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영국군]]의 [[군사 계급]]을 설명하는 항목이다. [[미군]]하고는 같은 [[영어권]] 군대여도 다른 점이 꽤 많다. 특히 [[공군]] 계급체계가 확연히 다른데, 이는 [[육군]]이나 [[해군]], [[해병대]]는 [[미국]]이 영국 [[식민지]]이던 시절부터 존재했지만, 공군은 둘이 분화한 다음에 나타났기 때문이다. 육군의 계급 체계를 그대로 쓰는 [[미 공군]]과 달리, [[영국 공군]]의 계급 체계는 오히려 해군의 체계와 유사하다.[* 가령 공군 중령을 뜻하는 wing commander는 RNAS시절의 해군 항공대 중령 계급을 그대로 가지고 온 것이다.] 이런 영국군의 계급체계는 [[영연방]] 국가들에 큰 영향을 미쳤다. [[오스트레일리아군]] 같은 영연방 또는 영국의 영향이 강했던 다른 나라 [[군대]][* 아프리카에도 있고 중동 지역에도 있다.]의 계급체계를 보면 영국군 계급을 살짝 손질한 형태가 꽤 있다.[* [[캐나다군]]도 공군에서 영국식 계급체계를 썼지만 사실 영국보다는 미국과 더 자주 부대껴야 하는 사정상 [[미군]]처럼 육군과 같은 방식으로 계급체계를 바꿨다.] [[장교]] 계급이 각 군별로 서로 일치하지 않는다. 육군과 해병대는 영관 계급이 4개 장성계급이 3개인데, 해군과 공군은 영관 계급이 3개 장성계급이 4개이다. 이는 [[나토]] 군사 계급상 OF-6에 해당하는 brigader와 commodore가 각각 [[상급대령|영관]]과 [[준장|장성]]에 속하기 때문이다. == 번역 == 국내에서는 [[한국군]]과 미군간의 계급별 대응체계에 익숙하여, 이에 맞추어 영국군 계급도 그렇게 번역하는 경우가 있다. 사실 국군과 미군간의 [[국방부]] 공식 번역도 말이 많은데, 이 문제 많은 번역 방법을 영국군에도 그대로 적용하면 더 큰 문제가 생긴다. 대표적으로 [[영국 드라마]] [[스트라이크 백]]에 나오는 색션20의 특수부대원들은 대부분 Sergeant인데, 자막을 보면 전부 '[[병장]]'으로 오역해 놓았다. --일단 얼굴 나잇값에서부터 괴리감이 드는데다가-- 실제 직위와 전투판단 능력, 훈련의 양에서부터 일반적인 병장의 이미지와 너무나도 안맞게 느껴진다. 미군 Sergeant의 경우 --약간 노안이네하고 생각하며-- [[캐릭터]]가 [[분대장]], 내지는 [[부분대장]]이라는 전제하에 보면 조금이나마 국군의 병장과 비슷하니 그러려니 하고 넘어가지지만,[* 타국군 계급에 관심 없는 절대 다수의 관객들은 미군 병장이 등장한다면 [[모병제]] 군대인데다가 진급도 실적, [[능력]]에 따라 이루어져서 그냥 진급이 더디게 되는구나하고 생각하고 넘어간다.][* [[미 육군]]의 Sergeant 진급 조건은 최소 복무기간 3년이다. 물론 이상적인 이야기로, 능력주의를 지향하는 집단이면서도 사고뭉치인 개개인이 많은 미군이다보니 실제로는 이것보다 진급이 더 늦게 이루어진다.] 영국군의 Sergeant는 하사도 아닌 중사급으로 복무기간도 최소 12년이 훌쩍 넘어가는 부소대장급 계급이라 더더욱 이상하게 느껴진다. 이런 문제는 저예산 영국 [[SF 영화]] 번역에서도 마찬가지라 <<킬 커맨드 : 드론의 습격>>에서도 이와 같은 오류를 저질러 놓았다. 그래서 일반적으로는 처음 군사계급이 태동할 때처럼 [[계급]]순이 아닌 [[직책]]에 따라 번역하는 것이 이해하기 쉬울 때가 있다. 예를 들어서, 영국군의 Lance Corporal과 Corporal은 각각 아래에서 두번째, 세번째 계급이기에 흔히 [[일등병]], [[상등병]]으로 번역되고는 한다. 그러나 Lance Corporal은 3년 이상 근무를 해야 진급이 가능하고, 하는 일도 4명 정도의 [[사격조]]를 지휘하는 일종의 부분대장급 계급이다. 국군의 일등병 역할과는 상당한 차이가 존재한다. 심지어 영국군에서는 두 계급을 Junior NCO로[* Junior Non commissioned Officer. 하급 부사관.] 구분하여 Lance Corpral은 제일 낮은 부사관 계급이라 규정하고 있다. Corpral의 경우 [[분대장]] 역할을 수행하는 직책인데, 국군의 상등병이 종종 분대장이 되기도 하지만 이 계급은 부사관 중 아래에서 두번째 계급이라서 괴리감이 발생한다. 순서가 아닌 직책에 따라 국군과 대응시켰을 때, 전투분대장으로 불리는 하사 분대장 밑의 부분대장들이 주로 상등병, 병장이라는 점을 상기한다면 Lance Corporal의 경우 병장으로 번역하는 것이 가장 알맞을 수 있다. 싱가포르군의 경우 이러한 점에 기인하여 Lance Corporal을 하사에 준하는 계급, 준하사로 한자표기하고 있다.[* 재미있게도 정작 하사는 병 취급이고 3등중사부터 부사관(Specialist)으로 분류한다. 결국 병, 준부사관, 부사관에 대한 국가적 정의는 나라마다 다를 수 밖에 없다. 국내에도 [[준부사관]]이라는 [[개념]]이 알음알음 퍼져있지만, 정작 국군에는 준부사관에 [[일반하사|대입가능한 직책이나 계급]]이 있을지언정 군법상 준부사관으로 규정하는 계급은 [[그런거 없다|존재하지 않는다!]]] 이어서 Segeant는 [[병장]]으로 번역되지만, 앞의 Junior NCO와 달리 Senior NCO로 정의되는 이른바 상급 부사관 계급으로 [[소대장]]을 맡을 수 있는 계급이다.[* 유럽권 국가에서는 소대장을 부사관이 맡는 경우가 있다. [[독일군]]의 경우에는 아예 편제상 부사관 소대장이 있도록 되어있기까지 하다.] 실제로도 영국군의 Sergeant는 [[부소대장]]을 주로 담당한다는 점에서 국군의 [[중사]]로, Staff Sergeant는 참모로서 중대 [[행정보급관]] 같은 역할을 하니 [[상사(계급)|상사]]로 각각 대응이 가능하다. 