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인천광역시의 기초자치단체)] [include(틀:연수구의 법정동)] ||<-4> '''[[인천광역시|{{{#000,#ddd 인천광역시}}}]]의 [[자치구|{{{#000,#ddd 자치구}}}]]'''[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wiki style="margin: -5px 0" [[파일:연수구 CI.svg|height=50]]}}}||{{{#!wiki style="margin: -5px 0" '''{{{+1 연수구}}}'''[br]延壽區[br]{{{-1 Yeonsu-gu}}}}}}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인천광역시 연수구, 너비=100%, 높이=100%)]}}} || ||<-2> '''구청 소재지''' ||<-2> 원인재로 115 (동춘동) || ||<-2> '''광역자치단체''' ||<-2> [[인천광역시]] || ||<-2> '''하위 행정구역''' ||<-2> 15[[행정동|동]][* 6개 [[법정동]], 15개 [[행정동]]] || ||<-2> '''면적''' ||<-2> 56.2㎢ || ||<-2> '''인구''' ||<-2> 394,631명[* 2024년 5월 기준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o.kr/index.jsp|주민등록인구 통계]]] || ||<-2> '''인구 밀도''' ||<-2> 7,018.17명/㎢[* 2024년 4월 기준] || ||<-2> '''구청장'''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이재호(1959년 3월)|이재호]] {{{-2 (재선)}}} || ||<|2><-2> '''구의회'''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7석[* 연수구 가선거구 (옥련2동, 연수1동, 청학동): 박현주[br]연수구 나선거구 (선학동, 연수2동, 연수3동, 동춘3동): 한성민[br]연수구 다선거구 (옥련1동, 동춘1동, 동춘2동): 박정수[br]연수구 라선거구 (송도1동, 송도3동): 이형은[br]연수구 마선거구 (송도2동, 송도4동, 송도5동): 편용대, 박민협[br]비례대표: 김영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6석[* 연수구 가선거구 (옥련2동, 연수1동, 청학동): 김국환[br]연수구 나선거구 (선학동, 연수2동, 연수3동, 동춘3동): 최숙경[br]연수구 다선거구 (옥련1동, 동춘1동, 동춘2동): 장현희[br]연수구 라선거구 (송도1동, 송도3동): 기형서[br]연수구 마선거구 (송도2동, 송도4동, 송도5동): 윤혜영[br]비례대표: [[정보현(정치인)|정보현]]] || ||<-2> [[인천광역시의회|{{{#fff '''시의원'''}}}]]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5석[* 연수구 제1선거구 (옥련2동, 연수1동, 청학동): 정해권 (초선)[br]연수구 제2선거구 (선학동, 연수2동, 연수3동, 동춘3동): 김용희 (초선)[br]연수구 제3선거구 (옥련1동, 동춘1동, 동춘2동): 유승분 (초선)[br]연수구 제4선거구 (송도1동, 송도3동): 조현영 (초선)[br]연수구 제5선거구 (송도2동, 송도4동, 송도5동): [[이강구]] (초선)] || ||<|2> {{{#!wiki style="margin: 0px -10px;" '''국회의원'''}}} || [[연수구 갑|{{{#fff '''갑'''}}}]]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박찬대]] {{{-2 (3선)}}} || || [[연수구 을|{{{#fff '''을'''}}}]]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정일영(1957)|정일영]] {{{-2 (재선)}}} || ||<|3> '''상징''' || '''구화''' ||<-2> [[진달래]] || || '''구목''' ||<-2> [[느티나무]] || || '''구조''' ||<-2> [[두루미|학]] || ||<-2> [[지역번호|{{{#fff '''지역번호'''}}}]] ||<-2> '''032''' || ||<-4> [[http://www.yeonsu.go.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3]]]] | [[http://blog.naver.com/yeonsulife|[[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3]]]]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togetheryeonsu, 크기=23)] | [[https://www.facebook.com/togetheryeonsu|[[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3]]]] | [[https://www.instagram.com/togetheryeonsu/|[[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3]]]] | [[https://www.youtube.com/user/yeonsugu|[[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3]]]] || [목차] [clearfix] == 개요 == [[인천광역시]]의 구. 북쪽으로 [[미추홀구]], [[중구(인천광역시)|중구]], 동쪽으로 [[남동구]]와 접한다. [[인천광역시]]의 최남단에 있는 구다. [[인천광역시]] [[부촌]]의 상징이자 중부지방해양경찰청 학원가와 [[송도]] 학군으로 대표되는[* 송도 개발전에도 연수구청 일대(BYC거리)에 학원가가 몰려있어 인천내에서 교육열이 높기로 유명했다.] 