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교육기관)] [include(틀:대전·세종·충북·충남의 과학중점고등학교)] [include(틀:충청북도 영동군의 고등학교)]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학교 전경 이미지.svg|width=100%]]}}}|| || 학교 전경 || ||||
'''{{{+1 영동고등학교}}}[br]永同高等學校[br]Yeongdong High School''' || |||| [[파일:logo (123112345).png|width=100%]] || |||| [include(틀:지도, 장소= (충청북도 영동군 영동읍 계산로 122), 너비=100%, 높이=100%)] || || '''개교''' || [[1951년]] [[9월 26일]] || || '''유형''' || 일반고등학교 || || '''성별''' || 남녀공학 || || '''형태''' || 공립 || || '''교장''' || 이철우 || || '''교감''' || 김인권 || || '''교훈''' || 정의, 지혜, 봉사 || || '''교화''' || [[목련]] || || '''교목''' || [[히말라야시다]] || || '''학생 수''' || 413명[br](2022년 3월 기준) || || '''교직원 수''' || 42명[br](2022년 3월 기준) || || '''관할 교육청''' || 충청북도교육청 || || '''주소''' || [[충청북도]] [[영동군]] 영동읍 계산로 122 || || '''홈페이지''' || [[https://school.cbe.go.kr/yeongdong-h|[[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충청북도]] [[영동군]] 영동읍 계산로 122에 위치된 일반고등학교. 과학중점고등학교으로 지정되었다. == 학교 연혁 == ||
날짜 || 연혁 || || 1951년 08월 31년 || 영동고등학교 설립인가 || || 1951년 09월 26일 || 개교(3학급 인가) 초대 한희요 교장 취임 || || 1987년 03월 01일 || 영동여자고등학교 폐교로 통합(영동여고 32회) || || 2002년 08월 28일 || 영동학사 신축이전 || || 2007년 02월 15일 || 다목적실 영등관 준공 || || 2009년 03월 01일 || 기숙형 고교 운영, 2학사 증축(2010.2.18) || || 2010년 03월 01일 || 교육과학기술부지정 과학중점학교 운영 || || 2011년 03월 01일 || 제 22대 김진응 교장 취임 || || 2011년 06월 07일 || 역도관 개관 및 인조잔디구장 준공 || || 2012년 03월 01일 || 도지정 창의인성교육 연구학교 운영 || || 2012년 03월 01일 || 자율학교(기숙형고교) 및 창의경영학교 운영 || || 2013년 02월 07일 || 제61회 졸업식 (졸업생 201명, 계 16,579명) || || 2013년 03월 04일 || 입학식 (남 108명, 여 88명, 계 196명) || || 2014년 02월 06일 || 제 62회 졸업식(졸업생 195명, 계 16,774명) || || 2014년 03월 03일 || 입학식 (남 108명, 여 88명, 계 196명) || || 2014년 3월 || 기숙형고교, 과학중점학교, 교과교실제 운영 || || 2014년 12월 || 학교폭력예방 우수교(교육감 표창) || || 2014년 12월 || 학교예술 활성화 우수교(부총리겸 교육부장관 표창) || || 2015년 2월 12일 || 제63회 졸업식(졸업생 204명, 계 16,978명) || || 2015년 3월 1일 || 도지정 창의과학연구학교 운영 || || 2015년 3월 1일 || 자율학교(기숙형 고교) 운영 || || 2015년 3월 1일 || 교육부지정 과학중점학교 운영 || || 2015년 3월 2일 || 입학식(남 92명, 여 93명, 계 185명) || || 2016년 2월 12일 || 제64회 졸업식(남 104명, 여 87명, 계 191명) || || 2016년 3월 1일 || 교육부지정 과학중점학교 운영 || || 2016년 3월 1일 || 도지정 창의과학연구학교 운영 || || 2016년 3월 1일 || 기숙형고교 자율학교 운영 || || 2016년 3월 2일 || 입학식(남 97명, 여 90명, 계 187명) || || 2017년 2월 9일 || 제65회 졸업식(남 87명 여 97명 계 184명) || || 2017년 3월 1일 || 교육부지정 과학중점학교 운영 || || 2017년 3월 1일 || 기숙형고교 자율학교 운영 || || 2017년 3월 2일 || 입학식 (남 79명 여 86명 계 165명) || || 2018년 2월 9일 || 제66회 졸업식(남 89명, 여 89명 계 178명) || || 2018년 3월 1일 || 교육부지정 과학중점학교 운영 || || 2018년 3월 1일 || 기숙형고교 자율학교 운영 || || 2018년 3월 2일 || 입학식(남 86명, 여 72명 계 158명) || || 2019년 1월 30일 || 제67회 졸업식(남 94명, 여 89명 계 183명) || || 2019년 3월 1일 || 제25대 정관훈 교장 취임 || || 2019년 3월 1일 || 교육부지정 과학중점학교 운영 || || 2019년 3월 1일 || 기숙형고교 자율학교 운영 || || 2019년 3월 4일 || 입학식(남 62명, 여 81명 계 143명) || || 2020년 1월 6일 || 제68회 졸업식(남 77명, 여 81명 계 158명) || || 2020년 3월 1일 || 교육부지정 과학중점학교 운영 || || 2020년 3월 1일 || 기숙형고교 자율학교 운영 || || 2020년 3월 2일 || 입학(남 65명, 여 74명, 계 139명) || || 2021년 2월 9일 || 제69회 졸업식(남 84명, 여 65명 계 149명) || || 2021년 3월 1일 || 교육부지정 과학중점학교 운영 || || 2021년 3월 1일 || 기숙형고교 자율학교 운영 || || 2021년 3월 2일 || 입학(남 60명,여 63명, 계 123명) || || 2022년 1월 12일 || 제70회 졸업식(남 60명, 여 82명, 계 142명) || || 2022년 3월 1일 || 제26대 이철우 교장 취임 || == 학교 상징 == * 출처: [[https://school.cbe.go.kr/yeongdong-h|영동고등학교]] 홈페이지 === 상징 === || [[파일:충북 영등고 상징목.jpg|width=100%]] || || '''상징''' || === 교표 === === 교훈 === === 교가 === || [[파일:충북 영동고 교가.jpg|width=100%]] || || '''교가''' || == 학교 특징 == 과학중점학교로 문과계열의 과목보다는 이과계열쪽 활동이 더욱 활발한 편이면 지원에도 확연한 차이가 있다 이과계열의 학과를 진학하길 원하거나 실험을 좋아할 경우 추천하는 학교이며 실험의 경우 대회용으로 백만원가까이를 써도 승인해줄 정도로 실험관련 지원이 많다. 2022년도의 급식의 경우 많은학생이 먹지 않은 급식의 해로도 유명하며 2023년도의 경우 급식 만족도 에서 많은 건의로 인해 개선되어진 편이며 음식의 경우 조금 짠편이다 영동군 내에서 가장 높은 진학율을 보이며 1,2년에 한두명 씩은 서울대 카이스트와 같은 학교에도 진학하며 과학중점 학교인만큼 학생수에 비해 유니스트등 과기원에 합격하는 비율이 꽤나 높다.(대부분 등급이 높은 학생들이다.) 대부분 수시로 진학을 하며 내신에 비해 모의고사가 잘 나오지 않아 상향의 경우 수시로 간다.(생기부 잘 챙기시길) 진학상담의 경우 대부분의 고3선생님들의 경우 휼륭하게 상담 해주시며 2023년 기준으로 부임한 선생님들 모두가 좋으시며 상담을 잘해주셔 4~5년간 입시상담은 좋게 될거 같다. 문과의 경우 지원이 이과계열학생에 비해 지원이 적어 상대적으로 이과보다는 수시에서 좋은 활동을 적기힘들며 시험평균이 높은만큼 1등급을따기에도 힘들다.(매번 문과지원 안해준다고 이야기가 나온다.) 대대적인 공사로 시설은 점점좋아져 시설은 양호한편이지만 화장실의 경우 편의 시설이라 그런지 공사를 잘 안해준다(그렇게 더럽지 않다.) 하지만 냄새가 심하경우가 많고 통풍이 잘 안된다. 이과의 경우 물화생지 1,2가 강제 선택이라 등급을 따기위해 모든 과탐과목을 공부해야해서 공부량이 많아지며 2의 경우는 성취도 평가라 중간때 잘 맞으면 기말때는 상대적으로 공부를 덜해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 수학의 경우 선택이긴하지만 이과의 경우 확통은 문이과 공통과목이며 미적은 이과계열 수시에는 필수고 기하또한 대다수가 선택해 이과일 경우 고3때 미적, 기하, 확통을 해야해 공부량이 방대해지며 미적의 경우 등급제에 거의 이과학생만 경쟁하기 때문에 확통에 비해 등급을 따기 힘들다. == 학교 시설 == == 학교 생활 == === 주요 행사 === == 출신 인물 == ||[[가나다순]]으로 정렬합니다.|| ||[[나무위키]]에 등재되어 있거나 등재기준을 만족할 정도의 저명성 있는 인물만 기록 가능합니다.|| * [[김국기]] * [[김인섭(법조인)]] * [[박병진]] * [[박유재]] * [[정구복]] ==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 === 버스 === || 정류소 명칭 || 노선 번호 || == 사건·사고 == ||언론에서 보도한 경우에만 서술합니다.|| == 여담 == 영동군 사람들에게는 공부 잘하는 애들이 가는 곳이라는 인식이 강하다. [[분류:영동군의 고등학교]][[분류:과학중점고등학교]][[분류:자율형 공립고등학교]][[분류:나무위키 교육기관 프로젝트]] [include(틀:포크됨2, title=영동고등학교(충북), d=2023-02-28 22:11: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