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카드파이트!! 뱅가드]] ||<-3>
<:> [[영웅격돌|{{{#!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004887, #023e78, #027b97, #edefc8)" '''{{{#!html 영웅격돌}}}'''}}}]]|| || [[영웅격돌/드래곤 엠파이어|'''{{{#!html 드래곤 엠파이어}}}''']] || [[영웅격돌/다크 스테이츠|'''{{{#!html 다크 스테이츠}}}''']] || [[영웅격돌/브랜트 게이트|'''{{{#!html 브랜트 게이트}}}''']] || || [[영웅격돌/케테르 생츄어리|'''{{{#!html 케테르 생츄어리}}}''' ]] || [[영웅격돌/스토이케이아|'''{{{#!html 스토이케이아}}}''']] || [[영웅격돌/무시킹|'''{{{#!html 무시킹}}}''']] || || [[영웅격돌/스피리츠|스피리츠]] ||<-2> || [include(틀:카드파이트!! 뱅가드/D 스탠다드/스토이케이아)] [목차] == 개요 == [[영웅격돌]]에 수록된 [[갑충왕자 무시킹]] 카드들을 정리한 문서. 무시킹 카드들은 기본적으로 스토이케이아에 속하지만, 기존 덱들과는 다른 방식으로 구성된다. 무시 카드들은 능력이 없는 대신에, 기술의 능력을 사용하여 싸운다. 각 무시 카드들에 특수한 패러미터가 존재한다. 왼쪽 상단의 가위바위보는 필살 기술의 타입을 나타내며, 주먹은 타격, 가위는 잡기, 보자기는 던지기다. 그리고 각 무시마다 초필살 기술이 있는데, 그에 맞는 기술 카드를 사용하면 특별한 능력이 발동된다. 그리고 각 카드마다 테크닉 수치가 있는데 그 테크닉 수치에 맞는 기술을 사용하면 추가로 파워가 오른다. 강함 수치가 높은 곤충이 높은 그레이드로 선정되어 자동적으로 그레이드가 높은 유닛의 테크닉 수치는 낮아졌기에, 높은 그레이드의 유닛이 낮은 그레이드의 기술을 사용하면 테크닉에 비례한 효과를 얻을 수 없게 된다. 퍼스트 뱅가드는 드로우 효과는 없는 대신 라이드되면 크레스트를 얻는데, 초월 크레스트와 달리 크레스트를 얻었을때, 덱에서 기술 오더를 3장 선택하여 오더존에 놓는다. 오더존에 놓는 기술은 다른 그레이드, 다른 타입이어야 하므로 같은 그레이드, 같은 타입의 기술을 여러장 넣을 필요는 없지만, 기술 카드가 추가 효과를 위해 동명 카드를 버리는 것을 요구하기에 같은 기술은 여러 장 넣어야한다. 기술을 사용할때는 레스트 하면서 사용해야하므로 같은 기술은 1턴에 1번만 사용할 수 있으며, 뱅가드 그레이드 이하의 그레이드를 가진 기술만 사용할 수 있다. 갑충왕자 무시킹의 20주년 기념 콜라보로 무시킹에서 사용하던 카드를 거의 그대로 옮겨놓은 디자인이 특징이다. 게다가 당시 카드의 바코드를 그대로 옮겼기에 실제 무시킹 게임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무시킹 게임 자체는 후속작인 신 갑충왕자 무시킹 조차 2018년에 서비스를 종료했기에 카드를 사용해보고 싶으면 구판의 게임 함체나 닌텐도 DS로 발매된 카드리더기가 동봉된 게임등을 따로 구해야한다.] 시작할 때 기술 카드를 각 타입별로 3개를 가지고 시작하고, 테크닉과 팔살 기술에 맞춰 파워가 증가하는 등 무시킹의 게임 시스템 오마주도 잘되어있다. == 그레이드 3 == === 타란두스광사슴벌레 === [[파일:dbt11_102.png]] ||한글판 명칭||<-5>'''타란두스광사슴벌레'''(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본판 명칭||<-5>'''タランドゥスツヤクワガタ'''|| ||<-6> 노멀 유닛 || || 그레이드 || 파워 || 실드 수치 || 국가 || 종족 || 크리티컬 || || 3(트윈 드라이브!!) || 13000 || - || '''{{{#!html 스토이케이아}}}''' || 무시 || 1 || ||<-6> {{{#63769b '''페르소나 라이드'''}}} || ||<-6>필살 기술 타입 : 타격 초필살 기술 : 햐쿠레츠켄 테크닉 : 30 || ||<-6>[크기] 96 밀리미터 [태어난 곳] 아프리카/콩고 분지 [성격] 어택 타입 [학명] Mesotopus Tarandus|| ||<-6>아프리카 최대의 사슴벌레. 반짝반짝하고 까맣게 빛나는 몸이 예쁘다. 