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ff 역임한 직위}}}'''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미래한국당 사무총장)] ---- [include(틀:자유한국당 사무총장)] ---- ||<-5>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width=30]]]] {{{#cfa547 '''[[대한민국 국회의원|{{{#cfa547 대한민국 국회의원}}}]] ([[강원도|{{{#cfa547 강원}}}]] [[태백시·영월군·평창군·정선군|{{{#cfa547 태백시·영월군·평창군·정선군}}}]])'''}}} || || 제18대[br][[최종원]] || → || '''제19대[br]염동열''' || → || ''선거구 개편''[br]'''염동열'''[*A [[태백시]]·[[영월군]]·[[평창군]]·[[정선군]] 선거구 [[제19대 국회의원]] → [[태백시]]·[[횡성군]]·[[영월군]]·[[평창군]]·[[정선군]] 선거구 [[제20대 국회의원]]] || ||<-5>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svg|width=30]]]] {{{#cfa547 '''[[대한민국 국회의원|{{{#cfa547 대한민국 국회의원}}}]] ([[강원도|{{{#cfa547 강원}}}]] [[태백시·횡성군·영월군·평창군·정선군|{{{#cfa547 태백시·횡성군·영월군·평창군·정선군}}}]])'''}}} || || ''선거구 개편''[br]'''염동열'''[*A][br][[황영철]][* [[홍천군]]·[[횡성군]] 선거구의 [[제19대 국회의원]]이다.] || → || '''제20대[br]염동열''' || → || ''선거구 개편''[br][[유상범]][* [[홍천군·횡성군·영월군·평창군]] 선거구의 [[제21대 국회의원]]이다.][br][[이철규]][* [[동해시·태백시·삼척시·정선군]] 선거구의 [[제21대 국회의원]]이다.]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61e2b 0%, #e61e2b 20%, #e61e2b 80%, #e61e2b)" '''{{{#fff 대한민국 제19·20대 국회의원[br]{{{+1 염동열}}}[br]廉東烈 | Yeom Dong-yeol}}}'''}}}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염동열.jpg|width=100%]]}}} || ||<|2> '''출생''' ||[[1961년]] [[2월 28일]] ([age(1961-02-28)]세) || ||[[강원도]] [[평창군]] 도암면[* 현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대관령면] || || '''거주지'''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대관령면]][br][[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 || || '''본관''' ||[[염(성씨)#s-1|파주 염씨]] || || '''현직''' ||사단법인 세계신지식인협회 고문 || || '''외부 링크''' ||[[http://www.eideabank.co.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현재 방치된 상태다. [[제20대 국회의원]] 시절에 현재 해산된 [[자유한국당]] 로고도 있으며, [[어도비 플래시]]도 있다.] | [[https://www.facebook.com/yeomdy|[[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youtube.com/@TV-ui3cy|[[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https://blog.naver.com/namjo335|[[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0]]]]||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배우자''' ||한인숙 || || '''자녀''' ||아들 2명 || || '''학력''' ||횡계초등학교 {{{-2 (졸업)}}}[br]도암중학교[* 현 대관령중학교] {{{-2 (졸업)}}}[br][[강릉명륜고등학교]] {{{-2 (13회 / 졸업)}}}[br][[관동대학교]] {{{-2 (경영학 / 학사)}}}[br][[국민대학교]] 대학원 {{{-2 (행정학 / 박사)}}} || || '''병역''' ||공군 일병 소집해제 || || '''종교''' ||[[개신교]][*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3500569&code=23111111&cp=nv|출처]]] || || '''신체''' ||[[A형]] || || '''소속 정당''' ||[include(틀:국민의힘)] || || '''의원 선수''' ||'''2''' || || '''의원 대수''' ||'''[[제19대 국회의원|19]], [[제20대 국회의원|20]]''' ||}}}}}}}}}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정치인. == 생애 == 1961년 강원도 [[평창군]] 도암면[* 현 대관령면]에서 태어났다. 