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border: 1px solid gray; border-top: 5px solid gray;padding:12px" {{{+1 이 문서는 현재 운행이 중단된 차량을 다룹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차량은 현재 정기 운용의 이탈 및 퇴역으로 인하여, 더이상 운행하지 않는 차량입니다.}}} [include(틀:도쿄메트로의 전동차)] ||<-3> [[제도고속교통영단|[[파일:TRTA_logo.svg|height=15]]]] {{{#!wiki style="margin: -10px -10px" || {{{#firebrick '''제도고속도교통영단 {{{+1 3000계 전동차}}}'''[br]{{{-1 TRTA}}} 3000 series[br]営団3000系電車}}} ||}}} || ||<-3> [[파일:Teito_rapid_transit_authority_3000_3021.jpg|width=100%]] || ||<-3> '''차량 정보''' || || '''용도''' ||<-2> 도시, 광역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 || '''구동방식''' ||<-2>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 || '''편성''' ||<-2> 8량 1편성 || ||<|3> '''운행노선(과거)''' || [[영단 지하철]] || [[파일:도쿄메트로 히비야선 로고.svg|width=16]] [[도쿄메트로 히비야선|{{{#b5b5ac 영단 지하철 히비야선}}}]] || || [[도큐 전철]] || [[도큐 도요코선|[[파일:TK-TY.svg|width=16]]{{{#da0042,#ff2466 도요코선}}}]] '''직통운전''' || || [[도부 철도]] || [[도부 이세사키선|[[파일:Tobu-TS.svg|width=17]][[파일:Tobu-TI.svg|width=17]]{{{#006cba 이세}}}{{{#e61919 사키선}}}]] '''직통운전''' || || '''운행노선(은퇴당시)''' ||<-2> [[나가노 전철]] [[나가덴 나가노선|나가노선]] || || '''도입시기''' ||<-2> [[1961년]] ~ [[1971년]] || || '''제작사''' ||<-2> [[가와사키 차량|[[파일:가와사키 중공업 로고.svg|width=130]]]][* 가와사키 중공업이 흡수합병한 기샤세이죠 생산분도 포함한다.][br][[도큐차량제조|[[파일:tokyucar.svg|width=130]]]][br][[킨키차량|[[파일:긴키차량 로고.svg|width=130]]]][br][[일본차량제조|[[파일:일본차량제조 로고.svg|width=130]]]][br][[히타치 제작소 카사도 사업소|[[파일:히타치 제작소 로고(1968-1992).svg|width=130]]]] || || '''소유기관''' ||<|2><-2> [[제도고속도교통영단|[[파일:TRTA_logo.svg|width=230]]]] || || '''운영기관''' || || '''운행시기''' ||<-2> [[1961년]] ~ [[1994년]] (히비야선) , [[1994년]] ~ [[2023년]] (나가노 전철) || ||<-3> {{{#000,#fff '''차량 제원'''}}}[br]{{{#!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3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 '''전장''' ||<-2> 18,000㎜ || || '''전폭''' ||<-2> 2,780㎜ || || '''전고''' ||<-2> 3,730㎜(1~7차차)[br]3,875㎜(8,9차차)[br]3,995㎜(팬터그래프 차량) || || '''궤간''' ||<-2> 1,067㎜ || || '''차중''' ||<-2> 31.0~33.0 t || || '''대차''' ||<-2> 알스톰 링크식 FS-336[br]민덴 독일식 FS-348 → SU 민덴식 FS-510 || || '''급전방식''' ||<-2> 