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대전광역시장)] || {{{#ffffff '''역임한 직위'''}}}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새마을운동중앙회 회장)] [include(틀:역대 한국공항공사 사장)]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E4D 0%, #00AE4D 20%, #00AE4D 80%, #00AE4D)" '''제4·8·10대 대전광역시장[br]{{{+1 염홍철}}}[br]廉弘喆 | Yeom Hong-cheol'''}}}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5A2A15DC-F61D-40D5-BBD5-27B95F421514.jpg|width=100%]]}}} || ||<|2> '''출생''' ||[[1944년]] [[8월 6일]] ([age(1944-08-06)]세) || ||[[충청남도]] [[논산시|논산군]] [[채운면]][br](현 [[충청남도]] [[논산시]] [[채운면]]) || || '''본관''' ||[[파주 염씨]] (坡州 廉氏) || || '''현직''' ||[[한남대학교]] 석좌교수 || ||<|12> '''재임기간''' ||제4대 [[대전광역시장|대전직할시장]] {{{-2 (관선)}}} || ||[[1993년]] [[3월 4일]] ~ [[1994년]] [[12월 31일]] || ||제4대 [[대전광역시장]] {{{-2 (관선)}}} || ||[[1995년]] [[1월 1일]] ~ [[1995년]] [[3월 29일]] || ||제5대 [[한국공항공사|한국공항공단]] 이사장 || ||[[1996년]] [[11월]] ~ [[1998년]] [[3월]] || ||제8대 [[대전광역시장]] {{{-2 (민선 3기)}}} || ||[[2002년]] [[7월 1일]] ~ [[2006년]] [[6월 30일]] || ||제7대 중소기업특별위원회 위원장 {{{-2 (장관급)}}} || ||[[2006년]] [[9월 21일]] ~ [[2007년]] [[11월 10일]] || ||제10대 [[대전광역시장]] {{{-2 (민선 5기)}}} || ||[[2010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 || || '''서명''' ||[[파일:염홍철서명.svg|height=80]] || || '''링크'''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yumone2010, 크기=20)] | [[https://m.facebook.com/yumone|[[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https://blog.naver.com/yumone2010|[[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0]]]]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배우자''' ||이종숙 || || '''자녀''' ||슬하 2녀 || || '''학력''' ||<(> 대전공업고등학교(현 [[한밭대학교]]) {{{-2 (졸업)}}}[br][[경희대학교/학부/정경대학|경희대학교 정경대학]] {{{-2 (정치외교학 / 학사)}}}[br][[연세대학교/대학원|연세대학교 대학원]] {{{-2 (행정학 / 석사)}}}[br][[중앙대학교/대학원|중앙대학교 대학원]] {{{-2 (정치학 / 박사)}}}[br][[컬럼비아 대학교|컬럼비아 대학교 대학원]] {{{-2 (정치학 / 박사)}}} || || '''신체''' ||168cm, 77kg || || '''혈액형''' ||[[O형]] || || '''종교''' ||[[개신교]]([[침례회]]) || || '''소속 정당''' ||[include(틀:무소속)] || || '''경력''' ||[[경남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br][[대통령비서실]] 정무비서관 {{{-2 ([[노태우 정부]])}}}[br]남북고위급 회담 예비회담 대표[br]제4대 [[대전광역시장]] {{{-2 (관선)}}}[br][[한국공항공사|한국공항공단]] 이사장 {{{-2 ([[문민정부]])}}}[br][[한밭대학교]] 총장[br]세계과학기술도시연합 회장[br]제8대 [[대전광역시장]] {{{-2 (민선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3]]기 / [[한나라당]])}}}[br]대통령직속 중소기업특별위원회 위원장 {{{-2 ([[참여정부]])}}}[br]제10대 [[대전광역시장]] {{{-2 (민선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5]]기 / [[자유선진당]])}}}[br][[더불어민주당]] 문화예술행정특임행정촉탁위원[br]제25대 새마을운동중앙회장 ||}}}}}}}}}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전 교육자, [[정치인]]이다. [[1944년]] [[충청남도]] [[논산시|논산군]] 채운면에서 태어났다. == 생애 == 대전공업고등학교(현 [[한밭대학교]]), [[경희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였다. 경희대학교 재학 중 [[대한민국 육군]] [[병(군인)|병]]으로서 [[베트남 전쟁]]에 참전하였고 [[병장]]으로 만기제대하였다. 이후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 석사, [[중앙대학교]] [[대학원]] 정치학 박사 과정을 졸업하고 [[컬럼비아 대학교]] 대학원 정치학 박사 과정을 수료하였다. [[경남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를 역임하며 [[종속이론]]에 대해 연구한 권위자이기도 하다. 식민지가 식민지배국에 해방 되어 종속된다는, [[NLPDR]] 운동권들의 사상의 근간이 되는 그 종속이론 맞다. 교수 염홍철은 종속이론을 사실상 한국에 소개했고, 그를 통해 유명해져 정계에 입문하게 되었을 정도. 물론 종속이론은 시간이 흐르면서 시의성을 상실하게 되는데, 후에 "다시보는 종속이론"을 펴내기도 했다. == 정치 활동 == [[1988년]] [[청와대]] [[대통령비서실]] 정무비서관에 임명되어 정계에 입문하였다. 그리고 [[1993년]]부터 [[1995년]]까지 대전직할시장(임명직, 차관급 정무직공무원)을 역임하였다. 1995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민주자유당]] 후보로 대전광역시장 선거에 출마하였으나 [[자유민주연합]] [[홍선기]]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한국당]] 후보로 [[대전광역시]] [[서구(대전)|서구]] 을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자유민주연합 [[이재선(정치인)|이재선]]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96년]]부터 [[1998년]]까지 [[한국공항공사|한국공항공단]] [[이사장]]을 역임하였다. [[1999년]]부터 [[2000년]]까지 [[경남대학교]] 북한대학원 원장을 역임하였다. [[2000년]]부터 [[2002년]]까지 [[한밭대학교]] [[총장]]을 역임하였다. [[2002년]]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대전광역시장 선거에 출마하여 자유민주연합 [[홍선기]]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다. 정외과 출신답게 학교 총장 당시 학교에 수많은 세미나를 유치했던 것이 승리의 요인이었다는 평이다. [[2003년]] [[청소년증]] 시행안을 받아들여 [[대전광역시]]에서도 청소년증 발급을 약속해 같은해 10월 [[서울특별시]]와 함께 대전광역시에서도 시범시행하게 되었다. 또한 시장 재직시절 [[싸이월드]]를 통한 대민소통에 열정적으로 나서서 호평을 받았는데, <시장님 우리 일촌해요>라는 에세이를 출간하기도 했다. 어찌보면 SNS 정치의 조상 격. [[2004년]] 행정수도 이전에 반대하는 한나라당의 [[이명박]] 서울시장 등과 마찰을 겪다가 결국 당을 탈당하여 [[열린우리당]]에 입당하였다. [[2006년]]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열린우리당 후보로 대전광역시장 선거에 출마하였고 선거운동기간 이전에는 무난하게 압승을 거둘것으로 예측되었지만 박근혜 피습사건이후 판세가 역전되는 바람에 친박 정치인인 한나라당 박성효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박근혜 피습 이후 그 유명한 '''대전은요?''' 발언이 나온 선거였다.] 