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개통 전 가칭이 영동역이었던 분당선의 역, rd1=한티역)] || '''{{{#ffffff {{{-1 폐역}}}}}}''' || '''영동''' - ~~[[미륵역|[ruby(미륵, ruby=1938(1967)~1992)]]]~~ - [[황간역|{{{#000000,#ffffff 황간}}}]] || ||<-3> {{{+2 {{{#ffffff '''영동역'''}}}}}}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일반열차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 [[서울역|{{{#!html
서울 방면}}}]][[옥천역|옥 천]][br]← 29.1 ㎞ ||<|2> [[경부선|{{{#!html
경부선}}}]][[ITX-새마을|[[파일:ITX-새마을 BI_All White.png|height=15]]]] [* 신해운대역으로 향하는 열차는 영동역을 통과하며 [[신해운대역|신해운대]]발 ITX새마을 한정으로 영동역 정차.] || [[부산역|{{{#!html
부산 방면}}}]] || ||<|2> [[김천역|김 천]][br]42.2 ㎞ → || ||<|2> [[서울역|{{{#!html
서울 출발}}}]][[옥천역|옥 천]][br]29.1 ㎞ → ||<|2> [[경전선|{{{#!html
경전선}}}]][[ITX-새마을|[[파일:ITX-새마을 BI_All White.png|height=15]]]] || || [[진주역|{{{#!html
진주 방면}}}]] || || [[서울역|{{{#!html
서울 방면}}}]][[옥천역|옥 천]][br]← 29.1 ㎞ ||<|4> [[무궁화호|{{{#!html
경부선
무궁화호
}}}]] ||<|4> [[부산역|{{{#!html
부산 방면}}}]][[황간역|황 간]][br]14.6 ㎞ → || || [[이원역|이 원]][br]← 20.8 ㎞ || || [[지탄역|지 탄]][br]← 15.2 ㎞ || || [[심천역|심 천]][br]← 10.8 ㎞ || || [[영주역|{{{#!html
영주 방면}}}]][[각계역|각 계]][br]← 7.0 ㎞ ||<|2> [[무궁화호|{{{#!html
충북선
무궁화호
}}}]] || [[동대구역|{{{#!html
동대구 방면}}}]][[황간역|황 간]][br]14.6 ㎞ → || || [[심천역|심 천]][br]← 10.8 ㎞ || [[추풍령역|추풍령]][br]23.1 ㎞ → ||}}}}}}}}} || ||<-3> {{{#!wiki style="margin: -6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영동역, 너비=100%, 높이=225px)]}}} || ||<-3> {{{#ffffff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2> Yeongdong || || [[한자]] ||<-2> 永同 || || [[간체자]] ||<-2> 永同 || || [[가나(문자)|가나]] ||<-2> [ruby(永同, ruby=ヨンドン)] || ||<-3> {{{#ffffff '''주소'''}}} || ||<-3> [[충청북도]] [[영동군]] 영동읍 계산로 87 (계산리) || ||<-3> {{{#ffffff '''관리역 등급'''}}} || ||<-3> [[보통역]][br]([[대전역]] 관리/[[한국철도공사]] 대전충청본부) || ||<-3> {{{#ffffff '''운영 기관'''}}} || || [[경부선]] ||<-2> [[한국철도공사]] || ||<-3> {{{#ffffff '''개업일'''}}} || || [[경부선]] ||<-2> 1905년 1월 1일 || || [[ITX-새마을|[[파일:ITXsaemaeul_whiteLOGO.png|width=80px]]]] ||<-2> 2014년 5월 12일 || || [[무궁화호|{{{#ffffff 무궁화호}}}]] ||<-2> 1984년 1월 1일 || ||<-3> {{{#ffffff '''철도거리표'''}}} || || [[서울역|{{{#!html
서울 방면}}}]][[각계역|각 계]][br]← 7.0 ㎞ || '''[[경부선]]'''[br]영 동 || [[부산역|{{{#!html
부산 방면}}}]][[황간역|황 간]][br]14.6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충북영동역.jpg|width=100%]]}}}|| || {{{#ffffff '''현 역사(1999년 준공)'''}}}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영동역 스탬프.jpg|width=100%]]}}}|| || {{{#ffffff '''영동역의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 [목차] [clearfix] == 개요 == >'''열사가 지키는 역''' >영동역은 1905년 경부선 개통과 함께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한국전쟁으로 역사가 소실됨에 따라 가역사를 거쳐 1956년 역사를 복구 준공하였는데, 당시의 역사는 328㎡ 규모의 벽돌기와 지붕 단층역사이다. 