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조선의 왕녀/중종 ~ 철종)]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51232, #94153e 20%, #94153e 80%, #751232)" {{{#ffd400 '''영혜옹주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대한제국의 황녀/태조 ~ 고종)]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90d43, #29176e 20%, #29176e 80%, #190d43); color: #FFD400" '''대한제국 철종의 황녀[br]{{{+1 영혜옹주 | 永惠翁主}}}'''}}}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51232, #94153e 20%, #94153e 80%, #751232); color: #FFD400" '''조선 철종의 왕녀[br]{{{+1 영혜옹주 | 永惠翁主}}}'''}}}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영혜옹주묘.jpg|width=100%]]}}} || ||<-2> {{{#ffd400 {{{-2 영혜옹주묘 전경}}} }}} || ||<|2> '''출생''' ||[[1858년]] || ||[[조선]] [[한성부]][br](現 [[서울특별시]] [[종로구]]) || ||<|2> '''사망''' ||[[1872년]] [[9월 3일]] (향년 15세) || ||[[조선]] [[한성부]] 중부 [[관훈동|관인방]] 사저[br](現 [[서울특별시]] [[종로구]] [[관훈동]] 30번지) || || '''묘소'''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월산리 606-1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본관''' ||[[전주 이씨]] || || '''부모''' ||부황 [[철종(조선)|철종 장황제]][br]모친 [[숙의 범씨]] || || '''형제자매''' ||5남 6녀 중 4녀 || || '''배우자''' ||금릉위 [[박영효]] (錦陵尉 朴泳孝) || || '''작호''' ||영숙옹주(永淑翁主)[br]→ '''영혜옹주(永惠翁主)'''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조선]] [[철종(조선)|철종]]의 넷째 딸. 조선시대 때 태어난 조선의 마지막 왕녀이다.[* [[덕혜옹주]]를 조선의 마지막 왕녀로 알고 있는 사람들이 많은데, 덕혜옹주는 조선 멸망(1910년) 이후인 1912년에 태어났기 때문에 조선의 왕녀로 보는 것은 옳지 않다. [[고종(대한제국)|고종]]에게 덕혜옹주보다 먼저 태어난 딸들이 있었으나, 모두 갓난아기일 때 요절해서 책봉을 받지 못했기 때문에 영혜옹주를 조선의 마지막 옹주로 보는 것이 맞다.] == 생애 == 1858년(철종 9) 궁인이었던 범씨의 몸에서 태어났다. 철종의 5남 6녀 중 유일하게 살아남은 자녀로, 사실상 철종의 [[무남독녀]]로 볼 수 있다.[* [[헌종(조선)|헌종]]도 숙의 김씨에게서 딸을 얻었지만, 옹주로 책봉 받지도 못하고 요절했다. ] 1866년(고종 3) 2월 13일, 9세의 나이로 정식으로 옹주로 책봉되고, 어머니는 궁인에서 종2품 숙의로 품계가 오른다. 이때 처음에는 영숙옹주(永淑翁主)로 책봉되었다가[* 대왕대비가 전교하기를, "[[철종(조선)|철종]](哲宗) 때의 [[숙의 범씨|궁인(宮人)인 범씨(范氏)]]가 낳은 딸이 지금 9살이 되었다. 그를 영숙옹주(永淑翁主)로 봉하고 범씨는 숙의(淑儀)로 봉해줄 것에 대하여 오늘 정사(政事)에 하비(下批)하도록 하라."하였다.《고종 실록 3권, 고종 3년 2월 13일 계묘 2번째 기사》], 같은 날 영혜(永惠)로 작호가 바뀌었다.[* "대왕대비의 하교를 받았으니 귀주(貴主)에 대한 봉작을 '영혜(永惠)'로 고쳐 써서 들이라." 하였다.《고종 실록 3권, 고종 3년 2월 13일 계묘 3번째 기사》] 이후 도사 박원양의 아들 [[박영효]]와 혼인했으나, 결혼한 지 3개월 만에 15세의 나이로 요절하고 만다.[* 죽기 전에 병이 심하다는 실록의 기록과 대행대비([[철인왕후]])의 묘지문에서 철인왕후가 병에 잘 걸리는 옹주를 걱정하였다는 지문이 있는 걸로 보아 선천적으로 병약했던 모양이다.] [[조선]]의 법도에 따르면, [[부마]]는 왕의 사위이므로 아내인 공주나 옹주가 죽더라도 재혼을 할 수 없는 것이 국법이었다. 그러나 [[박영효]]는 고종의 허락을 받아 새로운 후처를 들이진 못했지만 [[궁녀]] 범씨를 [[첩]]으로 들여 자녀를 낳았고 손주들도 보았고 [[이청|증손주]]도 봤다.[* [[박영효]]의 손녀 [[박찬주(교육자)|박찬주]]는 [[의친왕]]의 차남 [[이우]]와 결혼했다. [[일본]]은 이우를 [[영친왕]]이나 [[모모야마 켄이치|이건]](의친왕의 장남)처럼 일본 여성과 결혼시키려 했으나, 이우는 조선 여성과의 결혼을 고집하여 일제에 맞서서 [[박찬주(교육자)|박찬주]]와 결혼하는 데 성공했다.] 그 뒤 박영효는 사망한 후, 정식 [[부부]]인 영혜옹주와 같은 묘에 묻혔다. == 가족 관계 == * 부 : [[철종(조선)|철종]](哲宗, 1831 ~ 1864) * 모 : [[숙의 범씨]](淑儀 羅州 范氏, 1838 ~ 1883) * 시부 : 공조판서 증 영의정 정간공 박원양(工曹判書 贈 領議政 貞簡公 朴元陽, 1804 ~ 1884) * 시모 : [[전의 이씨]](全義 李氏, 1817 ~ 1884) - 이윤행(李允行)의 딸 * 남편 : 금릉위 [[박영효]](錦陵尉 朴泳孝, 1861 ~ 1939) == 관련 문서 == * [[공주]] * [[옹주]] * [[박영효]] [[분류:조선의 옹주]][[분류:1858년 출생]][[분류:1872년 사망]][[분류:서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