이후 [[노무현]]에 의해 [[보은인사]] 격으로 대통령직속 중소기업특별위원장(장관급)과 국정자문위원으로 임명되어, 2008년 2월까지 해당 직책을 역임하였다. [[2008년]] 2월 [[민주당(2008년)|통합민주당]]을 탈당하였고 [[2009년]] [[자유선진당]]에 입당하였다. [[2010년]]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자유선진당 후보로 대전광역시장 선거에 출마하여 한나라당 [[박성효]] 후보에게 설욕하였다. 당선 직후 방송 소감으로 대단히 의미심장한 말을 남겼다. '''"원숭이는 나무에서 떨어져도 원숭이지만, 사람은 선거에 떨어지면 사람이 아니다."''' 낙선 후 재 당선까지 4년의 기간을 함축한 말이었다. [[2014년]] [[충청권 광역철도]] [[예비타당성조사|예산타당성심사]]를 신청, 같은해 [[국토교통부]]의 예비타당성 사업 확정을 결정적으로 이끌어냈다. [[http://www.yonhapnews.co.kr/local/2014/01/20/0807000000AKR20140120120500063.HTML|연합뉴스 충청권철도 예타신청…대전도시철도 2호선 탄력받나]] [[http://www.daejeon.go.kr/drh/depart/board/boardNormalView.do;jsessionid=vNnbraBpJAeKSdZgqko3JlIEYTi1BI2OUz558CL4iW0TTfYMQyfshnXSwNpHt5Se.WEB1_servlet_engine2?boardId=normal_0189&menuSeq=1632&pageIndex=1&ntatcSeq=125749|대전광역시청 대전시, 충청권광역철도 예비타당성조사 대상사업 확정]] 그 후 새누리당 당적을 갖고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는 출마하지 않았고, 정계은퇴로 받아들여졌으나 본인은 부인했다. 그도 그럴 것이 제6회 지방선거에서 사실상 중립을 넘어서 새누리당 박성효 후보가 아닌 새정치민주연합 권선택 후보를 적극적으로 밀었고 결국 권선택이 당선되었다. 물론 이건 일종의 해당 행위지만 크게 문제 삼아지진 않았다. == 퇴임 이후 == [[2014년]] [[배재대학교]] 석좌교수로 임용되면서 정치쪽과는 멀어진 행보를 보였다. 전술했듯이 원래 교수 출신이다. 새누리당 당적은 유지하고 있었으나, [[박근혜-최순실 게이트]]가 한창이었던 [[2017년]] [[1월 16일]] 새누리당을 탈당했다. 2017년 4월 19일 [[19대 대선]]을 앞두고 [[문재인]] 캠프에 합류했다. [[더불어민주당]]에 입당하지는 않았는데, 캠프 합류가 정치를 재개하려는 행보가 아니며, 문재인 후보의 삼고초려에 응했을 뿐이라고 이유를 밝혔으며, 대전시장 퇴임 이후에는 앞서 서술한 권선택 지지부터 해서 후술할 [[황운하]] 의원과의 식사 등 친민주당적인 행보를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단순히 민주당 의원과 식사를 했다는 것만 가지고 친민주당적으로 변했다고 보기는 어려운데, 실제로 정치인들 중 본인과 소속 정당이 다른 정치인들과도 친하게 지내거나 친분을 유지하는 경우가 되게 많으며, 언론이나 뉴스에는 서로 고성지르면서 싸우는 장면만 많이 잡혀서 그렇지 실제로는 지나가다 마주치면 반갑게 인사를 나눈다고도 한다.] 여론 조사에서 선호도 1위를 차지하면서 좋은 경쟁력을 보여주었지만, 2018년 3월 20일 자신의 SNS를 통해 지방선거 불출마를 공식 선언했다. 그는 “시민들의 과분한 사랑으로 임명직 한번, 선출직 두번 등 모두 세번의 시장직을 수행했는데[* 연임이 아니다. 홍선기 전 시장만이 유일하게 연임하였다.] 더 이상은 욕심이라고 생각했다”며 “훌륭한 분이 시장에 선출돼 침체한 대전발전은 물론 대전에 대한 시민의 자부심을 높일 수 있는 시정을 펼쳐주길 소망한다”고 썼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469&aid=0000286323|*]] 2021년 새마을운동중앙회 회장으로 부임해 활동한 뒤 2022년 9월 8일 1년 반 남긴 가운데 사퇴했다. [[문재인]]의 대선 공동선대위원장 맡았고, 문 대통령의 경희대 동문인 염홍철 입장에서는 정권이 교체되면서 사퇴 압박을 느낄 수밖에 없었고, 특히 광역단체장 경험이 있어서 스스로 사퇴 시점을 앞당겼을 수도 있다는 분석이다.[[https://m.newspim.com/news/view/20220905000079|#]] == [[대전 도시철도 2호선]] 차량 선정 == 염홍철은 시장 재임 당시 [[대전 도시철도 2호선]]을 [[자기부상열차]]로 건설하기로 하고 [[예비타당성조사]] 까지 통과시키고 [[권선택]]에게 사실상 시장직을 물려준 적이 있다. 