '''순위''' || '''일일 매출액''' || '''주간 합계 매출액''' || ||<|7> 3주차 ||2022-12-14. 15일차(수) || 13,025명 ||<|7> 160,603명 || 3위 || 130,460,332원 ||<|7> 1,652,222,827원 || ||2022-12-15. 16일차(목) || 15,324명 || 3위 || 151,914,013원 || ||2022-12-16. 17일차(금) || 20,940명 || 3위 || 221,184,107원 || ||2022-12-17. 18일차(토) || 33,871명 || 4위 || 354,652,345원 || ||2022-12-18. 19일차(일) || 37,397명 || 4위 || 387,832,556원 || ||2022-12-19. 20일차(월) || 19,003명 || 3위 || 192,998,468원 || ||2022-12-20. 21일차(화) || 21,043명 || 3위 || 213,181,006원 ||}}}}}} || ||<-7> {{{#ffffff '''개봉 4주차 성적'''}}} [br]{{{#!wiki style="margin: 0 -1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7>
'''대한민국 누적 관객 수''' || || '''주차''' || '''날짜''' || '''일일 관람 인원''' || '''주간 합계 인원''' || '''순위''' || '''일일 매출액''' || '''주간 합계 매출액''' || ||<|7> 4주차 ||2022-12-21. 22일차(수) || 15,711명 ||<|7> 182,497명 || 4위 || 160,020,655원 ||<|7> 1,911,296,346원 || ||2022-12-22. 23일차(목) || 14,681명 || 4위 || 151,020,660원 || ||2022-12-23. 24일차(금) || 18,239명 || 4위 || 195,877,149원 || ||2022-12-24. 25일차(토) || 43,653명 || 5위 || 464,425,244원 || ||2022-12-25. 26일차(일) || 55,831명 || 3위 || 589,304,745원 || ||2022-12-26. 27일차(월) || 17,882명 || 4위 || 182,666,343원 || ||2022-12-27. 28일차(화) || 16,500명 || 4위 || 167,981,550원 ||}}}}}} || ||<-7> {{{#ffffff '''개봉 5주차 성적'''}}} [br]{{{#!wiki style="margin: 0 -1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7>
'''대한민국 누적 관객 수''' || || '''주차''' || '''날짜''' || '''일일 관람 인원''' || '''주간 합계 인원''' || '''순위''' || '''일일 매출액''' || '''주간 합계 매출액''' || ||<|7> 5주차 ||2022-12-28. 27일차(수) || 19,460명 ||<|7> 159,769명 || 4위 || 158,395,513원 ||<|7> 1,622,368,302원 || ||2022-12-29. 28일차(목) || 19,554명 || 4위 || 197,269,483원 || ||2022-12-30. 29일차(금) || 27,562명 || 4위 || 291,683,332원 || ||2022-12-31. 30일차(토) || 34,186명 || 4위 || 358,913,103원 || ||2023-01-01. 31일차(일) || 29,722명 || 3위 || 318,616,277원 || ||2023-01-02. 32일차(월) || 14,123명 || 3위 || 144,209,960원 || ||2023-01-03. 33일차(화) || 15,162명 || 3위 || 153,280,634원 ||}}}}}} || ||<-7> {{{#ffffff '''개봉 6주차 성적'''}}} [br]{{{#!wiki style="margin: 0 -1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7>
