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영국)] [include(틀:세계의 국장)] [include(틀:영국 관련 문서)]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transparent 45%, #C8102E 45%, #C8102E 55%,transparent 55%), linear-gradient(to bottom, transparent 20.5%,#fff 20.5%,#fff 28%,#C8102E 28%,#C8102E 64%,#fff 64%,#fff 72%,transparent 72%), linear-gradient(to right, transparent 43%,#fff 43%,#fff 45%,#C8102E 45%,#C8102E 55%,#fff 55%,#fff 57%, transparent 57%), linear-gradient(8deg, transparent 42%, #fff 42%, #fff 47%, #C8102E 47%, #C8102E 53%, #fff 53%, #fff 58%, transparent 58%), linear-gradient(172deg, #012169 42%, #fff 42%, #fff 47%, #C8102E 47%, #C8102E 53%, #fff 53%, #fff 58%, #012169 58%)" }}}|| ||<-2> '''{{{#fff {{{+1 영국 국장}}}[br]Royal coat of arms of the United Kingdom}}}'''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영국 국장.svg|width=100%]]}}} || ||<-2> '''공식 국장'''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영국 국장(스코틀랜드).svg|width=100%]]}}} || ||<-2> '''스코틀랜드에서 쓰이는 국장''' || ||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영국)] || || '''채택일''' ||[[1837년]] || ||<-2>{{{#!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transparent 45%, #C8102E 45%, #C8102E 55%,transparent 55%), linear-gradient(to bottom, transparent 20.5%,#fff 20.5%,#fff 28%,#C8102E 28%,#C8102E 64%,#fff 64%,#fff 72%,transparent 72%), linear-gradient(to right, transparent 43%,#fff 43%,#fff 45%,#C8102E 45%,#C8102E 55%,#fff 55%,#fff 57%, transparent 57%), linear-gradient(8deg, transparent 42%, #fff 42%, #fff 47%, #C8102E 47%, #C8102E 53%, #fff 53%, #fff 58%, transparent 58%), linear-gradient(172deg, #012169 42%, #fff 42%, #fff 47%, #C8102E 47%, #C8102E 53%, #fff 53%, #fff 58%, #012169 58%)" }}}|| [목차] [clearfix] == 개요 == [[영국]]의 [[국장(문장)]]. == 특징과 상징 == 영국의 [[나라문장|국장]]은 다른 왕정 국가처럼 전 국왕인 [[엘리자베스 2세]]의 문장이자 [[윈저 왕조]]의 문장이다. [[찰스 3세]]가 즉위한 후에도 이전의 국장을 계속 유지하고 있다. 영국의 국기처럼 영국의 국장도 연합왕국 이전의 국가들인 [[잉글랜드 왕국]], [[스코틀랜드 왕국]], [[아일랜드 왕국]]의 국장을 반영한 것이다. 방패 모양의 문장과 주변의 파란색 띠는 [[잉글랜드 왕국]]의 국장을 모방한 것이지만 방패 안쪽의 문장이 좀 달라졌다. 방패 모양의 문장은 세 개의 문장으로 구분되는데 좌상단과 우하단의 것은 [[잉글랜드 왕국]]의 국장, 우상단의 것은 [[스코틀랜드 왕국]]의 국장, 좌하단의 것은 [[아일랜드 왕국]]의 국장에서 유래한 것이다. 