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의 독립 야구단)] ---- ||<-2> [[파일:Yeon_Cheon_ Miracle_logo_2nd.png|width=100%]] || ||<-2> '''{{{#ffffff {{{+2 연천 미라클}}}}}}''' || ||<-2> '''{{{+1 {{{#ffffff YEONCHEON Miracle}}}}}}''' || || '''창단''' ||[[2015년]] [[3월 20일]]^^([age(2015-03-20)]주년)^^ || || '''정식 명칭''' ||(유)연천미라클야구단 || || '''연고지''' ||[[경기도]] [[연천군]] || || '''대표이사''' ||[[김인식(1953)|김인식]] || || '''단장''' ||이해성 || || '''감독''' ||[[김인식(1953)|김인식]] || || '''홈구장''' ||[[선곡베이스볼파크]] || || '''유니폼[br]스폰서''' ||KAMISTA[* [[https://www.kamista.com|링크]]] || || '''링크''' ||[[http://www.miracle-baseball.com|[[파일:Yeon_Cheon_ Miracle_logo_2nd.png|width=25]]]] | [[http://blog.naver.com/miracle_baseballteam|[[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facebook.com/baseball.miracle|[[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instagram.com/miraclebaseball|[[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2> {{{#ccac00 ★★}}}[br]'''{{{#ffffff {{{+1 최종 우승}}}}}}''' ,,{{{#ffffff (2회)}}},, || ||<-2> '''{{{#ffffff 2022, 2023}}}''' || [목차] [clearfix] == 개요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img.yonhapnews.co.kr/PYH2015032008320006000_P2.jpg|width=100%]]}}} || 2015년에 창단한 독립 야구단. 해체한 [[고양 원더스]]에 이어 두 번째로 창단한 독립 야구단으로 구단명인 미라클은 연천군의 슬로건인 "미라클 연천!"에서 따온 것이다. 초대 감독은 전 MBC 청룡에서 뛴 [[김인식(1953)|김인식]]. [[KBO 리그]]에 속하지 않은 독자적인 구단이며 연천군과 (주)인터내셔널스포츠그룹이 공동으로 운영하는 것을 골자로 한 계약을 함으로써 창단했다. [[2015년]] [[2월 24일]] 창단을 [[http://m.sports.naver.com/|공식 발표]]했으며 [[3월 20일]]에 공식 창단식을 가졌다. 연천을 연고로 한 독립 야구단 창단과 관련해서 연천베이스볼 파크를 시공한 우수창[* 연천 미라클 창단 당시 단장이었다. 강진베이스볼파크의 소유주였고 스포츠카드, 펜스를 생산하던 스포츠테레카의 사장이었다.]이 최초의 독립 구단인 "연천 팰컨스(가칭)" 창단 계획을 가지고 있었지만,[* [[https://storyfunding.daum.net/episode/89|관련 포스팅]].][* 사실 우수창 사장은 강진베이스볼파크의 경영난 때문에 상황이 좋지 않았다. 그래서 독자적인 힘으로 불가능하다고 판단한 것.] 독자적인 힘으로는 힘들다고 판단 여러 주체와 접촉 끝에 [[연천군청]]과 인터네셔널스포츠그룹과 힘을 합쳐 만들게 되었다고 한다. [[연천군청]]과 [[명명권]] 계약을 맺으며 2000만원의 지원금을 후원 받고 있지만 운영비는 턱없이 부족해 1인당 7만원씩 받고 운영하고 있다. 