'''대한민국 누적 관객 수''' || || '''주차''' || '''날짜''' || '''일일 관람 인원''' || '''주간 합계 인원''' || '''순위''' || '''일일 매출액''' || '''주간 합계 매출액''' || ||<|7> 6주차 ||2023-01-04. 34일차(수) || 9,735명 ||<|7> 93,216명 || 6위 || 99,450,215원 ||<|7> 977,787,525원 || ||2023-01-05. 35일차(목) || 10,839명 || 6위 || 109,271,126원 || ||2023-01-06. 36일차(금) || 12,490명 || 6위 || 131,708,007원 || ||2023-01-07. 37일차(토) || 19,351명 || 6위 || 208,236,058원 || ||2023-01-08. 38일차(일) || 21,532명 || 6위 || 232,505,320원 || ||2023-01-09. 39일차(월) || 9,428명 || 6위 || 96,092,157원 || ||2023-01-10. 40일차(화) || 9,841명 || 6위 || 100,524,642원 ||}}}}}} || ||<-7> {{{#ffffff '''개봉 7주차 성적'''}}} [br]{{{#!wiki style="margin: 0 -1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7>
'''대한민국 누적 관객 수''' || || '''주차''' || '''날짜''' || '''일일 관람 인원''' || '''주간 합계 인원''' || '''순위''' || '''일일 매출액''' || '''주간 합계 매출액''' || ||<|7> 7주차 ||2023-01-11. 41일차(수) || 9,866명 ||<|7> 92,981명 || 6위 || 99,858,658원 ||<|7> 985,183,717원 || ||2023-01-12. 42일차(목) || 9,617명 || 6위 || 97,547,784원 || ||2023-01-13. 43일차(금) || 9,723명 || 6위 || 104,508,414원 || ||2023-01-14. 44일차(토) || 20,281명 || 6위 || 219,716,609원 || ||2023-01-15. 45일차(일) || 23,530명 || 6위 || 259,493,565원 || ||2023-01-16. 46일차(월) || 9,575명 || 5위 || 97,975,532원 || ||2023-01-17. 47일차(화) || 10,457명 || 5위 || 106,885,054원 ||}}}}}} || ||<-7> {{{#ffffff '''개봉 8주차 성적'''}}} [br]{{{#!wiki style="margin: 0 -1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7>
'''대한민국 누적 관객 수''' || || '''주차''' || '''날짜''' || '''일일 관람 인원''' || '''주간 합계 인원''' || '''순위''' || '''일일 매출액''' || '''주간 합계 매출액''' || ||<|7> 8주차 ||2023-01-18. 48일차(수) || 5,312명 ||<|7> 60,987명 || 8위 || 54,324,048원 ||<|7> 666,066,998원 || ||2023-01-19. 49일차(목) || 6,278명 || 7위 || 64,639,853원 || ||2023-01-20. 50일차(금) || 7,569명 || 7위 || 81,126,563원 || ||2023-01-21. 51일차(토) || 8,154명 || 8위 || 89,005,391원 || ||2023-01-22. 52일차(일) || 5,930명 || 9위 || 66,722,318원 || ||2023-01-23. 53일차(월) || 11,565명 || 8위 || 127,463,014원 || ||2023-01-24. 54일차(화) || 16,177명 || 8위 || 182,763,811원 ||}}}}}} || ||<-7> {{{#ffffff '''개봉 9주차 성적'''}}} [br]{{{#!wiki style="margin: 0 -1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7>
'''대한민국 누적 관객 수''' || || '''주차''' || '''날짜''' || '''일일 관람 인원''' || '''주간 합계 인원''' || '''순위''' || '''일일 매출액''' || '''주간 합계 매출액''' || ||<|7> 9주차 ||2023-01-25. 55일차(수) || 7,052명 ||<|7> 46,190명 || 8위 || 66,312,754원 ||<|7> 477,484,251원 || ||2023-01-26. 56일차(목) || 4,868명 || 9위 || 49,429,844원 || ||2023-01-27. 57일차(금) || 5,565명 || 9위 || 59,794,031원 || ||2023-01-28. 58일차(토) || 9,617명 || 9위 || 102,973,458원 || ||2023-01-29. 59일차(일) || 9,712명 || 9위 || 103,472,997원 || ||2023-01-30. 60일차(월) || 4,464명 || 8위 || 46,091,645원 || ||2023-01-31. 61일차(화) || 4,915명 || 9위 || 49,438,922원 ||}}}}}} || ||<-7> {{{#ffffff '''개봉 10주차 성적'''}}} [br]{{{#!wiki style="margin: 0 -1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7>