직류 1500V [[가공전차선]] 방식 || || '''운전보안장치''' ||<-2> WS-[[열차자동제어장치|ATC]][*히비야선], [[열차자동운전장치|ATO]][*시험용 히비야선 내 시험용][br][[열차자동정지장치|ATS]][*도부형,도큐형 도부형 ATS만 장착된 편성, 도큐형 ATS만 장착된 편성, 도부, 도큐형 ATS 모두 장착된 편성이 혼재되어 있었다.] || || '''제어방식''' ||<-2> 버니어 저항제어 || || '''동력장치''' ||<-2> [[직류]] 직권 전동기 || || '''기어비''' ||<-2> 98:15 || || '''제동방식''' ||<-2> ATC 연동 발전제동 병용 전자직통제동 || || '''주전동기 출력''' ||<-2> 75kW || || '''편성출력''' ||<-2> 2,400kW || ||<|2> '''최고속도''' || 영업 || 70㎞/h([[도쿄메트로 히비야선|히비야선]])[br]95㎞/h(도부 [[이세사키선]])[br]90㎞/h(도큐 [[도요코선]]) || || 설계 || 100㎞/h || || '''가속도''' ||<-2> 4.0㎞/h/s || ||<|2> '''감속도''' || 상용 || 5.0㎞/h/s || || 비상 || 5.0㎞/h/s || || '''MT 비''' ||<-2> 8M0T ||}}}}}} || [목차] [clearfix] == 개요 == [[도쿄메트로]](당시 제도고속도교통영단)가 1961년 [[히비야선]] 개통에 맞추어 투입한 전동차. 1994년까지 히비야선에서 운행했으며, 이후 일부 차량은 나가노 전철로 양도되어 2023년 1월까지 운행했다. == 상세 == 여러가지로 '''영단 최초'''의 타이틀이 많이 붙은 전동차인데, 일단 '''영단 최초'''로 '''스테인리스 차체'''를 도입한 전동차이며 이는 [[난카이 6000계 전동차]]보다도 앞선다. [[난카이 6000계 전동차]]가 프레임까지도 스테인레스 스틸로 만든것에 비하면, 이쪽은 당시 일본 철도차량 제조 기술력의 한계로 프레임은 여전히 일반 강철이다. [[제3궤조집전식]] 전동차였던 [[긴자선]] [[영단 1000형 전동차|1000형]], [[영단 2000형 전동차|2000형]], [[마루노우치선]] [[영단 500형 전동차|500형]]와 다르게 '''영단 최초'''로 '''가공전차선 방식'''을 도입하였다. 또한 타사와의 직통이 전무했던 긴자선, 마루노우치선과 다르게 '''영단 최초'''로 타사 직통을 도입하였으며, '형'이라는 이름이 붙은 긴자선과 마루노우치선의 전동차와 다르게 '''영단 최초'''로 이름에 '''계'''를 붙였다. 다만 승객용 손잡이는 [[영단 1000형 전동차|1000형]]부터 이어진 '눈물형' 손잡이를 적용했다. 물론 도중에 타 사업자와 동일한 가죽끈 형태로 바뀌었으며 기존에 도입한 차량도 1976년부터 원형이나 삼각형 손잡이로 교체되었다.[* [[https://twitter.com/nqh2ZnSJN4pcODK/status/1462727978857558020|트위터에서 1980년경 촬영한 3000계 실내]]] 도입 당시에 [[도큐]]는 18m 차량이 표준이어서 18m 차량을 도입하자고 주장하자, 이에 따라 영단과 [[도부]]도 18m 차량을 도입하였다. 그런데 중간에 도큐가 [[도큐 8000계 전동차|8000계 전동차]]를 도입하면서 난데없이 '''차량 표준을 20m로''' 바꿈으로써 배신을 때리고 나머지 두 회사는 난감한 처지에 처하게 되었다. 20m에 비해 18m는 수송능력이 후달리기 때문. 이 고통은 이 차량이 퇴역하고 후계 차량인 [[도쿄메트로 03계 전동차|03계]]와 [[도부 20000계 전동차|도부 20000계]]에도 이어져 2020년까지 지속되었다. 오랜기간에 지난뒤에야 히비야선에 20m차량이 운행될 수 있음이 밝혀짐으로써, 20m 신차인 [[도쿄메트로 13000계 전동차|13000계]]와 [[도부 70000계 전동차|도부 70000계]]로 교체가 완료된 2020년에 고통이 드디어 끝났다. == 특징 == 차체가 스테인리스제이고 마침 히비야선의 노선색이 은색(이라기보다는 회색이지만)인지라 아예 무도색차량으로 운행되었다.[* 정확히는 히비야선의 은색이 이 영단 3000계의 무도색에서 유래되었다.] 