높은 교육열의 상징이기도 하다. 해외에서는 2012년 발매된 [[강남스타일]](Gangnam Style)곡에 등장하면서 인기로 많이 알려졌다. 원래 이 지역은 [[농촌]] 및 [[갯벌]]지대였다. 인천에 오래 거주한 노인들은 연수동으로 [[조개]] 캐러 다녔다고 얘기한다.[* 동춘1동 주민센터에는 갯벌에서 조개캐는 그림이 있다.] 연수구는 구 송도(옥련-청학, 유원지와 구 도심), 연수지구(연수-동춘, 90년대 신도시), [[송도국제도시]]가 또렷한 경계를 두고 한데 모여 하나의 구를 이루고 있다. 때문에 각 지역 간의 경관이 뚜렷하게 구분된다. 연수구청과 연수지구를 중심으로 한 지역이 연수구에서 과거와 [[행정]] 기준으로 가장 중심지다. 구 송도-연수지구-[[송도국제도시]] 순으로 개발되었다. '''인천시 내에서 생활 수준이 가장 높은 편'''에 속한다. 연수구가 조성되기 시작한 90년대 초반부터[* [[분당신도시]], [[일산신도시]]도 비슷한 시기에 개발이 시작됐다.] 형성된 인천의 강남 이미지가 2000년대 중반에 [[송도국제도시]]가 개발되면서 그 이미지가 굳혀졌다. 그래서 선거철 때 언론에서 소개되는 연수구의 별명은 '''인천의 [[강남3구|강남]]'''이다. 대한민국에서 제일가는 [[부촌|부자 동네]]하면 두말할 것 없이 강남이기 때문에 빗대어 표현한 것. 중산층과 상류층이 두텁고 교육 수준이 높으며 도시 계획부터 도로나 교통정비도 잘 되어 있다. [[송도국제도시]]의 외국계 글로벌 기업과 대학 등의 활성화로 인해 [[재한 외국인]]들이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주로 [[미국인]], [[옥련동]] [[아랍인]], [[유럽인]], [[일본인]], [[투기]] 부유층 [[중국인]] 등등. 백인들을 꽤 자주 볼수있다. [[연수동(연수구)|연수동]] 함박마을에는 [[러시아]] [[중앙아시아]] 계열 [[고려인]] 및 [[남동공단]] [[외국인 노동자]]들이 유입되고있다. == 상징 == ||<-2> {{{#fff '''인천광역시 연수구의 상징'''}}} || || [[파일:연수구 CI.svg|width=130]][br]'''상징 마크''' ||역동하는 청색타원의 모습은 인천의 바다를 상징하며 가운데 흰색 타원은 연수구를 상징한다. 빨간색 삼각형은 세계화를, 두 개의 녹색 삼각형은 「환경」에 대한 관심을 나타내며, 전체적으로 연수구가 인천의 중심이 되는 21세기의 미래상을 표현하고 있다. || || [[파일:연수구 BI.svg|width=130]][br]'''도시 브랜드''' ||21세기 동북아의 물류, 항만의 중심지, 인천의 핵심인 연수구가 세계를 향해 도약하는 것으로 선진 구로서의 위상과 쾌적한 삶의 질을 상징화하고 있다. 환경 친화적인 쾌적한 연수구를 초록색의 띠와 붉은 해를 통해 표현했으며 그 안에서 행복한 삶을 영위하고 있는 연수구민의 모습을 Y의 형태를 통해 표현하고 있다. || || [[파일:연수구 캐릭터_학.svg|width=110]][br]'''캐릭터 '학' ''' ||시베리아 대륙을 횡단하는 철새로 세계를 향해 뻗어가는 연수구의 미래 지향적인 이미지를 상징화 하며, 청초한 모습과 고고한 자태는 구민의 문화수준과 깨끗한 주거환경으로서의 연수를 상징적으로 나타내면서 고급스러운 느낌을 동시에 살릴 수 있는 캐릭터로 살기 좋고 활기찬 느낌의 연수구의 이미지를 표현하고 있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ww.yeonsu.info/11390_3705_2132.jpg|width=100%]]}}} || || '''연수구청'''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20120405_369401257.png|width=100%]]}}} || || '''[[송도컨벤시아|{{{#fff 송도컨벤시아(Convensia)}}}]]'''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센트럴파크(송도).jpg|width=100%]]}}} || || '''송도 센트럴파크''' || == 역사 == || {{{#fff '''연수구 행정구역 변천사'''}}} || ||<^|1>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word-break: keep-all" ||<-20> '''인천광역시 연수구 행정구역 변천사''' || || [[인천광역시|인천도호부]] 먼우금면[br](仁川都護府 [br]遠又邇面, 1460) ||<|2> → || [[인천광역시|인천부]] 서면[br](仁川府 [br]西面, 1906) ||<|3> → ||<|3> [[부천시|부천군]] 문학면[br](富川郡 [br]文鶴面, 1914) ||<|3> → ||<|3> [[인천광역시|인천부]] [br](仁川府, 1940) ||<|3> → ||<|3> [[인천광역시|인천시]] [br]남구[br](仁川市 南區, [br]1968) ||<|3> → ||<|3> 인천직할시 [br]남구[br](仁川直轄市 [br]南區, 1981) ||<|3> → ||<|3> '''인천광역시 [br]연수구[br](仁川廣域市 [br]延壽區, 1995)''' || || [[인천광역시|인천도호부]] 부내면 도재[br](仁川都護府 [br]府內面, 1460) || [[인천광역시|인천부]] 구읍면 도장리[br](仁川府 [br]舊邑面 道章里, 1906)[* 지금의 선학동] ||}}}}}}}}} || 원래는 인천도호부 먼우금면(원우이면) 지역이었다가 개항 이후로 인천부 서면이 되었다.[* 다만 선학동은 미추홀구 학익동/관교동/문학동/주안동 일부와 함께 인천도호부 부내면→인천부 구읍면에 속했다.] 1914년에 부천군 문학면이 되었고, 1936년(옥련동), 1940년 두 차례에 걸쳐 인천부에 재편입되었다. 해방 이후 인천의 급속한 개발에 힘입어 1968년 인천광역시 남구에 속한 이후 1993년 이 일대에 아파트가 하나 둘 씩 완성되기 시작하였고, 이에 힘입어 1995년 인천광역시 남구에서 분리[* 대체로 [[문학산]] 이남 지역에 해당된다.]