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경상북도의 기초자치단체)] [include(틀:영덕군의 읍면)] ||<-4> '''[[경상북도|{{{#000,#ddd 경상북도}}}]]의 [[군(행정구역)/대한민국|{{{#000,#ddd 자치군}}}]]'''[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wiki style="margin: -5px 0;" [[파일:영덕군 CI.svg|height=65]]}}}||{{{#!wiki style="margin: -5px 0;" '''{{{+1 영덕군}}}'''[br]盈德郡[br]{{{-1 Yeongdeok County}}}}}}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경상북도 영덕군&zoom=10, 너비=100%, 높이=100%)]}}} || ||<-2> '''[[군위군청|{{{#fff 군청 소재지}}}]]''' ||<-2> 영덕읍 군청길 116 (남석리) || ||<-2> '''광역자치단체''' ||<-2> [[경상북도]] || ||<-2> '''하위 행정구역''' ||<-2> 1[[읍(행정구역)|읍]] 8[[면(행정구역)|면]] || ||<-2> '''면적''' ||<-2> 741.22㎢ || ||<-2> '''인구''' ||<-2> 33,711명[* 2024년 4월 기준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o.kr/|주민등록인구현황]]] || ||<-2> '''인구밀도''' ||<-2> 45.48명/㎢[* 2024년 4월 기준.] || ||<-2> '''군수'''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김광열]] {{{-2 (초선)}}} || ||<-2> '''군의회'''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7석[* 영덕군 가선거구 (영덕읍, 강구면, 남정면, 달산면): 김성철, 배재현, 김은희[br]영덕군 나선거구 (지품면, 축산면, 영해면, 병곡면, 창수면): 김일규, 손덕수, 김성호[br]비례대표: 신정희] || ||<-2> '''도의원'''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황재철]] {{{-2 (재선)}}} || ||<-2> [[의성군·청송군·영덕군·울진군|{{{#fff '''국회의원'''}}}]]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박형수(정치인)|박형수]] {{{-2 (재선)}}} || ||<|4> '''상징''' || '''군화''' ||<-2> [[복사나무|복숭아꽃]] || || '''군목''' ||<-2> [[소나무|곰솔]] || || '''군조''' ||<-2> [[갈매기]] || || '''군어''' ||<-2> [[은어(어류)|황금은어]] || ||<-2> '''[[지역번호|{{{#fff 지역번호}}}]]''' ||<-2> '''054 - 73X''' || ||<-4> [[http://www.yd.go.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3]]]] | [[https://www.facebook.com/love4ydpage/|[[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3]]]]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love4yd, 크기=23)] | [[http://blog.naver.com/ydcounty|[[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3]]]] | [[http://band.us/@yeongdeokgun|[[파일:네이버 밴드 아이콘.svg|width=23]]]] || [목차] [clearfix] == 개요 == || [[파일:영덕군기.svg|width=100%]] || [[파일:영덕군 CI(1998-2016).svg|width=100%]] || [[파일:영덕군.jpg|width=100%]] || || 군기[* 군기에 대게를 그려넣었다.][* [[1998년]] 이전에는 깃발 가운데의 문양을 로고로도 사용했다.] || 심벌마크[* [[2016년]] 이전에는 영덕군 전체를 상징하는 로고로 쓰였으나 현재의 로고로 대체되면서 심벌마크로만 남았다.] || [[마스코트]][* 주요 특산물인 [[대게]]를 캐릭터화했다. 이름은 '키니'와 '토리'. 이름의 유래는 [[게]]껍질의 키틴을 가공하여 만들어지는 물질인 [[키토산]].] || [[경상북도]]의 [[군(행정구역)/대한민국|군]]. 북쪽은 [[울진군]], 서쪽은 [[영양군]]과 [[청송군]], 남쪽은 [[포항시]]와 접한다. 동쪽으로 [[동해]] 바다가 펼쳐져 있다. == 역사 == ||<-10> '''영덕군 행정구역 변천사''' || || 영덕군 [br](盈德郡, 1895) [br] 영해군 [br](寧海郡, 1895) ||<|2> → || '''영덕군 [br](1914)''' [br] || [[고구려]]의 야시홀군(也尸忽郡)이었고 신라가 차지한 후 [[경덕왕]] 때 [[명주]][* 지금의 [[강원도]] [[강릉시]]를 중심으로 한 행정구역] 소속의 야성군(野城郡)으로 고쳤으며 휘하에 지금의 [[청송군]]인 적선현과 진안현을 야성군 휘하에 거느리고 있었다. [[고려시대]]부터 [[경상도]]에 속했으며 지금의 이름인 영덕군으로 고쳤다. [[조선시대]] 때만 해도 영덕은 현재의 영덕군의 남쪽 절반이었고, 북쪽은 '''영해(寧海)'''라는 이름으로 불렸던 서로 다른 지역이었다. [[일제강점기]] 때인 1914년 영해군을 흡수하면서 현재의 군역을 갖추게 되었고, 지역의 중심이 영덕읍 쪽으로 옮겨가면서 상대적으로 북쪽 영해 지역의 발전이 더디게 되었다. 그래도 여전히 영해면이 영덕군 북부지역의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다. == 인구 == || [[파일:영덕군 CI.svg|width=50]] '''{{{#000 영덕군}}} {{{#000 인구 추이}}}''' [br] {{{-3 (1966년~현재)}}}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79.46%, #888 0%, #888 100%, #AAA 0%)" {{{#fff 1966년 119,19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74.92%, #888 0%, #888 100%, #AAA 0%)" {{{#fff 1970년 112,37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72.63%, #888 0%, #888 100%, #AAA 0%)" {{{#fff 1975년 108,941명}}}}}} || || [[1979년]] [[5월 1일]] [[영일군]] [[죽장면]] 하옥리 일부 → '''영덕군''' [[달산면]] 편입 및 옥계리 신설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60.80%, #888 0%, #888 100%, #AAA 0%)" {{{#fff 1980년 91,20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51.73%, #888 0%, #888 100%, #AAA 0%)" {{{#fff 1985년 77,59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43.61%, #888 0%, #888 100%, #AAA 0%)" {{{#fff 1990년 65,41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38.37%, #888 0%, #888 100%, #AAA 0%)" {{{#fff 1995년 51,29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34.09%, #888 0%, #888 100%, #AAA 0%)" {{{#fff 2000년 44,17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30.00%, #888 0%, #888 100%, #AAA 0%)" {{{#fff 2005년 42,34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27.59%, #888 0%, #888 100%, #AAA 0%)" {{{#fff 2010년 41,37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26.13%, #888 0%, #888 100%, #AAA 0%)" {{{#fff 2015년 39,19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24.21%, #888 0%, #888 100%, #AAA 0%)" {{{#fff 2020년 36,31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22.47%, #888 0%, #888 100%, #AAA 0%)" {{{#fff '''2024년 4월 33,711명'''}}}}}} || ||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1966-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 ||
'''{{{#fff 읍면별 인구 통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100%, #888 0%, #888 100%, #AAA 0%)" {{{#fff 영덕읍 10,29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59.46%, #888 0%, #888 100%, #AAA 0%)" {{{#fff 영해면 5,94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57.3%, #888 0%, #888 100%, #AAA 0%)" {{{#fff 강구면 5,73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26.09%, #888 0%, #888 100%, #AAA 0%)" {{{#fff 병곡면 2,60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8.7%, #e68dbb 0%, #e68dbb 23.88%, #888 0%)" {{{#fff 축산면 2,388명[*축산출장소 1,51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22.29%, #888 0%, #888 100%, #AAA 0%)" {{{#fff 남정면 2,22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13.92%, #e68dbb 0%, #e68dbb 19.11%, #888 0%)" {{{#fff 지품면 1,911명[*원전출장소 51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15.33%, #888 0%, #888 100%, #AAA 0%)" {{{#fff 창수면 1,53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10.69%, #888 0%, #888 100%, #AAA 0%)" {{{#fff 달산면 1,069명}}}}}} || || {{{-2 2024년 4월 기준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o.kr|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1만 명}}} || }}}}}}}}} || ===# 읍면별 인구 #=== ||
[[파일:영덕군 CI.svg|height=60]] '''[[영덕읍|{{{#000 영덕읍}}}]] {{{#000 인구 추이}}}''' [br] {{{-3 (1966년~현재)}}}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68dbb 96.08%, #888 0%, #888 100%, #AAA 0%)" {{{#fff 1966년 19,21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68dbb 93.235%, #888 0%, #888 100%, #AAA 0%)" {{{#fff 1970년 18,64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68dbb 93.63%, #888 0%, #888 100%, #AAA 0%)" {{{#fff 1975년 18,726명}}}}}} || || [[1979년]] [[5월 1일]] 영덕군 영덕면 → '''영덕읍''' 승격[* 군사무소 소재지의 면은 읍으로 할수 있다에 따라 승격]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68dbb 86.555%, #888 0%, #888 100%, #AAA 0%)" {{{#fff 1980년 17,31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68dbb 76.705%, #888 0%, #888 100%, #AAA 0%)" {{{#fff 1985년 15,34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68dbb 72.195%, #888 0%, #888 100%, #AAA 0%)" {{{#fff 1990년 14,439명}}}}}} || || [[1990년]] [[6월 29일]] 축산면 화천리 → '''영덕읍''' 편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68dbb 59.73%, #888 0%, #888 100%, #AAA 0%)" {{{#fff 1995년 