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영광군)] [목차] [clearfix] == 개관 == [[영광군]] 교통에 대해 정리한 문서. == [[철도가 지나지 않는 도시/대한민국|철도가 지나지 않는 지역]] == [[철도]]는 없다. 제3공화국 시기에 부안 - 고창 - 영광을 잇는 [[서해안선]]이 1967년 착공하였으나 경제성 문제로 사실상 폐기되어 [[서해안고속도로]] 부지로 전환된 이후, 2000년대부터 지역정치권 차원에서 [[서해안선|군산목포선]]을 [[http://www.dailian.co.kr/news/view/83769|건설하자는 목소리]]가 지금까지도 있지만 광주, 전남 동부권을 연계하는 영광읍 - 광주역간 지선건설까지 동원해야 할 정도로 경제적타당성 문제 때문에 진행되고 있지 못하고 있다. 군산 - 목포만 안되면 광주, 전남동부권 연계차원에서 영광읍 - 광주역간 서해지선철도 건설까지 동원해야 할 정도로 인구가 부족하다. [[전라북도청]]에서는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일단 "새만금 - 목포 철도"로 신청하였으나, 2021년 4월 22일 열린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공청회에서 추가 검토 사업에만 선정되어 추진에 적신호가 켜졌다. 그렇다 보니 전남도에서는 [[서해안선|목포 - 군산간 서해안철도]]를 관철시키기위해 [[달빛내륙철도]]를 [[http://www.siminsori.com/news/articleView.html?idxno=229183|광주에서 영광으로 연장]]시키려는 [[https://www.asiatoday.co.kr/view.php?key=20220630010017856|움직임]]도 일고 있다. 2021년 지방 민선7기 당시 3선의 영광군의원도 [[http://www.weeklypeople.net/view.do?seq=17524|관심]]을 가지고 있지만 적극적인 움직임은 없다. 별개지만 영광군차원에서 [[http://www.yg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2904|광주송정역~영광을 잇는 경전철]]을 구축하자고 [[http://www.yg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2826|공론화]]에 열을 올리고 있다. 2023년 6월 영광군에서 해당 사업에 대한 사전타당성 조사 용역을 발주하였으며, 이에 하반기에 본 과업에 착수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해당 용역의 과업지시서에 따르면 상기된 달빛내륙철도의 연장은 물론이요, 여객뿐만 아니라 산업단지 인입선 등 관내 산단과의 연결성까지 다각적으로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 도로 == === 고속도로 === [[서해안고속도로]]가 지나가고 [[영광IC|영광 나들목]]과 [[불갑산IC|불갑산하이패스 나들목]]이 관내에 있다. 서해안 여느 시군이 다 그렇지만 서해안고속도로 개통으로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으로의 교통 여건이 매우 개선되었다. 영광졸음쉼터 부근에 IC(나들목) 설치가 진행중이다. === 국도 === [[22번 국도]], [[23번 국도]], [[77번 국도]]가 있다. 각 국도의 세부 상황은 다음과 같다. * [[22번 국도]]: [[전라북도]] [[고창군]] 공음면에서 넘어와 법성면을 지나 영광읍내를 우회하고 묘량면을 거쳐 [[함평군]] 해보면으로 넘어간다. [[광주광역시|광주]]를 오가는 국도라 영광군에서 교통량이 가장 많으며 과속차량 또한 많아 묘량면을 통과하는 '''전구간이 [[구간단속]]을 실시중이다.''' 영광읍에서 법성까지는 왕복 4차로 이상으로 길이 아주 잘 닦여 있다. * [[23번 국도]]: [[함평군]] 신광면에서 넘어와 불갑면과 영광읍을 거쳐 [[고창군]] 대산면으로 향한다. 