횡계초등학교, 도암중학교[* 현 대관령중학교], [[강릉명륜고등학교]][* 13회 졸업생이다. [[권성동]]과 동문이다.], [[관동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였다. === 정치 활동 === 1980년대부터 [[민주정의당]], [[민주자유당]], [[신한국당]], 한나라당에서 몸담았다. 그런데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천년민주당]][* 의외인 듯 싶지만 당시 [[새천년민주당]]에 보수 성향 인사가 꽤 많았고 현 친박 인사들 중에도 민주당계 정당에서 건너온 인사들이 꽤 있다. 대표적으로 [[이인제]], [[홍문종]], [[원유철]], [[유용태]], [[함승희]], [[이우현(1957)|이우현]] 등이 있다.] 후보로 평창군-[[영월군]] [[선거구]]에 출마하였다가 한나라당 [[김용학(정치인)|김용학]]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99년 제48대 한국청년회의소 회장을 지냈다. [[2010년 재보궐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강원도 태백시-영월군-평창군-정선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배우출신 [[민주당(2008년)|민주당]] [[최종원]]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누리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이후 [[친박]]계에 속하였다. 2012년 7월 강원랜드가 태백시의 폐광지에 세워진 오투리조트에 경영회생자금 150억 원을 지원하는 과정에서 염동열 의원은 경영회생자금 투입을 반대하는 강원랜드 이사진과 회유 및 협박을 해 분란을 일으켰다. 염동열 의원 측은 이는 지역 경제를 살리기 위한 국회의원의 지역 활동이며 야당인 민주당이 본 사건을 정략적으로 이용하고 있다고 주장하였다.[[https://www.youtube.com/watch?v=Xgg47D2Z7TQ|관련 영상^^(유튜브)^^]]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누리당 후보로 강원도 태백시-영월군-평창군-정선군-[[횡성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친여 [[무소속]] [[김진선(1946)|김진선]]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다. 선거 과정에서 19억원여인 재산을 5억원으로 축소신고한 의혹이 있어 선관위가 검찰에 고발하였으나, 검찰에서는 보좌진의 실수라는 해명을 받아들여 [[불기소처분]]하였다. 이에 선관위는 불복하여 법원에 [[재정신청]]을 하였고 이게 받아들여져 기소되었으나 세 번의 재판 모두 벌금 80만원을 선고받아 의원직을 유지하였다. 그리고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 선거대책위원회에서 전략기획본부장을 맡고 있는데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 불법 여론조사를 실시한 혐의(공직선거법 위반)로 피고발인 신분으로 입건해 수사 중이지만 결국 무혐의로 종결되었다. [[홍준표]] 대표의 비서실장을 맡았었다. 하지만 2017년 11월 13일부로 [[강효상]] 의원이 비서실장으로 임명되면서 자동으로 사임되었다. 하지만 2017년 12월 26일부로 [[이종혁(정치인)|이종혁]] 최고위원이 부산시장 출마를 이유로 최고위원직을 사임하면서 다시 지명직 최고위원으로 임명되었다.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불출마를 선언하였다. == 비판 및 논란 == === 교과서 국정화 사태 때 발언 논란 === [[박근혜 정부]]의 [[박근혜정부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사태|역사교과서 국정화 사태]] 때가 한창이었던 [[2014년]] [[1월 9일]] [[JTBC 뉴스룸]]에서 [[손석희]] 앵커가 염동열 의원에 대해 전화 인터뷰를 하는 도중에 나온 얘기다.