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조선의 왕자군]][[분류:서출]][[분류:1490년 출생]][[분류:1538년 사망]][[분류:전주 이씨 영산군파]][[분류:서울특별시의 기념물]] [include(틀:다른 뜻1, other1=다른 뜻, rd1=영산군(행정구역))] [include(틀:조선의 왕자/목조 ~ 연산군)] ||<-7><:><#e9502b> '''[[전주 이씨|[[파일:전주 이씨 종문.svg|width=30]]]] [[영산군|{{{#f5e6cb 전주 이씨 영산군파의 역대 종주}}}]]''' || ||<:> 영산군가 역사 시작 ||<:> {{{+1 ←}}} ||||<#e9502b><:>'''{{{#f5e6cb 1대 영산군 이전}}}''' || {{{+1 →}}} ||<:> 2대 장흥군 이상 || ||<-3><#94153E> {{{#gold '''조선 성종의 왕자'''[br]{{{+1 '''영산군[br] 寧山君'''}}}}}} || ||<-2><#94153E> '''[[봉호|{{{#gold 봉호}}}]]''' ||<(> 영산군(寧山君)[* 봉호는 [[충청남도]] [[천안시|천안]]의 옛 이름인 영산군(寧山郡)에서 유래했다.] || ||||<:><#94153E> '''[[시호|{{{#gold 시호}}}]]''' ||<(> 충희(忠僖) || ||||<:><#94153E> '''[[본관|{{{#gold 본관}}}]]''' ||<(> [[전주 이씨]] || ||||<:><#94153E> '''[[이름|{{{#gold 이름}}}]]''' ||<(> 전(恮) || ||||<:><#94153E> '''[[자(이름)|{{{#gold 자}}}]]''' ||<(> 공근(公謹) || ||||<:><#94153E> '''{{{#gold 부왕}}}''' ||<(> [[성종(조선)|조선 성종]] || ||||<:><#94153E> '''{{{#gold 생모}}}''' ||<(> [[숙용 심씨]] || ||||<:><#94153E> '''{{{#gold 부인}}}''' ||<(> 금릉군부인 [[청송 심씨]] (金陵郡夫人 靑松 沈氏) 교성군부인 [[경주 정씨]] (交城郡夫人 慶州 鄭氏) 함흥군부인 [[황(성씨)|함흥 황씨]] (咸興郡夫人 咸興 黃氏) || ||||<:><#94153E> '''{{{#gold 자녀}}}''' ||<(> '''슬하 4남 7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적장녀 - 이의정(李懿貞, {{{-3 1508 ~ ?}}}) {{{-3 심씨 소생}}} 적차녀 - 이경정(李敬貞, {{{-3 1510 ~ ?}}}) {{{-3 심씨 소생}}} 적장남 - 은천군 이정(銀川君 李禎, {{{-3 1514 ~ ?}}}) {{{-3 황씨 소생}}} 적차남 - 장흥군 이상(長興君 李祥, {{{-3 1520 ~ ?}}}) {{{-3 황씨 소생}}} 적3남 - 음성군 이유(陰城君 李裕, {{{-3 1520 ~ 1588}}}) {{{-3 황씨 소생}}} 적3녀 - 류현조(柳顯祖)의 처({{{-3 1522 ~ ?}}}) {{{-3 황씨 소생}}} 적4남 - 양산군 이록(梁山君 祿, {{{-3 1530 ~ 1573}}}) {{{-3 황씨 소생}}} 적4녀 - [[전주 이씨]](全州 李氏) {{{-3 황씨 소생}}} 적5녀 - [[전주 이씨]](全州 李氏) {{{-3 황씨 소생}}} 서장녀 - 이막지(李莫只, {{{-3 1518 ~ ?}}}) 서차녀 - 이종개(李終介, {{{-3 1538 ~ ?}}}) }}} || ||||<:><#94153E> '''{{{#gold 묘소}}}''' ||<(>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외동 || ||<|2><:><#94153E> '''{{{#gold 생몰[br]기간}}}''' ||<:><#94153E> '''[[음력|{{{#gold 음력}}}]]''' ||[[1490년]] [[9월 24일]] ~ [[1538년]] [[6월 11일]] || ||<:><#94153E> '''[[태양력|{{{#gold 양력}}}]]''' ||[[1490년]] [[11월 6일]] ~ [[1538년]] [[7월 6일]] || [목차] [clearfix] == 개요 == 조선 중기의 왕족. [[성종(조선)|성종]]의 14남이자 서12남이다. 