'''대한민국 누적 관객 수''' || || '''주차''' || '''날짜''' || '''일일 관람 인원''' || '''주간 합계 인원''' || '''순위''' || '''일일 매출액''' || '''주간 합계 매출액''' || ||<|7> 10주차 ||2023-02-01. 62일차(수) || 3,956명 ||<|7> 36,558명 || 10위 || 40,159,731원 ||<|7> 383,388,191원 || ||2023-02-02. 63일차(목) || 4,854명 || 10위 || 48,607,647원 || ||2023-02-03. 64일차(금) || 4,216명 || 10위 || 45,051,348원 || ||2023-02-04. 65일차(토) || 8,645명 || 11위 || 92,742,874원 || ||2023-02-05. 66일차(일) || 8,074명 || 10위 || 87,636,256원 || ||2023-02-06. 67일차(월) || 3,167명 || 9위 || 32,067,868원 || ||2023-02-07. 68일차(화) || 3,651명 || 9위 || 37,130,067원 ||}}}}}} || ||<-7> {{{#ffffff '''개봉 11주차 성적'''}}} [br]{{{#!wiki style="margin: 0 -1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7>
'''대한민국 누적 관객 수''' || || '''주차''' || '''날짜''' || '''일일 관람 인원''' || '''주간 합계 인원''' || '''순위''' || '''일일 매출액''' || '''주간 합계 매출액''' || ||<|7> 11주차 ||2023-02-08. 69일차(수) || 2,883명 ||<|7> 25,594명 || 12위 || 29,306,466원 ||<|7> 269,124,929원 || ||2023-02-09. 70일차(목) || 2,655명 || 11위 || 27,088,073원 || ||2023-02-10. 71일차(금) || 3,218명 || 11위 || 34,334,871원 || ||2023-02-11. 72일차(토) || 5,733명 || 11위 || 61,959,926원 || ||2023-02-12. 73일차(일) || 5,760명 || 11위 || 61,932,467원 || ||2023-02-13. 74일차(월) || 2,355명 || 11위 || 23,999,559원 || ||2023-02-14. 75일차(화) || 2,990명 || 11위 || 30,503,567원 ||}}}}}} || ||<-7> {{{#ffffff '''개봉 12주차 성적'''}}} [br]{{{#!wiki style="margin: 0 -1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7>
'''대한민국 누적 관객 수''' || || '''주차''' || '''날짜''' || '''일일 관람 인원''' || '''주간 합계 인원''' || '''순위''' || '''일일 매출액''' || '''주간 합계 매출액''' || ||<|7> 12주차 ||2023-02-15. 76일차(수) || 1,354명 ||<|7> 13,968명 || 13위 || 13,633,575원 ||<|7> 147,437,491원 || ||2023-02-16. 77일차(목) || 1,475명 || 12위 || 14,840,377원 || ||2023-02-17. 78일차(금) || 1,741명 || 12위 || 18,545,269원 || ||2023-02-18. 79일차(토) || 3,251명 || 11위 || 34,967,161원 || ||2023-02-19. 80일차(일) || 3,206명 || 11위 || 34,761,159원 || ||2023-02-20. 81일차(월) || 1,438명 || 11위 || 15,092,781원 || ||2023-02-21. 82일차(화) || 1,503명 || 12위 || 15,597,169원 ||}}}}}} || ||<-7> {{{#ffffff '''개봉 13주차 성적'''}}} [br]{{{#!wiki style="margin: 0 -1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7>