영광 이남으로는 아직 왕복 2차로인 반면, 이북으로는 왕복 4차로로 잘 닦여져 있다. [[서해안고속도로]]와 나란히 달리기 때문에 고속도로를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 [[77번 국도]]: [[칠산대교]]를 통해 [[무안군]] 해제면에서 넘어오며, 염산, 백수의 해안을 따라 북상하고 영광대교를 건너 홍농을 관통한 뒤 [[고창군]] 상하면으로 넘어간다. 해안도로이니만큼 가마미해수욕장 등 해수욕장을 잇는 역할을 하고 있다. 국도와 고속도로를 이용해서 [[광주광역시]]와 [[목포시]]까지 약 1시간 내에 이동할 수 있다. 다만 예전부터 목포시보다는 [[전라남도청]] 소재지였던 광주와의 교류가 활발했던 터라 광주를 왕복하는 교통량이 많았으며, 법성포에서부터 [[광주광역시|광주]] [[송정동(광주)|송정리]]까지 고속화도로급으로 닦여져있는 [[22번 국도|국도 22호선]]이 이를 증명한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 지방도 === [[15번 지방도]], [[734번 지방도]], [[805번 지방도]], [[808번 지방도]], [[842번 지방도]]가 있다. 대마면 성산리와 [[장성군]] 삼계면을 지나는 [[734번 지방도]] 구간에 왕복 2차로의 깃재터널이 2023년 12월 준공될 예정이다. === 군내도로 === 영광읍내 대부분의 교차로는 [[회전교차로]]로 구성되어 있고, 영광군 관내에 전체에는 신호가 존재하지 않는 교차로도 상당수 존재한다. 영광군청 앞 군청교차로의 경우도 무신호 교차로였는데 인근에 교육기관[* 영광초등학교, 영광여자중학교, 영광유치원, 원광어린이집 등], 행정기관[* 군청, [[영광경찰서|경찰서]], 교육지원청, 영광군법원 및 등기소, 광산세무서 영광민원실 등], 금융기관 [* 농협중앙회, 우체국], 종교시설[* 영광대교회, [[원불교]] 영광교구 등] 등이 밀집해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주 오래전 [[23번 국도]] 구간이었던 학정교차로 - 군청 - 북문재교차로 구간이 여전히 왕복 2차로인 탓에 출퇴근 시간을 가리지 않고 혼잡한 모습을 보인다. 그나마 군청 뒤에 있던 영광읍사무소가 2019년 신축이전 했으나 그 자리 역시 이 구 [[23번 국도]] 구간 중 불법주정차 무법지대인 해룡중고등학교 - 영광군청 구간에 접해있다. 덤으로 터미널 인근에 있던 세무서 민원실이 구 영광읍사무소 자리로 옮겨옴에 따라 혼잡도가 오르면 올랐지 떨어지지는 않았다[* 이로 인해 지금은 인근 학교 학생 및 주민의 보행안전을 위해 해당 교차로에 신호기가 설치되어 운영중이다]. 영광에서 혼잡도로 둘째가라면 서럽지 않을만한 곳으로 법성터미널 앞 교차로 - [[한빛 원자력 본부]] 정문에 이르는 국지도 15호선 구간인데, 법성포2교 - 한빛원전 1Km 전방까지 왕복 2차로 구간이고, 여기에 한수원 사택 인근이 어린이보호구역에 포함되어 제한속도 30Km/h 과속단속이 실시중인 관계로 발전소 근로자들의 출퇴근 시간에 차량통행량이 급증한다. 평시에도 굴비의 본 고장이다 보니 화물차량의 이동이 잦다. 특히 법성에서 숲쟁이공원 교차로 구간의 경우 법성포 단오제와 같은 지역 축제 시 또는 주말마다 백수해안도로 및 백제불교최초도래지를 찾는 관광객들로 인해 통행량이 일시적으로 증가하는 경우에는 혼잡도가 더 오른다. 이와 같은 문제로 인해 한빛원자력본부에서 방사능 유출 등 유사 사고 발생시 대응시간을 벌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국도 22호선 복용삼거리 - 성재교차로 구간과 한빛원자력사택 정문 교차로구간을 직결해 상기 혼잡 구간을 우회하는 [[15번 지방도]] 우회도로 개설공사에 착수, 2021년 11월 30일부로 성재교차로 - 화천교차로 구간이 임시개통되었다. 아울러 나머지 [[15번 지방도]] 구간인 한빛원자력사택 정문 - 한빛원자력본부 정문 구간도 한수원과의 협의를 통해 착공할 예정. 2019년 12월 [[77번 국도]]의 [[칠산대교]]가 정식 개통됨에 따라 [[무안군]] 해제면까지 이동 소요시간이 대폭 줄어들었다. == 버스 == === [[영광군 농어촌버스|농어촌버스]] === [[영광교통]]에서 [[영광군 농어촌버스]]를 운행하는데, 관내 연계교통이 부실한 편이다. 