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영국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16px -10px -5px" [[파일:TheRoyalFamilyOrder.png|width=100%]]}}} || || '''{{{#fff Royal Family Order of the United Kingdom}}}''' || [목차] [clearfix] == 개요 == || || || {{{#!wiki style="margin: -16px -10px -5px" [[파일:Queen_Elizabeth_the_Queen_Mother_portrait.jpg|width=100%]]}}} || || '''[[조지 6세|{{{#fff 조지 6세}}}]]{{{#fff 와}}} [[엘리자베스 2세|{{{#fff 엘리자베스 2세}}}]]{{{#fff 의 왕실 훈장을 패용한}}} [[엘리자베스 보우스라이언|{{{#fff 엘리자베스 보우스라이언 왕대비}}}]]'''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다이애나_왕실훈장.jpg|width=100%]]}}}||{{{#!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캐서린_왕실훈장.jpg|width=100%]]}}}|| 영국 왕실 훈장은 [[영국 국왕]]이 [[윈저 왕조|왕족]] 여성들에게 수여하는 [[훈장]]이다. 국가 공식 행사에서 패용할 수는 있지만, 국가 훈장보다는 군주가 수여하는 기념장의 성격에 더 가깝다. 현재 [[노르웨이]]와 [[스웨덴]], [[덴마크]], [[태국]], [[통가]] 왕실에서 비슷한 훈장이 수여되고 있다. [[대한제국]] 역시 [[대한제국 훈장 #s-3.7|서봉장]]이라는 이름으로 비슷한 훈장이 수여되었다. == 역사 == 최초의 왕실 훈장은 [[조지 4세]]의 섭정 시대에 발행되었다. 조지 4세는 [[1820년]] 이전부터 가까운 사람들에게 훈장을 수여했는데, 왕족 여성들에게 수여하는 왕실 훈장 역시 그 중 하나였다. 조지 4세의 훈장은 화려한 외형을 가지고 있었으며, 초상화를 둘러싼 프레임은 다이아몬드 오크 잎과 도토리로 장식되어 있었다. [[빅토리아 여왕]]도 어렸을 때 이 훈장을 수여받았다. 조지 4세 이후, 재위 기간이 짧았던 [[윌리엄 4세]]와 [[에드워드 8세]]를 제외한 역대 국왕들이 모두 왕실 훈장을 수여했다. [[빅토리아 여왕]]은 결혼 전까지는 왕실 훈장을 수여하지 않다가 [[1862년]]부터 왕실 훈장을 제정했는데, [[앨버트 공]]과 공동으로 훈장을 수여했으며, 훈장에 앨버트 공의 초상화도 함께 들어갔다. 그 후에 발행된 다른 왕실 훈장에는 [[왕비]]나 [[부군]]의 초상화가 들어가지 않았다. == 휘장 == 왕실 훈장은 [[다이아몬드]]로 장식된 국왕의 초상화로 구성되어 있으며, 리본에 매달려 있다. 리본의 색상은 국왕마다 다른 색상을 사용하는데, [[에드워드 7세]]의 경우 빨간색, 파란색, 흰색 등 다양한 색상을 사용했다. [[조지 6세]]는 분홍색을 사용했다. 국왕의 초상화는 남성 국왕의 경우 제복을 입은 모습이 들어갔으며, 여왕인 경우 이브닝 드레스를 입은 모습이 들어간다. 훈장의 뒷편에는 국왕의 공식 모노그램이 새겨져 있다. 