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구경북의 대중교통)]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어등 터미널.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풍양 풍양.jpg|width=100%]]}}} || || 어등 노선 || 풍양 노선 || [목차] == 개요 == [[예천군]]의 [[농어촌버스]]에 관한 문서로, [[예천여객]]이 단독 운영한다. == 요금 및 [[교통카드]] == || 종류 || 성인 || 청소년 || 어린이 || || 현금 || 1500원 || 1200원 || 800원 || || 교통카드 || 1400원 || 1100원 || 700원 || 이전까지는 군 경계에 상관없이 10km만 넘으면 [[구간요금]]을 칼같이 받았으나, 2013년 3월 1일부터는 단일요금제로 군계내 구간요금을 폐지하고 일반버스와 좌석버스의 요금이 일원화됐다.[* 공동 新 경북도청 소재지로 결정된 인근 [[안동시 시내버스]]의 경우 같은 날에 시계외 구간요금이 완전히 폐지되어 '''전 구간 단일요금제'''를 실시하고 있다.] 단일화 이후, 군계외지역만 구간요금을 징수하며, 예를들면 영주 풍기행, 문경 점촌행, 의성 다인행 노선은 성인 현금 기준 2400원을 받았다. 거기다 2014년 7월 1일부터 무료 환승 도입(하차후 1시간 이내, [[의성군 농어촌버스]]와 마찬가지로 동일노선, 동일차량도 가능)과 더불어 안동, 영주, 문경, 의성 시계외 구간요금이 전면 폐지됐다. 이제는 어딜가든 예천여객 버스를 타면 기본요금으로 갈 수 있다. 경북도청이 [[대구광역시]] [[북구(대구)|북구]] 일원에서 [[안동시]] 풍천면, [[예천군]] 호명면 일원으로 이전됨으로써 2016년 3월 1일부터 인근 [[안동시 시내버스]]와도 무료환승이 가능하다. 2012년 7월 1일에 경북 북부지역 군 단위 최초로 [[한국스마트카드]]와 계약해 [[티머니]] 교통카드를 도입했으며, [[경상북도]] 북부 지역의 농어촌/시내버스 업체들과 공용하고 있다. [[교통카드/선불|선불카드]]로는 티머니를 먼저 도입한 후 8월 20일부터는 [[센스패스]][* 안동/거제/통영에서 주로 이용하는 탑티머니만 이용가능, 경남 농어촌 및 시외버스에서 주로 이용하는 신형 센스패스는 이용불가.]를 도입했다. 2015년 8월 15일에는 [[DGB유페이]]의 [[탑패스]]와 [[원패스]]를 도입했다. [[교통카드/후불|후불카드]]로는 2012년 8월 1일 [[NH농협은행/카드|NH농협카드]]를 먼저 도입한 후 2013년 7월 12일부터는 [[KB국민카드]], [[신한카드]], [[하나카드]], [[삼성카드]], [[현대카드]], [[수협|수협카드]], [[롯데카드]], [[비씨카드]]를 순차적으로 인근 영주, 문경, 상주와 동시에 도입했다. == 운행 노선 == === [[경북도청신도시|도청신도시]] 출입 노선 === * [[예천 버스 77, 88]] * [[예천 버스 99]] === 그 외 노선 === || '''기·종점''' || '''행선지''' || ||예천 기점[* 부근에 [[예천시외버스터미널]], 그랜드모텔이 있다.]||하리, 고향, 상리, 명봉[* 명봉종점에서 내려 1.4km 정도 걸으면 석항리가 나오며 문경시 동로면으로 가는 버스와 연계가 가능하다.], 도촌, [[예천 버스 용두|용두]][* 하루 2회 황태덕장 정류장까지 가며 이곳에서 내려 4km 정도 걸어가면 올산목장이 나오며 이곳에서 단양군 농어촌버스와 연계가 가능하다. 단.단양발 올산목장행도 평일 1회 운행노선이라 그나마 여유롭게 연계될려면 올산리까지 약 6km를 걸어야 연계가 된다.], 용문, 두천, 사부, 덕신, 용문사, 능천, 선동, 방송, 노사, 직동, 사부, 직동, 선동, [[예천 버스 수한|수한]], [[예천 버스 벌방|벌방]], 감천, 미석, 현내, 증거, 마촌, 어등, 하촌, 맛질, 시항, [[예천 버스 풍기|풍기]], 온천[* [[예천온천]]을 의미한다.]