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1 [[嬰]][[兒]][[突]][[然]][[死]][[症]][[候]][[群]] / sudden infant death syndrome, cot death, crib death}}} 보통 [[영어]]의 약자인 SIDS라고 불리기도 하는 이것은 [[미국]] 내 [[영아]] 사망 원인 중 1위,[* 2위는 선천성 [[기형]], 3위는 사고, 4위는 감염.] [[일본]]의 영아 사망 원인 2위를 차지한다. 2018년 통계로는 [[대한민국]]에서도 영아 사망률 3위에 해당한다. 영아 10만 명당 22명 정도가 이 병으로 죽는다. 난데없이 죽어 있는 아기를 보게 되는 부모의 심정은 말로 표현할 수 없을 정도. 사망 당시의 상황이나 병력 검토 등 사후 검사에서도 사망 원인을 찾을 수 없는 신생아나 영아(0~12개월)의 갑작스러운 죽음을 말하는데 아직까지 정확한 원인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즉 영아가 사망했는데 그 원인을 찾을 수 없을 때 내려지는 결론이기도 하다. 그나마 발생 확률을 줄일 수 있는 것들로 밝혀진 것들은 [[모유]] 수유나 아이를 엎드려 재우지 않는 습관 정도. 대부분의 부모들이 [[부검]]을 거부하기 때문에 국내에는 통계조차 제대로 나오지 않고, 외국에서도 부검을 거부하는 부모가 많아 산출된 통계의 신뢰도가 낮다. 생후 1~4개월 사이에 가장 많이 발생하고 시간상으로는 밤 10시에서 오전 10시 사이에 수면 중에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 원인 == 원인은 아직까지 밝혀진 바는 없지만 최근 가장 유력한 가설은 호흡 조절 규제와 관련된 [[뇌]] 기능 이상으로 추정되고 [[신경전달물질]] '[[세로토닌]]' 부족 때문이라고도 추측된다. == 요인 == * 변경할 수 없는 원인들(nonmodifiable) * 낮은 사회경제지위(low socioeconomic status) * 신생아 2-4개월 사이 가장 높게 발생하며, 대부분 6개월 안에 발생한다. * [[겨울]]에 가장 자주 발생하며, 12 AM - 9 AM 사이에 높은 발병률을 보이게 된다. * [[쌍둥이]]일 경우. (일란성일 경우 발병율 높음) * 출생 시 둘째 아이일 경우.[* 드물게 첫째에게도 간혹 발생하기도 한다.] * 남아가 여아에 비해 높다. * 어머니의 [[혈액형]]이 A형을 제외한 나머지 혈액형(B, O, AB)일 경우. * 변경할 수 있는 원인들(modifiable) * 짧은 임신사이 간격(short interpregnancy interval) * [[미숙아]](preterm), 선천성 심장질환, 기타 호흡기 질환 등을 가진 아이 * 낮은 산전 관리(low prenatal care) * [[모유]] 수유를 하지 못하는 경우 * [[예방접종]]을 하지 않은 아이 * 20세 미만의 부모 * [[간접흡연]] * 부모가 [[흡연]], [[음주]], [[약물]]을 함 * 수면환경과 관련된 원인들 * 엎드린 자세로 재우는 습관(prone sleeping) * 눕혀 재우게 될 경우(supine), 영아돌연사증후군의 발병률이 상당히 낮아지게 된다. * 같은 침대나 요에서 자는 습관(soft-bedding/surface) * 수면환경 온도가 높을 때(overheating) * 담요나 인형의 질감이 두껍거나 부드러울수록 발병률이 상당히 높아진다. == 예방 == * [[임신]] 중 정기적으로 진찰을 받아야 하며 영양섭취를 충분히 해야 한다. * 가족이 [[금연]]하고 여성은 모유 수유를 위해서 [[술]]을 삼간다. * 아이를 바로 눕혀 재운다. 스스로 몸을 뒤집지 못하는 3개월 미만의 아기들에게는 권장을 넘어 필수사항이라고 할 정도로 서구 의학계에서 강조하는 부분. 다만 호흡기의 이상이 있거나 [[위(소화기관)|위]]·[[식도]] 역류가 있는 경우는 제외하거나 의사와의 상담 필요. * 특히 안정성이 보장된 아기침대(crib)를 사용해야 한다. 위 사항과 같은 이유로 스스로 몸을 지탱할 수 없는 나이의 아기가 엎드린 채 코와 입을 막는 자세가 될 상황을 막기 위해 재울 때는 아기침대/요람 안에 폭신한 장난감, 베개는 물론 이불조차도 가까이 두지 않는 것이 권장되고 있다.[* 그에 맞추어 폭신하고 따스한 소재이되 이불처럼 덮어쓰지 않고, 아기옷 위에 느슨하게 입힐 수 있는 옷 모양 이불의 사용이 권장되고 있다. 죽기 전에 발견한다고 하더라도 산소 부족으로 아이의 숨이 넘어가거나 장애가 생기기까지는 정말 순식간에 벌어지는 일이다. ] * 모유 수유로 키운다. * 푹신한 잠자리를 피하며 적당한 실내 온도를 유지한다(no overheating). * [[질병]] 예방을 철저히 해야 한다. * 같은 방에서 자되 부모와 다른 침대를 사용한다(no bed-sharing) * 아이에게 이상 증상이 생긴 경우, 심장정지 같은 경우엔 [[심폐소생술]]을 시도한다. == 기타 == [[측천무후]]의 첫딸 [[안정공주]]의 사인이, 사실 영아돌연사였다는 주장도 있다. 자세한 이야기는 [[안정공주]] 참조. [[분류:질병]][[분류:사망 원인]][[분류:악상(죽음)]][[분류:임신과 출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