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천문학)]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EC%97%B0%EC%A3%BC%EC%8B%9C%EC%B0%A8pic1.png]] [목차] == 설명 == {{{+1 [[年]][[周]][[視]][[差]] / stellar parallax }}} [[별]]까지 거리 측정을 할 때 가장 먼저 이해해야 되는 것이 시차(視差, parallax)이다. 한자를 보면 알겠지만 이때의 [[시차#s-2]]는 지구에서의 경도와 위도에 따른 시간과 관련된 것이 아니고 사람의 시각 차이, 즉 하나의 물체를 서로 다른 두 지점에서 보았을 때 뒤에 비치는 배경의 차이를 말한다. 사람의 두 눈 사이의 시차는 '''불과 10 ㎝'''밖에 되지 않아 별같이 멀리 떨어진 물체는 측정할 수가 없다. 그래서 두 눈을 강제로 멀리 떨어뜨려야 한다. 이렇게 생각해 낸 방법이 연주시차법이다. [[지구]]가 [[태양]]을 [[공전]]하고 있는지라 1월에 별을 측정하고 반년 후인 7월에 같은 별을 측정한다. 이때 지구의 위치가 태양을 가운데 두고 정반대로 바뀌게 된다. 우리는 [[천문단위|지구와 태양 간의 거리]]를 이미 알고 있기 때문에 [[삼각측량]]을 이용해 [[기하학]]적으로 그 거리를 가늠이 가능하다. 여기서 시차는 관측하는 사람이 서로 다른 위치에서 한 물체(별)를 바라보았을 때 먼 별에서 벌어진 각도 차이를 말한다. 시차를 각도로 환산하여 측정하는 연주시차법을 처음으로 제시한 사람은 독일의 천문학자 프리드리히 베셀(Bessel friedrich Wilhelm, 1784~1846)[* [[베셀 함수]]의 그 베셀 맞다.]이다. 베셀은 [[백조자리]] 61번 별의 시차가 0.294″[* 이후 좀 더 정확하게 측정하여 0.286"로 정정되었다.]임을 발표하였으며, 어떤 별의 시차를 알기 위해서는 6개월간의 시간을 두고 반복 관측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지만, 이 방법이 당시로서는 최선이었고 지금도 비교적 가까운 별까지의 거리를 재는 데는 유용하게 쓰인다. 이 연주시차가 [[초(단위)|1"]][* [[초(단위)|초]]라고 읽는다. 원을 부채꼴로 1 296 000[* 129만 6000]등분했을 때 그 각도. 또는 1도의 1/3600. 즉 1 초 = 1/3600 도]가 될 때, 그 거리를 1[[파섹]]으로 정의하고 있다. 다만 이 방법도 한계가 있어 100파섹 정도 이상의 거리는 여전히 측정이 불가능할 수준이다. [[가이아 우주 망원경]]의 경우 10000파섹까지 측정이 가능하다. == 지동설의 근거 == '''[[지동설]]이 사실임을 증명하기 위해''' 사용된 개념이기도 하다.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코페르니쿠스]]도 [[지동설]]에 근거하여 별에 대한 시차를 측정하려고 시도하였으나, 당시의 관측 기술로는 측정할 수 없었다. [[티코 브라헤]] 역시 이 연주시차의 개념을 밝혀내려고 시도했으나 그가 살던 당시에는 연주시차를 측정할 수 있을 만큼 천문학 관측 도구가 발달하지 않은 상태였다. 참고로, 이 당시에는 [[망원경]]이 없었다.[* 망원경이 본격적으로 사용된 것은 [[갈릴레오 갈릴레이]]에 의해 개량된 이후이다.] 그의 시력이 아무리 뛰어났다고 해도 맨눈으로 연주시차의 존재는 감지할 수 없었다. 그래서 연주시차를 증명할 방법이 없었고 티코 브라헤는 지동설과 [[천동설]]을 절충한 과도기적 천문관을 내놓기도 했다. 그 후 [[프레드릭 윌리엄 허셜|윌리엄 허셜]]도 1781년 발표한 논문에서 시차에 관한 내용을 밝힌 바 있다. 1838년 베셀에 의해서 연주시차가 최초로 관측되었다. 그리고, [[천동설]]은 지구의 위치가 변하지 않는다는 걸 전제하기 때문에 연주시차의 개념과 모순되는 이론이었고, 연주시차가 사실로 드러남에 따라 즉시 폐지가 확정되었다. 참고로, 연주시차가 얼마나 작은 값이냐면, 태양을 제외한 항성들 중 가장 가까운 별인 [[프록시마]], 2번째로 가까우면서 맨눈으로 볼 수 있을만큼 밝은 별인 [[알파 센타우리]]의 연주시차가 각각 약 0.768"과 0.747" 인데, 이는 대략 '''10000분의 2도'''[* 0.768 * (1/60) * (1/60) = 약 0.0002133 = 대략 2 / 10000 ]이다. 그리고, 태양을 제외하고 가장 밝은 별인 [[시리우스]]의 연주시차는 약 0.38"로 대략 10000분의 1도이다. == 관련 문서 == * [[별의 거리를 재는 방법]] * [[삼각비]] * [[조반니 도메니코 카시니]] [[분류:물리학]][[분류:천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