이는 영국군 계급 제도를 따른 구 [[일본군]]도 마찬가지이다. 구 [[일본 육군]]의 부사관 계급 체계는 오장-군조-조장-준위[* 특무조장이었다가 [[1936년]]에 준위로 명칭 변경.] 순서인데 영문 [[번역]] 명칭을 [[영국 육군]]과 완벽하게 일치하는 코퍼럴-서전트-스탭 서전트-워런트 오피서 등의 순서라고 일제 시대에 스스로 정해 놓았다. 일본 육군도 조장이 승진하면 준위가 되는 영국군 방식이다. 단 중대 내무계가 [[준위]], 중대 서무계가 조장으로 각 1명 T/O이다. 그런데 이걸 모르고 번역가는 구 일본 육군이 등장하는 영화 [[언브로큰]]에서는 와타나베 무츠히로 [[오장]](육군 [[하사]])을 영문 표기상 코퍼럴인 것만 보고, 상병으로 번역했다. 와타나베 오장은 작중에서 포로 수용소장 처럼 행동하는 거물이다.[* 포로들이 보기에는 와타나베 오장 옆에서 일본 육군 장교들이 손을 비비며 알랑방구 뀐다고 묘사 해 놓았다. 전후에 밝혀진 바에 의하면 와타나베는 포로 수용소를 돌아 다니며 말을 안듣는 미군 포로들을 때려잡는 [[군기반장]] 역할을 했기 때문에 장교들이 좋아 했는데, 당시 포로들은 장교들이 와타나베 오장의 눈치 본다고 오인한 것이다.] 그리고 몇년 후 승진하여 [[군조]](서전트, 육군 [[중사]])가 되어 다른 포로 수용소로 가는데 이걸 또 [[병장]]으로 [[승진]]했다고 번역해 놓았다. 이렇듯 일본군 계급은 영국군 방식을 따라 번역해야 한다. 애시당초 [[2차대전]] 때까지 "[[표준]]" 영어는 영국식 영어였고, [[세계]] 각국에서도 미국식이 아닌 [[영국식 영어]]를 가르치고 사용했으니 당연한 것이다. [[한국]]에서도 [[1990년대]]까지 영문 번역시 별도의 표기가 없이 Sergeant라는 문구가 등장하면 병장이 아닌 중사로 번역하는 경우가 더 많았다. 여담으로 [[http://m.egloos.zum.com/maniac-blogging/v/5681572|과거 미군의 사병 계급 체계는, 영국군의 사병 계급 체계처럼 7계급 체계였다.]] 이상 사병 계급에 관하여 불일치가 많은 것은, 영국군을 비롯한 다수 국가에서는 병과 부사관을(혹은 준사관까지도) 묶어 취급하는 반면, 국군은 병계급을 세분화 하면서도 부사관을 장교와 함께 간부로 묶어 병 계급과 구분하는 까닭이다. 일반적으로 전 세계적으로 특별한 역할이나 명령권을 가지지 않은 한 병 계급을 세분화할 필요성은 낮았고[* 숙련도와 복무의지를 끌어내기 위해 하는 경우는 있기는 하지만, 년 단위로 복무하는 직업군인 신분의 병사계층은 부사관 업무를 대신하는 경우가 많아 자국에서는 병으로 구분해도 세계적으로는 준부사관으로 취급되기도 한다. 대표적으로 독일군과 프랑스군이 그러하다.] 설령 특별한 권한이나 역할을 부여받은 병 계급을 따로 분류하더라도 그 특별한 병 계급의 다른 표현이 바로 부사관이니 자연스레 부사관 계급이 세분화되는 것이었다. 이러한 문화적 역사적 맥락을 고려하지 않고 현대에 정립된 각 국의 군 계급을 서열순으로 무리하게 대응하다보니 이러한 괴리감이 생기고 만 것이다.[* 이러한 시각에서 국군 병계급을 영어로 옮긴다면, 아예 모두 private/sailor로 옮기되 1st~4th class로 옮기거나 master~3rd class로 옮기는 게 의미상으로는 더 적절할 것이다. 이는 캐나다군이 사용하는 방식이기도 하다. [[https://en.wikipedia.org/wiki/Canadian_Armed_Forces_ranks_and_insignia|#]] ] * 계급(영국군&미군): [[https://en.wikipedia.org/wiki/Comparison_of_United_Kingdom_and_United_States_military_ranks|항목 참조]] * 사병 계급 변천사: [[https://en.wikipedia.org/wiki/British_Army_other_ranks_rank_insignia|항목 참조]] 또한, 장교에 관하여서도 차이점이 있다. 국군은 장성계급 4개와 영관계급 3개인데, 상술하듯 영국군 중 육군만은 장성계급 3개와 영관계급 4개인 까닭이다. 이는 본래 준장 계급 자체가 육군의 여단지휘관(brigadier)과 해군의 소함대지휘관(commodore)에서 변용되었고, 각국 군사환경에 따라 그 지위가 조정된 까닭이다. 전통적으로 해군 중심이고 육군은 상대적으로 소규모였던 영국의 특성상 여단지휘관을 굳이 장성급으로 만들기보다는 야전장교(field officer) 즉 [[상급대령|영관급]]으로 남겨둔 반면 해군은 [[준장|장성급]]으로 격상하였는데, 이는 안보상 육군을 중시해온 한국은 물론 세계 각지에서 대규모 육군이 작전하는 미국하고도 대조적인 부분이다. == [[사병]] == ||<-2><:> 계급명 ||<-3><:> [[병(군인)|병]](OR-1~OR-2) ||<:> [[병장]](OR-3)[* [[준부사관]]으로 대우한다.] ||<:> [[하사]](OR-4)[* 여기서부터 [[부사관]]으로 대우한다.] ||<-2><:> [[중사]](OR-5~OR-6)||<-3><:> [[상사(계급)|상사]](OR-7) ||<-2><:> 이등준위(OR-8)[* 여기서부터 [[준사관]]으로 대우한다.] ||<-3><:> 일등준위(OR-9) || ||<|2> [[영국 육군]] || 모양 ||<-3> 계급장 