[[http://media.daum.net/v/20140109115608907|국정 교과서를 사용하는 선진국의 예로 북한을 들었다]]. >손석희: 선진국 가운데 이렇게 교과서를 국정으로 가는 경우는 없다는 얘기도 나옵니다. 어떻게 보십니까?''' >'''염동열: 그렇게 보지 않습니다. 러시아나 베트남 필리핀 등이 국정 교과서를 하고 있습니다. 특히 북한은 국정 교과서를 쓰지만...''' >손석희: 그 나라를 선진국으로 표현하지 않지 않습니까? >염동열: 선진국이라는 개념보다 우리나라는 특수한 입장...''(후략)'' 러시아, 베트남, 필리핀, 북한을 국정 교과서를 사용하는 선진국의 예로 들었다. 당장에 이들을 선진국으로 볼 수 있을지도 의문이다.선진국의 기준으로 경제적 요소를 많이 고려하므로 단순히 국가 간의 경제만 비교해보면 [[대한민국]]은 (1인당) 명목 GDP가 $29,730(2017년 기준), [[러시아]]는 같은 해에 $10,248를 기록했다. 물론 인구 수 차이가 있기 때문에 전체 GDP를 비교해보면 러시아가 한국보다 근소한 차이로 높기는 하다. 여담으로, 이 4개국의 1인당 명목 GDP들을 모두 합산하면 약 $16,500이다. (북한은 2017년이 아닌 2015년의 자료($648)로 계산) [[한정애]] 민주당 의원은 자신의 트위터에 "러시아, 필리핀, 베트남, 북한은 국정 교과서 쓰는 선진국?"이라고 비꼬았으며, [[이석현(정치인)|이석현]] 민주당 의원 또한, "북한이..."라는 말로 상당히 황당해 했다. 당연히 누리꾼들은 "새누리당은 북한처럼 공산당하고 싶다는 거지?" 등의 반응으로 비웃음만 가득했다. ~~[[중국몽|북한몽]] 함께하겠다(...).~~ ===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d2kl0xuacqn1kv.cloudfront.net/2016110102_01.jpg|width=100%]]}}} || 2014년 [[정유라]]에 대한 특혜 의혹이 불거질 때, 이를 옹호하는 발언을 하였다. 그리고 그 보답인지 교육문화체육위원회 새누리당 간사로 임명되었다. 이 때문에 박근혜-최순실 게이트가 터진 이후로 전 국민적인 조롱 거리가 되었다.과거 강원 도지사였던 [[김진선(1946)|김진선]]이 공천을 받지 못한 이유가 이것 때문이라는 이야기도 돌고 있는 중이다. === [[강원랜드]] 채용 청탁([[업무방해죄]])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06&aid=0000088585|염동열 한국당 의원, 강원랜드에 80명 채용 청탁 의혹]] [[자유한국당]] [[권성동]] 의원에 이어 염동열 의원 측도 [[강원랜드]] 채용비리 의혹에 연루됐다. [[한겨레]]는 염동열 의원 쪽이 2012~13년 강원랜드 신입 사원 모집 때 채용을 청탁한 규모가 80명이 넘고 이 중 20~30명이 최종 합격한 정황이 강원랜드 자체 감사로 파악됐다고 보도했다. [[춘천지방검찰청]]은 이를 파악하고도 염 의원을 상대로 한 차례 서면 조사만 하고 수사를 끝낸 것으로 전해졌다. 2012년부터 2년 정도의 기간 동안 염 의원 보좌관으로 태백 지역사무실에서 일한 김 아무개 씨는 관련 내용을 검찰에 진술했다. 또 강원랜드 감사 결과 2012~13년 필기 시험 없이 뽑힌 교육생 518명 '''전원'''이 "내‧외부 인사의 지시, 청탁에 의해 별도 관리된 인원"인 것으로 드러났다. 빽이 없이 실력으로 들어온 사람은 단 한 명도(!) 없었던 것이다. 강원랜드 핵심 관계자는 "400명 넘는 청탁자가 100명 가량 채용을 부탁했다"고 증언하기도 했다. 염동열 의원은 한겨레에 "김 보좌관 자신이 청탁을 받아 진행해 놓고, 내게 덮어 씌우려 한다. 모두 김 보좌관의 거짓말"이라고 전면 부인했다. 만일 이 청탁 의혹이 사실로 드러날 경우 [[권성동]]과 더불어 염동열의 정치 생명도 끝장날 것으로 보인다. 강원랜드 사태로 인해 공기업 부정 청탁에 대한 실체가 적나라하게 드러나는 바람에 국민적 분노가 커지고 있고, 무엇보다 청탁의 규모가 엄청나기 때문이다. 하지만 여야를 통틀어 법사위원장의 자격에 대한 의심과 엄청난 비판을 받고 있는 권성동과는 다르게 이 쪽은 아직 크게 부각되지 않고 있다. 그런데, [[2018년]] [[4월 5일]] [[MBC 뉴스데스크]]에서 단독 기사를 내면서 [[최흥집]] 전 [[강원랜드]] 사장이 [[권성동]]과 염동열의 부정 청탁을 부인해온 것을 뒤집어버리고 '''[[http://v.media.daum.net/v/20180405190406004?f=m&rcmd=rn|부정 청탁이 있었다]]'''는 진술을 하게 되었다고 보도가 나왔다. 