'''대한민국 누적 관객 수''' || || '''주차''' || '''날짜''' || '''일일 관람 인원''' || '''주간 합계 인원''' || '''순위''' || '''일일 매출액''' || '''주간 합계 매출액''' || ||<|7> 13주차 ||2023-02-22. 83일차(수) || 816명 ||<|7> 6,486명 || 19위 || 7,054,612원 ||<|7> 66,843,555원 || ||2023-02-23. 84일차(목) || 738명 || 18위 || 7,561,683원 || ||2023-02-24. 85일차(금) || 714명 || 18위 || 7,741,789원 || ||2023-02-25. 86일차(토) || 1,391명 || 17위 || 15,122,668원 || ||2023-02-26. 87일차(일) || 1,415명 || 17위 || 15,107,957원 || ||2023-02-27. 88일차(월) || 669명 || 18위 || 6,849,174원 || ||2023-02-28. 89일차(화) || 743명 || 19위 || 7,405,672원 ||}}}}}} || ||<-7> {{{#ffffff '''개봉 14주차 성적'''}}} [br]{{{#!wiki style="margin: 0 -1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7>
'''대한민국 누적 관객 수''' || || '''주차''' || '''날짜''' || '''일일 관람 인원''' || '''주간 합계 인원''' || '''순위''' || '''일일 매출액''' || '''주간 합계 매출액''' || ||<|7> 14주차 ||2023-03-01. 90일차(수) || 747명 ||<|7> 2,524명 || 26위 || 8,272,689원 ||<|7> 26,289,988 원 || ||2023-03-02. 91일차(목) || 134명 || 33위 || 1,382,418원 || ||2023-03-03. 92일차(금) || 167명 || 26위 || 1,967,794원 || ||2023-03-04. 93일차(토) || 723명 || 26위 || 6,422,496원 || ||2023-03-05. 94일차(일) || 370명 || 29위 || 3,849,897원 || ||2023-03-06. 95일차(월) || 182명 || 27위 || 2,103,398원 || ||2023-03-07. 96일차(화) || 201명 || 29위 || 2,291,296원 ||}}}}}} || || '''합계''' ||<-6> '''누적관객수 1,174,812명, 누적매출액 11,927,263,436원'''[* ~ 2023/12/09 기준] || *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기준 * '''개봉 1주차''' 문화의 날 개봉으로 9위로 출발 했지만 호평이 비교적 높아 순위권에 올랐다. 2022년 12월 9일 기준으로 관객수가 10만 명을 돌파하였다.[*관련트윗1 [[https://twitter.com/mcastle_kr/status/1601060050113814529]]] * '''개봉 2주차''' 호평률이 점점 높아지자 박스오피스 순위가 5위 안에 들며 점점 순위가 올라갔다. 개봉 10일차인 12월 9일에는 누적 매출액이 10억 원을 돌파하였다. 개봉 12일차 12월 11일에는 타 영화들에 비해 적은 상영관 수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높은 예매율과 좌석점유율에 힘입어 박스오피스 2위까지 올랐으며 13일차 12월 13일에는 누적 관객수가 20만 명을 돌파하였다.[*관련트윗2 [[https://twitter.com/mcastle_kr/status/1602468481001488385?s=20&t=zKz6WIkYsOIiulWM_Z7ivg]]] 개봉 14일차 12월 13일 박스오피스 2위를 유지하였으며 누적 매출액이 20억 원을 돌파하였다. * '''개봉 3주차''' 개봉 15일차 12월 14일 [[아바타: 물의 길]] 개봉으로 박스오피스 3위로 내려갔으나 비슷한 성적을 계속해서 내고 있다. 개봉 18일차 12월 17일에는 꾸준한 흥행과 박스오피스 역주행 덕에 ‘제2의 [[러브레터(일본 영화)|러브레터]]’ 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는 내용이 YTN 뉴스로 방영되기도 했다. [[https://youtu.be/bAsCNKA5tOU|#]] 개봉 19일차 12월 18일에는 관객수 30만 명을 넘어섰으며 누적 매출액이 30억 원을 돌파하였다.