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교육기관)] [include(틀:대구광역시 동구의 고등학교)] [include(틀:영신교육재단)] ||<-2> '''{{{#white {{{+1 영신고등학교}}}[br]永信髙等學校[br]Young Shin High School}}}''' || ||<-2> [[파일:대구영신고등학교교.jpg|width=100%]] || ||<-2> [[파일:external/www.dgys.hs.kr/500(1).jpg|width=100%]] || ||<-2> [include(틀:지도, 장소=대구영신고등학교, 너비=100%, 높이=100%)] || || {{{#white '''개교'''}}} || [[1946년]] [[10월 17일]] || || {{{#white '''유형'''}}} || 일반계 고등학교 || || {{{#white '''성별'''}}} || 남녀공학 || || {{{#white '''형태'''}}} || [[사립학교|사립]] || || {{{#white '''학교법인'''}}} || 영신교육재단 || || {{{#white '''설립자'''}}} || 박재석 || || {{{#white '''교장'''}}} || 박태운 || || {{{#white '''학생 수'''}}} || 706명[br](2023.7) || || {{{#white '''교직원 수'''}}} || 73명[br](2023.7) || || {{{#white '''관할 교육청'''}}} || [[대구광역시동부교육지원청]] || || {{{#white '''소재지'''}}} || [[대구광역시]] [[동구(대구광역시)|동구]] 팔공로50길 32[* [[봉무동]] 524] || || {{{#white '''웹사이트'''}}} || [[http://www.dgys.hs.kr/index.do|[[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구광역시]] [[동구(대구광역시)|동구]] [[봉무동]]에 있는 [[사립학교|사립]] 일반계 고등학교. 1946년 기농중학원으로 개교하였으며 1950년 현재의 영신고등학교가 되었다. [[개신교]]([[한국기독교장로회]]) 계열 [[미션스쿨]]이며 개교자는 박재석 목사다. 학교 부지 내에 [[영신초등학교(대구)|영신초등학교]], [[영신중학교(대구)|영신중학교]], 영신유치원, 영신교회가 있으며 운동장, 식당, 매점 등 대부분의 교내 시설은 공용으로 사용하고 있다.[* 다만 영신초등학교, 영신유치원은 별도의 운동장과 식당을 사용한다.] 원래는 [[대구광역시]] [[동구(대구광역시)|동구]] [[신천동(대구)|신천동]]에 있었다. 이 때는 남학교였고, 2006년 봉무동으로 이전하면서 남녀공학이 되었다. 비슷한 시기에 학교를 이전한 [[덕원고등학교]]와 함께 영신고등학교도 [[남녀공학]]으로 전환하는 [[http://www.hs21.or.kr/zbbs/dn.php?tb=zbbs_data&rowid=5&num=0&dn=1|조건]]으로 학교 이전을 승인 받았다고 한다. == 역사 == 1946-10-17: 기농중학원으로 개교 1948-02-06: 영신중학원으로 개칭 1950-04-30: 영신중학원으로 설립인가를 얻음 1951-06-01: 신천동 교사로 이전 [* 주소는 동구 신천동 1503이며, 현재는 해당 부지에 [[GS건설]]이 시공한 [[신천자이]]아파트가 있다.] 1954-03-16: 재단을 보강하고 영신교육재단으로 개칭 1955-03-15: 재단을 보강하고 고등학교 3학급 증설 1955-09-30: 본관 준공 (붉은 벽돌 3층 10교실) 1957-07-15: 신관 건축 공사 준공 1962-12-30: 