꽤나 성격이 거칠어서, 화나면 부들부들 몸을 떤다. ||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영웅격돌]] || D-BT11/EX01 || EX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햐쿠레츠켄 ==== [[파일:dbt11_112.png]] ||한글판 명칭||'''햐쿠레츠켄'''(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본판 명칭||'''ヒャクレツケン'''|| ||<-2> '''{{{#gray 세트 오더 / 타격기술}}}''' || || 그레이드 || 국가 || || 3 || '''{{{#!html 스토이케이아}}}''' || ||<-2>기술 - {{{#green '''【자동】'''}}}【오더존】 : 이 기술이 사용되었을때, 어택하고 있는 유닛에 따라 이하 전부를 실행한다. · 테크닉 20 이상 - 그 턴 중, 그 어택하고 있는 유닛의 파워+5000. · 필살 기술이 타격 - 그 턴 중, 그 어택하고 있는 유닛의 파워+5000. · 초필살 기술이 "햐쿠레츠켄" - 이 기술을 사용한 배틀 종료시, 【코스트】[【카운터 블래스트】(1)]하는 것으로, 그 어택하고 있는 유닛을 【스탠드】시키고, 그 턴 중, 드라이브-2하고, 다시, 【코스트】[패에서 「햐쿠레츠켄」을 1장 버림]으로, 이어서 드라이브+1. || ||<-6>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빠르게 연속 타격을 퍼붓고, 최후에 마무리하는 일격을 먹인다. ||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영웅격돌]] || D-BT11/EX11 || EX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기라파톱사슴벌레 === [[파일:dbt11_103.png]] ||한글판 명칭||<-5>'''기라파톱사슴벌레'''(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본판 명칭||<-5>'''ギラファノコギリクワガタ'''|| ||<-6> 노멀 유닛 || || 그레이드 || 파워 || 실드 수치 || 국가 || 종족 || 크리티컬 || || 3(트윈 드라이브!!) || 13000 || - || '''{{{#!html 스토이케이아}}}''' || 무시 || 1 || ||<-6> {{{#63769b '''페르소나 라이드'''}}} || ||<-6>필살 기술 타입 : 잡기 초필살 기술 : 불 록 테크닉 : 30 || ||<-6>[크기] 119 밀리미터 [태어난 곳] 네팔 [학명] Prosopocoilus Giraffa|| ||<-6>세계 최대의 톱사슴벌레. 길고 날카로운 턱이 특징. 성격이 거칠고 드세지만, 긴 턱을 버거워하는 경우가 있다. ||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영웅격돌]] || D-BT11/EX02 || EX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불 록 ==== [[파일:dbt11_113.png]] ||한글판 명칭||'''불 록'''(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본판 명칭||'''ブルロック'''|| ||<-2> '''{{{#gray 세트 오더 / 잡기기술}}}''' || || 그레이드 || 국가 || || 3 || '''{{{#!html 스토이케이아}}}''' || ||<-2>기술 - {{{#green '''【자동】'''}}}【오더존】 : 이 기술이 사용되었을때, 어택하고 있는 유닛에 따라 이하 전부를 실행한다. · 테크닉 20 이상 - 그 턴 중, 그 어택하고 있는 유닛의 파워+5000. · 필살 기술이 잡기 - 그 턴 중, 그 어택하고 있는 유닛의 파워+5000. · 초필살 기술이 "불록" - 【코스트】[【카운터 블래스트】(1)]하는 것으로, 그 배틀 중, 상대는 패에서 수호자를 가디언 서클에 콜할 수 없다. 