현재는 그 소박한 모습을 상상하기 힘든 주요 역사로 성장하였지만, 1973년 2월 4일 영동역 광장에 설립된 심석재 송병순의사 동상은 옛 역사에 이어 오늘날까지 영동역사를 지키고 있다. 현재의 역사는 1996년 준공된 것으로 영동 지역민뿐만 아니라 일대 지역 교통의 중심으로 역할하고 있다. >----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경부선]]의 [[철도]]역. [[충청북도]] [[영동군]] 영동읍 계산로 87 (계산리 205)에 위치해 있다. [[영동군]]의 중심역이자 [[그룹대표역]]. 입지 면에서도 [[경부고속도로]] [[영동IC]]의 접근성이 좋지 않아 열차가 선전하는 편이다. 2019년 현재 쓰는 역사는 1999년 완공한 것[* 2009년 경 리모델링을 하였다. 하지만 화장실을 넓히면서 난방이 잘 되던 맞이방을 입구 바로 옆에 놓음과 동시에 코레일 표준 디자인(?)을 채택해서 평가는 좋지 않다. 다행히 2011년에 맞이방에 유리 칸막이가 생기면서 냉난방 문제가 해결되었다.]. 이 역과 [[황간역]] 사이의 거리는 무려 '''14.6㎞'''인데, 두 역 사이에 있던 [[미륵역]]이 폐역되면서 역간거리가 벌어지게 된 것. 폐역 이후 미륵역의 역사는 철도 시설관리단 직원들의 휴게실로 쓰이고 있다. [[http://hnlee6.tistory.com/m/718|#]] 불과 몇 년 전까지 석탄 화물 취급을 했으나 현재는 중지된 것으로 보이며 인입선로가 있어서 아주 가끔 군용화물취급도 이루어진다. 영동역을 지나 황간역 가기 전 삽령터널까지는 계속 오르막길이라 디젤기관차로 넘기 꽤나 버거운 구간이다. 2011년 11월에 [[육군종합행정학교]]가 영동군으로 이전하면서 역 2층에 [[TMO]]가 신설되었다. 이 역에서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를 날인할 수 있다. [[통영대전고속도로]]가 개통되기 전까지는 전라북도 [[무주군]] [[주민]]들도 이 역에 와서 열차를 많이 탔다고 한다. 물론 지금도 무주에서 영동역까지 가는 [[동일버스|농어촌버스]]가 자주 운행되고 있어 영동장을 이용하는 무주군민들과 무주리조트를 이용하는 관광객들이 많이 이용하고 있다. 여기서 버스를 이용하는것이 경부선 연선에서 무주를 대중교통으로 진입하는 그나마 편한 방법이기 때문이다. == 일평균 이용객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ffffff '''연도'''}}} || {{{#!wiki style="margin: -0px -9px" [[ITX-새마을|[[파일:ITX-새마을 BI.svg|width=68]]]]}}} || [[무궁화호|{{{#!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55839; font-size: .9em" {{{#ffffff '''무궁화호'''}}}}}}]] || {{{#ffffff '''총합'''}}} || {{{#ffffff '''비고'''}}} || || 2004년 || 282명 || 2,441명 || 2,723명 || || || 2005년 || 260명 || 2,584명 || 2,844명 || || || 2006년 || 237명 || 2,624명 || 2,861명 || || || 2007년 || 280명 || 2,722명 || 3,002명 || || || 2008년 || 368명 || 2,788명 || 3,156명 || || || 2009년 || 424명 || 2,784명 || 3,208명 || || || 2010년 || 410명 || 2,971명 || 3,381명 || || || 2011년 || 351명 || 3,292명 || 3,643명 || || || 2012년 || 300명 || 3,411명 || 3,711명 || || || 2013년 || 374명 || 3,468명 || 3,842명 || || || 2014년 || 402명 || {{{#f55839 3,504명}}} || {{{#red 3,906명}}} || || || 2015년 || 394명 || 3,343명 || 3,737명 || || || 2016년 || 333명 || 3,225명 || 3,558명 || || || 2017년 || 380명 || 2,983명 || 3,363명 || || || 2018년 || 413명 || 2,994명 || 3,407명 || || || 2019년 || 431명 || 3,005명 || 3,436명 || || || 2020년 || 249명 || 1,724명 || 1,973명 || || || 2021년 || 259명 || 1,698명 || 1,957명 || || || 2022년 || {{{#c30e2f 438명}}} || 2,033명 || 2,471명 || || ||<-5> {{{#ffffff '''출처'''}}} || ||<-5> [[https://info.korail.com/info/selectBbsNttList.do?bbsNo=202&key=1421|철도통계연보]] || }}} == 시간표 == |||||||| [[파일:ITX-새마을 BI.svg|width=68]] [[무궁화호|{{{#!