고등학교 3학급 증설 (총 9학급) 1964-02-15: 학교 법인 영신교육재단으로 조직 변경 인가 1966-02-28: 동관 4층 19교실 준공 1973-10-07: 강당준공 1976-10-17: 개교 30주년 기념 1978-10-10: 별관 준공 1979-01-09: 고등학교 야간부 1학급 신설 1981-03-01: 고등학교 30학급 야간부 3학급 (총 33학급) 1983-09-15: 야간부 폐지 1985-03-02: 총 36학급 1985-03-02: 별관 4층 증축 준공 2002-02-27: 남관 5층 증축 준공 2006-01-23: 봉무동 現 교사 위치로 이전[* 학교 인근에 봉무사격장이 있었으나 이전했다.] 2006-03-02: [[남녀공학]] 전환 및 1학년 신입생 입학 (남녀 각 6학급) 2006-12-15: [[2006 도하 아시안 게임]] 골프 단체전 금매달 2009-08-01: 'KBS [[도전 골든벨]]' 골든벨 획득 2011-07-01: '과목중점형 교과교실제 학교' 선정 2015-03-02: 선진형 교과교실제학교 운영 2016-03-01: 개교 70주년 2020-03-09: 영신교회 준공 진행중 2023-XX-XX: 제67회 졸업식 == 상징 == === 교표 === [[파일:대구영신고등학교교표.png]] * 사람(人)이 지게를 들고 있는 형상 * 부지런히 일하는 건설의 의미 * 세계의 큰 무대인 지구촌에서 서로 사랑하고 협력하여 큰 뜻을 펼치는 영신인의 기상을 표현 === 교육 이념 === * 여호와를 경외함이 지식의 근본 === 교훈 === * 사랑, 진리, 건설 === 교가 === [[파일:external/www.dgys.hs.kr/%EA%B5%90%EA%B0%80%EC%9E%91%EA%B2%8C%20copy.jpg]] 신천동 시절에는 첫 구절이 "대구 새내(신천을 우리말로 풀이) 맑은 물 발 밑을 씻고 팔공산에 둘러싸인 신암 반석에"였다가 봉무동으로 옮기면서 현재의 가사로 개사되었다. === [[교목]] === [[파일:external/www.dgys.hs.kr/03_symbol_12.jpg]] * [[사철나무]] * 영원성, 불변성 * 진리탐구의 무궁한 원동력 === 교화 === [[파일:external/www.dgys.hs.kr/03_symbol_14.jpg]] * [[장미]] * 사랑, 정열 * 그리스도 정신에 바탕을 둔 박애정신과 애국심 의미 === 교조 === [[파일:external/www.dgys.hs.kr/03_symbol_16.jpg]] * [[독수리]] * 높은 기상, 예지 * 자기완성과 희망을 향해 매진하는 진취적 기상과 통찰력을 의미함 == 특징 == 남녀공학으로 남녀분반으로 운영된다. 22학년도 3학년 기준 1반, 4반, 9반, 10반은 남학생 학급이며, 2반, 3반, 4반, 7반, 8반, 11반, 은 여학생 학급이다. 2011년도 경에는 반대였다. 수리과학융합과정반과 사회외국어융합과정반이 있다. 각각 5반 6반으로 입학전에 모집하여 3년동안 유지된다. 사랑반[* 전교1등~전교10등]과 진리반[* 전교11등~전교20등]이 있다. 사랑반은 자습시간에 3학년들이 사용하는 4층 홈베이스[* 의자가 3층보다 푹신하다]를 사용하고 진리반은 2학년들이 사용하는 3층 홈베이스를 사용한다. 사랑반과 진리반은 한학기마다 바뀐다. 사랑반 학생들은 강제적으로 사랑반 방과후 수업을 들어야한다. 장학금 액수가 높은편이다.[* 입학할때 4명에게 백만원씩 준다.] 