11,94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68dbb 55.04%, #888 0%, #888 100%, #AAA 0%)" {{{#fff 2000년 11,00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68dbb 57.21%, #888 0%, #888 100%, #AAA 0%)" {{{#fff 2005년 11,44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68dbb 56.02%, #888 0%, #888 100%, #AAA 0%)" {{{#fff 2010년 11,20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68dbb 56.53%, #888 0%, #888 100%, #AAA 0%)" {{{#fff 2015년 11,30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68dbb 55.2%, #888 0%, #888 100%, #AAA 0%)" {{{#fff 2020년 11,04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68dbb 51.48%, #888 0%, #888 100%, #AAA 0%)" {{{#fff '''2024년 4월 10,296명'''}}}}}} || ||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1966-2005: 통계청 인구총조사, 2010-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 ||
[[파일:영덕군 CI.svg|height=60]] '''[[강구면|{{{#000 강구면}}}]] {{{#000 인구 추이}}}''' [br] {{{-3 (1966년~현재)}}}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91.634%, #888 0%, #888 100%, #AAA 0%)" {{{#fff 1966년 16,03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94.269%, #888 0%, #888 100%, #AAA 0%)" {{{#fff 1970년 16,49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97.451%, #888 0%, #888 100%, #AAA 0%)" {{{#fff 1975년 17,05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84.691%, #888 0%, #888 100%, #AAA 0%)" {{{#fff 1980년 14,82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74.314%, #888 0%, #888 100%, #AAA 0%)" {{{#fff 1985년 13,00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61.754%, #888 0%, #888 100%, #AAA 0%)" {{{#fff 1990년 10,80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53.874%, #888 0%, #888 100%, #AAA 0%)" {{{#fff 1995년 9,42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43.583%, #888 0%, #888 100%, #AAA 0%)" {{{#fff 2000년 7,62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43.503%, #888 0%, #888 100%, #AAA 0%)" {{{#fff 2005년 7,61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44.063%, #888 0%, #888 100%, #AAA 0%)" {{{#fff 2010년 7,71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39.183%, #888 0%, #888 100%, #AAA 0%)" {{{#fff 2015년 6,85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35.703%, #888 0%, #888 100%, #AAA 0%)" {{{#fff 2020년 6,24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32.743%, #888 0%, #888 100%, #AAA 0%)" {{{#fff '''2024년 4월 5,730명'''}}}}}} || ||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75만 명 1966-2005: 통계청 인구총조사, 2010-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 ||
[[파일:영덕군 CI.svg|height=60]] '''[[남정면|{{{#000 남정면}}}]] {{{#000 인구 추이}}}''' [br] {{{-3 (1966년~현재)}}}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100%, #888 0%, #888 100%, #AAA 0%)" {{{#fff 1966년 10,08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92.6%, #888 0%, #888 100%, #AAA 0%)" {{{#fff 1970년 9,26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81.48%, #888 0%, #888 100%, #AAA 0%)" {{{#fff 1975년 8,14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67.45%, #888 0%, #888 100%, #AAA 0%)" {{{#fff 1980년 6,74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56.16%, #888 0%, #888 100%, #AAA 0%)" {{{#fff 1985년 5,61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45.1%, #888 0%, #888 100%, #AAA 0%)" {{{#fff 1990년 4,51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38.49%, #888 0%, #888 100%, #AAA 0%)" {{{#fff 1995년 3,84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32.92%, #888 0%, #888 100%, #AAA 0%)" {{{#fff 2000년 3,29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30.56%, #888 