[*관련트윗3 [[https://twitter.com/mcastle_kr/status/1604251860776325121?s=46&t=BHhFwQcwtOSOikmOv2tX3Q]]] * '''개봉 4주차''' 개봉 20일차 12월 19일 35만 관객을 돌파하여 2022년 수입 실사 외화 중 흥행 1위에 올랐다. [[http://www.mydaily.co.kr/new_yk/html/read.php?newsid=202212201154203363&ext=na&utm_campaign=naver_news&utm_source=naver&utm_medium=related_news|#]] 개봉 22일차 12월 21일 [[영웅(2022)|영웅]]의 개봉으로 박스오피스 순위가 4위로 내려갔으나 꾸준히 비슷한 관객수와 매출액을 기록하였고, 개봉 23일차 12월 22일에는 관객수 40만 명을 넘어섰으며 누적 매출액이 40억 원을 돌파하였다.[*관련트윗4 [[https://twitter.com/mcastle_kr/status/1605816886859427840?s=20&t=brmZK0pr6pgC1CfG4Ftlfw]]] 개봉 25일차 12월 24일 기준으로 50만 관객을 넘어서면서 역대 일본 로맨스 최고 흥행작인 영화 [[너의 췌장을 먹고 싶어(2017)|너의 췌장을 먹고 싶어]]의 기록을 추월하였다.[*관련트윗5 [[https://twitter.com/mcastle_kr/status/1606681575605030912?s=46&t=vUuM92jUjSXOG2kCq_g1aA]]] 개봉 26일차 12월 25일에는 크리스마스 특수로 일일 관객수가 5만 명을 넘어 박스오피스 3위 자리를 다시 차지했다. * '''개봉 5주차''' 개봉 28일차 12월 29일 60만 관객을 넘어섰으며 누적 매출액 60억 원을 돌파하였다.[*관련트윗6 [[https://twitter.com/mcastle_kr/status/1608433129924198400?s=46&t=KbV4ag145A1r8StXcSh77g]]] 이에 미키 타카히로 감독이 트위터를 통해 직접 한국 관객들에 대한 감사 인사를 전했다. [[http://www.slist.kr/news/articleView.html?idxno=413563|#감독 감사 인사]] 개봉 31일차 1월 1일에는 70만 관객을 넘어섰고 누적 매출액 70억 원을 돌파하여 [[카메다 세이지]] 음악감독이 트위터를 통해 감사 인사를 전했다.[*관련트윗7 [[https://twitter.com/mcastle_kr/status/1609793284939067392?s=46&t=TIy-aJNAfkoY-BVwFDRk5g]]] [[https://twitter.com/seiji_kameda/status/1609977451802951680?s=20&t=1dfFRbA8lhEqVHspHVmqsw|#음악감독 감사 인사]] * '''개봉 6주차''' [[더 퍼스트 슬램덩크]]와 [[장화신은 고양이: 끝내주는 모험]], [[스위치(2023)|스위치]]의 개봉으로 박스오피스 순위가 6위로 떨어졌다. 하지만 꾸준히 관객들이 극장을 찾은 덕에 개봉 39일차 2023년 1월 9일 기준으로 누적 관객수 80만 명, 누적 매출액 80억 원을 돌파하면서, 국내 개봉 일본 실사 영화 중 TOP4에 오르는 기염을 토했다.[*관련트윗8 [[https://twitter.com/mcastle_kr/status/1612296783157420032?s=46&t=98Xen4-YbqmL-AVackr3GA]]] [[https://m.mydaily.co.kr/new/read_amp.php?newsid=202301091343348385|관련 기사]] * '''개봉 7주차''' 순위는 그대로 6위에 머무르고 있으며, 꾸준히 하루에 약 만 명 정도의 관객수를 유지해 나가고 있다. 개봉 45일차 2023년 1월 15일 기준으로 누적 매출액 90억 원을 돌파하였으며 1월 17일 누적 관객수 90만 명을 돌파하였다.[*관련트윗9 [[https://twitter.com/mcastle_kr/status/1615001263804133378?s=46&t=siYI90dAUO7rqVx--dm-vg]]] 상영관이 적은데도 불구하고 장기상영하는 것은 이례적이다. * '''개봉 8주차''' [[교섭(영화)|교섭]]의 개봉으로 다른 영화들이 전체적으로 관객수가 하락하는 가운데 마찬가지로 하루 5천 명대의 관객수로 떨어졌다. 설 연휴 기간에는 일시적으로 하루 관객수가 만 명을 넘겼으며 주연 배우 [[미치에다 슌스케]]의 내한 이벤트로 54일차 1월 24일 화요일 하루 관객수 약 16,000명을 기록하였다. * '''개봉 9주차''' 55일차 1월 25일 수요일 기준으로 누적 매출액 100억 원을 돌파하였으며, 59일차 1월 29일 일요일 기준으로 누적 관객수 100만 명을 돌파하였는데, 이는 국내 개봉 일본 실사 영화로서는 21년 만의 일이라고 한다.