다시, 【코스트】[패에서 「불 록」을 1장 버림]으로, 상대의 리어가드를 2장 선택하여, 그것들은 다음 스탠드 페이즈에 【스탠드】할 수 없고, 그 턴 중, 인터셉트 할 수 없다. || ||<-6>상대방의 기술을 피하고, 옆에서 끼워넣은 뒤 빙빙 돌리며 압박한다. ||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영웅격돌]] || D-BT11/EX12 || EX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헤라클레스장수풍뎅이 === [[파일:dbt11_104.png]] ||한글판 명칭||<-5>'''헤라클레스장수풍뎅이'''(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본판 명칭||<-5>'''ヘルクレスオオカブト'''|| ||<-6> 노멀 유닛 || || 그레이드 || 파워 || 실드 수치 || 국가 || 종족 || 크리티컬 || || 3(트윈 드라이브!!) || 13000 || - || '''{{{#!html 스토이케이아}}}''' || 무시 || 1 || ||<-6> {{{#63769b '''페르소나 라이드'''}}} || ||<-6>필살 기술 타입 : 던지기 초필살 기술 : 롤링 드라이버 테크닉 : 30 || ||<-6>[크기] 175 밀리미터 [태어난 곳] 브라질 [성격] 밸런스 타입 [학명] Dynastes Hercules|| ||<-6>세계 최대/최강의 장수풍뎅이. 2개의 뿔로 상대방을 붙잡아서 들어버린다. 정글에 있는 코코넛 나무의 수액을 좋아한다. ||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영웅격돌]] || D-BT11/EX03 || EX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롤링 드라이버 ==== [[파일:dbt11_114.png]] ||한글판 명칭||'''롤링 드라이버'''(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본판 명칭||'''ローリングドライバー'''|| ||<-2> '''{{{#gray 세트 오더 / 던지기기술}}}''' || || 그레이드 || 국가 || || 3 || '''{{{#!html 스토이케이아}}}''' || ||<-2>기술 - {{{#green '''【자동】'''}}}【오더존】 : 이 기술이 사용되었을때, 어택하고 있는 유닛에 따라 이하 전부를 실행한다. · 테크닉 20 이상 - 그 턴 중, 그 어택하고 있는 유닛의 파워+5000. · 필살 기술이 던지기- 그 턴 중, 그 어택하고 있는 유닛의 파워+5000. · 초필살 기술이 "롤링 드라이버" - 【코스트】[【카운터 블래스트】(1)]하는 것으로, 그 턴 중, 그 어택하고 있는 유닛의 크리티컬+1. 다시, 【코스트】[패에서 「롤링 드라이버」를 1장 버림]으로, 그 턴 중, 그 어택하고 있는 유닛의 드라이브+1. || ||<-6>상대방을 집어던지고, 공중에서 끌어안아서 머리부터 지면에 메다꽂는다.. ||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영웅격돌]] || D-BT11/EX13 || EX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그레이드 2 == === 엘레파스코끼리장수풍뎅이 === [[파일:dbt11_105.png]] ||한글판 명칭||<-5>'''엘레파스코끼리장수풍뎅이'''(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본판 명칭||<-5>'''エレファスゾウカブト'''|| ||<-6> 노멀 유닛 || || 그레이드 || 파워 || 실드 수치 || 국가 || 종족 || 크리티컬 || || 2(인터셉트) || 10000 || 5000 || '''{{{#!html 스토이케이아}}}''' || 무시 || 1 || ||<-6>필살 기술 타입 : 타격 초필살 기술 : 드래곤 어택 테크닉 : 60 || ||<-6>[크기] 132 밀리미터 [태어난 곳] 멕시코 [성격] 밸런스 타입 [학명] Megasoma Elephas|| ||<-6>세계에서 제일 무거운 장수풍뎅이. 전신이 짧은 털로 덮여있다. 힘은 강하지만 성격은 온순하다. ||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영웅격돌]] || D-BT11/EX04 || EX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드래곤 어택 ==== [[파일:dbt11_115.png]] ||한글판 명칭||'''드래곤 어택'''(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본판 명칭||'''ドラゴンアタック'''|| ||<-2> '''{{{#gray 세트 오더 / 타격기술}}}''' || || 그레이드 || 국가 || || 2 || '''{{{#!html 스토이케이아}}}''' || ||<-2>기술 - {{{#green '''【자동】'''}}}【오더존】 : 이 기술이 사용되었을때, 어택하고 있는 유닛에 따라 이하 전부를 실행한다. · 테크닉 50 이상 - 그 턴 중, 그 어택하고 있는 유닛의 파워+5000. · 필살 기술이 타격 - 그 턴 중, 그 어택하고 있는 유닛의 파워+5000. · 초필살 기술이 "드래곤 어택" - 【코스트】[【소울 블래스트】(1)] 하는 것으로, 상대의 리어가드를 1장 선택하여, 퇴각시킨다. 