훈장을 2개 이상 보유하고 있을 경우, 가장 최근에 받은 훈장부터 위에 패용하게 된다. || || || {{{#!wiki style="margin: -16px -10px -5px" [[파일:Princess_Alice_of_Albany.jpg|width=100%]]}}} || || ''' {{{#fff 왕실 훈장을 패용한 올버니의 앨리스 공녀}}}''' || 가장 많은 훈장을 받았던 왕족은 [[빅토리아 여왕]]의 손녀인 [[올버니의 앨리스 공녀]]인데, 빅토리아 여왕부터 [[엘리자베스 2세]]까지 무려 5개의 훈장을 수여 받았다. [[조지 4세]]의 왕실 훈장을 제외하면 지금까지 발행된 모든 왕실 훈장을 다 받은 셈이다. == 목록 == === 조지 4세의 왕실 훈장 === || || || {{{#!wiki style="margin: -16px -10px -5px" [[파일:조지4세_왕실훈장.jpg|width=100%]]}}} || || ''' {{{#fff Royal Family Order of George IV}}}''' || 가장 처음 수여된 왕실 훈장으로, [[조지 4세]]의 섭정 시대 때부터 수여되기 시작했다. 리본의 색상은 흰색이었다. [[샬럿 어거스타 마틸다]] 프린세스 로열[* [[프리드리히 1세(뷔르템베르크)|프리드리히 1세]]의 왕비.], 케임브리지 공작부인 아우구스타[* [[아돌푸스 프레더릭]] 왕자의 아내이자 [[메리 왕비]]의 외할머니], '''[[빅토리아 여왕|켄트의 빅토리아 공녀]]''', 케임브리지의 어거스타 공녀[* [[아돌푸스 프레더릭]] 왕자의 딸, [[메리 왕비]]의 이모], 도로시아 리벤이 수훈받았다. === 빅토리와 여왕과 앨버트 공의 왕실 훈장 === || || || {{{#!wiki style="margin: -16px -10px -5px" [[파일:빅토리아_앨버트_왕실훈장.jpg|width=100%]]}}} || || ''' {{{#fff Royal Order of Victoria and Albert}}}''' || 1862년 10월 [[빅토리아 여왕]]이 제정한 왕실 훈장으로, [[앨버트 공]]과 함께 수여한 왕실 훈장이다. 왕실 훈장 역사상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배우자의 초상화가 들어간 훈장이었으며, 4개의 등급제로 운영했다. 빅토리아 여왕은 이 훈장을 왕족 여성들 뿐만 아니라 자신의 [[시녀]]들에게까지 수여했다. 이 훈장의 마지막 수훈자였던 [[올버니의 앨리스 공녀]]가 1981년에 사망하면서, 이 훈장의 수훈자들은 모두 사망했다. === 에드워드 7세의 왕실 훈장 === || || || {{{#!wiki style="margin: -16px -10px -5px" [[파일:에드워드7세_왕실훈장.jpg|width=100%]]}}} || || ''' {{{#fff Royal Family Order of Edward VII}}}''' || [[에드워드 7세]]가 수여했던 왕실 훈장으로, 에드워드 7세의 재위 기간이 짧아 왕실 훈장들 중에서 역사가 가장 짧다. === 조지 5세의 왕실 훈장 === || || || {{{#!wiki style="margin: -16px -10px -5px" [[파일:조지5세_왕실훈장.jpg|width=100%]]}}} || || ''' {{{#fff Royal Family Order of George V}}}''' || [[조지 5세]]가 수여했던 왕실 훈장으로, 왕관이 달린 타원형 다이아몬드 프레임에 해군 제복을 입은 왕의 초상화로 구성되어 있다. 이 훈장 역시 4개의 등급으로 이루어졌는데, 가장 높은 등급은 아내인 [[테크의 메리]]와 어머니 [[덴마크의 알렉산드라]]가 수여받았다. 그 다음 등급의 훈장은 딸과 며느리, 여자 형제와 숙모들에게 수여되었다. 