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다리(신체)]][[분류:근육]] [include(틀:근육)] ||||
{{{#ffffff ''' ''popliteus'' '''}}}[br]{{{#ffffff ''' ''(오금근, 슬와근)'' '''}}} || |||| [[파일:오금근.jpg|width=100%]] || || 이는 곳[br](origin) || 넙다리뼈 가쪽관절융기[br](lateral condyle of femur) || || 닿는 곳[br](insertion) || 정강뼈 뒷면[br](posterior surface of tibia) || || 동맥[br](artery) || 오금동맥[br](popliteal artery) || || 신경[br](nerve) || 정강신경[br](tibial nerve) || || 기능[br](action) || 종아리의 굽힘, 굽힘 시에는 정강뼈 안쪽돌림[br](flexion of foot, medially rotates tibia when flexed) || [목차] [clearfix] == 개요 == 오금근(popliteus muscle)은 종아리 뒤칸의 깊은층에 존재하는 근육으로, 이름 그대로 다리[[오금]] 부위에 존재하며 오금 바닥 아랫부분을 형성하고 있다. 개정 이전 용어는 슬와근([[膝]][[窩]][[筋]])[* 무릎 슬, [[움집 와]], [[힘줄 근]].]. == 구조 == || [[파일:오금근닿는곳.webp|width=80%]] || || 뒤쪽에서 본 오금근 || 오금근의 이는곳은 [[넙다리뼈]]의 가쪽관절융기 가쪽 표면과 그 근처의 무릎관절 빗오금인대(oblique popliteus ligament)를 포함한다. 그 부근에서 [[힘줄]] 형태로 일어난다. 밑으로 내려가며 힘줄은 힘살로 바뀌어 세모 모양을 이루고, [[정강뼈]] 뒤쪽 표면의 가자미근선(soleal line; popliteal line) 위쪽에 붙는다. == 기능 == 유일하게 종아리 뒤칸에서 [[무릎관절]]에만 작용하고 [[발목관절]]엔 작용하지 않는다. 나머지 뒤칸 근육들의 경우 [[장딴지근]]만 두 관절 모두에 작용하고 나머지 근육들은 두 관절 중 발목관절에만 작용한다. 무릎관절에 작용하는 오금근은 주로 종아리를 굽히고, 이미 굽혀져 있을 때는 정강뼈의 안쪽돌림을 유도한다. 오금근의 중요한 작용 중 하나는 무릎관절이 폄 상태일 때 정강뼈와 [[종아리뼈]]의 관절 잠금부위를 풀어서(unlocks knee joint) 무릎의 굽힘과 넙다리뼈의 정강뼈에 대한 가쪽돌림이 가능하게끔 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