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영수회담(領袖會談)은 일반적으로 행정부의 수반인 [[대통령]]과 입법부의 제1야당 대표(옛 총재) 간의 회담이다. 영수는 어떤 집단에서 특별히 뛰어난 사람을 의미하며, 따라서 영수회담은 국가나 정치단체 또는 어떤 사회조직의 최고 우두머리가 서로 만나서 의제를 가지고 말을 나눈다는 뜻이다.[* 한자로 ‘옷깃 영’(領), ‘소매 수’(袖)자를 쓴다. 옷깃과 소매가 왜 이러한 뜻으로 해석되는지에 관해서는[[https://kuduz.tistory.com/1054|해당 글]] 참조.] 한국 정치에서 '영수회담'이란 단어는 행정부의 수반인 [[대통령]]과 제1야당 대표의 양자회담만을 의미한다. 과거에는 대통령이 여당 총재를 겸하는 경우가 보통이었고, [[참여정부]] 이래로 대통령과 여당 대표가 분리되는 게 일반화되었지만 여당의 실질적 1인자는 여전히 대통령이다보니 일반적으로는 여당 대표와 야당 대표의 회담은 대개 영수회담이라 부르지 않는다. [[다당제]] 상황이 어느 정도 나왔던 [[문민정부]], [[국민의 정부]], [[참여정부]], [[문재인 정부]]에서는 1:1 만남 뿐만 아니라 원내 정당 대표들을 모두 초대하는 대표 회담을 하기도 했다. 문민정부는 당시 [[민주당]], [[자유민주연합]]을 [[국민의 정부]]는 [[한나라당]], [[자유민주연합]]을, [[참여정부]]는 [[한나라당]], [[민주노동당]], [[국민중심당]]을, [[문재인 정부]]는 [[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 [[정의당]], [[바른정당]]과 이후 [[민주평화당]], [[바른미래당]], 정의당을 초대하는 등 대표 회담을 주최했다. 다만 이 경우는 영수회담이라고 일컫지는 않는다. 우리나라에서는 대통령이 정치적 난국에 봉착했을 때 야당의 대표들과 회담하여 국정을 풀어가는 것이 역사적 관습으로 존재했다. == 역대 영수회담 == 관습적인 영수회담의 뜻에 맞게 다자회담을 제외한 양자 영수회담만 정리한다. === [[박정희 정부]] (5회) === ||[[파일:최초영수회담.jpg|width=100%]]|| || '''{{{#fff △ 1965년 7월 20일 영수회담}}}''' || ||[[파일:박정희 김영삼.png|width=100%]]|| || '''{{{#fff △ 1975년 5월 21일 영수회담}}}''' || * 1965년 7월 20일 [[박정희]] 대통령 - [[박순천]] [[민중당(1965년)|민중당]] 대표 * 1970년 8월 29일 등 총 2회 박정희 대통령 - [[유진산]] [[신민당(1967년)|신민당]] 총재 * 1975년 5월 21일 박정희 대통령 - [[김영삼]] [[신민당(1967년)|신민당]] 총재 * 1977년 5월 27일 박정희 대통령 - [[이철승]] [[신민당(1967년)|신민당]] 총재 === [[최규하 정부]] (1회) === 1980년 2월 18일에 [[최규하]] 대통령과 [[김영삼]] [[신민당(1967년)|신민당]] 총재의 영수회담이 있었다. 참고로 최규하 대통령은 당적을 가진 적이 없으며 전임 [[박정희 정부]]의 여당인 [[민주공화당]]의 총재는 [[김종필]]이었다. === [[전두환 정부]] (1회) === ||[[파일:전두환 김영삼.png|width=100%]]|| || '''{{{#fff △ 1987년 6월 24일 영수회담}}}''' || 1987년 6월 24일에 [[전두환]] 대통령과 [[김영삼]] [[통일민주당]] 총재의 영수회담이 있었다. === [[노태우 정부]] (2회) === * 1988년 8월 31일 [[노태우]] 대통령 - [[김대중]] [[평화민주당]] 총재 노태우 대통령 겸 [[민주정의당]] 총재는 이 회담에 앞서 제3야당 [[신민주공화당]] [[김종필]] 총재와 8월 22일, 제2야당 [[통일민주당]] [[김영삼]] 총재와 8월 29일에 개별 회담을 했다. * 1990년 1월 11일 노태우 대통령 - 김대중 평화민주당 총재 이후 노태우 대통령은 제2야당 통일민주당 김영삼 총재와 1월 12일에, 제3야당 신민주공화당 김종필 총재와 1월 13일에 개별 회담을 했다. 