장학금 재기부릴레이를 한다. [[일본]] [[후쿠오카현]] [[야메시]]에 위치한 '''서일본 단기 대학 부속 고등학교(西日本短期大学附属高等学)'''과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 == 시설 == 부지는 [[대구광역시]] [[동구(대구광역시)|동구]] [[봉무동]] [[이시아폴리스]]에 있으며 봉무공원, 단산지와 아주 가깝다. [[파일:esiapolis at youngshin.jpg]] 대구 영신고등학교 4층 홈베이스에서 본 [[이시아폴리스]] 풍경. === 본관 === ||<-3> 홈베이스 || ||교실||<|13>중앙복도||<-3>복도(9반라인)||발코니|| ||교실|| ||계단↓↑||9반||10반||11반||12반|| ||교실||화장실|| ||교실|| ||교실||교실|| ||교실||복도(5반라인)||발코니|| ||교실||E/v||계단↓↑||5반||6반||7반||8반|| ||교실||화장실|| ||교실|| ||교실||교실|| ||복도||복도(1반라인)||발코니|| ||교무실|| ||계단↓↑||1반||2반||3반||4반|| ||<|2>상담실||화장실|| ||↓벽파관|| 고등학교 본교 구조가 'ㅌ'자로 되어있다. '|'자에 특별실과 교무실, 교사연구실, 화장실이 있고 '≡' 자에 각반과 계단이 있다.≡에는 4반씩 총 12반이 있다. 그래서 이동수업같이 다른 반에 볼일이 있을때 특히 4,8,12처럼 끝에 있는 반들은 이동하기 상당히 번거롭다. ㅌ자의 윗쪽 부분에는 홈베이스가 있다. 1층에는 없고[* 건물 구조가 1층은 기둥이고 2층부터 구조물이 있다.], 2층은 도서실과 회의실이다, 3~4층은 자습실 및 탐구과목 교사연구실로 활용된다. ㅌ자 아랫부분은 벽파관 강당과 연결되는 구름다리가 있다. 1층은 교장실, 행정실, 이사장실, 음악실, 체육준비실 등이 위치해있다. 2층에는 1학년 교실과 1학년 교무실, 커멘드센터인 본교무실, 방송실 등이 있다. 3층에는 2학년 교실과 2학년 교무실, 미술실, 컴퓨터실 등이 있다. 4층에는 3학년 교실과 3학년 교무실, 영어실, 수학실 등이 있다. 원래는 2층이 3학년, 3층이 2학년, 4층이 1학년 교실이었으나 쿵쿵거리는 층간소음으로 3학년들 학습에 지장을 준다는 이유로 2014년 부터 지금처럼 바뀌었다. 그 흔적으로 2층에는 중앙복도와 교실복도사이에 문이 있다. 복도와 교실간 소리를 차단하는 용도로 쓰였을 것으로 추측한다. 이 문은 다른 층에는 없다. 지하실은 수도시설과 배전시설 등 기계실이 위치해있고, 의자와 책상, 사물함을 보관해두는 창고로 쓰인다. 먼지가 가득하고 어둡고 축축해서 분위기가 오싹하다. 야자시간 할 것 없고 심심할 때는 지하실을 탐방해보자. 끝내준다! 또 이 지하실에는 비상발전기가 있다. 학교가 정전될 경우 최소한의 조명을 공급해준다. 2018년 이후 지하실은 골프부 연습실로 쓰이고 있다. === 벽파관 === 본관과 아래에 서술한 금옥숙사 사이에 있는 건물로, 본관과는 2층과 3층에서 구름다리로 연결되어있다. 구름다리 입구는 각 학년 교무실과 가까이 있다. 1층에는 식당과 매점이 있고 2층과 3층에는 강당(벽파관)이 있는 형태이다. 벽파관은 강당이다. 참고로 벽파는 초대 이사인 박재석 목사의 호다. === 금옥숙사 === {{{+2 金玉宿舎}}} [[http://dormi.dgys.hs.kr]] 영신중학교 건물 옆에 농구장을 끼고 있는 [[기숙사]]로 매년 분기별 4차례씩 신입생을 뽑는다. 명칭은 초대 이사장 박재석 목사의 부인의 이름을 땄다. 2014년까지는 토요일 오전자습 후 귀가, 금요일이 공휴일인 경우에는 금요일 오전자습 후 귀가 등 엄격한 관리를 했으나 2015년 부터는 사감의 수를 줄이고, 근무 일자 역시 단축하여 금요일 야간자습 후 귀가를 하게 된다. 안그래도 막히는 불금 저녁에 이들을 호송하기 위한 학부모의 차량 및 택시가 급증하여 교통 혼잡이 심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파일:youngshin basketball.jpg]] 금옥숙사와 영신중학교 사이에 있는 농구장이다. 