없음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British_Army_OR-3.svg.png]]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British_Army_OR-4.svg.png]] ||<-2>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British_Army_OR-6.svg.png]] ||<-3>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British_Army_OR-7.svg.png]]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British_Army_OR-8a.svg.png]]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British_Army_OR-8b.svg.png]]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British_Army_OR-9a.svg.png]]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British_Army_OR-9b.svg.png]]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British_Army_Sergeant_Major.svg.png]] || || 명칭 ||<-3> Private [br] [* private외에 [[부대]]나 [[병과]]에 따라 guardsman, gunner, sapper 등으로도 불린다.] || [[준부사관|Lance Corporal]]/Lance Bombardier || Corporal/Bombardier ||<-2> Sergeant ||<-3> Staff Sergeant[* 말그대로 [[참모]](Staff)역할을 하는 부사관이라는 뜻이다. 과거 [[군주]]로 부터 기사서임을 받은 영주들이 자체적으로 하급 기사들을 모집하여 수족으로 부렸는데, 그 중에서 가장 신뢰할 기사들을 자신의 참모로 데리고 다닌 것에서 유래한 계급이다.]/Colour Sergeant[* 호위 부사관이라는 직책에서 유래한 것으로 [[군기]]를 들고 다니던 [[초급장교]] Ensign(소위)를 호위하는 직책이었다. [[전장]]에서 공을 세운 병사, 부사관들 중 용맹한 자에게 주어지던 [[명예계급]]이었다.] [br] 상사 || Warrant Officer Class 2 [br] (이등준위) || Quartermaster sergeant [br] (군수이등준위) [br] || Warrant Officer Class 1 [br] (일등준위) [br] || Conductor [br] (군수일등준위) [br] || Army Sergeant Major [br] (육군주임준위) [br] || ||<|2> [[영국 해군]] || 모양 ||<-3>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British_Royal_Navy_OR-2.svg.png]] || 이미지 없음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British_Royal_Navy_OR-4.svg.png]] ||<-2>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British_Royal_Navy_OR-6.svg.png]] ||<-3>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British_Royal_Navy_OR-7.svg.png]] ||<-2> [[파일:British_Royal_Navy_OR-8.svg.png]] ||<-3>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British_Royal_Navy_OR-9.svg.png]] || || 명칭 ||<-3> Able Rating [br] ([[수병]]) || 계급 없음 || Leading Rate [br] (수병장) ||<-2> Petty Officer[* 직역하면 [[하사관|하급 사관]]. 범선시절 [[포반장]]을 비롯한 각 [[직별]]의 임무, 작업 최선임자들에게 주어지던 직책이다. 직위는 [[한국 해군]]의 [[선임하사]]와 비슷하다.] [br] (부사관) ||<-3> Chief Petty Officer[* [[CPO]]로 분류된다.] [br] (상급 부사관) ||<-2> Warrant Officer Class 2 [br] (2등준위) ||<-3> Warrant Officer Class 1 [br] (1등준위) || ||<|2> [[영국 해병대]] || 모양 ||<-3> 이미지 없음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British_Royal_Marines_OR-3.svg.png]]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British_Royal_Marines_OR-4.svg.png]] ||<-2>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British_Royal_Marines_OR-6.svg.png]] ||<-3>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British_Royal_Marines_OR-7.svg.png]] ||<-2>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British_Royal_Marines_OR-8.svg.png]] ||<-3>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British_Royal_Marines_OR-9.svg.png]] || || 