0%, #888 100%, #AAA 0%)" {{{#fff 2005년 3,05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29.17%, #888 0%, #888 100%, #AAA 0%)" {{{#fff 2010년 2,91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26.21%, #888 0%, #888 100%, #AAA 0%)" {{{#fff 2015년 2,62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23.71%, #888 0%, #888 100%, #AAA 0%)" {{{#fff 2020년 2,37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22.29%, #888 0%, #888 100%, #AAA 0%)" {{{#fff '''2024년 4월 2,229명'''}}}}}} || ||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만 명 1966-2005: 통계청 인구총조사, 2010-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 ||
[[파일:영덕군 CI.svg|height=60]] '''[[달산면|{{{#000 달산면}}}]] {{{#000 인구 추이}}}''' [br] {{{-3 (1966년~현재)}}}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96.033%, #888 0%, #888 100%, #AAA 0%)" {{{#fff 1966년 8,64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81.678%, #888 0%, #888 100%, #AAA 0%)" {{{#fff 1970년 7,35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71.011%, #888 0%, #888 100%, #AAA 0%)" {{{#fff 1975년 6,39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51.889%, #888 0%, #888 100%, #AAA 0%)" {{{#fff 1980년 4,670명}}}}}} || || [[1983년]] [[2월 15일]] 영일군 죽장면 하옥리 일부 → 영덕군 '''달산면''' 편입 및 옥계리 신설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38.711%, #888 0%, #888 100%, #AAA 0%)" {{{#fff 1985년 3,48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31.156%, #888 0%, #888 100%, #AAA 0%)" {{{#fff 1990년 2,80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19.656%, #888 0%, #888 100%, #AAA 0%)" {{{#fff 1995년 1,76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15.489%, #888 0%, #888 100%, #AAA 0%)" {{{#fff 2000년 1,39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14.533%, #888 0%, #888 100%, #AAA 0%)" {{{#fff 2005년 1,30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14.611%, #888 0%, #888 100%, #AAA 0%)" {{{#fff 2010년 1,31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14.356%, #888 0%, #888 100%, #AAA 0%)" {{{#fff 2015년 1,29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12.489%, #888 0%, #888 100%, #AAA 0%)" {{{#fff 2020년 1,12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11.878%, #888 0%, #888 100%, #AAA 0%)" {{{#fff '''2024년 4월 1,069명'''}}}}}} || ||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9천 명 1966-2005: 통계청 인구총조사, 2010-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 ||
[[파일:영덕군 CI.svg|height=60]] '''[[지품면|{{{#000 지품면}}}]] {{{#000 인구 추이}}}''' [br] {{{-3 (1966년~현재)}}}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100%, #888 0%, #888 100%, #AAA 0%)" {{{#fff 1966년 13,13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92.6%, #888 0%, #888 100%, #AAA 0%)" {{{#fff 1970년 11,57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84.952%, #888 0%, #888 100%, #AAA 0%)" {{{#fff 1975년 10,61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63.08%, #888 0%, #888 100%, #AAA 0%)" {{{#fff 1980년 7,88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50.36%, #888 0%, #888 100%, #AAA 0%)" {{{#fff 1985년 6,29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35.656%, #888 0%, #888 100%, #AAA 0%)" {{{#fff 1990년 4,45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27.176%, #888 0%, #888 100%, #AAA 0%)" {{{#fff 1995년 3,39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22.016%, #888 0%, #888 100%, #AAA 0%)" {{{#fff 2000년 2,75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20.176%, #888 0%, #888 100%, #AAA 0%)" {{{#fff 2005년 