그래서 차를 말끔하게 닦아놓으면 [[Gee|반짝반짝 눈이 부셨다고 한다(...).]] 기관사의 시야의 향상을 위하여 전면부에 곡면 유리를 채용하였고, 500형과 같이 전면부에 관통문을, 차창 아래의 전조등을, 관통문 위에 행선판을 도입하였다. 500형 특유의 도색만 제외한다면 둘 간의 디자인이 상당히 유사하다. 당시 스테인레스 가공기술의 한계로 표면적을 늘려서 차체강성을 확보하기 위해 특이하게 차체에 주름이 진게 특징인데, 이는 바로 다음 차량인 [[도쿄메트로 5000계 전동차|5000계]]에도 적용되었다. 여러가지로 특이한 디자인이었기에 '[[향유고래]]'란 별명이 붙었기도하다. 내부에서는 도쿄 시내만을 이동하는 긴자선, 마루노우치선과 다르게, 도큐, 도부와의 직통으로 인해 원거리 승객도 이 차량을 이용해야했기에, 좌석 상단에 선반을 처음으로 도입하였다. 그리고 가속도가 '''4.0km/h/s'''라는 미친 수치를 자랑하는데, 이는 현대의 최신 차량들보다 앞서며 도쿄메트로의 최신형 차량인 [[도쿄메트로 16000계 전동차]]보다도 앞서는 수준이다. 그에 걸맞게 감속력은 '''5.0km/h/s''' --[[다 죽게 생겼다 이놈들아|타고 있던 승객들 다 죽게 생겼다, 이놈들아!]]-- 참고로 이 차에 적용된 전조등은 [[초저항]] 이후로 한국의 철도차량에 그대로 적용되었다. == 형식 == 밑에서 보시다시피 바리에이션이 드럽게 많다... 3000계 다음의 열차가 4000계가 아니라 5000계인 이유가, 본 전동차의 바리에이션에 4000호대 열차가 있었기 때문. === 1차차(1960년) === 3001~3016호가 해당되며,히비야선 개통 당시 ~~고작~~ '''2량'''(...) 8편성으로 제작되었다.초창기에는 배장기가 설치되었으나,이 배장기라는 물건이 연결기를 가리게 되어있어서 이후 철거되었다. [[https://metroarchive.jp/pic_year/year1960/n007-01-25.html|배장기를 장착한 초기 모습]] === 2차차(1961년) === 선두차는 3017-3028호,중간차는 4029-4056호가 생산 되었으며,히비야선 연장개통 및 수송력 향상을 위해 제작되었다. 편성은 3000-4000-4000-3000으로 조성되어,4량 14편성으로 조정되었다.행선지 표시기와 운전실 창문의 위치가 조정되었다. === 3차차(1962년) === 선두차는 3057-3060호,중간차는 4061-4064호가 해당되며,히비야선의 연장개통 및 수송력 향상을 위해 제작되었다.대차와 공기압축기의 변경이 이루어졌다. === 4차차-1(1963년) === 선두차는 3029-3032호,중간차는 4001-4004호가 해당되며,수송력 향상을 위해 제작되었다.측면 창문 형상의 조정이 이루어졌으며,이 전동차 이후로 전동차 차량번호와 제조시기가 불일치 되는 불상사가 발생하였다. === 4차차-2(1963년) === 선두차는 3033-3056,3061-3068호가 중간차는 4005-4028.4057-4060,4065-4068,4501-4548호가 생산되었다.히비야선 전동차의 6량화를 위해 중간차인 4000계가 많이 생산되었다.6량 24편성 4량 10편성으로 조정되었다. === 5차차(1964년) === 선두차는 3069-3072호,중간차는 4069-4072,4549-4558호가 생산되었다.앞서 설명한 4량 10편성의 6량화를 위해 중간차가 많이 생산되었다.결과적으로 6량 29편성,4량 7편성이 되었다. === 6차차(1965년) === 중간차인 4559-4564호가 해당된다.앞서 설명한 4량 7개편성의 6량화를 위해 제작되었다. === 7차차(1966년) === 선두차는 3073-3076호 중간차는 4073-4076,4565-4576호가 해당된다.선두차의 헤드라이트가 전구에서 실드빔으로,출입문 유리창 형상이 정사각형으로 변경되었다. === 8차차(1968년) === === 9차차(1970년) === == 퇴역, 마침내 역사속으로 == 본 차량들 역시 1980년대 말에 들어서 노후화가 지속되었으며, 또한 이 시기는 냉방화 작업이 진행되고 있던 상황이었다. 