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병음]][[분류:중국어]][[분류:예일 대학교]]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예일식 로마자 표기법)] [include(틀:로마자 표기법)] {{{+3 Yale romanization of Cantonese / 粵語耶魯拼音 }}} * [[광동어]] 발음 표기 * [[월병(광동어)|월병]]: Jyut6jyu5 Je4lou5 Ping3jam1 * [[예일식 로마자 표기법/광동어|광동어의 예일식 로마자 표기법]]: Yuhtyúh Yèhlóuh Pingyām * [[홍콩 정부 월어병음]]: Yut Yu Yale (Yelou) Ping Yam * [[광동병음방안]](광동어): Yud⁶ yu⁵ Yé⁴ lou⁵ Ping³ yam¹ 또는 Yud_ yu= Yé\ lou= Ping- yam| * [[시드니 라우 로마자 표기법]]: Uet⁶ ue⁵ Ye⁴ lou⁵ Ping³ yam¹ * [[표준중국어]] 발음 표기 * [[주음부호]]: ㄩㄝˋ ㄩˇ ㄧㄝˋ ㄌㄨˇ ㄆㄧㄣ ㄧㄣ * [[한어병음]]: Yuèyǔ Yélǔ Pīnyīn * [[통용병음]]: Yuè-yǔ Yé-lǔ Pin-yin * [[국어 주음부호 제2식]]: Yuè-yǔ Yé-lǔ Pīn-yīn * [[국어라마자]]: Yueh'yeu Yale (Yeluu) Pin'in * [[웨이드-자일스 표기법]]: Yüeh⁴-yü³ Yeh²-lu³ Pʻin¹-yin¹ * [[예일식 로마자 표기법/관화|관화의 예일식 로마자 표기법]]: Ywè-yǔ Yé-lǔ Pīn-yīn [목차] * 복사용 * ā à á · ē è é · ī ì í · m̄ m̀ ḿ · n̄ ǹ ń · ō ò ó · ū ù ú * Ā À Á · Ē È É · Ī Ì Í · M̄ M̀ Ḿ · N̄ Ǹ Ń · Ō Ò Ó · Ū Ù Ú * ’ [* 닫는 작은[[따옴표]]처럼 생긴 [[어깻점]](apostrophe). [[유니코드]] 문자 U+2019 RIGHT SINGLE QUOTATION MARK이다.] ' [* IT 기기에서 자주 쓰이는 열지도 않고 닫지도 않는 작은따옴표와 동일한 형태의 어깻점(단 [[폰트]]에 따라서는 이 문자를 닫는 작은 따옴표와 동일한 형태로 렌더링하는 경우도 있다). 유니코드 문자 U+0027 APOSTROPHE. 이 문자는 [[미국]] 표준 [[QWERTY]] 등의 기본 자판 배열에 포함돼 있지만, 따옴표·어깻점의 형태를 자동 변경하는 [[Microsoft Word]] 등에서 이 문자를 직접 입력해야 할 경우를 대비해 복사용 문자로 기재한다. 물론 MS Word에서도 '를 키보드로 직접 입력할 방법이 없는 건 아니지만 설정에 들어가서 따옴표·어깻점 자동 변경을 끈다든지 해야 해서 이 문자를 직접 입력하기 불편하다. 그냥 이미 다른 곳에 입력된 '을 복사해서 붙여 넣는 게 편하다.] ## 복사용 문자들을 주석 처리하지 말 것. 복사용 문자는 이 문서를 편집하는 사람들뿐만 아니라 이 문서를 보는 사람들을 위한 것이기도 함. == 개요 == [[광동어]](월어), 주로 [[홍콩]] 광동어의 발음을 정확히 전사하기 위해 고안된 [[로마자 표기법]]([[병음]]). Parker Po-fei Huang(黃伯飛)과 Gerald P. Kok이 [[미국]] [[예일 대학교]]에서 1952년에 만들었다. 근래에 광동어 발음을 정확히 전사하고자 할 때 [[월병(광동어)|월병]]으로 쓰는 경우가 많다. 그 다음으로 많이 쓰이는 표기법이 예일식이다. 