다시, 【코스트】[패에서 「드래곤 어택」을 1장 버림]으로, 상대의 리어가드를 1장 선택하여, 퇴각시킨다. || ||<-6>상대방을 바로 위로 힘껏 날린 후, 위로 먼저 날아가 지면으로 내동댕이친다. ||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영웅격돌]] || D-BT11/EX14 || EX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패리큰턱사슴벌레 === [[파일:dbt11_106.png]] ||한글판 명칭||<-5>'''패리큰턱사슴벌레'''(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본판 명칭||<-5>'''セアカフタマタクワガタ'''|| ||<-6> 노멀 유닛 || || 그레이드 || 파워 || 실드 수치 || 국가 || 종족 || 크리티컬 || || 2(인터셉트) || 10000 || 5000 || '''{{{#!html 스토이케이아}}}''' || 무시 || 1 || ||<-6>필살 기술 타입 : 잡기 초필살 기술 : 롤링 클러치 홀드 테크닉 : 60 || ||<-6>[크기] 92 밀리미터 [태어난 곳] 태국/말레이 반도 [학명] Hexarthrius Parryi|| ||<-6>턱 앞쪽이 두갈래로 갈라진 것이 특징. 성격이 매우 거칠어서, 곧잘 싸우곤 한다. 턱 앞쪽으로 상대방을 잡고 들어올리는 것이 특기. ||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영웅격돌]] || D-BT11/EX05 || EX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롤링 클러치 홀드 ==== [[파일:dbt11_116.png]] ||한글판 명칭||'''롤링 클러치 홀드'''(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본판 명칭||'''ローリングクラッチホールド'''|| ||<-2> '''{{{#gray 세트 오더 / 잡기기술}}}''' || || 그레이드 || 국가 || || 2 || '''{{{#!html 스토이케이아}}}''' || ||<-2>기술 - {{{#green '''【자동】'''}}}【오더존】 : 이 기술이 사용되었을때, 어택하고 있는 유닛에 따라 이하 전부를 실행한다. · 테크닉 50 이상 - 그 턴 중, 그 어택하고 있는 유닛의 파워+5000. · 필살 기술이 잡기 - 그 턴 중, 그 어택하고 있는 유닛의 파워+5000. · 초필살 기술이 "롤링 클러치 홀드" - 【코스트】[【소울 블래스트】(1)]하는 것으로, {{{#red 『상대의 리어가드를 1장 선택하여, 그 유닛은 다음 상대의 스탠드 페이즈에 【스탠드】할 수 없고, 그 턴 중, 인터셉트할 수 없다』}}}를 실행하고, 다시, 【코스트】[패에서 「롤링 클러치 홀드」를 1장 버림]으로, 그것을 1번더 실행한다. || ||<-6>상대방의 힘을 이용하여 자리를 바꾼 후, 아래에서 힘차게 몸을 조른다. ||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영웅격돌]] || D-BT11/EX15 || EX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넵튠왕장수풍뎅이 === [[파일:dbt11_107.png]] ||한글판 명칭||<-5>'''넵튠왕장수풍뎅이'''(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본판 명칭||<-5>'''ネプチューンオオカブト'''|| ||<-6> 노멀 유닛 || || 그레이드 || 파워 || 실드 수치 || 국가 || 종족 || 크리티컬 || || 2(인터셉트) || 10000 || 5000 || '''{{{#!html 스토이케이아}}}''' || 무시 || 1 || ||<-6>필살 기술 타입 : 던지기 초필살 기술 : 사이드 스크류 스로우 테크닉 : 60 || ||<-6>[크기] 153 밀리미터 [태어난 곳] 콜롬비아 [성격] 밸런스 타입 [학명] Dynastes Neptunus|| ||<-6>헤라클레스에 비견되는 세계 최대급의 장수풍뎅이. 