그러나 권선택은 자기가 좋아하는 [[노면전차|트램]]을 밀어붙어 소위 '''[[권트램]]'''이라는 별칭까지 붙는 등 시민들이 반대하는 트램을 밀어붙였다. 이에 따라 2017년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2&oid=421&aid=0001896448|대전도시철도2호선 트램, 총선 앞두고 찬반논쟁 재점화]], 염홍철을 주축으로 트램을 반대하는 세미나가 열렸다. [[http://www.dtnews24.com/news/article.html?no=390084|#]] 염 전 시장은 해당 세미나에서는 2호선 계획에 대해 대전시민 70% 이상이 반대했음에도 "전임자가 하던것을 후임자가 뒤집고 훼손하는것은 후진국적인 문화다"라며 강도 높게 깠다. 그럼에도 권선택은 우격다짐으로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2&oid=277&aid=0003690074|밀어부치겠다]]라며 맞섰고 때마침 시장직 상실 판결을 받았다. 그러나 이후 당선한 [[허태정]] 시장은 권 전 시장이 추진했던 트램 건설 정책을 2022년 현재까지 계속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허태정 시장이 낙선하였고 사업비가 2배로 늘면서 트램조차 보기 힘들어졌다. == 논란 == === [[을지대학교의료원]] 사건 === 1998년 11월 27일, 서울지법 형사합의22부는 대전 을지의대 설립인가를 받도록 도와달라는 부탁과 함께 3,000만원을 받은 혐의로 구속기소된 염홍철 전 대전시장에게 특가법상 알선수재죄를 적용,징역 1년.집행유예 2년 및 추징금 3,000만원을 선고했다.[[http://gangnam.joins.com/news/article/Article.aspx?total_id=3728013|#]] 2심에서는 벌금 1,000만원과 추징금 3,000만원으로 감형되었다. 요즘이었으면 피선거권을 바로 상실했겠지만 이 시절은 정치자금법 위반으로 피선거권 상실이 되려면 금고 이상의 형을 받아야 하던 시절이었기에 피선거권 상실은 면했다. 염홍철은 이에 대해 받은 [[화폐|돈]]은 정치 후원금이며 [[김대중 정부]]가 정치보복을 목적으로 표적사정을 한 것이라 주장했다. === 박성효 욕설 논란 === 원래 박성효 전 시장은 염홍철 시장 당시 대전광역시청 국장과 기획관리실장에 임명된 바 있고, 2005년에는 대전광역시 정무부시장으로 임명된 사람이었다. 그러나 2006년 3월, 한나라당 시장선거출마를 위해 자신의 주군이던 염홍철을 [[배신]]하고 [[친박]]으로 전향하였다. 이로 인한 탓인지 2006년 5월 7일 오전 9시경 대전시생활축구대회가 열리고 있는 한밭운동장을 방문, 체육계 인사와 동호인 등에게 인사를 하는 과정에서 염홍철과 마주쳐 “초보운전이라 부족한 점이 많습니다”라며 인사말을 건네자, 염홍철은 대뜸 ‘'''이 사람아'''’라는 표현을 써가며 “초보운전자가 그러면 되느냐? 나는 박 후보의 비리를 많이 알고 있지만 그렇지 않다”라고 받아쳤다. 그러자 박성효는 "[[강창희]] 전의원도 염 후보와 오랜 친구지만 그런 얘기를 하더라"라고 맞불을 놓자, 염홍철은 "'''나쁜××, 이××'''"라며 거칠게 욕을 했다. 이에 박성효가 "을지대 (수뢰) 사건은 사실이 아닙니까?"라며 묻자 염홍철은 "'''너 맞을래?"라며 주먹다짐을 하려는 듯한 행동을 보여''' 주변에서 말리는 소동이 벌어졌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119&aid=0000007908|#]] 그러나 나중에 [[친박]]이 대대적으로 몰락하고 박성효가 대전광역시장으로 재임할 당시 염홍철 시장이 추진하던 로봇랜드나 근현대사박물관, 그리고 자기부상열차 시범사업 등 대전이 유치하고자 했던 사업들을 죄다 인천이나 마산 등의 타 지역에 빼앗기는 등 [[무능]]을 보여주어 집권여당인 한나라당에 대한 반감이 커지게 한 것은 다름아닌 박성효였다. 인간관계 적으로 단순 상하관계 시절만을 고려하면 염홍철의 배신감도 그럴 수는 있겠다 싶지만 막말은 막말.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방역 수칙 위반 논란 === ==== 식당 내 방역수칙 위반 논란 ==== [[https://n.news.naver.com/mnews/ranking/article/025/0003066389|단독 기사(네이버)]] 중앙일보는 염홍철이 2020년 12월 26일 [[황운하]] 국회의원 등과 함께 6명이 모인 방에서 식사 자리를 가져 방역수칙 위반 논란이 일고 있다고 보도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12월 24일부터 1월 3일까지 수도권 식당의 5인 이상 모임을 금지했다.