두 코트가 있고 바닥 재질은 우레탄이다. 지금 우레탄은 한번 재포장 한 것인데, 기존의 포장이 영 좋지 않아 밑에 가스가 차서 울룩불룩 솟아나왔기 때문이다. 2020년 부터는 우레탄에 유독 성분이 있을수 있어 전주 뜯어내고 운동장처럼 흙만 남았다. === 영신교회 === 매주 일요일(셋째 주나 기독교행사가 있을 땐 다른요일)에 영신중학교 시청각실에서 학교 교사, 교사의 가족들 등등이 예배를 드리는 교회이다. (2020년 기준) 건물이 새로 세워져서 드디어 실체가 생겼다. == 학교 생활 == === 수업 === 1~7교시, 오후 보충 수업 2교시, [[야간자율학습]] 2교시로 이뤄져있고, 대부분의 학생은 야간자율학습이 끝나고 21시 30분에 하교한다. 따로 심야자습을 신청하거나 금옥숙사생의 경우 심야자습을 해야한다. 심야자율학습은 일반학생과 금옥숙사생의 시간표가 다르다. 수업 50분, 쉬는시간 10분, 식사시간 60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7교시와 8교시 사이 쉬는 시간은 20분이다. 방학기간에는 수업 50분, 쉬는시간 15분, 식사시간 50분으로 조정되고, 등교시각이 7:50, 하교시각이 20:50으로 단축된다. [[교과교실제]]를 운영하고 있다. || 교시 || 시간 || || 등교 || ~ 7:40 || || 청소 || 7:40~8:00 || || 1교시 || 8:00 ~ 8:50 || || 2교시 || 9:00 ~ 9:50 || || 3교시 || 10:00 ~ 10:50 || || 4교시 || 11:00 ~ 11:50 || || 점심시간 || 11:50 ~ 12:50 || || 5교시 || 12:50 ~ 13:40 || || 6교시 || 13:50 ~ 14:40 || || 7교시 || 14:50 ~ 15:40 || || 청소 및 이동 || 15:40 ~ 16:00 || || 8교시 || 16:00 ~ 16:50 || || 9교시 || 17:00 ~ 17:50 || || 저녁시간 || 17:50 ~ 18:50 || || 夜 1 || 18:50 ~ 20:00 || || 夜 2 || 20:10 ~ 21:30 || || 심야자습 || 21:40~ 23:10 [* 금옥숙사생은 21:50~23:40] || ==== 교과교실제 ==== 2015년 겨울방학 때에는, 교과교실제 운영을 위한 공사로, 겨울방학기간 보충수업을 영신고가 아닌 영신중학교에서 진행했다. 이 기간동안 본교는 대대적인 리모델링과 구조개선 등이 이뤄졌다. 교과교실제 답게, 각 복도 및 반이 특정 교과목 전용 교실로 지정되었다. 이를 알리기 위해 코너마다 표지판을 설치했다. 반마다 칠판 구조와 칠판의 형태가 다른 것도 이 때문이다. 교실 앞 칠판은 같은데, 뒤 칠판은 확연히 다르다. 또 교실마다 빔스크린을 설치하여 노트북과 연결해 수업자료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개선했다. 다만, 교과교실제를 운영하지 않는 3학년은 예산부족으로 홀수번 교실에만 빔스크린을 설치했기 때문에 반마다 수업 진행도가 달라지는 결과를 낳기도 했다. 중앙복도 끝에 있는 홈베이스는 벽을 모두 허물고, 자유롭게 설치, 제거, 옮길 수 있는 가변형 목재벽을 설치했다. 이 가변형목재는 천장의 경칩을 통해 고정하거나 풀 수 있다. 또 홈베이스 안에는 사회와 과학 교과 교무실을 설치했다. 그래서 자습할 수 있는 공간이 조금 줄어들었다. 교과교실제를 운영하기 위해, 교실안에 있던 사물함을 모두 복도로 옮겼으며, 일부 사물함은 홈베이스 안에 설치되었다. 