힘은 세지만 싸움은 좋아하지 않는다. 산 위에 살고 있기 때문에, 더위를 싫어한다. ||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영웅격돌]] || D-BT11/EX06 || EX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사이드 스크류 스로우 ==== [[파일:dbt11_117.png]] ||한글판 명칭||'''사이드 스크류 스로우'''(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본판 명칭||'''サイドスクリュースロー'''|| ||<-2> '''{{{#gray 세트 오더 / 던지기기술}}}''' || || 그레이드 || 국가 || || 2 || '''{{{#!html 스토이케이아}}}''' || ||<-2>기술 - 자{{{#green '''【자동】'''}}}【오더존】 : 이 기술이 사용되었을때, 어택하고 있는 유닛에 따라 이하 전부를 실행한다. · 테크닉 50 이상 - 그 턴 중, 그 어택하고 있는 유닛의 파워+5000. · 필살 기술이 던지기 - 그 턴 중, 그 어택하고 있는 유닛의 파워+5000. · 초필살 기술이 "사이드 스크류 스로우" - 【코스트】[【소울 블래스트】(1)]하는 것으로, 상대 뒷열의 리어가드를 1장 선택하여, 어택받고 있는 유닛을 그 유닛으로 변경한다. 다시, 【코스트】[패에서 「사이드 스크류 스로우」를 1장 버림]으로, 그 배틀에서, 그 어택하고 있는 유닛은 상대의 뱅가드와도 배틀한다. || ||<-6>상대방의 기술을 피하면서, 옆에서 붙잡은 뒤 반동으로 뒤로 넘겨버린다. || 효과만 읽으면 무슨 카드인가 싶은데, 쉽게 생각하면 어택할 대상을 뒷열의 리어가드도 선택할 수 있게 만드는 능력이다. 패에서 사이드 스크류 스로우를 버리면 선택한 뒷열의 리어가드와 뱅가드를 동시에 어택한다.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영웅격돌]] || D-BT11/EX16 || EX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그레이드 1 == === 오각뿔장수풍뎅이 === [[파일:dbt11_108.png]] ||한글판 명칭||<-5>'''오각뿔장수풍뎅이'''(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본판 명칭||<-5>'''ゴホンヅノカブト'''|| ||<-6> 노멀 유닛 || || 그레이드 || 파워 || 실드 수치 || 국가 || 종족 || 크리티컬 || || 1(부스트) || 8000 || 5000 || '''{{{#!html 스토이케이아}}}''' || 무시 || 1 || ||<-6>필살 기술 타입 : 타격 초필살 기술 : 단간 테크닉 : 90 || ||<-6>[크기] 153 밀리미터 [태어난 곳] 태국/말레이 반도 [성격] 밸런스 타입 [학명] Eupatorus Gracilicornis|| ||<-6>그 이름대로 5개의 뿔을 가진 장수풍뎅이. 대나무 숲에 살고 있다. 성격은 온순해서, 격한 싸움은 별로 하지 않는다. ||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영웅격돌]] || D-BT11/EX07 || EX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슈퍼 단간 ==== [[파일:dbt11_118.png]] ||한글판 명칭||'''슈퍼 단간'''(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본판 명칭||'''スーパーダンガン'''|| ||<-2> '''{{{#gray 세트 오더 / 타격기술}}}''' || || 그레이드 || 국가 || || 1 || '''{{{#!html 스토이케이아}}}''' || ||<-2>기술 - {{{#green '''【자동】'''}}}【오더존】 : 이 기술이 사용되었을때, 어택하고 있는 유닛에 따라 이하 전부를 실행한다. · 테크닉 80 이상 - 그 턴 중, 그 어택하고 있는 유닛의 파워+5000. · 필살 기술이 - 그 턴 중, 그 어택하고 있는 유닛의 파워+5000. · 초필살 기술이 "단간" - 그 턴 중, 그 어택하고 있는 유닛의 파워+5000. 