[[https://news.seoul.go.kr/welfare/archives/525839|#]] 더구나 참석자 중 염 전 시장을 비롯한 2명이 확진 판정을 받았다. 황 의원은 음성 판정을 받았지만 자가 격리됐다. 1일 대전광역시에 따르면 염 전 시장과 황 의원, 60대 경제인 등 6명은 지난해 12월 26일 대전 중구의 한 음식점에서 저녁을 먹었다. 이들은 오후 7~ 9시 약 2시간 동안 반주를 곁들인 식사를 했다고 한다. 다만 연합뉴스에서 나온 최신 기사에서 중구청은 제보를 받고 조사한 결과 예약·결재 따로…칸막이·거리두기 등 방역에 문제없다는 소식을 전하였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sec&oid=001&aid=0012115620&isYeonhapFlash=Y&rc=N|연합뉴스 기사]] 상황을 좀 더 지켜보고 위반에 대해 판단해야할 듯 하다.[* 다만 방역수칙에 문제가없다는 대전시의 근거가 논란 소지가 매우 많은 상황으로 1. 일괄예약이 아닌 따로 예약을 한 점, 2. 시간차를 둔 입장 3. 테이블간 개별메뉴 4. 테이블 간격이 1.5m에 칸막이가 설치된 점. 위 4가지 사유가 근거가 5인이상 집합금지 제외 사항으로 해석될 경우 대형식당, 뷔페, 연찬회, 술집 등 대형홀을 기본적으로 구비한 상가들이 이를 악용할 소지가 있기 때문.] 대전 중구에 따르면 지난달 26일 오후 5시40분쯤 염 전 시장 팀이 식당에 왔다. 이후 오후 6시쯤 또 다른 팀이 입장했고, 6시20분쯤 황 의원의 옆 테이블 손님들이 들어왔다. [[https://news.v.daum.net/v/20210107085947960|#]] 같은 일행이라고 야당이 주장했는데 입장간격이 40분이나 차이나는 것이다. 또한 해당기사에 나온 사진을 보면 두 테이블 사이는 2개의 테이블이 들어갈 만큼 떨어져있다. 테이블이 붙어 있는것처럼 보도한 [[https://news.joins.com/article/23960174|중앙일보 기사]]와 실물은 딴판이다. CCTV를 왜 확인하지 않았냐는 문제제기도 있었는데 그 식당은 애초에 실내에 CCTV가 없는 식당이다. 또한 중구청 관계자는 “(식당 밖으로) 나오는 시간은 비슷할 수밖에 없다”며 “식당 주인이 9시가 되면 나가야 된다고 하니까, 8시 40분경 비슷하게 나온 것 같다”고 말했다.[[https://www.donga.com/news/Society/article/all/20210103/104741618/1|#]] ==== 사인회 개최 논란 ==== 코로나 확진 기승부리던 2020년 12월 자서전 출판기념 사인회를 개최하며 구설수에 오르기도 하였다.[[http://www.chungnam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580326|#]] 정확한 통계를 알 수는 없지만 적어도 수십명 많게는 수백명이 오간 것으로 보인다. 사회 지도층이랄 수 있는 전직 광역시장이 사적 모임을 자제해 달라는 당국의 권고를 도외시한 채 여러 사람이 한 장소에 모이는 모임을 했다는 점에서 비난을 피하기 어려워졌다. == [[대전 시티즌]] 구단주 == >"강등된다고 해도 대전 시티즌에 대한 시와 시민의 지원은 약화되지 않을 것이다. 집에서 아이가 공부를 못한다고 해서 내 자식이 아닌 것은 아니지 않나. 부모의 역할은 아이가 공부를 잘 할 수 있도록 여건을 만들어주는 것이다. 강등이 된다고 해도 충분히 다시 올라갈 수 있는 만큼 대전 시티즌에 대한 관심과 배려는 줄어들지 않을 것이다. 내년도 예산이 반토막 났다는 소문도 있는데 이는 사실무근이다. 시 의회에서도 대전시티즌의 가치를 인정해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있다. 어려운 때일수록 더욱 격려하고 성원을 보내는 것이 시와 시민의 도리다." [[파일:다운로드파일염-4.jpg]] 대전광역시장 시절 시민 구단인 [[대전 시티즌]] 구단주였는데, 2006년 시장 재직 당시 대전시티즌을 컨소시엄 형태로 운영하던 기업들이 경영난으로 모두 떠나자 시민구단을 제안, 대전시티즌을 시민구단으로 기사회생시킨 장본인이기도 하다. 