기숙사생들을 위한 사물함은 홈베이스의 남녀구분벽에 설치되었다가, 기숙사(금옥숙사) 자습공간이 만들어지자 그곳으로 모두 옮겼다. 이 때문에, 본교건물에 사물함이 두개나 있어 공간 활용이 용이했던 기숙사생들 일부의 원성을 사기도 했다. === 축제 === 2014년에는 축제에 즐길거리가 없없다. 동아리 활동이 유명무실했기 때문이다. 동아리별 부스나 먹거리 좌판 등이 2013년에 일어난 사태[* 캡사이신이 들어간 불닭볶음면을 좌판에서 팔았다. 이것 때문에 몇 학생이 기절하기도 했다]때문에 금지된 까닭도 있다. 그래서 체육대회와 무대공연 이 둘 뿐이다. 그러나 2015년 축제에는 작게나마 동아리부스를 엶으로써 '일반적인' 학교축제에 가까워지고 있다. ==== 대구청소년국제회의 ==== Daegu Youth International Assembly. 줄여서 DYIA - 디아. 대구광역시 및 인근 고등학교 학생끼리 [[모의유엔]]을 여는 행사이다. 현재(2023) 제 10회 대회까지 진행되었다. 공식카페는 [[https://cafe.naver.com/dyia]] 2023년 기준) 모의유엔과 모의법정, 포럼까지 개최하며 규모가 더욱 커졌다. ==== 체육대회 ==== 종목은 학생회에서 정한다. ==== 영신 GOT 탈렌트 ==== == 출신 인물 == * [[KEY(SHINee)|Key(본명:김기범)]]: [[SHINee]]의 멤버 * [[고오환(1954)]]: 전 경기도의회의원 * [[구윤철]]: 국무조정실장 * [[구원근]] * [[김경두]] * [[김부섭]]: 대구광역시의회 사무처장 * [[김상혁(정치인)|김상혁]] : 전 대구광역시 북구의회 부의장 * [[김승수(1965)|김승수]]: 전 대구광역시 행정부시장, [[북구 을(대구)|대구 북구 을]] [[제21대 국회의원]] * [[김정필]]: 전 씨름선수 * [[김태천]]: 전 대구가정법원장 * [[김창종]]: 전 헌법재판관 * [[김형탁]] * [[박종설]] * [[박종형]]: 전 고등군사법원장(육군 준장) * [[박창근]]: 가수 * [[백동흠]]: 부산지방경찰청 제3부장(경무관) * [[서재헌]]: 더불어민주당 동구 갑 지역위원장이자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더불어민주당]] [[대구광역시장]] 후보 * [[안원구]]: 전 대구지방국세청장 * [[윤시영]]: 전 대구지방경찰청장 * [[이권우]] * [[이봉걸]]: 전 씨름선수 * [[이연재]] * [[장호일]]: [[015B]]의 멤버 * [[코아]] * [[정기현]]: 대전광역시의원 * [[정병인(1951)|정병인]] * [[정호영]]: 전 경북대병원장 * [[최주원]]: 경상북도경찰청장 * [[홍준학]] == 교통 == === 버스 === * [[대구 버스 급행1|급행1]] (13분) * [[대구 버스 급행6|급행6]] (15분) * [[대구 버스 401|401]] (10분) * [[대구 버스 101, 101-1|101, 101-1]] (14분) * [[대구 버스 동구8|동구8]] (11분) * [[대구 버스 북구2|북구2]] (20분) * [[대구 버스 팔공1|팔공1(평광행 제외)]] (약 30분~1시간) 오는 방법: 상기한 버스 중에서 봉무공원 정류소에서[* 급행6번은 이시아폴리스더샵1/2차] 내려 봉무공원(단산지)방향으로 걸어오면 된다. DIS([[대구국제학교]])를 지나 로터리에서 우회전하면 바로 영신학교가 나온다. === 학생들이 많이 이용하는 정류소 (하교시) === 학생들은 인근 지역인 공산동(지묘동 및 팔공산일원), 불로봉무동, 지저동, 복현동, 동촌, 방촌, 해안 등에서 통학하고 이 보다 멀 경우 기숙 생활을 택하는 경우가 많다. * '''봉무공원건너''': 복현동, 불로동, 지저동 및 동촌/반야월 권에 사는 학생들이 이용한다. 