되어 신설되기에 이른다. 인천의 구도심이 [[1980년대]]의 모습이 나타난다면 여긴 전체적으로 [[1990년대]] 분위기가 난다. 연수라는 지명은 연년익수(延年益壽, 나이를 많이 먹고 오래오래 삶)이라는 [[한자성어]]에서 유래했다. == 인구 == || [[파일:연수구 CI.svg|width=50]]'''[[연수구|{{{#000 인천광역시 연수구}}}]] {{{#000 인구 추이}}}''' [br] {{{-3 (1995년~현재)}}} || || [[1995년]] [[3월 1일]] [[미추홀구|남구]] 일부지역[* 옥련동, 선학동, 연수1동, 연수2동, 청학동, 동춘동] → '''연수구''' 설치[* 설치와 동시에 연수3동, 동춘1·2동 설치]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53.16%, #888 0%, #888 100% , #AAA 0%)" {{{#fff 1995년 212,63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65.07%, #888 0%, #888 100% , #AAA 0%)" {{{#fff 2000년 260,28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65.91%, #888 0%, #888 100%, #AAA 0%)" {{{#fff 2005년 263,65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69.81%, #888 0%, #888 100%, #AAA 0%)" {{{#fff 2010년 279,23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79.76%, #888 0%, #888 100%, #AAA 0%)" {{{#fff 2015년 319,05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96.86%, #888 0%, #888 100%, #AAA 0%)" {{{#fff 2020년 387,45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98.60%, #888 0%, #888 100%, #AAA 0%)" {{{#fff '''2024년 4월 394,421명'''}}}}}} || ||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0만 명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 || '''{{{#fff 행정동별 인구 통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97.116%, #888 0%, #888 100%, #AAA 0%)" {{{#fff 송도3동 48,59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92.368%, #888 0%, #888 100%, #AAA 0%)" {{{#fff 송도5동 46,18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75.686%, #888 0%, #888 100%, #AAA 0%)" {{{#fff 송도1동 38,12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73.352%, #888 0%, #888 100%, #AAA 0%)" {{{#fff 송도2동 36,83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66.026%, #888 0%, #888 100%, #AAA 0%)" {{{#fff 송도4동 34,73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48.646%, #888 0%, #888 100%, #AAA 0%)" {{{#fff 동춘1동 24,34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46.298%, #888 0%, #888 100%, #AAA 0%)" {{{#fff 청학동 22,95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39.738%, #888 0%, #888 100%, #AAA 0%)" {{{#fff 연수2동 19,86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38.474%, #888 0%, #888 100%, #AAA 0%)" {{{#fff 옥련2동 19,22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35.84%, #888 0%, #888 100%, #AAA 0%)" {{{#fff 동춘3동 17,84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35.73%, #888 0%, #888 100%, #AAA 0%)" {{{#fff 선학동 17,86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35.692%, #888 0%, #888 100%, #AAA 0%)" {{{#fff 옥련1동 17,84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34.782%, #888 0%, #888 100%, #AAA 0%)" {{{#fff 동춘2동 17,84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34.764%, #888 0%, #888 100%, #AAA 0%)" {{{#fff 연수1동 17,38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30.32%, #888 0%, #888 100%, #AAA 0%)" {{{#fff 연수3동 15,160명}}}}}} || || {{{-2 2024년 3월 기준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o.kr|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5만 명}}} || }}}}}}}}} || 2009년을 기점으로 매년 5,000~20,000명씩 연수구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송도국제도시]], [[동춘동]]의 주택공급이 늘어나면서 인구가 유입된 것으로 보인다. 지금은 완만한 증가세. 송도와 송도가 아닌 지역의 인구 비율은 거의 50:50이다. 송도 일대에 20만명이 거주 중이고 연수구 본토에 19만명이 거주하고 있다. ===# 행정동별 인구 #=== ||