저 문장을 이루는 세 도안 자체는 1707년 [[그레이트브리튼 왕국]] 성립 이후 바뀌지 않았고 1712년 이후부터 1837년 이전까지는 [[하노버 왕국]]과 동군 연합이었으므로 하노버 왕국의 국장도 포함되어 있었다. 방패를 둘러싼 서포터즈(Supporters, 우리말로는 방패잡이[[https://ko.m.wikipedia.org/wiki/%EB%B0%A9%ED%8C%A8%EC%9E%A1%EC%9D%B4|#]]) 역할을 하는 동물들은 왼편에 있는 것이 [[사자]]로 [[잉글랜드 왕국]]을 상징하고 오른편에 있는 것이 [[유니콘]]으로 [[스코틀랜드 왕국]]을 상징한다. 사자가 쓰고 있는 관은 영국 국왕의 공식 왕관인 [[성 에드워드 왕관]]이다. 방패 모양의 문양 바깥쪽의 도안은 스코틀랜드 왕국의 국장과 유사한데 기본적인 틀은 스코틀랜드 왕국의 것을 유지하되 잉글랜드 왕국의 상징들을 집어넣었다. 국장 아래에 새겨져 있는 문구인 Dieu et mon droit는 '하느님과 나의 권리'라는 뜻의 [[프랑스어]][* 현재 영어가 그러하듯이 당시에는 프랑스어가 [[링구아 프랑카|유럽의 공통 표준어]] 역할을 했다.]로 잉글랜드 왕국의 표어다. 방패 주변에 새겨진 문구인 Honi soit qui mal y pense도 역시 프랑스어로 '악한 일을 하는 자에게 재앙이 온다'라는 뜻으로 가터 훈장의 표어에서 유래했다. [[스코틀랜드]] 관련 정부 기관에서는 이렇게 다른 문장을 쓴다. 이쪽은 위의 국장에 비해 스코틀랜드 왕국의 국장에 좀 더 가깝고 위의 국장이 잉글랜드의 국장을 1순위로 반영하는데 비해 여기서는 스코틀랜드의 국장이 1순위다. 왕관도 스코틀랜드 양식으로 바뀌고 아래의 문구도 [[스코틀랜드 왕국]]의 표어인 NEMO ME IMPUNE LACESSIT([[라틴어]]: 그 누구도 나를 경솔히 자극할 수 없다)로 바뀐다. 또한 위에 IN DEFENS라는 표어도 추가되는데 스코틀랜드 왕국의 또 다른 표어인 In My Defens God Me Defend([[스코트어]]: 내 안의 하느님이 나를 보호한다)를 줄인 것이다. 중앙의 방패 문양(국왕의 문장)도 스코틀랜드 왕국 것과 잉글랜드 왕국 것의 위치가 바뀐다. 그러나 스코틀랜드에서라도 영국 공통의 것을 써야 할 때는 잉글랜드를 기준으로 만들어진 위의 국장을 쓴다. 예를 들어 영국 여권 표지에는 무조건 위의 국장만 사용하고 스코틀랜드용 국장이 새겨진 여권은 존재하지 않는다. 영국 본토의 일부인 스코틀랜드만의 여권을 따로 발급하지 않기 때문이다. 한편 이 국장의 [[그림체]](?)는 영국의 식민지였던 곳의 국장에도 쓰이기도 했다.[* 대표적으로 [[:파일:캐나다 국장.svg|캐나다 국장]], [[:파일:싱가포르 국장.svg|싱가포르 국장]]이 있다. 즉, '영국식 문장 형식(British Heraldry)'에 기반하는 것이다.] 찰스 3세 즉위 후에는 성 에드워드 왕관이 튜더 왕관으로 디자인이 변경되었다. == 역대 국장 == 자세한 것은 [[https://en.m.wikipedia.org/wiki/Coat_of_arms_of_the_United_Kingdom|이곳]] 참조. === 잉글랜드 === || [[파일:노르망디 공국 국장.svg|width=200]] || || [[노르만 왕조]] 왕실 문장 || || [[파일:800px-Royal_Arms_of_England_(1154-1189).svg.png|width=200]] || || 1154년 ~ 1189년[br](왕실 문장, [[헨리 2세]]) || || [[파일:800px-Royal_Arms_of_England_(1189-1198).svg.png|width=200]] || || 1189년 ~ 1198년[br](왕실 문장, [[리처드 1세]]) || || [[파일:잉글랜드 국장.svg|width=200]] || || 1198년 ~ 1340년[br](왕실 문장)[* 이후의 왕실 문장은 [[https://en.m.wikipedia.org/wiki/Coat_of_arms_of_England|이곳]] 참조.] || || [[파일:Royal_Coat_of_Arms_of_England_(1399-1603).svg|width=200]] || || 1399년 ~ 1603년[br](국장 간소화) || || [[파일:잉글랜드 국장(-1340).svg.png|width=200]] || || 14세기 초 ~ 1340년 || || [[파일:잉글랜드 에드워드 3세 국장(1327-1377).svg.png|width=200]] || || 1327년 ~ 1377년[br](간소화)[* 에드워드 