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55839; font-size: .9em" {{{#ffffff '''무궁화호'''}}}}}}]] (상행) |||||||| || 시간 || 열차종별 || 열차번호 || 종착역 || || 08:14 || 무궁화 || 1202 || 서울 || || 08:38 || 무궁화 || 1204 || 서울 || || 09:39 || 무궁화 || 1352 || 대전 || || 09:57 || 무궁화 || 1206 || 서울 || || 10:05 || 무궁화 || 4302 || 동대구 || || 10:36 || 무궁화 || 1208 || 서울 || || 11:04 || ITX-새마을 || 1004 || 서울 || || 11:57 || 무궁화 || 1354 || 대전 || || 12:54 || 무궁화 || 1210 || 서울 || || 14:41 || ITX-새마을 || 1006 || 서울 || || 15:39 || 무궁화 || 1212 || 서울 || || 15:56 || ITX-새마을 || 1008 || 서울 || || 16:35 || 무궁화 || 1214 || 서울 || || 17:29 || 무궁화 || 1216 || 서울 || || 17:41 || ITX-새마을 || 1010 || 서울 || || 18:17 || 무궁화 || 1356 || 대전 || || 18:50 || ITX-새마을 || 1034 || 서울 || || 20:00 || 무궁화 || 1358 || 대전 || || 20:05 || ITX-새마을 || 1022 || 서울 || || 20:58 || 무궁화 || 4304 || 동대구 || || 21:02 || ITX-새마을 || 1012 || 서울 || || 22:18 || 무궁화 || 1218 || 서울 || || 23:03 || 무궁화 || 1360 || 대전 || || 00:08 || 무궁화 || 1362 || 대전 || |||||||| [[파일:ITX-새마을 BI.svg|width=68]] [[무궁화호|{{{#!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55839; font-size: .9em" {{{#ffffff '''무궁화호'''}}}}}}]] (하행) |||||||| || 시간 || 열차종별 || 열차번호 || 종착역 || || 05:56 || 무궁화 || 1351 || 부산 || || 06:56 || 무궁화 || 1353 || 부산 || || 07:07 || 무궁화 || 4301 || 영주 || || 07:46 || 무궁화 || 1355 || 부산 || || 08:31 || ITX-새마을 || 1001 || 부산 || || 09:39 || 무궁화 || 1201 || 부산 || || 09:08 || 무궁화 || 1203 || 부산 || || 09:53 || 무궁화 || 1205 || 부산 || || 11:07 || ITX-새마을 || 1003 || 부산 || || 11:28 || ITX-새마을 || 1031 || 진주 || || 12:43 || ITX-새마을 || 1005 || 부산 || || 12:48 || 무궁화 || 1207 || 부산 || || 13:51 || 무궁화 || 1357 || 부산 || || 14:45 || ITX-새마을 || 1007 || 부산 || || 15:48 || 무궁화 || 1209 || 부산 || || 16:10 || ITX-새마을 || 1009 || 부산 || || 16:42 || 무궁화 || 1211 || 부산 || || 17:16 || 무궁화 || 1213 || 부산 || || 18:45 || 무궁화 || 1359 || 부산 || || 19:26 || 무궁화 || 4303 || 영주 || || 20:15 || 무궁화 || 1215 || 부산 || || 20:40 || 무궁화 || 1217 || 부산 || || 21:46 || 무궁화 || 1361 || 부산 || || 22:32 || ITX-새마을 || 1013 || 부산 || == 승강장 == ||<-10> ↑ [[각계역|각계]] || || ㅣ || ㅣ || {{{#ffffff 1}}} || {{{#ffffff 2}}} || ㅣ || ㅣ || {{{#ffffff 3}}} || {{{#ffffff 4}}} || ㅣ || ㅣ || ||<-10> [[황간역|황간]] ↓ || ||<|2> {{{#ffffff 1·2}}} || [[경부선]] || [[ITX-새마을|[[파일:ITX-새마을 BI.svg|width=45]]]]·[[무궁화호|{{{#!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55839; font-size: .9em" {{{#ffffff '''무궁화호'''}}}}}}]] ||[[대전역|대전]]·[[천안역|천안]]·[[서울역|서울]] 방면 || || [[충북선]] || [[무궁화호|{{{#!