지역 주민들이 영광읍내로 갈 때 이용하는 농어촌버스의 배차 간격이 1시간 내외이다. 게다가 시계외를 오가는 노선은 신광(함평) 딱 두 노선밖에 없고,[* 이마저도 본래 존재했었던 노선은 아니고 2012년 즈음에 생긴 노선이다.] 다른 경우에는 타 군의 군내버스를 이용해야 한다. 북쪽의 고창으로 가려고 해도 고창에서 영광 오는 고창 버스에 의존해야 했고[* 고창 - 영광 노선은 2019년 2월 폐선되었다. 그 대신 대산 - 영광 구간으로 단축하여 일 2회 운행한다.] 밑의 함평군 또한 마찬가지다. 심지어는 다른 곳도 아니고 영광에서 광주로 가는 군내버스를 이용하려면 '''[[함평군]]에서 운행하는 500번(영광 - 광주)'''에 의존해야 한다.[* 이 때문에 영광에서 광주가는 버스 시간표는 영광군청이 아닌 [[함평군청]]에서 확인해야 한다.] [[교통카드]] 사용이 가능하나, [[교통카드/후불|후불교통카드]] 사용이 안된다 === 시외버스 및 고속버스 === 시외로 나갈 때는 [[영광종합터미널]]에서 [[센트럴시티|서울]]로 갈 수 있는 [[금호고속|금호]], [[중앙고속|중앙]], [[천일고속]]의 [[고속버스 서울호남-영광|고속버스]], 그 외 지역으로 가는 [[시외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홍농버스터미널도 존재하긴 한다. 노선은 영광군 내 지역 이동과 광주행 버스로 2022년 10월 기준 현재 12회 운영중이고 홍농 - 문장 - [[송정역시외버스정류소]] - [[유스퀘어]](광주) 이다. [[한빛원자력본부]] 직원과 가족들이 자주 이용한다. 2015년 4월 2일 이후 [[호남고속선]]이 개통되면서 광주에서 영광까지 운행시간이 변경되고 직통으로 가는 버스가 생겼고[* 홍농행 버스는 광주 - 문장 - (영광군청) - 영광 - 법성을 거쳐 종점인 홍농에 도작한다.], 이후 2021년 3월 1일부로 송정시외버스정류소가 완전 폐지되어 왕복 17회의 노선이 모두 [[광주송정역]]을 경유하게 되었다. 이로써 열차 이용객은 물론이고 나아가 [[무안국제공항]]을 이용하고자 하는 이용객의 편의가 약간 증가하게 되었다. == 여객선과 어항 == 향화도항은 염산면 옥실리에 소재한 국가어항이다. 향화도는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1976년]]까지만 해도 섬이었으나 간척 사업의 결과 연륙되었다. [[무안군]] 해제반도로 넘어가는 [[칠산대교]]와 영광군 최고층 건물인 칠산타워 전망대가 향화도항에 있다. 향화-송이 항로가 일 2회, 향화-낙월[* 향화도항-대각씨도-상낙월도-하낙월도 순으로 경유. 3명만 거주하는 대각씨도는 주민이 미리 요청하는 경우에만 들른다.] 항로가 일 3회 총 2척이 운행한다. 계마항은 홍농읍 계마리에 위치한 국가어항으로, 가마미해수욕장이 항구 지척에 있다. 계마-[[안마 군도|안마]] 항로로 일 1~2회 운행한다.[* 계마항-대석만도-횡도-안마도 순으로 경유. 대석만도(인구 11명)와 횡도(인구 2명)는 주민이 미리 요청하는 때에만 들른다.] 선착장 앞 [[수협]] 위판장에 [[수협은행]] ATM(07시 오픈)이 있어 입도 전 현금을 챙길 수 있다. 안마도 항로는 수심이 얕고 조수 간만의 차가 큰 곳을 지나기 때문에 하루 한 편밖에 안 다니는 배가 출항 시각마저 들쭉날쭉 널뛰는 것으로 악명이 자자하다. * 영광군 항구·어항 보유현황 * 국가어항: 계마항, 안마항 (2개소) * 지방어항: 법성항, 설도항 (2개소) * 어촌정주어항: 대신항, 향화도항 (2개소) * 소규모어항: 구수항, 당두항, 대각시항, 대각이항, 대석만항, 상낙월항, 소각시항, 소석만항, 송이도항, 월곡항, 월평항, 창우항, 칠곡항, 하낙월항, 항월항, 횡도항 (16개소) * 무역항, 연안항 없음. 총 22개소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영광군, version=529, paragraph=3)][[분류:영광군]][[분류:전라남도의 교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