3세가 프랑스 왕위를 주장하여 백합 문양을 넣었다.] || || [[파일:잉글랜드 국장(1327-1377).svg.png|width=200]] || || 1327년 ~ 1377년[br]([[에드워드 3세]])[* 이 때부터 국장에 서포터즈(방패잡이) 동물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 || [[파일:잉글랜드 국장(1377-1399).svg.png|width=200]] || || 1377년 ~ 1399년[br]([[리처드 2세]]) || || [[파일:잉글랜드 국장(1399-1413).svg.png|width=200]] || || 1399년 ~ 1413년[br]([[헨리 4세]]) || || [[파일:잉글랜드 국장(1413-1422).svg.png|width=200]] || || 1413년 ~ 1422년[br]([[헨리 5세]]) || || [[파일:잉글랜드 국장(1422-1471).svg.png|width=200]] || || 1422년 ~ 1461년[br]([[헨리 6세]]) || || [[파일:잉글랜드 국장(1461-1483).svg.png|width=200]] || || 1461년 ~ 1483년[br]([[에드워드 4세]])[* 1470년부터 1471년까지는 헨리 6세 집권으로 위 문장 사용.] || || [[파일:잉글랜드 국장(1483).svg.png|width=200]] || || 1483년[br]([[에드워드 5세]]) || || [[파일:잉글랜드 국장(1483-1485).svg.png|width=200]] || || 1483년 ~ 1485년[br]([[리처드 3세]])[* 유일하게 멧돼지를 그려 넣었다.] || || [[파일:잉글랜드 국장(1485-1509).svg.png|width=200]] || || 1485년 ~ 1509년[br]([[헨리 7세]])[* 튜더 왕조가 출범하며 웨일스의 상징인 레드 드래곤이 들어가기 시작했다. 오른쪽은 그레이하운드.] || || [[파일:잉글랜드 국장(1509-1554).svg.png|width=200]] || || 1509년 ~ 1554년[br]([[헨리 8세]], [[에드워드 6세]]) || || [[파일:잉글랜드 국장(1554-1558).svg.png|width=200]] || || 1554년 ~ 1558년[br]([[메리 1세]])[* [[펠리페 2세]]와의 혼인으로 스페인의 상징을 왼쪽에 섞어 놨다.] || || [[파일:잉글랜드 국장(1558-1603).svg.png|width=200]] || || 1558년 ~ 1603년[br]([[엘리자베스 1세]]) || || [[파일:잉글랜드 국장(1603-1649).svg.png|width=200]] || || 1603년 ~ 1649년[br]([[제임스 1세]], [[찰스 1세]])[* 스튜어트 왕조 출범으로 스코틀랜드의 상징인 유니콘 추가. 방패에는 스코틀랜드 문장과 아일랜드 문장도 추가되었다.] || || [[파일:잉글랜드 연방 문장(1649-1654).svg.png|width=200]] || || 1649년 ~ 1654년[br]([[잉글랜드 연방]]) || || [[파일:잉글랜드 연방 문장.png|width=200]] || || 1654년 ~ 1655년[br]([[잉글랜드 연방]]) || || [[파일:잉글랜드 연방 국장(1653-1659).svg.png|width=200]] || || 1653년 ~ 1659년[br]([[잉글랜드 연방]], [[호국경]]) || || [[파일:잉글랜드 연방 문장.png|width=200]] || || 1659년 ~ 1660년[br]([[잉글랜드 연방]]) || || [[파일:잉글랜드 국장(1660-1689).svg.png|width=200]] || || 1660년 ~ 1689년[br]([[찰스 2세]], [[제임스 2세]])[* 성 에드워드 왕관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 || [[파일:잉글랜드 국장(1689-1694).svg.png|width=200]] || || 1689년 ~ 1694년[br]([[윌리엄 3세]]와 [[메리 2세]])[* 윌리엄 3세의 오라녜나사우 문장이 왼쪽에 보인다.] || || [[파일:잉글랜드 국장(1694-1702).svg.png|width=200]] || || 1694년 ~ 1702년[br]([[윌리엄 3세]]) || || [[파일:잉글랜드 