[*관련트윗10 [[https://twitter.com/mcastle_kr/status/1619485439181864960?s=20&t=p1iTK8uaHsAMkDlutZDNVw]]] * '''개봉 10주차''' 63일차 2월 2일 월요일 기준으로 누적 관객수 101만인 영화 [[주온]]을 제치고 역대 국내 개봉 일본 실사 영화 2위 자리를 거머쥐게 되었다. [[http://www.slist.kr/news/articleView.html?idxno=421112|관련 기사]] [[https://twitter.com/mcastle_kr/status/1620952217611309058?s=46&t=B_Up6E0XX4fyRTXBKwgQZA|관련 트윗]] * '''개봉 11주차''' 박스오피스 순위 10위에 하루 관객수는 5,000명 정도에 그치고 있지만 꾸준히 유지되는 편이다. 72일차 2월 10일 기준으로 누적 매출액 110억 원을 돌파하였다. === [[일본]] === * 2022년 8월 31일을 기준으로 관객수가 100만을 돌파했고, 흥행수익 12억 6천만 엔을 거두어들였다. [[https://twitter.com/sekakoimovie/status/1565180538692206592?s=20&t=EdK0HdpqsY0-Oe3CkSDEMQ|관련 영상]] * 2022년 10월 16일을 기준으로 관객수 119만, 흥행 수입 15억 엔을 돌파하였다. [[https://twitter.com/sekakoimovie/status/1579676663776178176?s=20&t=mU4lfbHAgYzxTUSeQk70dA|관련 트윗]] === 기타 국가 === == 수상 == * 2022년 12월 27일 발표된 제35회 일간 스포츠 영화대상 & [[이시하라 유지로]] 상에서 미치에다 슌스케가 이시하라 유지로 신인상, 팬이 뽑은 최고작품상, 최고연기상 수상으로 3관을 달성하였다. [[https://news.yahoo.co.jp/articles/888dd519b3bd93b810eb494036ba8db49ffdafad|관련 기사]] [[https://youtu.be/aWJdGDxwGDQ|관련 영상(55:02~1:01:48)]] * 2023년 3월 3일 발표된 제46회 [[일본 아카데미상]]에서 후쿠모토 리코가 신인배우상을 수상하였다. == [[오늘 밤, 세계에서 이 사랑이 사라진다 해도(영화)/촬영지|촬영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오늘 밤\, 세계에서 이 사랑이 사라진다 해도(영화)/촬영지)] == 기타 == === 영화 관련 === * 일본에서는 제목의 발음을 축약해서 "세카코이(セカコイ)"라고 불린다. 한국에서는 "오세이사"라는 약칭으로 불리고 있다. * Filmarks가 실시한「7월 제5주차 공개 영화 첫날 만족도 랭킹」에서 98.4%로 1위를 획득하였다. [[https://filmaga.filmarks.com/articles/183217/|관련 기사]] * 제27회 [[부산국제영화제]] 공식 초청작으로 선정되었다. 10월 9일(일) 20시 영화의전당 야외극장, 10월 11일(화) 13시 30분 롯데시네마 센텀시티 7관 총 2회 상영된다. [[https://www.biff.kr/kor/html/program/prog_view.asp?idx=61829&c_idx=376&sp_idx=&QueryStep=2|부산국제영화제 공식 사이트]] * 제27회 [[부산국제영화제]] 상영 시, ‘카미야 토루에 대해 잊지 말 것’ 이라는 문구가 적힌 메모지를 영화를 관람하는 관객들에게 좌석 당 1개씩 증정했다. [[https://pbs.twimg.com/media/FfdO5SlUAAIir6Y.png|오늘 밤, 세계에서 이 사랑이 사라진다 해도 관람객 한정 특전 메모장]] * 일본에서 DVD 및 블루레이 발매가 공지되었다. 발매일은 2023년 2월 15일이며 사양은 블루레이 호화판, DVD 호화판, DVD 통상판 3가지 버전으로 나온다. * 한국에서 1주차 특전으로 11월 30일 부터 선착순 '마오리의 일기장' 공책을 준다.[* 영화에 나온 대로 표지에 '아침에 일어나면 이 일기를 꼭 읽을 것'이라 적혀 있고, 다음 장에는 '[[가미야 도루]]에 대해 잊지 말 것'이라 쓰여 있다.] 자세한 내용은 [[https://twitter.com/mcastle_kr/status/1597431622374412291|링크]] 참조. * 상영 2주차 특전으로 12월 7일부터 선착순 '리멤버 스페셜 클리어 화일' 이라는 L파일을 준다. 자세한 내용은 [[https://twitter.com/mcastle_kr/status/1599722342615515137|링크]] 참조. * 상영 3주차 특전으로 12월 14일부터 선착순 '하루 커플 고백 북마크 5set' 이라는 책갈피를 준다. 