다시, 【코스트】[【카운터 블래스트】(2), 패에서 「슈퍼 단간」을 1장 버림]으로, 상대 리어가드 전부를 퇴각시킨다. || ||<-6>하늘 높이 날아올라, 고속으로 회전하며 몸을 부딪혀 상대방을 날려버린다. ||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영웅격돌]] || D-BT11/EX17 || EX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넓적사슴벌레 === [[파일:dbt11_109.png]] ||한글판 명칭||<-5>'''넓적사슴벌레'''(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본판 명칭||<-5>'''ヒラタクワガタ'''|| ||<-6> 노멀 유닛 || || 그레이드 || 파워 || 실드 수치 || 국가 || 종족 || 크리티컬 || || 1(부스트) || 8000 || 5000 || '''{{{#!html 스토이케이아}}}''' || 무시 || 1 || ||<-6>필살 기술 타입 : 잡기 초필살 기술 : 카와세미 허그 테크닉 : 90 || ||<-6>[크기] 75 밀리미터 [태어난 곳] 일본 [성격] 어택 타입 [학명] Eupatorus Gracilicornis|| ||<-6>튼튼하고 큰 턱과, 평평한 몸이 특징. 평소에는 온순하지만, 궁지에 몰리면 무서울 정도의 힘을 발휘하며 싸운다. ||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영웅격돌]] || D-BT11/EX08 || EX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슈퍼 카와세미 허그 ==== [[파일:dbt11_119.png]] ||한글판 명칭||'''슈퍼 카와세미 허그'''(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본판 명칭||'''スーパーカワセミハッグ'''|| ||<-2> '''{{{#gray 세트 오더 / 잡기기술}}}''' || || 그레이드 || 국가 || || 1 || '''{{{#!html 스토이케이아}}}''' || ||<-2>기술 - {{{#green '''【자동】'''}}}【오더존】 : 이 기술이 사용되었을때, 어택하고 있는 유닛에 따라 이하 전부를 실행한다. · 테크닉 80 이상 -그 턴 중, 그 어택하고 있는 유닛의 파워+5000. · 필살 기술이 잡기 - 그 턴 중, 그 어택하고 있는 유닛의 파워+5000. · 초필살 기술이 "카와세미 허그" - 그 턴 중, 그 어택하고 있는 유닛의 파워+5000. 다시, 【코스트】[【카운터 블래스트】(2), 패에서 「슈퍼 카와세미 허그」를 1장 버림]으로, 상대의 뱅가드 전부는 다음 상대의 스탠드 페이즈에, 【스탠드】할 수 없다. || ||<-6>상대를 집어던진 후, 공중에서 붙잡아서 고속으로 회전하며 지면에 메다꽂는다. ||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영웅격돌]] || D-BT11/EX18 || EX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장수풍뎅이 === [[파일:dbt11_110.png]] ||한글판 명칭||<-5>'''장수풍뎅이'''(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본판 명칭||<-5>'''カブトムシ'''|| ||<-6> 노멀 유닛 || || 그레이드 || 파워 || 실드 수치 || 국가 || 종족 || 크리티컬 || || 1(부스트) || 8000 || 5000 || '''{{{#!html 스토이케이아}}}''' || 무시 || 1 || ||<-6>필살 기술 타입 : 던지기 초필살 기술 : 토네이도 스로우 테크닉 : 90 || ||<-6>[크기] 75 밀리미터 [태어난 곳] 일본 [성격] 어택 타입 [학명] Allomyrina Dichotoma|| ||<-6>일본을 대표하는 갑충. 벌레의 왕자로서 인기가 있다. 성격도 거칠어서 곧잘 싸움을 한다. 