상당히 대전 시티즌 구단에 관심을 가지고 많은 지원과 투자를 했던 것으로 대전 팬들에게 고평가를 받고 있는데, 거의 매경기 대전의 홈경기를 직관했으며, 대전 구단의 이사진을 개편하고 기존에 없던 클럽하우스를 신축했고, 특히 2012년 [[최은성]] 방출 파문이 터졌을때 최은성을 불러 직접 최은성을 설득하기도 했었다. 2013시즌 대전이 2부 리그로 강등되었지만, 강등이 확정되기 이전인 10월에 강등 여부와 관계 없는 지원과 투자를 약속하기도 했고, 이러한 대전 구단의 애정과 관심이 2014년 대전의 압도적인 K리그2 우승 및 승격의 및거름이 되었다.[[https://sports.v.daum.net/v/20131128144507120|#]] 시장직에서도 물러난 이후에도 종종 대전의 홈경기를 방문한다. == 여담 == * 주요 이슈가 있을 때마다 [[열린우리당|당적을]] [[자유선진당|바꾸는]] [[철새(정치)|철새]]라는 부정적 평가가 있으나, [[박성효|후]][[권선택|임]][[허태정|자]][[이장우(정치인)|들]]의 면면을 보면 정당 변천사와는 별개로 큰 구설수 없이 무난하게 시장직을 보냈을뿐더러 업무능력만큼은 이만한 사람이 없다는 평가도 있다. * 2020년 12월 31일,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다고 한다.[[https://news.v.daum.net/v/20201231204651211|#]] == 소속 정당 == || '''{{{#fff 소속}}}''' || '''{{{#fff 기간}}}''' || '''{{{#fff 비고}}}''' || || [include(틀:민주자유당)] || 1993 - 1995 || 정계 입문 || || [include(틀:신한국당)] || 1995 - 1997 || 당명 변경 || || [include(틀:한나라당)] || 1997 - 2005 || 합당[* [[통합민주당(1995년)|통합민주당]]과 신설 합당.] || || [include(틀:무소속)] || 2005 || 탈당 || || [include(틀:열린우리당)] || 2005 - 2007 || 입당 || || [include(틀:무소속)] || 2007 || 당내 노선 차이로 탈당 || || [include(틀:대통합민주신당)] || 2007 - 2008 || 입당 || || [include(틀:통합민주당(2008년))] || 2008 || 합당[* [[민주당(2007년)|민주당]]과 신설 합당.] || || [include(틀:무소속)] || 2008 - 2009 || 탈당 || || [include(틀:자유선진당)] || 2009 - 2011 || 입당 || || [include(틀:자유선진당)] || 2011 - 2012 || 합당[* [[국민중심연합]]과 신설 합당.] || || [include(틀:선진통일당)] || 2012 || 당명 변경 ||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2012 - 2017 || 합당[* [[새누리당]]에 흡수 합당.] || || [include(틀:무소속)] || 2017 || 탈당 || || [include(틀:무소속)][br]([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2017 || 무소속 신분으로[br]선거 캠프 합류 || || [include(틀:무소속)] || 2017 - 현재 || 정계 은퇴 ||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 1995 ||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대전광역시장]] || [include(틀:민주자유당)] || 112,607 (20.93%) ||<|2> 낙선 (2위) || || || 1996 ||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 대전 [[서구 을(대전광역시)|서 을]] || [include(틀:신한국당)] || 32,630 (34.86%) || || || 2002 ||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3> [[대전광역시장]]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191,832 (46.61%)''' || '''당선 (1위)''' || '''초선'''[* 2005년 탈당([[열린우리당]] 입당).] || || 2006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include(틀:열린우리당)] || 217,273 (41.14%) || 낙선 (2위) || || || 2010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include(틀:자유선진당)] || '''276,122 (46.67%)''' || '''당선 (1위)''' || '''재선'''[* 2012년 [[새누리당]] 입당(소속 정당 흡수 합당).] || ---- || {{{#ffffff '''역대 선거 벽보'''}}} || ||<^|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염홍철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염홍철2.jpg|width=100%]]}}} || ||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000000,#e5e5e5 1회 지선}}}]] {{{#000000,#e5e5e5 (대전광역시장)}}} || [[제15대 국회의원 선거|{{{#000000,#e5e5e5 15대 총선}}}]] {{{#000000,#e5e5e5 (대전 서구 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염홍철3.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염홍철4.jpg|width=100%]]}}} || ||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000000,#e5e5e5 3회 지선}}}]] {{{#000000,#e5e5e5 (대전광역시장)}}}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000000,#e5e5e5 4회 지선}}}]] {{{#000000,#e5e5e5 (대전광역시장)}}}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염홍철5.jpg|width=100%]]}}} || ||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000000,#fff 5회 지선}}}]] {{{#000000,#fff (대전광역시장)}}} || ||}}}}}}}}} || == 둘러보기 == || {{{#ffffff '''민선 5기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대한민국의 광역자치단체장(민선 5기))] [include(틀: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대전광역시장 후보)] [include(틀:민선 5기 광역단체장/새누리당)] [include(틀: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자유선진당 후보)] }}} || ---- [include(틀: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대전광역시장 후보)] [include(틀: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열린우리당 후보)] ----- || {{{#ffffff '''민선 3기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대한민국의 광역자치단체장(민선 3기))] [include(틀: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대전광역시장 후보)] [include(틀:민선 3기 광역단체장/열린우리당)] [include(틀: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한나라당 후보)] }}} || ---- [include(틀: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대전광역시장 후보)] [include(틀: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민주자유당 후보)]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대한민국의 공무원]][[분류:대전광역시장]][[분류:논산시 출신 인물]][[분류:파주 염씨]][[분류:1944년 출생]][[분류:2017년 은퇴]][[분류:대한민국의 침례회 신자]][[분류:한국공항공사 사장]][[분류:참여정부/인사]][[분류:문민정부/인사]][[분류:노태우 정부/인사]][[분류:경희대학교 출신]][[분류:연세대학교 대학원 출신]][[분류:중앙대학교 대학원 출신]][[분류:공무원 출신 정치인]][[분류:새마을운동중앙회 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