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키움증권의 서비스)] ||<-2> '''{{{+1 영웅문4}}}''' [br] YoungWoongMoon4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키움증권 영웅문4 로고.jpg|width=100%]]}}} || || '''개발사''' ||[[키움증권]] || || '''대표''' ||엄주성 || || '''플랫폼''' ||[[Microsoft Windows]] || || '''주요 기능''' ||국내주식 거래, 해외주식 거래, 금융상품 거래 || || '''서비스 요금''' ||무료 || || '''출시''' ||[[2001년]] [[4월 16일]][* 영웅문 초기 버전[[https://www3.kiwoom.com/h/ir/introduce/VHistory1View|#]]] || || '''요구 사양''' ||[[Windows 7]] 이상|| || '''다운로드''' ||[[https://www3.kiwoom.com/h/help/channel/VHelpHts4InstallView|[[파일:키움증권_로고2.pn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kiwoom001.jpg|width=100%]]}}} || || 영웅문4 메인화면 || [[키움증권]]의 [[HTS]]. 대한민국 주식 매매프로그램 시장 점유율 2위의 HTS로 많은 사람들이 이용한다. 참고로 2014년 기준으로 한국 주식매매프로그램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당시 온라인·모바일 주식거래 시장 점유율은 약 28%로 주식 투자자 중 4명 중 1명꼴로 영웅문을 이용하고 있었을 정도로 압도적인 점유율을 보유하던 프로그램이었다.[[http://www.newspim.com/view.jsp?newsId=20140812000175|"가격제한폭 30%로 확대"..브로커리지 1위 키움증권 ′급등′]] 다만, 이후 LG에너지솔루션 IPO(기업공개)로 신규 사용자를 대거 끌어들인 [[KB증권]]에 밀려 국내 점유율 2위로 내려갔다. 그간 개인투자자 점유율 우위를 앞세워 줄곧 1위를 지켜왔던 키움증권은 처음으로 2위로 한 계단 밀려났다. 키움증권의 [[영웅문(소프트웨어)|영웅문]] 사용자 수는 22년1월 225만8612명(20.63%), 22년2월 212만8457명(20.20%)를 기록했다.[[http://www.newsbrite.net/news/articleView.html?idxno=164915|기사]] == 상세 == 이름의 유래는 [[중국]]의 무협소설 '[[영웅문]]'에서 따왔다. 당시 주식매매 프로그램의 주 사용자층이 과거 영웅문 소설을 읽던 40~50대 세대이기에 따온 것이라고 한다. 키움증권 관계자는 그 명칭이 "소설 영웅문에 나오는 '강호의 고수'를 빗대어 표현한 것"이며 "영웅문에 등장하는 주인공처럼 투자자들이 강력한 매매 효과를 볼 수 있다는 뜻을 담았다"고 전했다고 한다. 영웅문에서는 매수/매도와 같은 단일 기능에 대해서도 다양한 방식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이 원하는 방식을 선택할 수 있도록 자유도를 준 것이 특징이다. 즉 숙련된 사용자에게는 자유도가 높다는 장점이 있지만, 지나치게 많은 기능과 옵션, ~~구린~~ 번잡한 인터페이스로 초보 사용자에게 혼란을 줄 수 있다는 단점도 있다. 이러한 단점에도 불구하고 사용자 수가 많은 관계로, 다른 증권사에서 출시되는 HTS들은 단축키 등 사용법에서 영웅문에 익숙한 기존 사용자들을 배려하여 만드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니 주식 투자를 처음 해보는 사람들은 우선 영웅문 사용법부터 익히고, 다른 HTS에 적응해나가는 것도 좋다. 각 명령은 메뉴에서도 접근 가능하지만 각 명령에 대한 단축코드를 네자리 숫자로 입력하면 해당 윈도우가 바로 뜨는 기능이 있다. 여기 쓰이는 단축코드는 기억나기 쉽게 만든 것이 특징이다. 예를 들어 매수/매도 창을 띄우려면 4989(사구팔구)를 입력하면 되고, 빠른 거래에 유리한 '호가 주문창'을 띄우려면 8282(빨리빨리)를 입력하면 된다. 영웅문에서는 실제 매매 뿐 아니라 모의 매매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만 14세 이상이면 정회원/준회원 상관 없이 누구나 가능하다. 모의 매매는 신청을 받는 방식으로 정기적으로 운용되며, 일정 기간이 지나면 전체 참가 인원 중 등수가 나온다. ~~매매를 한번도 하지 않으면 상위권에 랭킹된다는 말도 있다.~~ 모의 매매에서의 거래는 실전과 달리, 매매 체결을 기다리는 시간이 없이 즉시 체결되는 것으로 처리되며, 자신이 특정 호가에 매수/매도를 걸어두더라도 주가에 영향을 끼치지 못한다. 실제로 거래한 것이 아니기 때문. 오랜 옛날 일이지만 초기 버전에서 에러가 나서 아침 9시 장 초반에 매매가 안되는 사건이 있었다고 한다. 