명칭 ||<-3> Marine [br] (해병) || Lance Corporal [br] || Corporal ||<-2> Sergeant ||<-3> Colour Sergeant ||<-2> Warrant Officer Class 2 ||<-3> Warrant Officer Class 1 || ||<|2> [[영국 공군]] || 모양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British_RAF_OR-2c.svg.png]]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British_RAF_OR-2b.svg.png]]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British_RAF_OR-2a.svg.png]]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British_RAF_OR-3.svg.png]]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British_RAF_OR-4.svg.png]]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British_RAF_OR-6.svg.png]]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British_RAF_%28Aircrew%29_OR-6.svg.png]]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British_RAF_OR-7a.svg.png]]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British_RAF_OR-7b.svg.png]]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British_RAF_%28Aircrew%29_OR-7.svg.png]] ||<-2> 이미지 없음 ||<-2>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British_RAF_OR-9.svg.png]]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British_RAF_%28Aircrew%29_OR-9.svg.png]] || || 명칭 || Senior Aircraftman(Technician) [br] (기술항공병) || Senior Aircraftman [br] (항공병) || Leading Aircraftman [br] (지상근무항공병) || Lance corporal || Corporal || Sergeant [br] (중사) || Sergeant Aircrew [br] (항공승무중사) || Chief Technician [br] (기술상사) || Flight Sergeant [br] (상사) || Flight sergeant aircrew [br] (항공승무상사) ||<-2> 없는계급 ||<-2> Warrant Officer [br] (일등준위) || Master Aircrew [br] (항공승무일등준위) || 영연방군 특성상, [[준사관]]은 [[장교]]가 아닌 [[사병]]으로 분류된다. 단, 준사관이란 명칭 그대로 해군 준사관들이 사관실 등 장교용 시설을 이용할 수 있는 등, 처우에 있어선 장교에 준하게 대우를 받는다. == [[장교]] == === [[위관급 장교|위관급]] === ||<-2><:> 계급 ||<:> [[사관생도|장교]][[사관후보생|후보생]](OF(D)) ||<:> [[소위]](OF-1) ||<:> [[중위]](OF-1) ||<:> [[대위]](OF-2) || ||<|2>[[영국 육군]]||<:>모양||<:>[[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British_Army_OF_%28D%29.svg.png]]||<:>[[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British_Army_OF-1a.svg.png]]||<:>[[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British_Army_OF-1b.svg.png]]||<:>[[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British_Army_OF-2.svg.png]]|| ||<:>명칭||<:>Officer cadet||<:>Second Lieutenant||<:>Lieutenant||<:>Captain|| ||<|3>[[영국 해군]]||<:>[[수장(장식)|수장]]||<:><|2>[[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50px-UK-Navy-OFStudent.gif]]||<:>[[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UK-Navy-OFD.svg.png]]||<:>[[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British_Royal_Navy_%28sleeves%29_OF-1b.svg.png]]||<:>[[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British_Royal_Navy_%28sleeves%29_OF-2.svg.png]]|| ||<:>[[견장]]||<:>[[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British_Royal_Navy_OF-1a.svg.png]]||<:>[[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British_Royal_Navy_OF-1b.svg.png]]||<:>[[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British_Royal_Navy_OF-2.svg.png]]|| ||<:>명칭||<:>Officer