배트나 야구공도 웬만하면 아껴 쓰는 편이며 기부를 받는다. [[KBO 퓨처스리그]]에 참가했던 [[고양 원더스]]와는 달리 독자적인 독립 리그가 열리기 전까지 주 2회 [[한화 이글스 2군|한화 이글스 3군]] 및 [[한국대학야구|한국대학야구연맹]] 소속 야구단, [[고교야구]]부와 경기를 가진다.[* 이는 구단 운영비를 최소화 하려는 목적도 있다. 퓨처스리그에 참가하면 선수단 이동 및 숙소 등의 경비 등 큰 금액이 소요되기 때문. 반대로 장거리 원정도 없고 홈구장에서 대부분의 경기를 치르게 되면 불필요한 경비는 소모되지 않기 때문에 이런 결정을 내린 것이다.] 구단 운영비를 최소화 하는 방식으로 인해 약 5억 원 정도면 구단을 꾸려나갈 수 있다고 한다. == 홈구장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선곡베이스볼파크)] == 역사 == || [[파일:6dxTfk8.png|width=80%]] || [[파일:Yeon_Cheon_ Miracle_logo_2nd.png|width=90%]] || || '''{{{#ffffff 2015년~2016년}}}''' || '''{{{#ffffff 2017년~}}}''' || 2015년 3월 26일 본래순대와 스폰서십을 맺었다.[[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076&article_id=0002706330&date=20150326&page=4|#]] 2017년 1월 15일 드디어 [[한국독립야구연맹]]이 창설되고 4월 24일에 드디어 [[한국독립야구리그]]가 출범되었다. 2017년 시즌은 서울 저니맨과 시범적으로 독립리그를 운영하였고, 2018년부터 서울 저니맨, 파주 챌린저스, 의정부 신한대 등 4팀이 [[KIBA 드림 리그]]에 참가하였다. 두 개의 팀으로 운영된 2017 시즌은 8승 1무 9패로 마무리하였고, 신승원 선수가 초대 타격왕 및 최다 안타상을, 강우찬[* [[고양 원더스]] 최후의 멤버 중 1명. 구단 공식 홈페이지에는 무슨 이유에서인지 안 나와 있다.] 선수가 초대 다승왕 타이틀을 차지했다. 2018년 7월 4일 국내 기능성 논슬립 스포츠 양말 회사인 뉴탑스포츠와 공식 후원 협약을 맺었다. 2018년 9월 일본 BFL의 독립구단인 효고 블루 산다스, 와카야마 베이스타즈와의 교류협약을 체결했다. 독립리그 특성상 수익이 나지 않는 등의 문제가 있어 중간에 인터네셔널스포츠그룹과 박정근 교수, 우수창 단장은 모두 발을 뺐으며, 연천군과 후원업체들의 후원을 받아 김인식 감독이 구단 사장을 겸하며 운영되고 있다. 2019년에는 경기도에서 지원하고 경기도야구소프트볼협회에서 운영하는 [[독립야구단 경기도리그]]가 팀당 20경기, 전체 100경기 규모로 창설되어 성남시, 파주시, 고양시, 의정부시, 양주시와 함께 참가하였다. 또한 20경기 남짓한 경기도리그의 경기 부족분을 채우기위해 경기도독립야구연맹리그에도 참가하였다. 2020년에는 고양시, 용인시, 파주시와 [[독립야구단 경기도리그]]에 참가하고있다. 성남시, 의정부시, 양주시는 구단이 해체되어 빠졌다. 리그 규모는 팀당 약 40경기 규모로 커졌다. 2020년 11월 19일 2020 독립야구단 경기도리그 3위, 시상금 600만원의 일부인 100만원을 김인식 감독이하 선수단 일동으로 연천 관내 이웃돕기 위한 후원금 기탁 했다. 2021년에는 FA 미아가 된 [[이용찬]]이 임시적으로 합류하여 등번호 27번을 받고 재활 및 실전감각을 끌어올리면서 야구팬들 사이에 이슈가 되기도 했다. 2021년 시즌에는 정규시즌에서 3위를 기록했고 플레이오프에서 2위인 [[파주 챌린저스]]를 2승 무패로 제압하고 결승리그에 진출했으나 결승리그에서 1위 [[스코어본 하이에나들]]에게 1승 3패로 패하며 준우승에 만족해야만 했다. 2022년 시즌에는 정규시즌에서 2위를 기록했고 플레이오프에서 전년도 플레이오프에서 만났던 파주 챌린저스를 2승 무패로 격파하며 2시즌 연속 결승리그에 진출했다. 