국장(1702-1707).svg.png|width=200]] || || 1702년 ~ 1707년[br]([[앤 여왕]] - [[잉글랜드 왕국]]) || || [[파일:그레이트브리튼 왕국 국장(1707-1714).svg.png|width=200]] || || 1707년 ~ 1714년[br]([[앤 여왕]] - [[그레이트브리튼 왕국]]) || || [[파일:그레이트브리튼 왕국 국장(1714-1801).svg.png|width=200]] || || 1714년 ~ 1801년[br]([[하노버 왕조]])[* [[하노버 왕조]] 문장 추가.] || || [[파일:영국 국장(1801-1816).svg.png|width=200]] || || 1801년 ~ 1816년[* [[조지 3세]]가 프랑스의 요구로 백합 문장을 떼었다. [[조지 3세]] 문서 참조.] || || [[파일:영국 국장(1816-1837).svg.png|width=200]] || || 1816년 ~ 1837년 || || [[파일:영국 국장(1837-1952).svg|width=200]] || || 1837년 ~ 1952년[* [[빅토리아 여왕]]의 즉위로 하노버 왕조 문장 삭제.] || || [[파일:영국 국장(엘리자베스 2세).svg|width=200]] || || 1952년 ~ 2022년[br]([[엘리자베스 2세]]) || || [[파일:영국 국장.svg|width=200]] || || 2022년 ~ 현재[br]([[찰스 3세]]) || 가운데가 안쪽으로 들어간 왕관은 [[성 에드워드 왕관]], 위로 튀어나온 왕관은 튜더 왕관이다. === 스코틀랜드 === || [[파일:스코틀랜드 국장.svg|width=200]] || || 1200년대 ~ 1558년[br](왕실 문장)[* 1558년부터 1565년까지 다른 문장들과 섞이다가 1565년 원래의 문장으로 돌아왔다. 자세한 것은 [[https://en.m.wikipedia.org/wiki/Coat_of_arms_of_Scotland|이곳]] 참조.] || || [[파일:800px-Royal_Coat_of_Arms_of_the_Kingdom_of_Scotland.svg.png|width=200]] || || 1565년 ~ 1603년 || || [[파일:스코틀랜드 국장(1603-1649).svg.png|width=200]] || || 1603년 ~ 1649년 || || [[파일:스코틀랜드 국장(1603-1651).svg.png|width=200]] || || 1603년 ~ 1651년 || || [[파일:잉글랜드 연방 국장(스코틀랜드, 1653-1659).svg.png|width=200]] || || 1653년 ~ 1659년 || || [[파일:스코틀랜드 국장(1660-1689).svg.png|width=200]] || || 1660년 ~ 1689년 || || [[파일:스코틀랜드 국장(1689-1694).svg.png|width=200]] || || 1689년 ~ 1694년 || || [[파일:스코틀랜드 국장(1694-1702).svg.png|width=200]] || || 1694년 ~ 1702년 || || [[파일:스코틀랜드 국장(1702-1707).svg.png|width=200]] || || 1702년 ~ 1707년 || || [[파일:그레이트브리튼 왕국 국장(스코틀랜드, 1707-1714).svg.png|width=200]] || || 1707년 ~ 1714년 || || [[파일:그레이트브리튼 왕국 국장(스코틀랜드, 1714-1801).svg.png|width=200]] || || 1714년 ~ 1801년 || || [[파일:영국 국장(스코틀랜드, 1801-1816).svg.png|width=200]] || || 1801년 ~ 1816년 || || [[파일:영국 국장(스코틀랜드, 1816-1837).svg.png|width=200]] || || 1816년 ~ 1837년 || || [[파일:영국 국장(스코틀랜드, 1837-1952).svg.png|width=200]] || || 1837년 ~ 1952년 || || [[파일:영국 국장(스코틀랜드).svg|width=200]] || || 1952년 ~ 현재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영국, version=3004, paragraph=2.3)] [[분류:영국]][[분류:유럽의 국장과 문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