cadet||<:>Midshipman[* 미국에서는 [[미국해군사관학교|해군]]/[[해안경비대사관학교|해경]]/[[미국상선단사관학교|상선]] [[사관생도]]가 이렇게 불리는데, 사실 원래 범선시대 영국 해군에서 이들 계급을 배 위에서 굴리면서 평가하는 방식으로 임관 여부를 결정하였던 것이 영향을 주어서 그렇다. 영국에서는 나중에 이게 별도 계급으로 정착하고 다시 [[후보생]]을 일컫고자 [[Cadet]]를 도입하였으니, 오히려 미국 쪽이 좀 더 고전적인 셈. 더구나 위를 보면 알 수 있듯 영국 해군 중위는 수장이 [[미 해군]]의 소위랑 같은 형태라 영국 해군에서는 중위와 소위가 분리되지 않았다고 오해하는 이들도 있다.]||<:>Sub Lieutenant||<:>Lieutenant|| ||<|2>[[영국 해병대]]||<:>모양||<:>[[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British_Royal_Marines_OF(D).png|width=80]]||<:>[[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British_Royal_Marines_OF-1a.svg.png]]||<:>[[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British_Royal_Marines_OF-1b.svg.png]]||<:>[[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British_Royal_Marines_OF-2.svg.png]]|| ||<:>명칭||<:>Officer cadet||<:>Second Lieutenant||<:>Lieutenant||<:>Captain|| ||<|4>[[영국 공군]]||<:>[[수장(장식)|수장]]||<:>[[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RAF_Off_Cdt.png|width=80]]||<:>[[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British_RAF_OF-1a.svg.png]]||<:>[[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British_RAF_OF-1b.svg.png]]||<:>[[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British_RAF_OF-2.svg.png]]|| ||<:><|2>명칭||<:><|2>Officer cadet||<:>Pilot Officer||<:><|2>Flying Officer||<:><|2>Flight Lieutenant|| ||<:>Acting Pilot Officer|| === [[영관급 장교|영관급]] === ||<-2><:> 계급 ||<:> [[소령]](OF-3) ||<:> [[중령]](OF-4) ||<:> [[대령]](OF-5) || ||<|2>[[영국 육군]]||<:>모양||<:>[[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British_Army_OF-3.svg.png]]||<:>[[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British_Army_OF-4.svg.png]]||<:>[[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British_Army_OF-5.svg.png]]|| ||<:>명칭||<:>Major||<:>Lieutenant Colonel||<:>Colonel|| ||<|3>[[영국 해군]]||<:>[[수장(장식)|수장]]||<:>[[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British_Royal_Navy_%28sleeves%29_OF-3.svg.png]]||<:>[[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British_Royal_Navy_%28sleeves%29_OF-4.svg.png]]||<:>[[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British_Royal_Navy_%28sleeves%29_OF-5.svg.png]]|| ||<:>[[견장]]||<:>[[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British_Royal_Navy_OF-3.svg.png]]||<:>[[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British_Royal_Navy_OF-4.svg.png]]||<:>[[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British_Royal_Navy_OF-5.svg.png]]|| ||<:>명칭||<:>Lieutenant