결승리그에서 정규시즌 1위인 [[성남 맥파이스]]와 맞붙었는데 1차전에서는 7:8로 패했으나 2차전에서는 7:6로 이겼고 3차전에선 19:5로 성남 맥파이스를 14점 차이로 크게 이기면서 창단 첫 우승에 단 1승 만을 남겨두게 되었고 4차전에서 11:6로 이기면서 3승 1패로 성남 맥파이스를 꺾으면서 창단 최초로 독립야구단 경기도리그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2023 시즌에는 아예 7할 후반대 승률을 거두며 정규시즌 우승에 성공, 챔피언 결정전에서는 패패승승승으로 [[리버스 스윕]]에 성공하면서 2연속 우승을 거머쥐었다. == 선수단 == [include(틀:연천 미라클/로스터)] === 코칭스태프 === ||<|2> '''등번호''' ||<|2> '''이름''' ||<|2> '''직책''' ||<|2> '''부임연월''' ||<-4> '''선수 경력''' || || '''프로 지명''' || '''프로 경력''' || '''은퇴''' || '''포지션''' || || 70 || [[김인식(1953)|김인식]] || 감독 || 2015.03 || 1982(MBC) || 1982~1988 || 1988 || 내야수 || || 91 || [[노찬엽]] || 수석 코치 || 2018.08 || 1987(MBC) || 1989~1997 || 1997 || 외야수 || || 86 || 이정기 || 수비 코치 || 2020.02 || - || - || - || 내야수 || === 선수 === ==== 투수 ==== || '''등번호''' || '''이름''' || '''입단 연도''' || '''투타''' || '''입단 전 경력''' || || 3 || 고석진 || 2023 || 좌투좌타 ||청원고-여주대 || || 11 || 손호진 || 2022 || 우투양타 ||라온고-건국대 || || 13 || 최종완 || 2023[* 2020, 2021년 연천 미라클 소속.] || ||인천고-서울 저니맨 || || 18 || 박재형 || 2022 || 좌투좌타 ||광주일고-동강대-한화 이글스 || || 21 || 김동현 || 2023 || 좌투좌타 ||안산공고-중앙대-저니맨 외인구단 || || 49 || 이정민 || 2023 || || || || 51 || 김예찬 || 2023 || 우투우타 ||덕적고 || || 55 || [[지윤(야구선수)|지윤]] || 2023 || 우투우타 ||구리인창고-두산 베어스 || || 57 || 박지환 || 2023 || 좌투좌타 ||경기고 || || 58 || [[금민철]] || 2021 || 좌투좌타 ||동산고-두산 베어스-넥센 히어로즈-kt wiz-시흥 울브스 || || 59 || 장희범 || 2023 || 좌투좌타 ||동산고 || ==== 포수 ==== || '''등번호''' || '''이름''' || '''입단 연도''' || '''투타''' || '''입단 전 경력''' || || 9 || [[권기영]] || 2023 || 우투우타 ||제물포고-두산 베어스 || || 22 || 이성신 || 2023 || 우투우타 ||백송고 || || 24 || 장태웅 || 2023[* 2022 시즌 종료 후 퇴단했다가 2023년 7월 재입단.] || 우투우타 ||장충고-고려대-[[양주 레볼루션]] || || 25 || 문영웅 || 2022 || 우투우타 ||설악고-신성대[*중퇴] || || 62 || 지산 || 2023 || 우투우타 ||청원고 || ==== 내야수 ==== || '''등번호''' || '''이름''' || '''입단 연도''' || '''투타''' || '''입단 전 경력''' || || 2 || [[최수현(야구선수)|최수현]] || 2021 || 우투좌타 ||광주일고-고려대 || || 6 || [[황영묵]] || 2022 || 우투좌타 ||충훈고-중앙대[*중퇴]-성남 블루팬더스-스코어본 하이에나들 || || 7 || 김윤범 || 2023 || 우투우타 ||구리인창고-성남 블루팬더스-고양 위너스-성남 맥파이스 || || 12 || 이상우 || 2023 || || || || 16 || 박찬형 || 2023 || 우투좌타 ||배재고 || || 27 || 김나눔 || 2023[* 2019, 2020년 연천 미라클 소속.] || 우투우타 ||신일고-영남대 || || 41 || 김희준 || 2023 || || || ==== 외야수 ==== || '''등번호''' || '''이름''' || '''입단 연도''' || '''투타''' || '''입단 전 경력''' || || 1 || [[전태준]] || 2022 || 우투좌타 ||영선고-두산 베어스-가평 웨일스|| || 8 || 손지원 || 2023 || 우투좌타 ||청원고 || || 31 || 김동민 || 2023 ||우투좌타||중앙고-호원대[*중퇴]-성남 맥파이스 || || 33 || 신우영 || 2023[* 2020~2021년 연천 미라클 소속.] || 우투우타 ||선린인터넷고 || || 44 || 최시환 || 2023 || || || || 50 || 이승우 || 2023 || 우투좌타 ||동산고-호원대[*중퇴] || === 기적의 사나이 === 고양 원더스의 명예의 전당처럼 프로 복귀·진출한 선수들을 따로 기린다. 기적의 사나이(Man of Miracle)라는 이름은 구단명인 미라클에서 따온 것으로 보인다. || '''입단 연도''' || '''이름''' || '''포지션''' || '''투타''' || '''입단 전 경력''' || '''프로 복귀·진출 구단''' || '''복귀·진출 일자''' || ||<|3> 2015 || [[이강혁]] || 내야수 || 우투좌타 || 대구고-[[삼성 라이온즈|삼성]]-[[고양 원더스|원더스]] || [[NC 다이노스|[[파일:NC 다이노스 홈 엠블럼.svg|height=40]]]] || 2015년 12월 3일 || || ----[[김원석(야구선수)|김원석]]---- || 외야수 || 우투우타 || 부산공고-[[동의대학교 야구부|동의대]]-[[한화 이글스|한화]] || [[한화 이글스|[[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svg|height=40]]]] || 2015년 12월 17일 || || 조용성 || 포수 || 우투우타 || 휘문고-[[넥센 히어로즈|넥센]] || [[삼성 라이온즈|[[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height=40]]]] || 2016년 5월 1일 || || 2016 || 윤국영 || 내야수 || 우투좌타 || 주엽고-한민학교-[[NC 다이노스|NC]] || [[NC 다이노스|[[파일:NC 다이노스 홈 엠블럼.svg|height=40]]]] || 2016년 11월 25일 || || 2019 || [[손호영(야구선수)|손호영]] || 내야수 || 우투우타 || 충훈고-홍익대[*중퇴]-[[시카고 컵스]] 산하 마이너 || [[LG 트윈스|[[파일:LG 트윈스 엠블럼.svg|height=40]]]] || 2019년 8월 26일 || || 2022 || [[박영빈]] || 외야수 || 우투좌타 || 충암고-경희대-[[NC 다이노스|NC]] || [[NC 다이노스|[[파일:NC 다이노스 홈 엠블럼.svg|height=40]]]] || 2022년 11월 8일 || || 2023 || [[배현호]] || 포수 || 우투우타 || 경북고-[[키움 히어로즈|넥센/키움 히어로즈]] || [[KIA 타이거즈|[[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svg|height=40]]]] || 2023년 6월 22일 || || 2023 || [[황영묵]] || 내야수 || 우투좌타 || 충훈고-중앙대[*중퇴]-[[성남 블루팬더스]]-[[스코어본 하이에나들]] || [[한화 이글스|[[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svg|height=40]]]] || 2023년 9월 14일 || [[KBO 리그/2016년/신인드래프트|2015년 8월]] 신인 2차지명에서 삼성에 지명되어 입단한 [[이케빈]]도 있지만 연천 미라클 합류 3개월 만에 퇴단한 뒤에 지명을 받은 것이어서 위 리스트에 넣기는 어렵다. 