나무의 수액을 매우 좋아한다. ||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영웅격돌]] || D-BT11/EX09 || EX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슈퍼 토네이도 스로우 ==== [[파일:dbt11_120.png]] ||한글판 명칭||'''슈퍼 토네이도 스로우'''(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본판 명칭||'''スーパートルネードスロー'''|| ||<-2> '''{{{#gray 세트 오더 / 던지기기술}}}''' || || 그레이드 || 국가 || || 1 || '''{{{#!html 스토이케이아}}}''' || ||<-2>기술 {{{#green '''【자동】'''}}}【오더존】 : 이 기술이 사용되었을때, 어택하고 있는 유닛에 따라 이하 전부를 실행한다. · 테크닉 80 이상 - 그 턴 중, 그 어택하고 있는 유닛의 파워+5000. · 필살 기술이 던지기 - 그 턴 중 그 어택하고 있는 유닛의 파워+5000. · 초필살 기술이 "토네이도 스로우" - 그 턴 중, 그 어택하고 있는 유닛의 파워+5000. 이어서, 【코스트】[【카운터 블래스트】(2), 패에서 「슈퍼 토네이도 스로우」를 1장 버림]으로, 그 배틀 중, 그 어택하고 있는 유닛은 드라이브 체크를 실행한다. || ||<-6>상대를 붙잡아서 빙글빙글 돌리며 들어올려, 기절시킨 상태에서 하늘 높이 날려버린다. ||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영웅격돌]] || D-BT11/EX19 || EX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그레이드 0 == === 갑충왕자 무시킹 === || [[파일:dbt11_111.png]] || [[파일:dpr_567.png]] || || EX || PR || ||한글판 명칭||<-5>'''갑충왕자 무시킹'''(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본판 명칭||<-5>'''[ruby(甲虫王者, ruby=こうちゅうおうじゃ)] ムシキング'''|| ||<-6> 노멀 유닛 || || 그레이드 || 파워 || 실드 수치 || 국가 || 종족 || 크리티컬 || || 0(부스트) || 6000 || 5000 || '''{{{#!html 스토이케이아}}}''' || - || 1 || ||<-6>{{{#green '''【자동】'''}}} : 이 유닛이 그레이드 1인 <무시>에 라이드되었을때, 자신은 「갑충왕자 무시킹 함체」의 크레스트를 얻는다. ||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영웅격돌]] || D-BT11/EX10 || EX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크레스트 == === 갑충왕자 무시킹 함체 === [[파일:dbt11_121.png]] ||한글판 명칭||<-6>'''갑충왕자 무시킹 함체'''(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본판 명칭||<-6>'''[ruby(甲虫王者, ruby=こうちゅうおうじゃ)] ムシキング [ruby(筐体, ruby=きょうたい)]'''|| ||<-7> 크레스트 || ||<-7>{{{#red '''【영속】'''}}} : 자신은 <무시>이외의 카드에 라이드할 수 없고, 세트 오더를 플레이할 수 없고, 이 크레스트 능력 이외의 오더 존에 세트 오더를 놓을 수 없다. {{{#green '''【자동】'''}}} : 이 크레스트를 놓았을때, 자신의, 덱이나 패에서, 각각 다른 그레이드인, 타격기술, 잡기기술, 던지기기술을 각각 1장까지 찾고, 오더존에 놓고, 덱에서 찾았다면, 덱을 셔플한다. {{{#blue '''【기동】'''}}}{{{#purple '''【턴1회】'''}}} : 【코스트】[【소울 블래스트】(1)]하는 것으로, 자신의 덱을 위에서 5장 보고, <무시>나 기술 카드를 1장까지 찾고, 공개하여 패에 넣고, 덱을 셔플한다. {{{#green '''【자동】'''}}} : 자신의 <무시>가 어택했을때, 【코스트】[오더존에서, 자신 뱅가드 그레이드 이하의 기술 카드를 1장 【레스트】시킴]으로, 그 카드의 기술을 사용한다. ||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영웅격돌]] || D-BT11/EX20 || EX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