이것보다 더 낮은 등급은 손녀들이 수여받았고, 가장 낮은 등급의 훈장은 다른 여성 왕족들이 받았다. || || || {{{#!wiki style="margin: -16px -10px -5px" [[파일:엘리자베스 2세_조지5세_훈장.jpg|width=100%]]}}} || 2022년 9월 8일 [[엘리자베스 2세]]가 서거하면서 조지 5세 왕실 훈장의 수훈자들은 모두 사망하였다. * '''수훈자 목록''' * 왕비 [[테크의 메리]] * 왕대비 [[덴마크의 알렉산드라]] * 딸 [[프린세스 로열 메리]] * 여동생 [[프린세스 로열 루이즈]] * 여동생 빅토리아 공주 * 여동생 [[모드 샬럿 메리 빅토리아|모드 공주]] * 고모 [[헬레나 어거스타 빅토리아|헬레나 공주]] * 고모 루이즈 공주 * 고모 [[베아트리스 메리 빅토리아 페오도라|베아트리스 공주]] * 숙모 [[루이제 마르가레테]] * 숙모 [[헬레네 프리데리케 아우구스테]] * 며느리 [[엘리자베스 보우스라이언|요크 공작부인 엘리자베스]] * 며느리 [[그리스와 덴마크의 마리나|켄트 공작부인 마리나]] * 며느리 [[앨리스 몬태규 더글라스 스캇|글로스터 공작부인 앨리스]] * '''손녀 [[엘리자베스 2세|요크의 엘리자베스 공녀]]''' * 손녀 [[마거릿 로즈|요크의 마거릿 공녀]] * 사촌 [[올버니의 앨리스 공녀]] * 조카 제2대 파이프 여공작 알렉산드라 공주 * 조카 사우세스크 백작부인 모드 카네기 === 조지 6세의 왕실 훈장 === || || || {{{#!wiki style="margin: -16px -10px -5px" [[파일:조지6세_왕실훈장.jpg|width=100%]]}}} || || ''' {{{#fff Royal Family Order of George VI}}}''' || [[조지 6세]]가 수여했던 왕실 훈장으로, 이 훈장을 받았던 사람들 중 생존자는 현재 [[켄트의 알렉산드라 공녀]]가 유일하다. * '''수훈자 목록''' * 왕비 [[엘리자베스 보우스라이언]] * 어머니 [[테크의 메리]] * '''장녀 [[엘리자베스 2세|엘리자베스 공주]]''' * 차녀 [[마거릿 로즈|마거릿 공주]] * 제수 [[앨리스 몬태규 더글라스 스캇|글로스터 공작부인 앨리스]] * 조카 [[켄트의 알렉산드라 공녀]] === 엘리자베스 2세의 왕실 훈장 === || || || {{{#!wiki style="margin: -16px -10px -5px" [[파일:엘리자베스 2세 왕실 훈장.jpg|width=100%]]}}} || || ''' {{{#fff Royal Family Order of Elizabeth II}}}''' || [[엘리자베스 2세]]가 수여했던 왕실 훈장으로, 가장 최근까지 수여되었던 왕실 훈장이다. 2022년 9월 8일 [[엘리자베스 2세]]가 사망하면서 수훈이 중단되었으며, 향후 [[찰스 3세]]의 왕실 훈장이 제정될 예정이다. 가장 마지막으로 훈장을 수여받은 사람은 손자며느리 [[캐서린 미들턴]]이며, [[메건 마클]]은 훈장을 수여받기 전 왕실을 탈퇴해 수훈받지 못했다. * '''수훈자 목록 ''' * 어머니 [[엘리자베스 보우스라이언]] * 할머니 [[테크의 메리]] * 여동생 [[마거릿 로즈|스노든 백작부인 마거릿 공주]] * 고모 [[프린세스 로열 메리]] * 숙모 [[앨리스 몬태규 더글라스 스캇|글로스터 공작부인 앨리스]] * 숙모 [[그리스와 덴마크의 마리나|켄트 공작부인 마리나]] * 육촌 [[올버니의 앨리스 공녀]] * 사촌 [[켄트의 알렉산드라 공녀]] * 사촌올케 켄트 공작부인 캐서린 * 딸 [[프린세스 로열 앤]] * 사촌올케 글로스터 공작부인 비르기트 * 며느리 [[웨일스 공비 다이애나]] * 며느리 [[소피 리스존스|웨식스 백작부인 소피]] * 며느리 [[카밀라 왕비|콘월 공작부인 카밀라]] * 손자며느리 [[캐서린 미들턴|케임브리지 공작부인 캐서린]] [[분류:영국의 훈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