그래도 연천 미라클에서는 그의 프로행을 환영하는 문구를 홈페이지에 걸기는 했다. 안타깝게도 이들 모두 길어야 2년을 넘기지 못했다. 이강혁은 프로 복귀 1년 만에 방출되면서 빛이 바래고 말았다. 이강혁은 새로 창단한 [[파주 챌린저스]]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다시 NC로 돌아간 윤국영 역시 복귀 1년 만에 방출됐다. 조용성도 2017시즌 종료 후 방출. 김원석은 프로에서 자리 좀 잡나 싶더니 [[이상군|감독 대행]], 팬, 치어리더를 전부 비하하는 것은 물론 지역드립, 고인드립까지 하는 대형사고를 쳐버렸다. 연천 미라클까지도 비하한 배은망덕은 덤. 결국 2017년 11월 20일 한화에서 방출되었으나 2018년 4월 연천 미라클로 복귀하였다가 일본 독립야구리그로 진출하였다. 지명 당시부터 말이 많았던 이케빈 역시 기량 미달임을 드러내며 입단 3년 만에 방출되었다. 방출 후 [[SK 와이번스]]에서 다시 기회를 얻었지만 삼성 시절 타구에 머리를 맞은 후유증으로 한 쪽 눈이 사실상 실명 상태에 이르면서 2019년 9월 12일 은퇴를 택했다. 2020년 신인드래프트에서 [[손호영(야구선수)|손호영]]이 [[LG 트윈스]]에 지명받으면서 연천 출신 프로선수는 다시 1명이 됐다. 미국 마이너리그 경력이 있는 데다 LG 내야진(특히 2루)이 탄탄한 편이 아니어서 비중있는 활약을 펼칠 기회를 잡을 가능성이 있다. 실제로 자체 청백전에서 공수주 모두 좋은 모습을 보이더니 2020시즌 개막 엔트리에 포함되고, 2021시즌 준플레이오프 엔트리에 포함될 정도로 자리를 잡는 데 성공했다. 그러나 이후 잦은 부상에 시달리며 안타까운 모습을 보이는 중. 그래도 '''2023년에 [[2023년 한국시리즈|한국시리즈]]의 [[2023년 한국시리즈 #s-5.1|엔트리]]에도 승선하였고 우승반지를 얻는데 성공하였다.''' 2022년 박영빈이 NC에 육성선수로 재복귀한 데 이어, 배현호가 2023년 KIA에 육성선수로 입단하였다. 그러나 배현호는 시즌 종료 후 방출되었다. 2024년 신인드래프트에서 [[황영묵]]이 [[한화 이글스]]에 지명을 받았다. === 올드 멤버 === * 주다빈[* 은퇴 후 리틀야구 심판으로 활동했으며 현재는 인천 계양리틀야구단 감독으로 제3회 통영시장배 전국리틀야구대회에서 5전 전승을 거두고 창단 첫 우승을 거뒀다.] * 김상걸, 김창민, 노민성, 채하림 * 표경원, 최동국, 김동환, 김영원, 황성연, 임종만, [[김종찬(야구선수)|김종찬]], 배승현, 공민호, 오무열 * [[한겸(야구)|한겸]] * 권현우, 이인주, 장효건, 조정빈 * 김산, 박세준, 송준희, 신지혁, [[신창호]], 이덕규, 이청하, 이현민, 임광섭, 임도경, [[정범수(야구선수)|정범수]], 이상우 * 강우찬, 김강현, 김광, 김병승, 김선곤, 김영록, 김태훈, 박철우, 윤석주, 장동영, 장동웅, 조보빈, 조성래, 조원태, 최유석, 최유진, [[허유강]], [[황건주]] * 황인건 * 강화영, 구예찬, 김경민, [[김준(야구선수)|김준]][* [[김인식(1953)|김인식]] 감독의 아들이다.], [[김주현(1988)|김주현]], 김진오, 김희준, 노재권, 동우혁, 동주봉, 박병우, 박주찬, [[신승원]], [[신창호]], [[유재혁]], [[유지창]], 임도경, 장시하, 조예준, 하민국 * 어제인[* 재미교포로 미국 이름은 Jane Uh. [[어우홍]]의 손녀다. 미국여자야구 국가대표로 선발된 적이 있으며 [[고양 원더스]] 트라이아웃에도 참가했었다. 