2,52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19.456%, #888 0%, #888 100%, #AAA 0%)" {{{#fff 2010년 2,43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18.216%, #888 0%, #888 100%, #AAA 0%)" {{{#fff 2015년 2,27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16.144%, #888 0%, #888 100%, #AAA 0%)" {{{#fff 2020년 2,01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15.288%, #888 0%, #888 100%, #AAA 0%)" {{{#fff '''2024년 4월 1,911명'''}}}}}} || ||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25만 명 1966-2005: 통계청 인구총조사, 2010-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 ||
[[파일:영덕군 CI.svg|height=60]] '''[[축산면|{{{#000 축산면}}}]] {{{#000 인구 추이}}}''' [br] {{{-3 (1966년~현재)}}}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94.584%, #888 0%, #888 100%, #AAA 0%)" {{{#fff 1966년 11,82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91.352%, #888 0%, #888 100%, #AAA 0%)" {{{#fff 1970년 11,41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92.04%, #888 0%, #888 100%, #AAA 0%)" {{{#fff 1975년 11,50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75.28%, #888 0%, #888 100%, #AAA 0%)" {{{#fff 1980년 9,41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61.792%, #888 0%, #888 100%, #AAA 0%)" {{{#fff 1985년 7,724명}}}}}} || || [[1990년]] [[6월 29일]] '''축산면''' 화천리 → 영덕읍 편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51.568%, #888 0%, #888 100%, #AAA 0%)" {{{#fff 1990년 6,44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35.248%, #888 0%, #888 100%, #AAA 0%)" {{{#fff 1995년 4,40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30.488%, #888 0%, #888 100%, #AAA 0%)" {{{#fff 2000년 3,81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26.96%, #888 0%, #888 100%, #AAA 0%)" {{{#fff 2005년 3,37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25.8%, #888 0%, #888 100%, #AAA 0%)" {{{#fff 2010년 3,22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24.64%, #888 0%, #888 100%, #AAA 0%)" {{{#fff 2015년 3,08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21.256%, #888 0%, #888 100%, #AAA 0%)" {{{#fff 2020년 2,65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19.104%, #888 0%, #888 100%, #AAA 0%)" {{{#fff '''2024년 4월 2,388명'''}}}}}} || ||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25만 명 1966-2005: 통계청 인구총조사, 2010-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 ||
[[파일:영덕군 CI.svg|height=60]] '''[[영해면|{{{#000 영해면}}}]] {{{#000 인구 추이}}}''' [br] {{{-3 (1966년~현재)}}}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91.257%, #888 0%, #888 100%, #AAA 0%)" {{{#fff 1966년 15,97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86.68%, #888 0%, #888 100%, #AAA 0%)" {{{#fff 1970년 15,16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87.366%, #888 0%, #888 100%, #AAA 0%)" {{{#fff 1975년 15,28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77.526%, #888 0%, #888 100%, #AAA 0%)" {{{#fff 1980년 13,56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71.023%, #888 0%, #888 100%, #AAA 0%)" {{{#fff 1985년 12,42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63.223%, #888 0%, #888 100%, #AAA 0%)" {{{#fff 1990년 11,06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51.423%, #888 0%, #888 100%, #AAA 0%)" {{{#fff 1995년 8,99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46.794%, #888 0%, #888 100%, #AAA 0%)" {{{#fff 2000년 8,18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43.223%, #888 0%, #888 100%, #AAA 0%)" {{{#fff 2005년 7,56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41.92%, #888 0%, #888 100%, #AAA 0%)" {{{#fff 2010년 7,33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38.966%, #888 0%, #888 100%, #AAA 0%)" {{{#fff 2015년 6,81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36.463%, #888 0%, #888 100%, #AAA 0%)" {{{#fff 2020년 6,38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33.977%, #888 0%, #888 100%, #AAA 0%)" {{{#fff '''2024년 4월 5,946명'''}}}}}} || ||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75만 명 1966-2005: 통계청 인구총조사, 2010-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 ||