지역구 의원의 부탁이라 어쩔 수 없었다고. '''이로써 염동열과 권성동의 부정 청탁은 사실이 되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52&aid=0001264178|#]] 2018년 7월 16일, 강원랜드 채용 비리 관련 특별수사단(단장 [[양부남]] 의정부지검장)은 염 의원을 2013년 자신의 지역구 보좌관을 통해 자기소개서 점수를 조작하는 등의 방법으로 지인과 지지자 자녀 등 39명을 강원랜드 2차 교육생으로 채용되도록 청탁한 혐의(직권남용·업무방해)로 기소했다. 2020년 1월 30일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린 1심에서 재판부(형사30부 재판장 권희) 39명 중 3명을 제외한 36명을 강원랜드에 채용되도록 청탁한 혐의(업무방해)를 유죄로 인정하여 징역 1년을 선고했고, 직권남용 혐의는 무죄를 선고했다. 서울고등법원도 징역 1년을 선고했다.(서울중앙지방법원 2020.1.30. 2018고합721서울고등법원 2021.1.29. 2020노309) 2022년 3월 17일, 최종 유죄가 확정되었다. 재판 결과 징역 1년의 실형이 선고된 것이다. [[https://casenote.kr/%EB%8C%80%EB%B2%95%EC%9B%90/2021%EB%8F%842228|대법원 판결문 전문]] 한달전, 징역 3년 판결받은 [[최흥집]] 강원랜드 사장과는 달리 무죄 판결이 나온 [[권성동]]과는 대조되는 부분이다[[https://www.scourt.go.kr/portal/news/NewsViewAction.work?pageIndex=1&searchWord=&searchOption=&seqnum=2130&gubun=6|대법원 보도자료]][* 참고로 권성동과 같은 날에 [[김성태]]도 [[김성태/사건사고 및 논란/딸 KT 부정 채용 논란|딸 kt 부정 채용 논란]]으로 재판을 받았는데, 김성태 역시 유죄가 선고되었다. 그나마 김성태는 [[집행유예]]라서 수감은 면했다.]. 5일 뒤인 2022년 3월 22일에 [[영월교도소]]에 수감되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654/0000005705?sid=102|#]] 국민의힘 중앙윤리위원회는 당원권 정지 3개월의 징계를 내렸다. [[https://news.v.daum.net/v/20220718231502348?x_trkm=t|#]] 이후 당해 12월 23일, [[가석방]]으로 [[출소]]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87/0000942771?sid=102|기사]]. == 저서 == || {{{#ffffff '''저서'''}}}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청년이 강한 나라 조용한 혁명을 꿈꾸는 사람 ||}}}}}}}}} ||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 1991 || [[1991년 지방선거|지방선거]] || 강원 평창군의회 || [include(틀:무소속)] || 1,056 (27.8%) || 낙선 (3위) || || || 2000 ||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 강원 영월·평창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 16,275 (34.67%) ||<|2> 낙선 (2위) || || || 2010 || [[2010년 재보궐선거#s-2|상반기 재보궐선거]][br]([[제18대 국회의원|국회의원]]) ||<|2> 강원 [[태백시·영월군·평창군·정선군|태백·영월·평창·정선]] || [include(틀:한나라당)] || 28,841 (44.98%) || [* 전임자 [[이광재]] 의원직 사퇴.([[강원도지사]] 선거 출마)] || || 2012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2>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46,537 (56.61%)''' ||<|2> '''당선 (1위)''' || '''초선''' || || 2016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 강원 [[태백시·횡성군·영월군·평창군·정선군|태백·횡성·영월·평창·정선]] || '''44,191 (40.74%)''' || '''재선'''[* 20.03.19 미래통합당 탈당 및 미래한국당 입당] || || {{{#ffffff '''역대 선거 벽보'''}}} || ||<^|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uaehdduf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uaehdduf2.jpg|width=100%]]}}} || || [[1991년 지방선거|{{{#000000,#e5e5e5 1991년 지선}}}]] (강원 평창군의회) || [[제16대 국회의원 선거|{{{#000000,#e5e5e5 16대 총선}}}]] [[태백시·영월군·평창군·정선군|{{{#000000,#e5e5e5 (강원 영월군·평창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uaehdduf3.