구단 공식 사이트에 빠졌다 들어갔다를 반복하고 있으며 실제 경기에 출전한 적이 없는 것을 봐서는 일종의 마케팅용으로 데리고 있는 듯.] * --[[노학준]]--[* 2019년 8월 [[NC 다이노스]]에 육성선수로 입단한 이후 알려진 사실로, 연천 미라클에는 용병 자격으로 전지훈련에만 참여했을 뿐 [[http://sports.hankooki.com/lpage/baseball/201909/sp2019090210002157360.htm|정식 입단은 하지 않았다고 한다]]. 그러나 연천 미라클 구단은 이에 대해 아무런 언급도 없이 넘어갔다.] * 강구용, 고건웅, 고우석, 권석민, 김성현, 김정택, 박찬, 심규범, 양지운, 오정진, 윤현진, 이성진, 이정우, 임현준, 조남현, 조대성 * 구지훈[* 2021년부터 전진형의 후임으로 삼성 라이온즈의 불펜 포수로 뛰고 있다.], 김대훈, 김민호, 김태윤, 문지환, 배상민, 유재성, 이성준, 장시형, 장재원, [[천원석]], [[허준혁(1990)|허준혁]], 홍성빈, 홍성윤, 황수려 * 엄상준, 윤신근[* 비선수 출신. 일본 독립리그에서 뛸 당시 프로필에 [[고양 원더스]]에서 뛰었던 것으로 나왔으나 고양 원더스에 속했던 적은 없다.], 이범정, 차대균 * 김시우, 김유환, 김해현, 박원철, 안정훈, 오승훈, 윤정민, 이동훈, 이정암, 이주영, 이희준, [[전승현]], [[전종훈]], 정택순, [[조한욱]], [[최수빈(야구선수)|최수빈]], [[황인주]] * 김강석, 이혁준 * 공민석, 권현민, [[김시우(야구선수)|김시우]], 김연우, 송승섭, 신지환, 이강규, 이상민, [[이승우(1997)|이승우]], 이재백, [[이청현]], 이충희, 임도경, 임정우, 임현준, 장재원, 정덕현, 조강희, [[차혜성(야구선수)|차혜성]], 차홍민 * 정채운 == 역대 감독 == [include(틀:연천 미라클 감독)] == 역대 성적 == || '''범례''' || || '''우승''' || || '''준우승''' || || 3위 || || 4위 이하 || 6번의 시즌 동안 5번의 준우승을 달성한 콩라인 팀이다. === [[KIBA 드림 리그]] === ==== 정규 리그 ==== || '''연도''' || '''정규시즌 순위''' || '''최종 순위''' || '''경기수''' || '''승''' || '''무''' || '''패''' || '''승률''' || || 2017 || 2위/2팀 || '''준우승''' || 18 || 8 || 1 || 9 || 0.471 || || 2018 || 2위/3팀 || '''준우승''' || 16 || 6 || 3 || 7 || 0.462 || ==== 교류 리그 ==== || '''연도''' || '''경기수''' || '''승''' || '''무''' || '''패''' || '''승률''' || || 2018 || 8 || 5 || 0 || 3 || 0.625 || === 경기도독립야구연맹리그 === || '''연도''' || '''정규시즌 순위''' || '''최종 순위''' || '''경기수''' || '''승''' || '''무''' || '''패''' || '''승률''' || || 2019 || 2위/5팀 || '''준우승''' || 12 || 6 || 0 || 6 || 0.500 || === [[독립야구단 경기도리그]] === || '''연도''' || '''정규시즌 순위''' || '''최종 순위''' || '''경기수''' || '''승''' || '''무''' || '''패''' || '''승률''' || || 2019 || 2위/6팀 || '''준우승''' || 22 || 14 || 1 || 7 || 0.667 || || 2020 || 3위/4팀 || 3위 || 48 || 22 || 4 || 22 || 0.500 || || 2021 || 3위/6팀 || '''준우승''' || 40 || 24 || 4 || 15 || 0.615 || || 2022 || 2위/6팀 || '''우승''' || 40 || 24 || 3 || 13 || 0.649 || || 2023 || 1위/7팀 || '''우승''' || 42 || 30 || 3 || 9 || 0.769 || == 역대 