자세한 내용은 [[https://twitter.com/mcastle_kr/status/1602515389845745664|링크]] 참조. * 흥행 감사 특전으로 12월 24일부터 선착순 스페셜 전단이 전국 상영관에 비치된다. 자세한 내용은 [[https://twitter.com/mcastle_kr/status/1605858274548531201?s=20&t=CcJrzHv0CZc-MdzgmTRY-Q|링크]] 참조. * 장기 흥행에 힘입어 2023년 1월 8일 MBC [[출발 비디오여행]]의 ‘이유있다’ 코너에 소개되었다. * 가수 [[선우정아]]가 영화 콜라보레이션 음원 ‘보통 사람’ 을 1월 26일 오후 6시 각종 음원사이트를 통해 공개하였다. [[https://n.news.naver.com/entertain/article/437/0000330002|관련 기사]] [[https://www.youtube.com/watch?v=0J3ssjdXhUg|노래 듣기]] * 가수 [[정승환(가수)|정승환]]이 영화 콜라보레이션 음원 ‘그런 날이 올까요’ 를 2월 7일 각종 음원사이트를 통해 공개하였다. [[https://www.munhwa.com/news/view.html?no=2023020101039912069001|관련 기사]] [[https://www.youtube.com/watch?v=y2X0opZDUlM|노래 듣기]] * 누적 관객수 100만 명 돌파 기념으로 우리의 하루 필름 A3 포스터를 준다. 자세한 내용은 [[https://twitter.com/mcastle_kr/status/1620263609866780677?s=46&t=B4SYesrlfwgzYZvt4Wp1cw|링크]] 참조. * 100만 관객 돌파에 이어, 2023년 2월 7일 정오 12시에 오리지널 사운드트랙 한국판이 발매된다. 각종 국내 음원사이트(멜론, 지니뮤직 등) 에서 음원서비스가 개시되며, 2월 말에는 CD로도 발매될 예정이다. === 배우 관련 === * 주인공을 맡은 [[미치에다 슌스케]]와 [[후쿠모토 리코]]는 드라마 《[[사라진 첫사랑#s-5.1|사라진 첫사랑]]》 이후 두 번째로 합을 맞추게 되었다. * [[후쿠모토 리코]]는 미키 타카히로 감독의 전작인 《[[사랑하고 사랑받고, 차고 차이고(영화)|사랑하고 사랑받고, 차고 차이고]]》에 출연했었다. * 영화 인기에 힘입어 주연 [[미치에다 슌스케]]의 내한 및 무대인사가 확정되었다. 이벤트 기간은 2023년 1월 24일부터 25일까지 1박 2일간 서울 인근의 [[CGV]], [[롯데시네마]], [[메가박스]]에서 진행된다. 자세한 내용은 미디어캐슬 공식 트위터 참고. [[https://twitter.com/mcastle_kr/status/1615299763838287873?s=20&t=jZS4rU1Wdo3b2oceIF6eWQ|#]] * 주연 [[미치에다 슌스케]]의 내한 기념으로 [[CGV]]에서 공식 인스타그램을 통해 팬터뷰 이벤트[* 영화 '''팬'''들로부터 SNS를 통해 직접 질문을 모집하여 배우를 인'''터뷰'''하는 이벤트]를 기획하였는데, 인터뷰 영상이 1월 31일 CGV 공식 유튜브 채널을 통해 공개되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o72NiYcAEZA)]}}}|| || ''' {{{#fff 팬터뷰 영상}}}''' || * [[미치에다 슌스케]]의 내한 및 무대인사에서 그는 작품 속 역할과의 싱크로율을 묻는 질문에 "60% 정도는 토루 역할과 싱크로율이 있는 것 같다. 토루는 가사 일이나 요리를 잘하는데 저는 그런 걸 전혀 못해서 싱크로율 되지 못하는 점이 있지만, 남을 위해서 무언가를 하려고 하고 강한 마음을 가진 토루같은 면모들이 제게도 있다, 팬들에게도 멋진 모습을 전달하고 싶은 게 있어서 그게 공통점인 것 같다"고 답했다.[[https://www.news1.kr/articles/?4933284|기자회견 기사]] * 누적 관객수 100만 명 돌파 기념으로 주연 [[미치에다 슌스케]]의 특별 감사 영상이 미디어캐슬 공식 인스타그램 및 트위터를 통해 공개되었다. [[https://twitter.com/mcastle_kr/status/1619977654182227968?s=46&t=B4SYesrlfwgzYZvt4Wp1cw|감사 인사 영상]] [[https://twitter.com/mcastle_kr/status/1619999308891451392?s=46&t=B4SYesrlfwgzYZvt4Wp1cw|전화 데이트 영상]] [[분류:오늘 밤, 세계에서 이 사랑이 사라진다 해도]][[분류:2022년 영화]][[분류:일본의 로맨스 영화]][[분류:일본의 드라마 영화]][[분류:소설 원작 영화]][[분류:나무위키 영화 프로젝트]][[분류:도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