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55839; font-size: .9em" {{{#ffffff '''무궁화호'''}}}}}}]] ||[[대전역|대전]]·[[청주역|청주]]·[[영주역|영주]] 방면 || ||<|3> {{{#ffffff 3·4}}} || [[경부선]] || [[ITX-새마을|[[파일:ITX-새마을 BI.svg|width=45]]]]·[[무궁화호|{{{#!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55839; font-size: .9em" {{{#ffffff '''무궁화호'''}}}}}}]] ||[[김천역|김천]]·[[동대구역|동대구]]·[[부산역|부산]] 방면 || || [[경전선]] || [[ITX-새마을|[[파일:ITX-새마을 BI.svg|width=45]]]] ||[[동대구역|동대구]]·[[마산역|마산]]·[[진주역|진주]] 방면 || || [[충북선]] || [[무궁화호|{{{#!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55839; font-size: .9em" {{{#ffffff '''무궁화호'''}}}}}}]] ||[[김천역|김천]]·[[구미역|구미]]·[[동대구역|동대구]] 방면 || == 열차 운행 정보 == 관리역인 관계로 서울-부산을 오가는 [[ITX-새마을]]이 상행 5편, 하행 6편 정차하고 있으며[* 상행 #1004, #1006, #1008, #1010, #1022 및 하행 #1001, #1003, #1005, #1007, #1009, #1013][* KTX 2단계 개통 전만 하더라도 서울-부산, 서울-경주-부전, 서울-해운대 새마을호가 대거 정차했다. 서울-마산, 서울-포항은 KTX 1단계 개통 이전엔 일부 정차하기도 했으나 이후 모두 통과하다 운행 계통이 사라졌다.] 무궁화호는 전 열차가 정차한다. [[충북영동국악와인열차]]도 비정기적으로 종착한다. [[영동군]]은 [[충청북도]]이지만 [[충청북도청]] 소재지인 청주시보다 [[대전광역시|대전]]이 더 가깝기 때문에 [[옥천군|옆 동네]]와 더불어 대전과 왕래가 잦은데, 버스 편수가 얼마 없어서 대중교통으로 여객열차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때문에 5만여 명의 인구 규모에 비해 정차가 잘 되는 편이다. [[옥천역|옆 동네 중심역]]은 새마을호는커녕 일부 무궁화호조차 무정차 통과하는 역임을 생각하면...[* 대신 [[대전, 옥천 버스 607|대전 동부와 옥천을 오가는 시내버스]]가 자주 다닌다. [[경부선]] 또는 신흥역, 판암역에서 몇 10분만 기다리면 자주 볼 수 있다. 그리고 [[충청권 광역철도]]가 개통될 예정이다.] == 기타 == 1973년에 대규모 열차 사고가 벌어지기도 했다. [[영동역 유조열차 폭발 사고]] 문서 참조. 역 건물 우측에는 1973년에 건립된 [[독립운동가]] 송병순의 동상이 있다.[[https://tour.yd21.go.kr/site/media/html/sub01/0101.html?mode=SV&mng_no=964|#]] 참고로 [[분당선]] [[한티역]]의 공사역명이 영동(永東)이었으나 이 영동은 강남개발 당시에 [[영등포]]의 동쪽이란 뜻으로 관행적으로 불렸을 뿐 공식적인 지명은 아니었기 때문에 이후 정식역명 결정과정에서 제외되었다. 물론 두 역 모두 당시 철도청 관할이었기 때문에 역명 중복을 고려할 필요도 있었다. 이 역과 [[황간역]] 사이의 개근철교에서 [[노근리 양민 학살 사건]]이 일어났다. 이 역 인근에 시외버스가 다닌다.[* 이 곳에서 [[무주공용버스터미널|무주]], 학산직행, 설천, 구천동, 심천직행, 이원, [[옥천시외버스공영정류소|옥천]], 남청주, 충북대병원, [[청주시외버스터미널|청주]], [[부천소풍터미널|부천]] 등 으로 갈 수 있다. 역 바로 앞에 서는 것은 아니고, 600번대 농어촌버스가 서는 곳 인근에서 조금 들어가면 시외버스정류장이 나온다.] 영동군에서는 [[충청권 광역철도]]가 이곳 영동역까지의 연장을 바라고 있으며 [[김천시]]와도 셔틀 트레인의 개통을 바라고 있다. 만약 개통이 된다면 주변 지역으로 좀더 저렴하게 오갈 수 있을 것이다. [[검정고무신]] 2기의 [[이기영(검정 고무신)|이기영]]과 [[이기철]]이 자신들의 외사촌인 춘식이와 헤어지는 곳이다. [[2021년]] [[11월 27일]] 오전 8시 50분경, 40대 남성이 영동역을 통과하는 [[ITX-새마을]] 제 1002 열차에 치여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남성은 경부선 영동역 상행 선로 중간에 누워있었던 것으로 파악되었다. 사고열차는 약 105분가량 지연되어 서울역에 도착하였다.[[https://n.news.naver.com/article/052/0001670239|#]] == 둘러보기 == [include(틀:경부선의 역 목록)] [[분류:1905년 개업한 철도역]][[분류:영동군의 철도역]][[분류:경부선의 철도역]][[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