물론 홍콩과 [[마카오]] 사람들이 본인의 인명을 적을 때 쓰는 관행적 표기나 [[홍콩]] 정부가 지명 표기 등에 사용하는 로마자 표기법([[홍콩 정부 월어병음]])은 월병이나 예일식과 다소 거리가 있다. [[광둥성]] 정부에서 쓰는 [[광동병음방안]](광동어판)도 이질감이 심하다. == 표기법 == 맨 위에 적은 로마자가 예일식 표기이고, \[ \], / / 안은 [[국제음성기호]], [[한자]]는 해당 음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한자를 가리킨다. === 성모(聲母, initials)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표 안에 있는 원어 표기가 중간에 끊어져 줄이 바뀌지 않고 단어 단위로 줄바꿈되도록 조치한 것 || b[br]\[p\][br]巴 || p[br]\[pʰ\][br]怕 || m[br]\[m\][br]媽 || f[br]\[f\][br]花 || || || d[br]\[t\][br]打 || t[br]\[tʰ\][br]他 || n[br]\[n\][br]那 || || l[br]\[l\][br]啦 || || g[br]\[k\][br]家 || k[br]\[kʰ\][br]卡 || ng[br]\[ŋ\][br]牙 || h[br]\[h\][br]蝦 || || || gw[br]\[kʷ\][br]瓜 || kw[br]\[kʷʰ\][br]誇 || || || w[br]\[w\][br]蛙 || || j[br]\[ts\][br]渣 || ch[br]\[tsʰ\][br]叉 || || s[br]\[s\][br]沙 || y[br]\[j\][br]也 || }}} * 중국어의 다른 방언과 달리 광동어에서는 w \[w\], y \[j\]가 운모(韻母)의 일부인 운두(韻頭) 즉 개음(介音)이 아니라 어두 자음인 성모로 취급된다. 따라서 이 발음을 [[모음]]으로 취급하는 다른 중국어 방언과 달리 [[영어]]처럼 [[자음]] 취급하는 게 합리적일 수 있다. * 더불어 광동어에는 gw \[kʷ\], kw \[kʰʷ\] 같은 원순성(圓脣性)이 수반된 [[연구개음]]이 존재한다. * 월병, 광동병음(광동어판), 시드니 라우 표기법 등과 마찬가지로 [[무성음|무성]] [[무기음|무기]] [[파열음]]과 [[파찰음]]에 [[영어]]의 [[유성음]] 기호를 할당하고, 무성 [[유기음|유기]] 파열음과 파찰음에 영어의 무성음 기호를 할당하고 있다.[* 단 월병, 예일식, 시드니 라우 표기법의 경우 성모만 이런 원칙이 적용되고, 입성(入聲) 운미(韻尾)로 쓰일 때는 g, d, b가 아닌 k, t, p로 적는다. [[한국어]]를 표기하는 현행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과 비슷하다. 반면 광동병음에서는 입성 운미도 g, d, b로 적는다.] 표준중국어의 한어병음, [[통용병음]] 등과 같고,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이나 광동어의 관행적 표기 및 홍콩 정부 월어병음 등과 차이가 난다. * 월병, 시드니 라우 표기법 등과 마찬가지로 [[구개음화]]는 표기에 반영하지 않는다. 표준중국어의 통용병음과 같고, 광동병음(광동어판)이나 표준중국어의 웨이드-자일스 표기법, 한어병음과 다른 부분이다. === 운모(韻母, finals)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표 안에 있는 원어 표기가 중간에 끊어져 줄이 바뀌지 않고 단어 단위로 줄바꿈되도록 조치한 것 || a[br]\[aː\][br]沙 || aai[br]\[aːi̯\][br]徙 || aau[br]\[aːu̯\][br]梢 || aam[br]\[aːm\][br]三 || aan[br]\[aːn\][br]山 || aang[br]\[aːŋ\][br]坑 || aap[br]\[aːp̚\][br]圾 ||aat[br]\[aːt̚\][br]剎 || aak[br]\[aːk̚\][br]客 || || || ai[br]\[ɐi̯\][br]西 || au[br]\[ɐu̯\][br]收 || am[br]\[ɐm\][br]心 || an[br]\[ɐn\][br]新 || ang[br]\[ɐŋ\][br]笙 || ap[br]\[ɐp̚\][br]濕 || at[br]\[ɐt̚\][br]失 || ak[br]\[ɐk̚\][br]塞 || || e[br]\[ɛː\][br]些 || ei[br]\[ei̯\][br]四 || || || || eng[br]\[ɛːŋ\][br]鄭 || || || ek[br]\[ɛːk̚\][br]石 || || i[br]\[iː\][br]詩 || || iu[br]\[iːu̯\][br]消 || im[br]\[iːm\][br]閃 || in[br]\[iːn\][br]先 || ing[br]\[eŋ\][br]星 || ip[br]\[iːp̚\][br]攝 || it[br]\[iːt̚\][br]洩 || ik[br]\[ek̚\][br]識 || || o[br]\[ɔː\][br]疏 || oi[br]\[ɔːy̯\][br]開 || ou[br]\[ou̯\][br]蘇 || || on[br]\[ɔːn\][br]看 || ong[br]\[ɔːŋ\][br]康 || || ot[br]\[ɔːt̚\][br]喝 || ok[br]\[ɔːk̚\][br]索 || || u[br]\[uː\][br]夫 || ui[br]\[uːy̯\][br]灰 || || || un[br]\[uːn\][br]寬 || ung[br]\[oŋ\][br]鬆 || || ut[br]\[uːt̚\][br]闊 || uk[br]\[ok̚\][br]叔 || || eu[br]\[œː\][br]鋸 || eui[br]\[ɵy̯\][br]需 || || || eun[br]\[ɵn\][br]詢 || eung[br]\[œːŋ\][br]商 || || eut[br]\[ɵt̚\][br]摔 || euk[br]\[œːk̚\][br]削 || || yu[br]\[yː\][br]書 || || || || yun[br]\[yːn\][br]孫 || || || yut[br]\[yːt̚\][br]雪 || || || || || || m[br]\[m̩\][br]唔 || || ng[br]\[ŋ̍\][br]吳 || || || || }}} * 광동어에서 단운모 \[ɐ\]는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예일식 표기에서 a는 단운모 \[aː\]를 나타낸다. 즉 단운모 aa는 표기의 편의를 위해 실제로는 a로 표기한다는 뜻이다. * m과 ng은 성절(成節) 자음으로서 단독으로 쓰일 수 있다. * 개요에서 설명했듯이 ng, k가 운미(韻尾)로 오면 운복(韻腹)인 모음 부분의 실제 음가가 변하지만 예일식 표기는 바뀐 발음을 표기에 반영하지 않고 기저 음운 그대로 표기한다. 같은 맥락에서 j, ch, s의 [[구개음화]]도 표기에 반영하지 않는다. 이 원리는 월병과 같다. * 성모가 없을 경우(영성모·零聲母), i로 시작하는 운모 앞에 y를 붙이고, u로 시작하는 운모 앞에 w를 붙인다. 참고로 \[yː\]의 경우 기저 음운상 /j/ + /uː/의 결합으로 간주해 성모의 유무와 무관하게 '''항상''' yu로 적는다. 위 표에 없는 yuk(育) 같은 표기의 경우 y 부분은 성모 \[j\]이고 뒷 글자들만 운모에 속한다. yuk의 경우 \[j\]와 \[ok̚\]의 결합인 \[jok̚\]으로 읽힌다. 결국 예일식에서 yu라는 철자는 \[yː\]를 나타낼 수도 있고, \[juː\]~\[jo\]를 나타낼 수도 있다. 광동어에서 양자가 상보적 분포를 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운모가 같은 철자로 겹치지 않지만, 광동어 학습 초보자는 실제 발음이 어떻게 되는지 헷갈릴 우려가 있다.[* 반면 월병은 양자의 철자가 (j)yu와 ju로 확실히 구분된다.] * 월병의 경우 비표준 구어 발음에 있는 운모인 \[ɛːu̯\](掉), \[ɛːm\](舐), \[ɛːp̚\](夾) 등을 적을 수 있으나 예일식의 표에는 이 운모들을 원칙적으로 취급하지 않는다. \[ɛːm\]과 \[ɛːp̚\]의 경우 em, ep 식으로 응용해서 적으면 되기야 하겠지만, \[ɛːu̯\]는 적을 방법이 딱히 없어서 난감하다. 예일식에서 eu는 성절 모음 \[œː\] 또는 \[ɵ\]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반면 월병은 \[œː\]를 oe로, \[ɵ\]를 eo로 적게 하고 있기 때문에 eu로 적는 \[ɛːu̯\]와 충돌하지 않는다.] 