[[파일:영덕군 CI.svg|height=60]] '''[[병곡면(영덕)|{{{#000 병곡면}}}]] {{{#000 인구 추이}}}''' [br] {{{-3 (1966년~현재)}}}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91.347%, #888 0%, #888 100%, #AAA 0%)" {{{#fff 1966년 13,70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83.893%, #888 0%, #888 100%, #AAA 0%)" {{{#fff 1970년 12,58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80.513%, #888 0%, #888 100%, #AAA 0%)" {{{#fff 1975년 12,07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65.16%, #888 0%, #888 100%, #AAA 0%)" {{{#fff 1980년 9,77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53.753%, #888 0%, #888 100%, #AAA 0%)" {{{#fff 1985년 8,06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44.213%, #888 0%, #888 100%, #AAA 0%)" {{{#fff 1990년 6,63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31.413%, #888 0%, #888 100%, #AAA 0%)" {{{#fff 1995년 4,71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26.653%, #888 0%, #888 100%, #AAA 0%)" {{{#fff 2000년 3,99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23.213%, #888 0%, #888 100%, #AAA 0%)" {{{#fff 2005년 3,48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21.753%, #888 0%, #888 100%, #AAA 0%)" {{{#fff 2010년 3,26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20.447%, #888 0%, #888 100%, #AAA 0%)" {{{#fff 2015년 3,06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18.573%, #888 0%, #888 100%, #AAA 0%)" {{{#fff 2020년 2,78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17.393%, #888 0%, #888 100%, #AAA 0%)" {{{#fff '''2024년 4월 2,609명'''}}}}}} || ||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1966-2005: 통계청 인구총조사, 2010-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 ||
[[파일:영덕군 CI.svg|height=60]] '''[[창수면(영덕)|{{{#000 창수면}}}]] {{{#000 인구 추이}}}''' [br] {{{-3 (1966년~현재)}}}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100%, #888 0%, #888 100%, #AAA 0%)" {{{#fff 1966년 10,57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98.71%, #888 0%, #888 100%, #AAA 0%)" {{{#fff 1970년 9,87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90.95%, #888 0%, #888 100%, #AAA 0%)" {{{#fff 1975년 9,09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70.23%, #888 0%, #888 100%, #AAA 0%)" {{{#fff 1980년 7,02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56.33%, #888 0%, #888 100%, #AAA 0%)" {{{#fff 1985년 5,63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42.56%, #888 0%, #888 100%, #AAA 0%)" {{{#fff 1990년 4,25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27.86%, #888 0%, #888 100%, #AAA 0%)" {{{#fff 1995년 2,78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21.01%, #888 0%, #888 100%, #AAA 0%)" {{{#fff 2000년 2,10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20.15%, #888 0%, #888 100%, #AAA 0%)" {{{#fff 2005년 2,01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19.74%, #888 0%, #888 100%, #AAA 0%)" {{{#fff 2010년 1,97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18.72%, #888 0%, #888 100%, #AAA 0%)" {{{#fff 2015년 1,87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16.88%, #888 