이는 1월 22일 [[3당 합당]]의 전조였다. === [[문민정부]] (2회) === ||[[파일:영수회담문민정부.jpg|width=100%]]|| || '''{{{#fff △ 1996년 4월 18일 영수회담}}}''' || * 1994년 3월 11일 [[김영삼]] 대통령 - [[이기택]] [[민주당(1991년)|민주당]] 대표 * 1996년 4월 18일 김영삼 대통령 - [[김대중]] [[새정치국민회의]] 대표 영수회담은 2회지만 전술했듯, 김영삼 대통령은 대표 회담을 가지며 몇 차례 다당 대표와 만났다. === [[국민의 정부]] (8회) === ||[[파일:영수회담국민의정부.jpg|width=100%]]|| || '''{{{#fff △ 2001년 10월 9일 영수회담}}}''' || * 1998년 2월 27일 [[김대중]] 대통령 - [[조순]] [[한나라당]] 총재 * 1998년 11월 10일 등 총 7회 김대중 대통령 - [[이회창]] [[한나라당]] 총재 === [[참여정부]] (2회) === ||[[파일:노무현 박근혜.png|width=100%]]|| || '''{{{#fff △ 2005년 9월 7일 영수회담}}}''' || * 2005년 9월 7일 [[노무현]] 대통령 - [[박근혜]] [[한나라당]] 대표 * 2007년 2월 9일 노무현 대통령 - [[강재섭]] [[한나라당]] 대표 영수 회담은 2회지만, 전술했듯 노무현 대통령은 대표 회담을 몇 차례 가지며 다당 대표와 만났다. === [[이명박 정부]] (3회) === ||[[파일:영수회담0805.jpg|width=100%]]|| || '''{{{#fff △ 2008년 5월 20일 영수회담}}}''' || ||[[파일:영수회담0809.jpg|width=100%]]|| || '''{{{#fff △ 2008년 9월 25일 영수회담}}}''' || * 2008년 5월 20일 [[이명박]] 대통령 - [[손학규]] [[통합민주당(2008년)|통합민주당]] 대표 * 2008년 9월 25일 이명박 대통령 - [[정세균]] [[통합민주당(2008년)|통합민주당]] 대표 * 2011년 6월 27일 이명박 대통령 - 손학규 [[민주당(2008년)|민주당]] 대표 === [[박근혜 정부]] (0회) === 양자회담 기록은 없고, 여당 [[새누리당]] 대표를 동반한 다자회담은 여러 번 가졌다. [[http://www.hani.co.kr/arti/politics/politics_general/714222.html|#]] === [[문재인 정부]] (1회) === ||[[파일:문재인 홍준표.png|width=100%]]|| || '''{{{#fff △ 2018년 4월 13일 영수회담}}}''' || 2017년에 선출된 [[자유한국당]] [[홍준표]] 대표는 [[http://news.nate.com/view/20170703n31649|"내가 당 대표 하는 한 영수회담 없다"]]고 선언하고 임기 초반 여러 번 있었던 대통령 +원내 5당 대표 모임 등에 모두 불참했다. 그러다 [[2018 제1차 남북정상회담]]이 열리기 2주 전인 2018년 4월 13일에 [[문재인]] 대통령과 영수회담을 가졌다. 영수 회담은 1회지만, 전술했듯 문재인 대통령은 대표회담을 몇차례 가지며 여러 당대표와 만났다. === [[윤석열 정부]] === [[2022년]]부터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몇 차례 영수회담을 제안했으나 [[윤석열]] 대통령은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040566635477064&mediaCodeNo=257|범죄 피의자와 면담은 부적절]]'하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고, 대신 [[국민의힘]] 측에서 [[김기현]] 대표와 여야대표 회담을 맞제안하고 있으나 민주당 측에서는 정부의 영수회담 거부를 들어 이를 거부하며 대치가 지속되어 당분간은 성사될 가능성이 희박하다. [[분류:회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