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프랑스 오픈|[[파일:프랑스 오픈 로고.svg|width=70]]]][br]{{{#ffffff '''역대 [[프랑스 오픈|{{{#ffffff 프랑스 오픈}}}]] 여자 단식 우승자'''}}} || || [[2016년]][br][[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5]] '''[[가르비녜 무구루사]]''' || → || [[2017년]][br][[파일:라트비아 국기.svg|width=25]] {{{#000000 '''옐레나 오스타펜코'''}}} || → || [[2018년]][br][[파일:루마니아 국기.svg|width=25]] '''[[시모나 할렙]]'''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Jelena-Ostapenko-814737.jpg|width=100%]]}}} || ||<-2> '''{{{#ffffff 옐레나 오스타펜코}}}'''[br]'''{{{#ffffff (Jelena Ostapenko)}}}''' || || '''{{{#ffffff 생년월일}}}''' || '''[[1997년]] [[6월 8일]] ([age(1997-06-08)]세)''' || || '''{{{#ffffff 국적}}}''' || '''[[파일:라트비아 국기.svg|width=25]] [[라트비아]]''' || || '''{{{#ffffff 출신지}}}''' || '''[[리가]], [[라트비아]]''' || || '''{{{#ffffff 프로데뷔}}}''' || '''2012년''' || || '''{{{#ffffff 신장}}}''' || '''177cm''' || || '''{{{#ffffff 사용 손}}}''' || '''오른손(두손 백핸드)''' || || '''{{{#ffffff WTA 싱글 랭킹}}}''' || '''최고 5위/ 현재 15위'''[*A 2022.09.12 기준] || || '''{{{#ffffff WTA 더블 랭킹}}}''' || '''최고 7위/ 현재 7위'''[*A] || || '''{{{#ffffff 개인전 통산 성적}}}''' || '''299승 183패 (62.0%)''' || || '''{{{#ffffff 복식 통산 성적}}}''' || '''179승 120패 (59.9%)''' || || '''{{{#ffffff 개인전 타이틀 획득}}}''' || '''5회''' || || '''{{{#ffffff 그랜드슬램 타이틀}}}''' || '''[[프랑스 오픈]] 1회 우승 (2017)''' || || '''{{{#ffffff 통산 상금 획득}}}''' || '''US$11,669,683''' || [목차] == 개요 == 옐레나 오스타펜코는 라트비아의 테니스 선수다. == 커리어 == * 단식 통산 전적: 299승 183패 * 단식 통산 타이틀: 5회 * '''그랜드슬램 대회''' : 우승 1회 * [[호주 오픈]]: 3라운드 (2017년, 2018년, 2022년) * [[프랑스 오픈]]: '''우승''' (2017년) * [[윔블던(테니스 대회)|윔블던]] : 4강 (2018년) * [[US 오픈]]: 8강 (2023년) == 선수 경력 == 1997년 출생으로, 라트비아 출신 테니스 선수. 2012년에 프로로 데뷔하였다. 2017년 프랑스 오픈에서 자신의 투어 및 그랜드 슬램 첫 우승을 했는데 1997년 아비 마욜리 이후 두번째로 최연소 우승을 차지했다. 그 해 코리아 오픈에서도 우승을 차지했다. 다음 해에는 인디언웰스 오픈을 통해 Top5에 드는 데 성공했다. 그러나 몇 달 뒤 프랑스 오픈에서 광탈해 10위권 밖으로 밀려났다. 이후에도 기복이 심한 모습을 보이며 불안한 모습을 보이는 중. 매우 어린 나이에 탑텐에 진입하여 차세대 주자로 기대받고 있는 여자 테니스 선수였지만, 지금은 주춤하는 모습을 보이며 몇년 째 기대이하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특히 유일한 그랜드슬램 타이틀을 보유한 프랑스 오픈에서는 17년 우승 이후 대부분 1~2라운드에서 조기 탈락하며 굉장히 실망스러운 모습을 이어가고 있다. 다만 아직도 비교적 젊은 나이라서 재기의 가능성은 얼마든지 있다. 2023년 US 오픈에서 세계랭킹 1위 이가 시비옹텍을 2-1로 꺾고 8강에 진출하는 이변을 연출했다. 2023년 코리아오픈에선 1회전에서 한국의 [[백다연(테니스)|백다연]]한테 패하며 탈락했다. == 플레이 스타일 == 전형적인 닥공 스타일이다. 상대의 빈 곳을 찔러넣는다. 이렇게 극단적으로 공격적인 스타일이 다 그렇듯이 잘 풀리는 날에는 언터처블하지만 안 풀리는 날에는 에러머신으로 전락한다. 때문에 대회 중에 톱10 이내 우승후보들을 이기더라도 상대적으로 랭킹이 낮은 선수에게 어이없게 덜미를 잡히는 일 역시 허다하다. 문제는 이런 기복이 대회 및 경기 간격은 물론이고 경기 중에도 나타나서 1세트에 6-0으로 이기고 2세트를 0-6으로 내주는 경우도 있다. 결국 오스타펜코가 2017년 프랑스 오픈을 우승한 이후 빅 타이틀 우승이 없는 가장 큰 이유가 기복 문제라고 볼 수 있다. == 참고 링크 == * [[https://en.wikipedia.org/wiki/Jelena_Ostapenko|(영문 위키백과) Jelena Ostapenko]] [[분류:1997년 출생]][[분류:라트비아의 여자 테니스 선수]][[분류:2012년 데뷔]][[분류:라트비아의 올림픽 테니스 참가 선수]][[분류: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테니스 참가 선수]][[분류:2020 도쿄 올림픽 테니스 참가 선수]][[분류:리가 출신 인물]]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테니스 관련 인물,version=2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