Commander||<:>Commander||<:>Captain|| ||<|2>[[영국 해병대]]||<:>모양||<:>[[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British_Royal_Marines_OF-3.svg.png]]||<:>[[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British_Royal_Marines_OF-4.svg.png]]||<:>[[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British_Royal_Marines_OF-5.svg.png]]|| ||<:>명칭||<:>Major||<:>Lieutenant Colonel||<:>Colonel|| ||<|3>[[영국 공군]]||<:>[[수장(장식)|수장]]||<:>[[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British_RAF_OF-3.svg.png]]||<:>[[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British_RAF_OF-4.svg.png]]||<:>[[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British_RAF_OF-5.svg.png]]|| ||<:>명칭||<:>Squadron Leader||<:>Wing Commander||<:>Group Captain|| 해군 [[소령]]은 [[위관급 장교]]의 피복을 착용하는 등 일부 위관급에 가까운 대우를 받으나, 타군의 대응 계급 및 급여 등은 영관급인 타군소령들과 동일하다. === [[장성급 장교]] === 식민지의 영향으로 [[캐나다]]도 비슷한 모양을 하고 있다. ||<-2><:> 계급 ||<:> [[준장]](OF-6) ||<:> [[소장(계급)|소장]](OF-7) ||<:> [[중장]](OF-8) ||<:> [[대장(계급)|대장]](OF-9) || ||<|2>[[영국 육군]]||<:>모양||<:>[[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British_Army_OF-6.svg.png]]||<:>[[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British_Army_OF-7.svg.png]]||<:>[[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British_Army_OF-8.svg.png]]||<:>[[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British_Army_OF-9.svg.png]]|| ||<:>명칭||<:>Brigadier||<:>Major General||<:>Lieutenant General||<:>General|| ||<|3>[[영국 해군]]||<:>[[수장(장식)|수장]]||<:>[[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British_Royal_Navy_%28sleeves%29_OF-6.svg.png]]||<:>[[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British_Royal_Navy_%28sleeves%29_OF-7.svg.png]]||<:>[[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British_Royal_Navy_%28sleeves%29_OF-8.svg.png]]||<:>[[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British_Royal_Navy_%28sleeves%29_OF-9.svg.png]]|| ||<:>[[견장]]||<:>[[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British_Royal_Navy_OF-6.svg.png]]||<:>[[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British_Royal_Navy_OF-7.svg.png]]||<:>[[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British_Royal_Navy_OF-8.svg.png]]||<:>[[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British_Royal_Navy_OF-9.svg.png]]|| ||<:>명칭||<:>Commodore||<:>Rear Admiral||<:>Vice Admiral||<:>Admiral|| ||<|2>[[영국 해병대]]||<:>모양||<:>[[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British_Royal_Marines_OF-6.svg.png]]||<:>[[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British_Royal_Marines_OF-7.svg.png]]||<:>[[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British_Royal_Marines_OF-8.svg.png]]||<:>[[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British_Royal_Marines_OF-9.svg.png]]|| ||<:>명칭||<:>Brigadier||<:>Major