참고로 예일식과 광동어의 각종 로마자 표기법에서 성절 모음 \[œː\] 또는 \[ɵ\]를 eu로 쓰게 하는 것은 [[프랑스어]]에서 /ø/와 /œ/ 음을 표기하는 데 사용하는 철자 eu를 빌려 온 것이다. === 성조(聲調, tones) === 보조 부호([[diacritic|diacritics]])와 모음 뒤(모음이 안 쓰이는 성절 자음이 운모일 경우 해당 음절 뒤)에 h를 붙여 성조를 표현한다. {{{#!wiki style="word-break: keep-all;" ##표 안에 있는 원어 표기가 중간에 끊어져 줄이 바뀌지 않고 단어 단위로 줄바꿈되도록 조치한 것 || 성조 번호 || 성조 소릿값 ||<-3> 예일식 표기 예 || ||<|2> 1 || ˥ 55 || sī || sīn || sīk || || ˥˨ 52 || sì || sìn || || || 2 || ˨˥ 25 || sí || sín || || || 3 || ˧ 33 || si || sin || sik || || 4 || ˨˩ 21 || sìh || sìhn || || || 5 || ˨˧ 23 || síh || síhn || || || 6 || ˨ 22 || sih || sihn || sihk || }}} * 운미(韻尾)가 k, t, p로 끝나는 입성(入聲, 7~9성)은 월병에서 별도의 성조로 취급하지 않고 1, 3, 6성으로 간주한다. * 성조 표기는 다음과 같은 원칙이 있다. * 음조(音調)에 기복이 없이 평탄하게 유지되는 성조는 제일 음이 높은 1성만 ˉ(macron)을 긋고 다른 성조(3, 6성)에는 아무 보조 부호(diacritics)를 붙이지 않는다. 음조가 높은 음에서 낮은 음으로 떨어지는 성조(1성 변종, 4성)는 `(grave accent)를 긋는다. 음조가 낮은 음에서 높은 음으로 상승하는 성조(2, 5성)는 ´(acute accent)를 긋는다. * 동일한 보조 부호(diacritics)를 사용하는 성조들 중 상대적으로 낮은 음으로 발음되는 성조(4~6성)는 h를 추가하여 높은 음으로 발음되는 성조(1성 변종, 2~3성)와 구분한다. * 1성은 차이가 현격한 [[변이음]]이 있어서 ˥ 55로 발음되면 ˉ(macron)을 긋고, ˥˨ 52(또는 학자에 따라 ˥˧ 53으로 표현)로 발음되면 `(grave accent)를 긋는데[* [[홍콩]]에서는 대개 양자의 구분을 의식하지 않는다고 하고, [[광저우]]에서는 점점 후자가 소멸해 전자로 통합되는 추세이지만 극히 일부 [[한자]]들은 여전히 전자로 발음할 때와 후자로 발음할 때를 구분한다고 한다. 예를 들어 광저우 방언에서 衫([[셔츠]])를 sāam이라고 읽고, 三(셋)을 sàam이라고 읽는 식이다.] 양자의 구분이 필요 없을 경우 대개 전자로 통일한다. 물론 성조 부호가 붙는 글자가 i이면 i의 점을 지우고 그 자리에 성조 부호를 긋는다. * 성조는 성절음(成節音, syllabic phoneme)을 나타내는 글자(aa, eu, ng처럼 성절음이 두 글자로 표기될 경우 첫 글자, 단 yu의 경우 u[* yu로 표기되는 \[yː\]는 y /j/ + u /uː/가 변한 것으로 분석하여 u를 원래의 성절음으로 본다.]) 위에 [[diacritic|보조 부호]]를 붙인다. 그리고 낮은 성조들은 높은 성조들과 변별하기 위해 모음 뒤에 h를 붙인다. 성모와 모음 없이 단독으로 쓰이는 성절 자음 m, ng의 경우 m, n 위에 성조 표기용 보조 부호를 쓰고 h를 써야 할 경우 m, ng 뒤에 h를 덧붙인다. * 만약 성조를 숫자로 대체하여 표기해야 하는 경우 성조 기호로 쓴 보조 부호와 h[* 물론 성모에 쓰이는 h는 삭제하지 않는다.]를 표기하지 않고 음절 뒤에 성조 번호를 쓴다(예: sī = si1, sìh = si4, sihk = sik6) * 위 표에서 '성조 소릿값'은 국제음성기호의 성조 기호와 여기에 대응되는 수치(數値)를 숫자로 기재한 것이다. === 붙여 쓰기와 [[띄어쓰기]] === 표준중국어 발음을 표기할 때 적용하는 [[한어병음 정사법 기본 규칙]]과 마찬가지로 원칙적으로 [[음절]]이 아닌 단어별로 띄어쓰기를 하며 한 단어 안에서는 음절 경계의 구분 없이 그냥 이어 쓴다. 음절 구분이 필요할 경우 어깻점(’ 또는 ')을 찍는다. == 관련 문서 == * [[광동어]] * [[병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