|| ||예천여고 기점[* 부근에 예천여객 차고지가 있다.]||[[지보정류장|지보]], [[풍양정류장|풍양]], 마산, 매창, 우망, 효갈, 고산, 다인, 삼강, 하풍, 율현, 송지, 담암, 고미, 보문, 우래, 산성, 승본, 간방, [[예천 버스 풍산|직산, 풍산]], 중평, 사곡, 마천, 광전, 구태, 마산, 매창, 오천, 한어, 금릉, 쌍호, 본동, 한어, 구담, 석정, 경진, 동송, 개포, 부대앞, [[예천 버스 용궁|용궁]], [[예천 버스 점촌|점촌]]|| == 타 지역 버스와 연계 == [include(틀:예천-타 시·군 간 버스)] * [[문경시 시내버스]] * 예천군 농어촌버스가 [[점촌터미널]]까지 가며, 용궁에서는 [[문경 버스 53|53번]]과 54-1번, 풍양에서는 [[문경 버스 73|73, 73-1, 73-2번]]이 연계된다. * [[상주시 시내버스]] * 풍양에서 [[상주시 시내버스/200번대#s-2.4|230번, 231번, 232번]]과 [[상주시 시내버스/400번대#s-2.1|422번]]이 연계되며, [[의성군]] [[다인면]]에서는 예천 풍양번과 [[상주시 시내버스/400번대#s-2.3|440, 442번]]과 연계된다. * [[안동시 시내버스]] * [[경상북도청신도시]]에서 [[안동 버스 급행1|급행1번]], [[안동 버스 212|212번]], [[안동 버스 풍천1·2|풍천2번]], [[안동 버스 풍천3|풍천3(-1)번]]이 연계되며, 도청신도시보다 난이도가 더 어렵지만 [[안동 버스 211|211번]], 212번, [[안동 버스 213|213번]], [[안동 버스 풍산1|풍산1번]], [[안동 버스 풍산2|풍산2번]]이 풍산에서, 211번과 풍천1~3번은 구담(211번과 풍천1번은 [[지보정류장|지보]] 추가), 풍산2번은 호명에서도 연계된다. * [[영주시 시내버스]] * [[영주 버스 21|21번]]이 1일 1회 감천까지 가며, 예천군 농어촌버스는 풍기까지 가는 버스가 있다. * [[의성군 농어촌버스]] * [[의성군 농어촌버스/다인면, 단북면, 안사면#785번|785번]]이 [[지보정류장|지보]]까지 가며 풍양까지 가는 예천군 농어촌버스 중 일부는 지보 뿐만 아니라 다인도 거쳐 간다. * [[단양군 농어촌버스]] * '''두 지역은 붙어있지만 서로 양측 군을 오가는 버스가 없다.''' [[예천역]]에서 [[무궁화호]]를 이용해 [[영주역]]으로 가서 [[단양역]]으로 가는 열차 이용이 정석이며, 아니면 [[예천 버스 풍기|풍기번]] 이용 후 [[풍기역]]에서 열차를 이용해야 한다. 시내버스로 바로 오가려면 음달마을종점까지 가서 저수령을 넘으면 올산리에서 [[단양버스]]와 연계가 가능하긴 하다. 단, 저수령의 고도가 높고 경사도가 심해 체력소모가 상당하며 음달마을에서부터 올산리까지의 거리가 4~5km이기에 완전한 연계라하기엔 힘들다.[* 올산대수동 기준. 올산리 기준이면 7km가 맞다.] == [[버스정보시스템]] == 2017년에 안동-예천 광역 BIS 사업이 국비지원 사업에 선정됐으며, 안동과 동시에 2019년 11월 19일부터 시험가동, 12월 13일에 정식 개통된다. 또한 LED 행선판이 설치됐다.[* 싸인텔레콤의 풀컬러 제품으로 장착됐다.] 2020년 3월부터 "전국버스", "전국스마트버스" 어플에서 안동/예천 시내버스의 실시간 위치정보 조회가 가능해진 것으로 보아 국토부 TAGO망에 연동이 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아직까지 포털사이트, 카카오버스에서는 실시간정보를 제공하지 않으니 [[http://bus.ycg.kr/|예천버스정보시스템 홈페이지]]에서 보는것을 권장한다. == 둘러보기 == [include(틀:군 단위 환승할인 가능 지역)]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예천여객, version=169)] [[분류:예천군 농어촌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