급행1, 101, 101-1, 401, 팔공1번(평광행 제외)이 정차한다. 북구2번과 급행6번은 U턴 관계로 무정차통과한다. 이중에서 복현동으로 가는 건 101-1번 뿐이다. 동촌/반야월권으로는 바로 가는 버스가 없어서 공항에서 동구2, 719번으로 갈아타야한다. * '''봉무공원앞''': 지묘동 및 팔공산권에 사는 학생들이 이용한다. 101, 101-1, 401, 팔공1(평광행 제외), 북구2번이 정차하며 급행1번, 급행6번은 무정차통과한다. 북구2번은 연경지구 및 동서변동 방향으로 간다. 101번은 101-1번과 달리 지묘동 안길로 들어가기 때문에 훨씬 인기있다. * '''한국폴리텍대학(영남융합기술캠퍼스)''': 역시 지묘동 및 팔공산권에 사는 학생들이 이용하며, 봉무공원앞 정류소의 전정류소다. 한국폴리택대학 후문에서 대로까지 가로지르면 나오는 곳으로 이곳은 급행1번이 정차하기 때문에, 동화사, 백안동 등 팔공산 지역의 학생들이 주로 이용한다.. * '''이시아폴리스더샵1차''': 봉무공원건너 정류소의 전 정류소. 급행1, 급행6, 101, 101-1, 401, 팔공1(평광행 제외), 북구2번이 정차하며, 이중에서 급행6번은 금호강변대로를 타고 복현동으로 직행하기 때문에, 이리저리 돌아가는 101-1번에 지친 학생들이 많이 이용한다. 101-1번은 교통체증에 걸리면 복현동까지 30분은 넘게 걸리는 반면, 급행6번은 10분이면 도착한다, 다만 학교와는 많이 떨어져있어서 걷는데 시간이 꽤 소요된다. 이외에도 대구텍스타일콤플렉스, 이시아폴리스더샵2차 등 혼잡을 피해 주변의 다른 정류소까지 걸어가서 이용하는 경우가 있다. === 도시철도 === * --[[대구 도시철도 4호선]] [[이시아폴리스역]]-- == 여담 == [[대구 공군기지]] 때문에 소음이 상당히 심하다. 신천동 교사의 경우 1990년대 후반에 주위 민원에 의해 선로를 따라 방음벽이 설치된 이후부터 소음은 대폭 줄었으나, 급식 조리실과 과학실, 미술실, 심야 자습실이 있던 다목적관은 철로 바로 옆에 붙어 있어 소음이 심하긴 하였다. 산에 둘러싸였고 단산지 저수지가 바로 옆에 있어서, 여름에 [[야간자율학습]]을 하면 [[하루살이]]가 쉴 새 없이 교실을 들락거린다. 스쿨버스를 운행한다. 벽파관 강당은 학생전체가 모일경우 1, 2학년은 강당 아랫층에 있고, 3학년은 강당 위 스탠드에 앉았지만 2019년 부터 바닥에 앉는다. [[SHINee]]가 한창 잘 나갈 때 [[SHINee]]팬들인 일본 아줌마들이 교사를 촬영한 적이 있다. 1, 2학년 학생들이 급식 시간마다 급식실 문 앞에 줄서있는데 그냥 반에서 놀다가 사람 빠질 때쯤 들어가는 게 훨씬 이득이다. 일년에 두어 번 '수요끼자랑' 이라는 행사가 열린다. 점심시간에 2층 홈베이스에서 진행되며, 학생들이 사회를 맡는다. == 사건사고 == [include(틀:사건사고)] * 홀로 서기로 유명한 시인 [[서정윤]]이 교사로 재직했다. 하지만 2008년 영신고등학교 재직 시절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421&aid=0000553006|남학생을 골프채로 체벌했다가 견책되었다]]. 이후 2009년 같은 재단 소속의 [[영신중학교(대구)|영신중학교]]로 근무지가 이동 되었다. 그러나 여중생을 성추행하다가 학교에서 파면당하고 불구속기소되었다. [[분류:1946년 개교]][[분류:영신교육재단]][[분류:개신교계 고등학교]][[분류:동구(대구)의 고등학교]][[분류:남녀공학 고등학교]][[분류:나무위키 교육기관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