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개 == 말 그대로 [[예선]]에서 깡패 같은 경기력을 보여주는 팀이나 선수를 뜻한다. == 사례 == === [[축구]] === ==== [[월드컵]] ==== * '''[[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 - 역대 모든 월드컵에 단 한 번도 불참하지 않은 유일한 국가이다. *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 - 역대 월드컵 예선에서 '''3패만을 기록하고 있을 정도로''' 예선에 있어서는 막을 국가가 없다. 하지만 얼마 전에는 전력이 한참 아래인 [[북마케도니아 축구 국가대표팀|북마케도니아]]에게 [[뒤스부르크 쇼크|패하며 흠집이 났다.]][* 이 패배가 있기 전, 역대 월드컵 예선에서 독일이 패배한 경기는 단 두 경기였다. 그나마 이 두 경기 역시 포르투갈과 잉글랜드와 같은 강국에게 패한 것이었기 때문에 북마케도니아에게 패한 경기는 더욱 악몽이 되었다.] * [[잉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 마지막 패배가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화국]] 예선 [[우크라이나 축구 국가대표팀|우크라이나]] 전 0-1 패배이며, 그 뒤의 두 번의 월드컵 예선은 무패로 통과했다. * [[세르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 [[2006 FIFA 월드컵 독일]] 예선에서는 [[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스페인]]을 플레이오프로 밀어냈고,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화국]] 예선에서는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프랑스]]를 플레이오프로 밀어냈다. [[2014 FIFA 월드컵 브라질]] 예선에서는 [[벨기에 축구 국가대표팀|벨기에]]와 [[크로아티아 축구 국가대표팀|크로아티아]]에게 밀려서 탈락했지만,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예선에서는 [[아일랜드 축구 국가대표팀|아일랜드]], [[웨일스 축구 국가대표팀|웨일스]], [[오스트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오스트리아]] 등을 밀어내고 다시 1위로 본선에 직행했다. 그리고 또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예선에서는 [[포르투갈 축구 국가대표팀|포르투갈]]을 플레이오프로 밀어내며 예선깡패의 위엄을 제대로 보여줬다. * [[멕시코 축구 국가대표팀]] - 마지막으로 예선에서 탈락한 게 39년 전인 [[1982 FIFA 월드컵 스페인]] 예선이다.[* [[1990 FIFA 월드컵 이탈리아]]에서는 부정선수 출전이 적발되어 출전 금지를 받았을 뿐, 예선에서 탈락한 것은 아니었다.] 그 뒤로는 북중미의 왕이라는 별명처럼 압도적인 경기력으로 북중미 예선을 지배하고 있다.[* 원래는 [[미국 축구 국가대표팀|미국]]과 양분하고 있었는데,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예선에서 미국은 [[파나마 축구 국가대표팀|파나마]]와 [[온두라스 축구 국가대표팀|온두라스]] 등에 밀려 광탈하고 말았다.] * [[나이지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 [[2006 FIFA 월드컵 독일]]에서 예선 탈락한 뒤로는 '''19승 8무 1패''' 중이다.[* 심지어 이 1패도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예선에서 부정선수 출전을 이유로 몰수패 처리된 경기이다.] *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지역예선(아시아)|2018 러시아 월드컵 예선]]에서의 [[이란 축구 국가대표팀]] - 2차 예선에서 6승 2무, 최종 예선에서 6승 4무로 '''총 12승 6무'''를 기록하며 무패로 본선에 진출했다. 본선에서는 [[모로코 축구 국가대표팀|모로코]]에게 1-0 승리, [[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스페인]], [[포르투갈 축구 국가대표팀|포르투갈]] 등을 상대로도 선전했지만 3위로 조별 라운드에서 탈락했다. *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지역예선(유럽)/E조|2018 러시아 월드컵 예선]]에서의 [[폴란드 축구 국가대표팀]] - '''8승 1무 1패'''를 기록하며 본선에 진출했다.[* 이 과정에서 [[로베르트 레반도프스키]]는 16득점을 기록하며 최고 득점자가 되기도 했다.] 하지만 본선에서는 조편성 당시 FIFA 랭킹 6위라고는 믿어지지 않을 정도로 한심한 경기력만 보이다가 조 최하위로 광탈했다.[*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일본]]을 상대로 한 마지막 경기는 승리했지만, 이 경기는 러시아 월드컵 [[볼고그라드의 수치|최악의 경기 중 하나로 불렸다.]]] *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지역예선(유럽)/F조|2022 카타르 월드컵 예선]]에서의 [[덴마크 축구 국가대표팀]] - 유럽 예선에서 '''유일하게 무실점 전승 중이며,'''[* 물론 조의 상대들이 다른 조보다 약하다는 것도 있지만 그럼에도 실점 없이, 무승부도 없이 8경기를 모두 이겼다는 건 대단.] 카타르를 제외한 31개국에서 두 번째로 빠르게 월드컵 본선에 올랐다.[* 첫 번째로 본선에 오른 나라는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독일]]. 참고로 독일은 [[북마케도니아 축구 국가대표팀|북마케도니아]]에게 [[뒤스부르크 쇼크|1패를 했기 때문에]] 전승 중은 아니다.] 그러나 덴마크 역시 마지막 경기에서 스코틀랜드에게 패하면 10전 전승에는 실패했다. ==== [[유럽축구선수권대회]] ==== * [[UEFA 유로 2016/예선|유로 2016 예선]]에서의 [[오스트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 [[러시아 축구 국가대표팀|러시아]], [[스웨덴 축구 국가대표팀|스웨덴]] 등과 함께한 조에서 '''9승 1무'''를 기록하며 본선에 진출했다. 하지만 정작 본선에서는 한심한 경기력만 보인 탓에 1승도 하지 못하고 광탈했다. * [[UEFA 유로 2020/예선|유로 2020 예선]]에서의 [[벨기에 축구 국가대표팀]],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 '''10전 10승'''을 기록하며 전승으로 본선에 진출했다. 그리고 이탈리아는 53년 만에 우승의 주인공이 되었고, 벨기에는 이 이탈리아에게 8강에서 패배했다. * [[UEFA 유로 2020/예선/B조|유로 2020 예선]]에서의 [[우크라이나 축구 국가대표팀]] - [[포르투갈 축구 국가대표팀|포르투갈]], [[세르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세르비아]] 등의 강국이 함께 한 예선에서 '''6승 2무'''를 기록하며 무패로 본선에 진출했다. 본선에서는 8강에 오르면서 유로 최고 기록을 냈다. [[분류:스포츠 용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