[[파일:연수구 CI.svg|height=20]] '''[[옥련동|{{{#000 옥련1동}}}]] {{{#000 인구 추이}}}''' [br] {{{-3 (1966년~현재)}}} || || 일자미상 옥련동(법정동) → 옥련동(행정동)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7.202%, #888 0%, #888 100%, #AAA 0%)" {{{#fff 1966년 3,42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9.695%, #888 0%, #888 100%, #AAA 0%)" {{{#fff 1970년 4,60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12.750%, #888 0%, #888 100%, #AAA 0%)" {{{#fff 1975년 6,05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16.779%, #888 0%, #888 100%, #AAA 0%)" {{{#fff 1980년 7,97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23.307%, #888 0%, #888 100%, #AAA 0%)" {{{#fff 1985년 11,07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26.316%, #888 0%, #888 100%, #AAA 0%)" {{{#fff 1990년 12,50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49.162%, #888 0%, #888 100%, #AAA 0%)" {{{#fff 1995년 23,35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100%, #888 0%, #888 100%, #AAA 0%)" {{{#fff 2000년 47,692명}}}}}} || || [[2003년]] [[3월 1일]] 옥련동 → '''옥련1동''', 옥련2동 분동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51.541%, #888 0%, #888 100%, #AAA 0%)" {{{#fff 2005년 24,48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49.648%, #888 0%, #888 100%, #AAA 0%)" {{{#fff 2010년 23,58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46.792%, #888 0%, #888 100%, #AAA 0%)" {{{#fff 2015년 22,22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41.613%, #888 0%, #888 100%, #AAA 0%)" {{{#fff 2020년 19,76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37.571%, #888 0%, #888 100%, #AAA 0%)" {{{#fff '''2023년 12월 17,846명'''}}}}}} || ||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75만 명 1966-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 ||
[[파일:연수구 CI.svg|height=20]] '''[[옥련동|{{{#000 옥련2동}}}]] {{{#000 인구 추이}}}''' [br] {{{-3 (2005년~현재)}}} || || [[2003년]] [[3월 1일]] 옥련동 → 옥련1동, '''옥련2동''' 분동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93%, #888 0%, #888 100%, #AAA 0%)" {{{#fff 2005년 25,57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92.055%, #888 0%, #888 100%, #AAA 0%)" {{{#fff 2008년 25,31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90.589%, #888 0%, #888 100%, #AAA 0%)" {{{#fff 2009년 24,91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91.182%, #888 0%, #888 100%, #AAA 0%)" {{{#fff 2010년 25,07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89.556%, #888 0%, #888 100%, #AAA 0%)" {{{#fff 2011년 24,62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88.509%, #888 0%, #888 100%, #AAA 0%)" {{{#fff 2012년 24,34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87.153%, #888 0%, #888 100%, #AAA 0%)" {{{#fff 