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uaehdduf4.jpg|width=100%]]}}} || || [[2010년 재보궐선거#s-2|{{{#000000,#e5e5e5 2010년 상반기 재보궐}}}]] [[태백시·영월군·평창군·정선군|{{{#000000,#e5e5e5 (강원 태백시·영월군·평창군·정선군)}}}]]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000000,#e5e5e5 19대 총선}}}]] [[태백시·영월군·평창군·정선군|{{{#000000,#e5e5e5 (강원 태백시·영월군·평창군·정선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uaehdduf5.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 ||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000000,#e5e5e5 20대 총선}}}]] [[태백시·횡성군·영월군·평창군·정선군|{{{#000000,#e5e5e5 (강원 태백시·횡성군·영월군·평창군·정선군)}}}]] || || }}}}}}}}} || == 소속 정당 == || '''소속''' || '''기간''' || '''비고''' || || [include(틀:민주정의당)] || 1985 - 1990 || 정계 입문 || || [include(틀:민주자유당)] || 1990 - 1995 || 합당[* [[통일민주당]], [[신민주공화당]]과 신설 합당, 이른바 [[3당 합당]]] || || [include(틀:신한국당)] || 1995 - 1997 || 당명 변경 ||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1997 - 2000 || 합당[* [[통합민주당(1995년)]]과 신설 합당] || || [include(틀:무소속)] || 2000 || 탈당[* [[새천년민주당]] 입당을 위한 탈당] ||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 2000 - 2003 || 입당 || || [include(틀:무소속)] || 2003 || 탈당[* [[열린우리당]] 합류를 위한 탈당] || || [include(틀:열린우리당)] || 2003 - 2007 || 창당 || || [include(틀:무소속)] || 2007 - 2008 || 탈당[* [[한나라당]] 복당을 위한 탈당] || || [include(틀:한나라당)] || 2008 - 2012 || 복당 ||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2012 - 2017 || 당명 변경 || || [include(틀:자유한국당)] || 2017 - 2020 || 당명 변경 || || [include(틀:미래통합당)] || 2020 || 합당[* [[새로운보수당]], [[미래를향한전진4.0]]과 신설 합당] || || [include(틀:무소속)] || 2020 || 탈당[* [[미래한국당]] 합류를 위한 탈당] || || [include(틀:미래한국당)] || 2020 || 입당 || || [include(틀:미래통합당)] || 2020 || 합당[* [[미래통합당]]에 흡수 통합] || || [include(틀:국민의힘)] || 2020 - || 당명 변경 || == 둘러보기 == [include(틀:미래한국당 중앙당)] [include(틀:제19대 국회의원/강원도)] [include(틀:제20대 국회의원/강원도)] [include(틀:제19대 국회의원/새누리당)] [include(틀:제20대 국회의원/미래통합당)] [[분류:제19대 국회의원]][[분류:제20대 국회의원]][[분류:새누리당 국회의원]][[분류:자유한국당 국회의원]][[분류:미래통합당 국회의원]][[분류:미래한국당 국회의원]][[분류:평창군 출신 인물]][[분류:파주 염씨]][[분류:1961년 출생]][[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 신자]][[분류:국민의힘 소속]][[분류:공군 출신]][[분류:강릉명륜고등학교 출신]][[분류:관동대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