영단은 아직까지 차령이 남아있던 [[도쿄메트로 5000계 전동차|5000계]] 후기 도입분까지 냉방화를 진행하였고, 3000계 전 차량과 5000계 초기 도입분은 냉방화 없이 바로 03계와 [[도쿄메트로 05계 전동차|05계]] 초기형으로 대차와 동시에 폐차시키기로 결정했다. 결국 [[도쿄메트로 03계 전동차|03계]]가 도입되면서 순차적으로 퇴역이 진행되었다. 다만 1988년에 도입한 03계 1차차는 수송력 증강을 위한 도입분이고 다음해인 1989년부터 본신차로 치환되었고, 동시에 폐차도 같이 실시하였다. 이후 1994년 7월 03계 증비가 완료되면서 히비야선에서 완전히 퇴역했으며 히비야선의 냉방화 역시 완료되었다. 일부 살아남은 편성은 2,3량화 되어 나가노 전철에 매각되었다. 그러나 이들도 03계의 나가덴 이적으로 2023년까지 퇴역이 완료되었다. --역사는 반복된다.-- 이로써 영단 3000계는 '''[[장수만세|1961년에 등장하고 약 62년만에 역사속으로 사라졌다.]]''' == [[보존]] == [[파일:external/blog-imgs-59.fc2.com/IMG_2167.jpg|width=600]] 원래 영단에서는 최초 도입분인 3001-3002호를 지하철 박물관에 전시할 요량으로 해체하는 대신 보관하고 있었으나, 박물관 전시가 무산되자[* 현재 [[카사이역|카사이]] 지하철 박물관에는 [[영단 1000형 전동차]]와 [[영단 500형 전동차]] 두량이 이미 전시중인지라 새 차를 넣을 공간이 없기도 하고, 박물관 주변으로 확장할 부지도 마땅하지 않은 탓에 무산된 것.], 다른 3000계 차량들과 마찬가지로 나가노 전철로 팔려나갔다. 이후 나가노 전철에서 퇴역한 것을 다시 기존의 영단 사양으로 복원해 치요다선의 아야세 차량기지에 동태 보존하고 있다. 그러나 현행 전동차와 장비 면에서 많은 차이가 있어 본선 주행은 어렵다고. 비슷한 예로 이후 [[마루노우치선]]에서 퇴역한 뒤에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로 수출해서 운행하던 [[영단 500형 전동차|500형]] 3량도 다시 사와서 복원한 후 공개한 바가 있다. == 여담 == * [[1964년]]에 [[1964 도쿄 올림픽|도쿄 올림픽]]이 개최되고, [[1998년]]에 [[1998 나가노 동계올림픽|나가노 동계올림픽]]이 개최되어 3000계는 일본에서 올림픽이 열린 두 도시에서 모두 운행한 적이 있는 전동차의 타이틀을 보유하고 있다. 03계도 나가노 전철로 양도되어 이 타이틀을 이어받았다. * 도쿄 지하철 최초로 ATO([[열차자동운전장치]])가 시험된 차량이다.~~여기서도 최초~~ 약 30년이 지나 [[도쿄메트로 난보쿠선|난보쿠선]]에서 본격적으로 이용되기 시작했다. *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Eidan_3055.jpg?uselang=ko|1994년 사요나라 운전 당시에 향유고래 도장을 하고 운행하였다.]] * 전동차가 도색이 되지 않은 은색인 이유는 이 전동차가 제작될 당시 일본국유철도의 열차에는 객차 및 전동차 등급 (우리나라로 치면 일반실, 특실)을 창문 밑에 색상띠로 했었는데, 이에 따른 혼란의 예방을 위해 무도장 차체로 출고했다고 한다. (자세한 내용은 [[도쿄메트로 5000계 전동차]] 문서 참고바람) * 아무래도 도입 초기에는 길쭉한 출입문창을 적용했던것으로 보인다. [[https://metroarchive.jp/pic_year/year1960/3000形試運転車両.html|출처]] 그러다가 [[마루노우치선]]에 먼저 도입된 [[영단 500형 전동차]]처럼, 3000계도 1976년부터 B수선 공사를 하면서 정사각형 창문 출입문으로 교체했다. == 관련 문서 == * [[일본 철도 정보]] * [[일본의 철도 차량 목록]] * [[도쿄메트로]] * [[도쿄메트로 03계 전동차]] * [[도큐 7000계 전동차(초대)]] -[[도큐 전철]] 최초 히비야선 직결용 전동차 * [[도부 2000계 전동차]] -[[도부 철도]] 최초 히비야선 직결용 전동차 * [[도부 20000계 전동차]] [[분류:일본의 철도차량]][[분류:도쿄메트로]][[분류:전동차]][[분류:1961년 출시]][[분류:1971년 단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