2013년 23,96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85.658%, #888 0%, #888 100%, #AAA 0%)" {{{#fff 2014년 23,55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84.513%, #888 0%, #888 100%, #AAA 0%)" {{{#fff 2015년 23,24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84.004%, #888 0%, #888 100%, #AAA 0%)" {{{#fff 2016년 23,10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83.738%, #888 0%, #888 100%, #AAA 0%)" {{{#fff 2017년 23,02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80.575%, #888 0%, #888 100%, #AAA 0%)" {{{#fff 2018년 22,15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78.258%, #888 0%, #888 100%, #AAA 0%)" {{{#fff 2019년 21,52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76.055%, #888 0%, #888 100%, #AAA 0%)" {{{#fff 2020년 20,91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74.055%, #888 0%, #888 100%, #AAA 0%)" {{{#fff 2021년 20,36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72.047%, #888 0%, #888 100%, #AAA 0%)" {{{#fff 2022년 19,81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69.953%, #888 0%, #888 100%, #AAA 0%)" {{{#fff '''2023년 12월 19,237명'''}}}}}} || ||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75만 명 200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 ||
[[파일:연수구 CI.svg|height=20]] '''[[선학동|{{{#000 선학동}}}]] {{{#000 인구 추이}}}''' [br] {{{-3 (1970년~현재)}}} || || [[1968년]] [[7월 1일]] 관교·문학·선학동 일부 + 남촌·수산·도림동 일부 → 남촌·선학동 신설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9.116%, #888 0%, #888 100%, #AAA 0%)" {{{#fff 1970년 2,27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10.2%, #888 0%, #888 100%, #AAA 0%)" {{{#fff 1975년 2,550명}}}}}} || || [[1977년]] [[5월 10일]] 남촌·선학동 → '''선학동''' 개칭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10.74%, #888 0%, #888 100%, #AAA 0%)" {{{#fff 1980년 2,68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11.036%, #888 0%, #888 100%, #AAA 0%)" {{{#fff 1985년 2,759명}}}}}} || || [[1988년]] [[1월 1일]] '''선학동''' 일부 → 도림동 이관[* 남동구 분구로 선학동 관할이던 법정동 남촌동이 남동구에 편입됨.]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6.092%, #888 0%, #888 100%, #AAA 0%)" {{{#fff 1990년 1,52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85.768%, #888 0%, #888 100%, #AAA 0%)" {{{#fff 1995년 21,44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100%, #888 0%, #888 100%, #AAA 0%)" {{{#fff 2000년 25,28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96.256%, #888 0%, #888 100%, #AAA 0%)" {{{#fff 2005년 24,06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87.068%, #888 0%, #888 100%, #AAA 0%)" {{{#fff 2010년 21,76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79.216%, #888 0%, #888 100%, #AAA 0%)" {{{#fff 2015년 19,80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69.3%, #888 0%, #888 100%, #AAA 0%)" {{{#fff 2020년 17,32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71.46%, #888 0%, #888 100%, #AAA 0%)" {{{#fff '''2023년 12월 17,865명'''}}}}}} || ||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1970-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 ||