General||<:>Lieutenant General||<:>General|| ||<|3>[[영국 공군]]||<:>[[수장(장식)|수장]]||<:>[[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British_RAF_OF-6.svg.png]]||<:>[[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British_RAF_OF-7.svg.png]]||<:>[[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British_RAF_OF-8.svg.png]]||<:>[[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British_RAF_OF-9.svg.png]]|| ||<:>[[견장]]||<-4><:>[[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British_RAF_Air_Officer_%28ceremonial_shoulder_board%29.svg.png]]|| ||<:>명칭||<:>Air Commodore||<:>Air Vice-Marshal||<:>Air Marshal||<:>Air Chief Marshal|| 영국 왕족이나 우호 국가의 군주들에게 영국군 대장 [[명예계급]]을 주기도 했는데 후자의 예로는 [[파루크 1세]], [[트리부반]], [[마헨드라(네팔)|마헨드라]], [[비렌드라]], [[하사날 볼키아]], [[하랄 5세]], [[장(룩셈부르크)|장 대공]] 등이 받았다.[* 마헨드라, 비렌드라의 경우는 후에 원수계급으로 오른다.] ==== [[원수(계급)|원수]] ==== ||||||||||<:><-6> [[영국군]] 원수(OF-10) 계급장 || ||<:> [[영국 육군|육군]] ||<:><-2> [[영국 해군|해군]] ||<:> [[영국 해병대|해병대]] ||<:><-2> [[영국 공군|공군]] || ||<:><|2> Field Marshal ||<:><-2> Admiral of the Fleet ||<:><|2> Captain General Royal Marines ||<:><-2> Marshal of the Royal Air Force || || [[수장(장식)|수장]] || [[견장]] || [[수장(장식)|수장]] || [[견장]] ||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British_Army_OF-10.svg.png]]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British_Royal_Navy_%28sleeves%29_OF-10.svg.png]]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British_Royal_Navy_OF-10.svg.png]] ||<:> [[파일:British_Royal_Marines_OF-10.png]]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British_RAF_OF-10.svg.png]]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British_RAF_OF-10_%28ceremonial_shoulder_board%29.svg.png]] || 영국군 역대 [[https://en.wikipedia.org/wiki/Field_marshal_(United_Kingdom)|육군]], [[https://en.wikipedia.org/wiki/Admiral_of_the_Fleet_(Royal_Navy)|해군]], [[https://en.wikipedia.org/wiki/Captain_General_Royal_Marines|해병대]], [[https://en.wikipedia.org/wiki/Marshal_of_the_Royal_Air_Force|공군]] 원수 목록 [[왕국]]인 [[영국]]은 대대로 [[국왕]]이 원수 계급을 달고 있다. 다만 [[여왕]]일 경우에는 [[여성]]이 군 원수 역할을 할 수는 없으므로 [[남편]]인 국서가 원수가 된다.[* 단 유일한 예외로 [[빅토리아 여왕]]의 부군인 [[앨버트 공]]은 사관학교를 나오지못해서 원수가 되지 못했다.] 다른 왕정 국가들도 상당수 국왕이 군 원수이다. 현재 생존중인 영국군 원수는 6명으로 존 채플 경[* 2022년 사망.], [[에드워드 조지 니콜라스 폴 패트릭|켄트 공작 에드워드]], 피터 인지 남작[* 2022년 사망.], [[찰스 3세]], 찰스 구스리 남작, 마이클 워커 남작이다. 그리고 [[친영]] 국가의 군주들에게도 우호의 뜻으로 영국군 원수 [[명예계급]]을 주기도 했는데 [[빌럼 2세]], [[프란츠 요제프 1세]], [[빌헬름 2세]], [[니콜라이 2세]], [[알베르 1세]], [[알폰소 13세]], [[히로히토]], [[하일레 셀라시에]], [[마헨드라(네팔)|마헨드라]], [[비렌드라]] 등이 받았다.[* 물론 프란츠 요제프 1세, 빌헬름 2세나 히로히토는 [[세계대전]]으로 영국의 [[적국]]이 되기 전에 받은 거다.] [[분류:영국군]][[분류:군 계급]][[분류:군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