주식 매매를 하는 사람이라면 아침 장 초반이 얼마나 중요한 시간인지 알 것이다. 하지만 손해배상도 없이 어물쩍 넘어갔다고 [[카더라]]. 지금은 시스템이 안정화되어 그런 일은 없다. 이 때가 [[1999년]] [[코스닥]] [[IT버블]]시기인데, 이 때는 키움 뿐 아니라 다른 증권사들이 전체적으로 매매가 지연되는 사태가 비일비재했던 탓이다. 이 때는 거래소 - 코스닥 양 시장 거래소 전산이 터져나가서 주식 주문 넣으면 '''3일 후'''에나 체결되었는가 아닌가 알 수 있던 때도 있었다. 물론 이런 시기라 해도 손해배상 없이 어물쩍 넘어간 게 잘 했다는 건 아니고... 여러 앱 평가를 보면 알 수 있는데, [[UI]]가 전체적으로 조잡하고 복잡하다. 그럼에도 HTS의 기능이 워낙 다양하여 타 증권사에선 적용되지 않는 다양한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 대표적인 것이 '자동일지차트' 기능과 '조건검색' 기능으로, 자동일지는 자신의 매수매도 타점을 차트에 표기해주며, 조건검색은 주식의 각 지표, 가격, PER등 다양한 조건에 들어맞는 주식을 선별할 수 있게 해 주고 허접하지만 백테스팅 기능도 지원해준다. == MTS == 기능이 다양하고 다양한 인터페이스 설정이 가능한 영웅문 HTS와는 달리 MTS는 상당히 기능이 제한되어 있는데다가 UI가 다른 주식앱에 비해 '''압도적으로''' 구리다. 새로운 UI에 익숙하지 않은 40~50대 이용자들을 위한 인터페이스라 '''컴공과 학생이 학기 과제로 만든 앱'''에 비견될 정도로 단순하고 버그가 많았다. 리뷰 중 "영웅문이라는 춘추전국시대를 연상시키는 이름다운 (옛날)디자인. 차라리 1990년대 소리바다가 디자인에서 더 트렌디하겠다."가 있을 정도였다. 2019년에 어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하면서 영웅문 S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영문명칭으로는 [[키움 히어로즈|KIWOOM HERO S]]로 표기하여 네이밍 스폰서에 맞춘 것으로 보인다. 2022년 4월 국내주식과 해외주식을 같이 거래할 수 있는 통합 애플리케이션 [[영웅문S\#]]가 출시되었다. 그동안 MTS 이용자 수 부동의 1위를 기록했으나 2022년 1월 KB증권 MTS에 1위 자리를 내주고 2위로 밀려나게 됐다. == 업데이트 == || [[2000년]] [[8월 19일]] || 新 HTS 라이트 버전 개발 || || [[2001년]] [[4월 16일]] || ''''영웅문'''' 서비스 개시 || || [[2002년]] [[4월 23일]] || ''''영웅문2002'''' 서비스 개시 || || [[2004년]] [[4월 7일]] || ''''영웅문3'''' 서비스 개시 || || [[2015년]] [[3월 19일]] || ''''영웅문4'''' 서비스 개시 || 2015년 중순 3에서 4로 버전이 업그레이드 되었다. 과거의 재무자료를 차트에 표시하는 재무차트나 특정 조건으로 검색하여 나온 포트폴리오의 성과를 보는 성과검증 등 다양한 기능이 추가되었다. [[윈도우 10]]에 대한 대응이 느려, 윈도우10 보급 초기 윈도우10을 사용하는 환경에서는 에러가 났지만[* 바로 블루스크린이 났다.]. 업데이트를 통해 현재는 윈도우 10을 지원한다. 2017년 08월 기준,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AhnLab Safe Transaction]]이 별도의 이용자 동의 절차 없이 자동으로 백그라운드에서 설치된다. 따라서 이를 삭제한다 해도 영웅문을 실행하는 순간 재설치된다. '''단, 기능 - 종합환경설정 - 보안설정에 있는 보안설정 기능들을 끔으로써 자동 설치를 끌 수 있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영웅문, version=60)] == 기타 == * HTS와 MTS가 상당히 구식이며 10여년이 넘어도 UI의 디자인이 전혀 개선되지 않고 있다. 어르신 이용자들을 위한 배려라는 설이 나돌 정도이며, 정말로 긴 세월 동안 아무것도 바뀌지 않았다. UI가 쓰레기라는 점을 빼면 괜찮다. * [[영웅문]]이라는 무협지스러운 이름때문에, 우스개소리로 영웅문 온라인이라는 게임한다는 식으로 빗대어 표현하기도 한다. 사실, [[영웅문(온라인게임)|영웅문]]([[영웅문#s-2.1|신영웅문]])이라는 게임은 인지도가 낮기는 하지만 이미 있다. * 2019년부터 [[키움증권]]은 [[키움 히어로즈|영웅군단]]의 메인 스폰서가 되었다. * [[임영웅]]을 영웅문의 광고모델로 기용했다. "영웅씨?" "아뇨 영웅문인데요." * 서버망은 [[KT]]이다. [[2021년 10월 KT 인터넷 장애 사건]] 때 타 통신사 인터넷 이용시 영웅문 서버가 아웃된 걸로 확인되었다. [[분류:주식]][[분류:소프트웨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