어머니는 숙용 심씨이다. 친형제로는 누나 경순옹주와 숙혜옹주, 형 [[이성군]]이 있으며 [[전주 이씨]] 영산군파의 파시조이다. == 생애 == 어릴 때부터 총명하고 조용하면서도 용맹하며 청렴 강직한 성품으로 [[성종(조선)|성종]]의 사랑을 많이 받고 자랐다. [[시]]와 [[그림]]에 능했고 외모 또한 수려했으며 사람들의 인망을 많이 얻었다고 한다. 요즘 말로 표현하면 그야말로 [[엄친아]]. 하지만 그로 인해 여러 역모 사건에서 추대 대상이 되어 고초를 겪기도 했다. 1538년([[중종(조선)|중종]] 33년) 7월 6일에[* 음력 6월 11일.] 세상을 떠났다. 향년 47세.[* [[세는나이]] 49세.] == 묘역 == ||<-5>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30&height=30]] '''[[서울특별시의 기념물|{{{#ffffff 서울특별시의 기념물}}}]]''' || || 25호 ||<|2> ← || '''26호''' ||<|2> → || 27호 || || [[숙용 심씨#s-3|숙용 심씨 묘표]] || '''영산군 이전 묘역''' || [[목서흠#s-4|충정공 목서흠 묘역]] || ---- ||<-2>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28]] '''{{{#ffffff 서울특별시의 기념물 제26호}}}''' || ||<-2> {{{#fff {{{+1 '''영산군 이전 묘역'''}}}[br]{{{-1 寧山君 李恮 墓域}}}}}} || ||<-2>{{{#!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include(틀:지도, 장소=영산군 이전 묘역, 너비=100%, 높이=100%)]}}}|| || '''{{{#fff 소재지}}}''' ||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동 산 39 산39, 산103-1 || || '''{{{#fff 분류}}}''' || 유적건조물 / 무덤 / 왕실무덤 / 조선시대 || || '''{{{#fff 수량 / 면적}}}''' || 분묘 1基, 석물 10基, 토지 344㎡ || || '''{{{#fff 지정연도}}}''' || [[2007년]] [[2월 15일]] || || '''{{{#fff 시대}}}''' || [[조선시대]] || || '''{{{#fff 소유자[br](소유단체)}}}''' || [[전주 이씨]] 화의군파 종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영산군묘역.jpg|width=100%]]}}} || || {{{#ffd800 ''' 영산군 이전 묘역[* [[http://www.heritage.go.kr/heri/cul/imgHeritage.do?ccimId=5102992&ccbaKdcd=23&ccbaAsno=00240000&ccbaCtcd=11|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 || [clearfix] ---- 묘는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동(예전 지명은 진관외동)에 있으며 아들 장흥군 이상, 손자 이경의, 증손자 이종 묘도 함께 있다. 2007년 2월 15일 서울특별시 기념물 제26호로 지정받았다. == 여담 == * 전주 이씨 대동종약원에서 언급한 일화이다. 평소에 [[연산군]]은 동생 [[영산군]]의 성품을 시기했다. 그래서 [[숭례문]] 앞부터 [[말(동물)|말]]을 타고 달려서 연산군 자신보다 먼저 [[궁궐]]에 도착하면 살고, 늦으면 죽는다는 내기를 강제로 걸었다. 이에 영산군이 괴로워하던 중 형 [[회산군]]이 영산군에게 빠른 말을 구해줘 화를 피하게 했다.[[http://www.rfo.co.kr/view_party.php?refnum=070|#]] 《[[연려실기술]]》에도 같은 이야기가 나오는데 회산군 포지션에 영산군이, 영산군 포지션에 [[중종(조선)|진성대군]](훗날의 중종)이 적혀있어 차이가 있다.