0%, #888 100%, #AAA 0%)" {{{#fff 2020년 1,68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858A2 15.33%, #888 0%, #888 100%, #AAA 0%)" {{{#fff '''2024년 4월 1,533명'''}}}}}} || ||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만 명 1966-2005: 통계청 인구총조사, 2010-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 == [[영덕군/교통|교통]]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영덕군/교통)] == 금융 == ||<-4> '''{{{#fff 영덕군에 위치한 금융기관}}}''' || ||<-4> '''{{{#1d1e23 제1금융권}}}'''[*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 ||<-4> '''{{{#1d1e23 국가기관}}}''' || ||<-4> [[우정사업본부|{{{#fff '''영덕우체국 (9)'''}}}]] || ||<-4> '''{{{#1d1e23 특수은행}}}''' || ||<-4> [[농협은행|{{{#fff '''농협은행(중앙회) (2)'''}}}]] || ||<-4> '''{{{#fff 제2금융권(상호금융)}}}'''[*괄호] || ||<-4> '''{{{#fff 농업협동조합}}}''' || || [[농협|{{{#fcaf16 '''강구농협 (4)'''}}}]] || [[농협|{{{#fcaf16 '''영덕농협 (3)'''}}}]] || [[농협|{{{#fcaf16 '''북영덕농협 (7)'''}}}]] || ||<-4> [[농협|{{{#fcaf16 '''영덕울진축협 (2)'''}}}]] || ||<-4> '''{{{#fff 수산업협동조합}}}''' || ||<-2> [[수협|{{{#00a5e3 '''강구수협 (2)'''}}}]] ||<-2> [[수협|{{{#00a5e3 '''영덕북부수협 (2)'''}}}]] || ||<-4> '''{{{#fff 새마을금고}}}''' || ||<-2> [[새마을금고|{{{#afeeee '''영덕새마을금고 (3)'''}}}]] ||<-2> [[새마을금고|{{{#afeeee '''영해새마을금고 (2)'''}}}]] || ||<-4> '''{{{#fff 신용협동조합}}}''' || ||<-2> [[신협|{{{#ffa500 '''강구신용협동조합 (1)'''}}}]] ||<-2> [[신협|{{{#ffa500 '''영덕신용협동조합 (2)'''}}}]] || ||<-4> '''{{{#fff 산림조합}}}''' || ||<-4> [[산림조합|{{{#9acd32 '''영덕군산림조합 (1)'''}}}]] || == 관광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영덕대게 요리.jpg|width=100%]]}}} || || {{{#04b4ae '''▲ 영덕대게 요리'''}}} || [[울진군]]과 같이 [[대게]]가 가장 유명하다. 주로 영덕군 앞바다에서 서식하고 있으며 게껍질이 얇고 게살이 많은 것이 특징이어서 지역주민을 비롯해 외지에서도 영덕대게를 먹으러 원정방문을 하기도 한다. 철은 11월~5월 사이이고, 겨울에서 봄으로 넘어가는 시기가 가장 맛있다. 이 시기를 맞춰 3월 초에 영덕에서는 대게축제를 개최한다. [[그대 그리고 나]]를 촬영 후 두 배로 커진 강구항이 가장 유명하고, 대게축제도 이곳을 중심으로 개최한다. 대게집도 이쪽에 가장 많이 몰려있다. 강구항을 시작으로 해안을 따라 북쪽으로 올라가면 보이는 작은 포구에도 대게집이 종종 있는 편이고, 북쪽의 축산항도 작지만 유명한 편이다. 1998년부터 현재까지 영덕군청 주최로 영덕대게축제가 열려지기도 한다. 그래서 대게축제시기에 강구항 쪽 교통에는 [[헬게이트]]가 열린다.[* 실제 한 번 밀리기 시작하면 걸어가야 할 정도로 교통체증이 심해진다.] 그런데 대게 생산지로 알려진 주변지역인 [[울진군]]과는 대게 문제로 사이가 좋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한국산 대게의 원조가 영덕이냐, 울진이냐를 놓고 두 지역간의 갈등이 빚어지기도 하였으며 지금도 두 지역 사이에서는 대게를 놓고 한 판 경쟁을 벌이는 수준. 자세한 내용은 [[울진군]] 문서 참조. 대게 이외에도 [[오징어]], [[가자미]], [[과메기]], [[돔배기]], [[문어]], [[고등어]] 등의 해산물도 많이 팔며, 제사상에도 올린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영덕 장사해수욕장.jpg|width=100%]]}}} || || {{{#04b4ae '''▲ 장사해수욕장 (남정면 장사리, 부흥리)'''}}} || 영덕에는 해수욕장이 많은데, 그 중에서 고래불, 장사, 대진해수욕장이 유명하다. 장사해수욕장은 [[6.25 전쟁]] 당시 [[장사 상륙작전]] 전적지로도 유명하며 해변에 기념관과 기념공원이 있다. 5분 거리에 부경온천이라는 [[온천]]도 있다.[* [[영덕군 농어촌버스]] 뿐만 아니라 [[코리아와이드 포항마을버스/청하·송라 권역|포항 청하·송라 권역 마을버스]]의 종점이기도 하다.] 개장기간 및 관련정보에 대해서는 다음 링크를 참고할 것. [[http://tour.yd.go.kr/kor/sight/sightView.aspx?idx=247|링크]](참고로 아래 사진에 있는 배는 장사상륙작전에 쓰인 배를 모형화한 것이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영덕 고래불해수욕장2.jpg|width=100%]] [youtube(rUitXJvxvio, width=100%)]}}} || || {{{#04b4ae '''▲ 고래불해수욕장 (병곡면 병곡리) [[https://youtu.be/rUitXJvxvio|영상 출처]]'''}}} || 병곡면의 6개 해안 마을을 배경으로 장장 20리에 달해 펼쳐져 있는 해수욕장이다. [[고려시대|고려]] 말 [[이색(고려)|목은 이색]]이 상대산에 올랐다가 고래가 뛰어노는 걸 보고 "고래불"이라 명명하였다고 전하며, 전국에서 많은 사람들이 찾는 해수욕장 중 하나이기도 하다. 개장기간 및 관련정보에 대해서는 다음 링크를 참고할 것. [[http://tour.yd.go.kr/kor/sight/sightView.aspx?idx=249&MC=202007|링크]]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영덕 황금 송이.jpg|width=100%]]}}} || || {{{#04b4ae '''▲ 영덕의 특산물 송이 버섯'''}}} || [[송이버섯]]도 나름 유명하다. [[지리적 표시제/대한민국]]에 영덕 송이가 등록되어 있을 정도다. [[트래킹]] 코스로 해안가를 따라가는 '''블루로드'''가 있고, 대게 집게가 등대를 감싸고 있는 모양새인 창포말등대와 그 주변의 해맞이공원과 산림생태문화공원, 신재생에너지전시관, 풍력발전단지가 있다. 