유니폼 == 2015년 창단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EB%AF%B8%EC%9C%A0.jpg]] 2016년 유니폼 [[파일:연천미라클 16년 유니폼-.jpg]] 2017년 유니폼 [[파일:연천미라클-유니폼-시안-2017.jpg]] 2018년 유니폼 [[파일:연천미라클-유니폼-2018.jpg]] 2019년 유니폼 [[파일:연천미라클-유니폼-2019.jpg]] 2020년 유니폼 [[파일:연천미라클-유니폼-2020.jpg]] == 여담 == * 창단 초기에 합류했다가 3개월만에 퇴단한 [[이케빈]]은 [[KBO 리그/2016년/신인드래프트|2016년도 신인 2차지명]]을 1주일도 채 남기지 않은 시점에서 전체 1순위 유력 후보로 급부상했고 최종적으로 [[삼성 라이온즈]]에 2차 2라운드(전체 11번)로 지명되었다. * [[투수]] 김상걸이 2015년 6월 말 [[NC 다이노스]]의 테스트 프로그램으로 스카우트되었으나 입단에는 실패했다. * 선수들의 소모품(배트, 공 등)이 많이 부족하다고 한다. 기금을 모으기 위해 뉴스펀딩을 진행하고 있다. 다음에 연재기사가 올라오고 있으며, 일정 금액을 기부하면 기념품을 증정한다고 한다. [[http://m.newsfund.media.daum.net/project/256/episodes|연천 미라클, '''기적''']] * 2017 시즌 도중 [[2016년 프로야구 승부조작 사건]]에 연루되어 한화에서 방출되었던 김병승을 영입했는데 연천 미라클 자체가 원체 미디어 노출이 적다 보니 거의 관심이 없는 실정이다. 그러나 김병승의 경우는 직접 조작을 한 것이 아닌 관련 불법도박에 참여한 것이라 30경기 출장정지의 징계를 받았기 때문에 독립 리그에서 뛰는 데는 아무 문제가 없었다. 그리고 결정적으로 김병승은 17시즌 이후 은퇴한 후 보험사에 취업했기 때문에 출장 정지가 내려졌을 때는 이미 사회인이었다(...) * 2017년 7월 23일 방영한 [[다큐멘터리 3일]]에서 연천 미라클을 다루었다. 그런데 김인식 감독이 카메라가 돌아가는 가운데 선수들에게 원산폭격 벌칙을 시킨 장면이 촬영되면서 야구 팬들 사이에 큰 논란이 됐다. 저런 식으로 체벌은 아무 소용없다는 것이 현대 야구팬들과 스포츠인들의 보편적인 상식이기 때문. * 2018년 4월 30일 [[의정부 신한대학교 피닉스]]와의 교류전에서 [[김원석(야구선수)|김원석]]이 선발 라인업에 들어간 것이 확인됐다. 2017년 말 대형 사고를 치고 한화에서 방출된 그를 무슨 생각으로 다시 받아줬는지 의문. 김원석은 일본 독립리그 트라이아웃에 참가해 후쿠시마 레드 호프스에 입단하면서 다시 연천 미라클을 떠났다. 이후 도박 건으로 두산에서 방출된 [[권기영]]을 2023년에 영입하는 등 불미스러운 일로 KBO 리그를 떠난 선수들을 영입하는 사례가 이어지고 있다. * 2019 시즌부터는 앞으로 팀에 회비를 내지 않는다는 연맹의 방침에 동의하는 팀들만 리그에 참여시킨다는 규정이 신설되었고 이에 따라 리그에 불참하게 된다. 이에 앞서 이미 경기도 챌린지 리그로 옮겨갔기에 별 의미는 없지만. * [[시카고 컵스]] 산하 [[마이너 리그 베이스볼|마이너리그]]에서 뛰다가 2017년 3월 22일 방출된 손호영이 2019년 4월에 입단했다. 병역을 마친 뒤에 합류하였다가 유예기간을 다 채웠으므로 2019년 8월 26일 열린 신인 2차 지명에 참가하여 2차 3라운드 지명을 받아 LG 트윈스에 입단했다. * 흥미롭게도 연천군 산하 U-16 축구팀 역시 연천 미라클이라는 같은 이름을 쓴다. [[http://www.footballjournal.co.kr/news/articleView.html?idxno=8289|##]] == 둘러보기 == [include(틀:경기도/스포츠/기타 구단)] [include(틀:대한민국의 독립 야구 리그 역대 우승 구단)] [[분류:연천 미라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