[[https://db.itkc.or.kr/dir/item?itemId=BT#/dir/node?dataId=ITKC_BT_1300A_0070_030_0050&solrQ=query%E2%80%A0%E5%AF%A7%E5%B1%B1%E5%90%9B$solr_sortField%E2%80%A0$solr_sortOrder%E2%80%A0$solr_secId%E2%80%A0BT_AA$solr_toalCount%E2%80%A014$solr_curPos%E2%80%A08$solr_solrId%E2%80%A0BD_ITKC_BT_1300A_0070_030_0050|#]] == 가족 관계 == * 부 : [[성종(조선)|성종]](成宗, 1457 ~ 1494) * 모 : [[숙용 심씨]](淑容 沈氏, 1465 ~ 1515) * 누나 : [[경순옹주]] 이옥환(慶順翁主 李玉環, 1482 ~ ? ) * 누나 : [[숙혜옹주(성종)|숙혜옹주]] 이벽환(淑惠翁主 李璧環, 1486 ~ 1525) * 형 : [[이성군]] 이관(利城君 李慣, 1489 ~ 1552) * 정실 : 금릉군부인 [[청송 심씨]](金陵郡夫人 靑松 沈氏, ? ~ 1524) - 심순로(沈順路)의 딸, [[수춘군]]의 외손녀이다. * 적장녀 : 이의정(李懿貞, 1508 ~ ? ) * 사위 : 현감 증 참판 [[광산 김씨|김종]](縣監 贈 參判 金綜) * 외손녀 : [[광산 김씨]](光山 金氏, 1524 ~ ? ) * 외손서 : 첨지 [[진주 류씨|류용]](僉知 柳溶)에게 출가 * 외손자 : 감찰 증판서 김원상(監察 贈判書 金元祥, 1526 ~ ? ) * 적차녀 : 이경정(李敬貞, 1510 ~ ? ) * 사위 : 군수 [[경주 정씨|정충인]](郡守 鄭忠仁) * 외손녀 : 정옥련(鄭玉蓮, 1531 ~ ?) * 외손서 : 참의 [[안동 권씨|권벽]](參議 權擘)에게 출가 * 외손자 : 군수 정사급(郡守 鄭思伋, 1537 ~ ?) * 외손자 : 사의 정사억(司議 鄭思億, 1542 ~ ?) * 1계실 : 교성군부인 [[경주 정씨]](交城郡夫人 慶州 鄭氏) - 별좌증 찬성 정홍손(別坐 贈 贊成 鄭弘先)의 딸 * 2계실 : 함흥군부인 함흥 황씨(咸興咸興郡 咸興 黃氏) - 주부 황징(主簿 黃徵)의 딸 * 적장남 : 은천군 이정(銀川君 李禎, 1514 ~ ?) * 며느리 : [[광산 김씨]](光山 金氏) - 첨지 김철문(僉知 金綴文)의 딸 * 손녀 : 이전(李荃, 1532 ~ ?) - * 손서 : 감목관 [[동래 정씨|정포]](監牧官 鄭誧) * 손자 : 해풍령 이언경(海豊令 李彦慶, 1536 ~ ?) * 손녀 : 이훈(李薰, 1538 ~ ?) * 손서 : 최대효(崔大孝) * 손녀 : 이란(李蘭, 1541 ~ ?) * 손서 : [[평강 채씨|채창선]](蔡昌先) * 손녀 : 이혜(李蕙, 1542 ~ ?) * 손서 : 박전(朴栴) * 손자 : 해천령 이언단(海川令 李彦慱, 1546 ~ ?) * 손녀 : 이청(李菁, 1552 ~ ?) * 손서 : 송상겸(宋尙謙) * 손녀 : 이온(李薀, 1557 ~ ?) * 손서 : 부장 김사려(部將 金師呂) * 적차남 : 장흥군 이상(長興君 李祥, 1520 ~ ?) * 며느리 : [[죽산 안씨]](竹山 安氏) - 첨지 안종원(僉使 安宗元)의 딸 * 손녀 : 이난취(李蘭臭, 1545 ~ ?) * 손서 : 진사 송사우(進士 宋尙友) * 손자 : 덕원수 경의(德源守 鏡義, 1547 ~ ?) * 손녀 : 이추향(李秋香, 1550 ~ ?) * 손서 : 충의위 이면(忠義衛 李沔) * 손녀 : 이추영(李秋英, 1557 ~ ?) * 손서 : 첨정 [[광주 안씨|안민학]](僉正 安敏學) * 며느리(첩) : 노비 금이(今伊) * 서손녀 : [[전주 이씨]](全州 李氏) * 서손서 : 습독 유극충(習讀 劉克忠) * 서손녀 : 이추옥(李秋玉, 1556 ~ ?) * 서손서 : 증지평 윤진(贈持平 尹震) * 서손녀 : 이난옥(李蘭玉, 1561 ~ ?) * 서손서 : 백광우(白光佑) * 서손자 : 덕신령 이경례(德新令 李鏡禮, 1564 ~ ?) * 서손자 : 덕창령 이경지(德昌令 李鏡智, 1568 ~ ?) * 서손자 : 덕인령 이경신(德仁令 李鏡信, 1570 ~ ?) * 적3남 : 음성군 이유(陰城君 李裕, 1520 ~ 1588) * 며느리 : [[하동 정씨]](河東 鄭氏) - 충의위 정렬(忠義衛 鄭烈)의 딸 * 손자 : 광평령 이언기(廣平令 李彦王+綦, 1544 ~ ?) * 손녀 : 이인개(李麟介, 1548 ~ ?) * 손서 : 신상렴(申尙濂) * 손녀 : 이갑(李甲, 1549 ~ ?) * 손서 : 임기(任起) * 손자 : 의안령 이언침(義安令 李彦琛, 1553 ~ ?) * 며느리(첩) : 노비 인덕(寅德) * 서손자 : 덕순령 이경충(德純令 李鏡忠, 1573 ~ ?) * 적4남 : 양산군 이록(梁山君 李祿, 1530 ~ 1573) * 며느리 : 병사 지세방(兵使 池世芳)의 딸 * 손녀 : 이달문(李達脗, 1538 ~ ?) * 손서 : [[연안 차씨|차금로]](車金輅) * 손자 : 학림령 이언진(鶴林令 李彦璡, 1549 ~ ?) * 손녀 : 이종이(李從伊, 1555 ~ ?) * 손서 : 군수 [[안동 권씨|권함]](郡守 權涵)에게 출가 * 손자 : 봉림령 이언선(鳳林令 李彦瑄, 1558 ~ ?) * 며느리(첩) : 노비 덕상(德上) * 서손녀 : 이덕향(李德香, 1557 ~ ?) * 서손서 : 주덕유(周德裕) * 며느리(첩) : 노비 덕지(德只) * 서손자 : 청림군 이언형(淸林君 李彦珩, 1563 ~ ?) * 서손녀 : 이춘향(李春香, 1564 ~ ?) * 서손서 : 최연(崔淵) * 서손자 : 죽림부령 이언관(竹林副令 李彦琯, 1570 ~ ?) * 서손자 : 송림부령 이언경(松林副令 李彦璟, 1573 ~ ?) * 서손자 : 무림부령 이언옥(茂林副令 李彦玉, 1577 ~ ?) * 적3녀 : 전주 이씨(全州 李氏, 1522 ~ ?) * 사위 : 군수 류현조(郡守 柳顯祖) * 적4녀 : [[전주 이씨]](全州 李氏) * 적5녀 : [[전주 이씨]](全州 李氏) * 첩부인 : 향이(香伊) * 첩부인 : 어여분(於汝分) * 서장녀 : 이종개(李終介, 1538 ~ ?) * 사위 : 현감 최진양(縣監 崔震陽) * 외손자 : 판관 최암(判官 崔嵓, 1558 ~ ?) * 외손녀 : 최장수(崔長壽, 1563 ~ ?) * 외손서 : 직장 강성일(直長 姜誠一) * 외손녀 : 최열이(崔烈伊, 1565 ~ ?) * 외손서 : 판관 이복경(判官 李復慶)에게 출가 * 외손자 : 봉사 최급(奉事 崔岌, 1567 ~ ?) * 외손자 : 만호 최율(萬戶 崔嵂, 1568 ~ ?) * 첩부인 : 성씨미상 * 서차녀 : 이막지(李莫只, 1518 ~ ?) * 사위 : 현감 허광우(縣監 許光祐) * 외손녀 : 허옥린(許玉香, 1550 ~ ?) - * 외손서 : 충의위 이섬(忠義衛 李暹) * 외손자 : 내금위 허응린(內禁衛 許應麟, 1554 ~ ?) === 후손 === 영산군의 7대손 이의저는 사후 100여 년 뒤인 1872년([[고종(대한제국)|고종]] 9년)에 [[소현세자]]의 차남 경완군 이석린의 사후 [[양자(가족)|양자]]로 입적되었고 임녕군(臨寧君)에 추증되었다.[[https://db.itkc.or.kr/dir/item?itemId=ST#/dir/node?dataId=ITKC_ST_Z0_A09_12A_04A_00200&solrQ=query%E2%80%A0%EC%9D%B4%EC%9D%98%EC%A0%80$solr_sortField%E2%80%A0$solr_sortOrder%E2%80%A0$solr_secId%E2%80%A0ST_AA$solr_toalCount%E2%80%A024$solr_curPos%E2%80%A023$solr_solrId%E2%80%A0BD_ITKC_ST_Z0_A09_12A_04A_00200|#]] 영산군의 15대 [[장손|종손]]이 [[문민정부]] 때 [[국무총리]]를 지낸 [[이홍구(정치인)|이홍구]]이다.[[http://www.rfo.co.kr/view_party.php?refnum=078|#]][[http://cafe.daum.net/sungoo2002/EiMA/10?q=%EC%9D%B4%ED%99%8D%EA%B5%AC%20%EC%A2%85%EC%86%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