영덕군과 포항시에 걸쳐있는 내연산과 그곳의 대표 사찰인 보경사가 유명하며 그리고 높이 628m로 별로 높지 않은 팔각산이 있다. 모가 난 8개의 바위 봉우리가 형성되어 있어 팔각산이라고 부른다. 휴양림으로는 칠보산 자연휴양림이 있다. 가격도 저렴하고 시설도 좋아서 인기가 좋다. 한 달 전에 예약하지 않으면 가기 힘들 정도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옥계계곡.png|width=100%]]}}} || || {{{#04b4ae '''▲ 옥계 계곡(달산면 옥계리)'''}}} || 아울러 달산면에 옥계 계곡도 숨은 비경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경상도인 특징상 불교세가 강해 보경사뿐만 아니라 유금사, 장육사 등의 사찰이 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영해메타세콰이어숲.jpg|width=100%]]}}} || || {{{#04b4ae '''▲ 메타세콰이어 숲(영해면 벌영리)'''}}} || 영해면 벌영리에는 메타세콰이어 길이 조성되어 있다. 놀라운 것은 이 곳은 원래 관광지로 조성된 것이 아니라, 어느 한 개인이 사유지를 국민들에게 개방한 곳이라고 한다. 군청 차원에서 관광 활성화에 앞장서고 있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12/14/0200000AKR20161214100700053.HTML|관련기사]] === 특산물 === * 영덕[[대게]] : 영덕대게는 12월~5월까지 동해의 영덕, [[울진군|울진]], [[포항시|포항]]의 [[구룡포읍|구룡포]], [[삼척시|삼척]] 등에서 수게만 잡아 현지 위주로 한정 판매하는 특산물임. * [[고사리]] : 청정영덕의 자연환경과 휴경지에 적합한 새소득작물로 육성한 영덕고사리는 향미와 식감이 우수하며, 특히 영덕고사리 영농법인을 중심으로 생고사리 수매와 균일한 가공 선별 시스템 완비로 최고 품질의 고사리 공급 및 소비자 선호도 증가. * [[복숭아]] : 피서철 관광객에게 주로 판매하며, 해풍을 맞고 자란 영덕 복숭아 특유의 풍미로 관광객의 입맛을 매료시켜, 농가 소득은 물론, 7~8월 관광객의 최고의 과일 중 하나로 뽑힌다. * [[시금치]] : 우수한 토질과 해풍 등의 영향으로 미네랄 등 풍부 및 식미가 우수하며, 재배 단지화로 균일한 품질의 시금치 생산으로 이마트 등 대형유통업체 위주로 납품되는 등 브랜드화 되어 있으며, 현재 "영해초"라는 새로운 명칭으로 불리기도 함. == 교육 == [include(틀:경상북도 영덕군의 초등학교)] [include(틀:경상북도 영덕군의 중학교)] [include(틀:경상북도 영덕군의 고등학교)] == 의료 == 영덕군 관내에는 58병상 종합병원인 [[영덕아산병원]]이 존재한다. 영덕군의 유일한 종합병원이자 응급의료시설이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영덕아산병원)] == [[영덕군/정치|정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영덕군/정치)] [include(틀:경상북도 영덕군수)] == [[영덕군/행정|하위 행정구역]]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영덕군/행정)] == 출신 인물 == * [[강웅원]] * [[이경윤|경윤]] : 前 보이그룹 [[DKZ]] 멤버. 영덕고등학교 출신. * 권신찬 : [[구원파/기독교복음침례회|기독교복음침례회]](구원파)의 창시자. 이전에는 [[대한예수교장로회]]의 목사였다. 병곡면 출신. * [[김광열]] : 영덕군수 * [[김병로(경찰)|김병로]] : 해양경찰청 차장 * [[김병목]] : 전 영덕군수 * [[김선영(배우)|김선영]] : 배우 * [[김수광(정치인)|김수광]] * [[김수현(교수)|김수현]] : 문재인 정부 [[대통령비서실]] 정책실장, 사회수석비서관, [[참여정부]] [[대한민국 환경부]] 차관 등 역임. * [[김영수(1907)]] * [[김영환(1935)]] * [[김우연]] * [[김원규(1910)|김원규]] : 정치인. * [[김인현]] : 선장, 고려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해상법학자. * [[김종석(1958)|김종석]] : 現 [[기상청장]] * [[김준현(정치인)]] * [[김중한]] * [[김진규(1985)|김진규]] : [[FC 서울]] 소속 축구선수. * [[김찬우(1933)|김찬우]] : 의사, 정치인 * [[남영래]] * [[남웅종]] * [[남효채]] : 前 [[경상북도 행정부지사]], [[한국지역진흥재단]] 이사장 * [[류중일]] : 前 [[LG 트윈스]] 감독, 前 [[삼성 라이온즈]] 감독, 前 야구선수. 강구면 출신. * [[문태준]] : 정치인. 의사. * 박경종 * 박기운 * [[박수환(1886)]] * [[박태하]] : 축구선수 * [[박형룡]] * [[손동표]] : 現 보이그룹 [[미래소년]] 멤버, 前 보이그룹 [[X1]] 멤버. [[포항시]] 출생이지만 학창시절 대부분을 영덕에서 보냈다. * [[손준호(축구선수)|손준호]] : [[포항 스틸러스]] 소속 축구선수. 강구면 출신. * [[신돌석]] : 구한말에 활약한 [[의병]]장. 축산면 출신. * [[신태용]] : 축구인, 現 [[인도네시아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영해면 출신. * [[이강석(1961)]] * [[공대생네 가족|이경자]] : 유튜버 [[공대생네 가족]]의 멤버. 영해면 출신. * [[이색(고려)|이색]] : 고려 말의 문신이자 성리학자로 호는 목은(牧隱). 포은(圃隱) [[정몽주]], 야은(冶隱) [[길재]](또는 도은(陶隱) [[이숭인]])과 함께 고려 말 3은(三隱)이라 불렸다. * [[이수각(1872)]] * [[이수호]] * [[이용태(기업인)]] : [[삼보컴퓨터]] 창업주. 창수면 출신. * [[이진우(1934)|이진우]] : 前 정치인, [[변호사]] * [[이현일(조선)|이현일]] : 조선 중기의 유학자이자 문신, [[음식디미방]]의 저자 [[장계향]]의 아들. * [[이희진(정치인)|이희진]] : 前 영덕군수 * [[임춘대]] * [[장경식]] * [[정라곤]] * [[정수창]] : 前 [[두산그룹]] 기업인. * [[조주홍]] * [[진이한]] : 배우 * 최명수 * [[최문기]] * [[최혜연(1996)|최혜연]] * [[하이디(가수)|하이디]] : 가수.[* 2집 "진이"로 유명했던 댄스가수. 이후 [[포항문화방송|포항MBC]]에서 [[정오의 희망곡]] 자체 방송 DJ를 맡았고 현재는 [[포항시|포항]]에서 보컬트레이너로 활동 중이다.] 영덕여고 출신. * [[한국원]] * [[황영기]] * [[황재철]] * [[황종규]] : [[디시인사이드]]의 유명 고닉 [[분류:영덕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