[[파일:연수구 CI.svg|height=20]] '''[[연수동(연수구)|{{{#000 연수1동}}}]] {{{#000 인구 추이}}}''' [br] {{{-3 (1966년~현재)}}} || || 일자미상 연수동 + 청학동 → 연수·청학동 신설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9.223%, #888 0%, #888 100%, #AAA 0%)" {{{#fff 1966년 3,22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10.143%, #888 0%, #888 100%, #AAA 0%)" {{{#fff 1970년 3,55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12.757%, #888 0%, #888 100%, #AAA 0%)" {{{#fff 1975년 4,465명}}}}}} || || [[1977년]] [[5월 10일]] 연수·청학동 → 연수동 개칭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19.654%, #888 0%, #888 100%, #AAA 0%)" {{{#fff 1980년 6,87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29.114%, #888 0%, #888 100%, #AAA 0%)" {{{#fff 1985년 10,19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28.569%, #888 0%, #888 100%, #AAA 0%)" {{{#fff 1990년 9,999명}}}}}} || || [[1994년]] [[7월 1일]] 연수동 → '''연수1동''', 연수2동, 청학동 분동 [br] [[1995년]] [[3월 1일]] '''연수1동''' → '''연수1동''', 연수3동 분동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87.083%, #888 0%, #888 100%, #AAA 0%)" {{{#fff 1995년 30,47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95.449%, #888 0%, #888 100%, #AAA 0%)" {{{#fff 2000년 33,40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88.434%, #888 0%, #888 100%, #AAA 0%)" {{{#fff 2005년 30,95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79.903%, #888 0%, #888 100%, #AAA 0%)" {{{#fff 2010년 27,96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72.994%, #888 0%, #888 100%, #AAA 0%)" {{{#fff 2015년 25,54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57.511%, #888 0%, #888 100%, #AAA 0%)" {{{#fff 2020년 20,12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49.663%, #888 0%, #888 100%, #AAA 0%)" {{{#fff '''2023년 12월 17,382명'''}}}}}} || ||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5만 명 1966-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 ||
[[파일:연수구 CI.svg|height=20]] '''[[연수동(연수구)|{{{#000 연수2동}}}]] {{{#000 인구 추이}}}''' [br] {{{-3 (1995년~현재)}}} || || [[1994년]] [[7월 1일]] 연수동 → 연수1동, '''연수2동''', 청학동 분동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96.317%, #888 0%, #888 100%, #AAA 0%)" {{{#fff 1995년 28,89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94.51%, #888 0%, #888 100%, #AAA 0%)" {{{#fff 2000년 28,35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89.54%, #888 0%, #888 100%, #AAA 0%)" {{{#fff 2005년 26,86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83.627%, #888 0%, #888 100%, #AAA 0%)" {{{#fff 2010년 25,08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80.467%, #888 0%, #888 100%, #AAA 0%)" {{{#fff 2015년 24,14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71.747%, #888 0%, #888 100%, #AAA 0%)" {{{#fff 2020년 21,52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66.23%, #888 0%, #888 100%, #AAA 0%)" {{{#fff '''2023년 12월 19,869명'''}}}}}} || ||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만 명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 ||
[[파일:연수구 CI.svg|height=20]] '''[[연수동(연수구)|{{{#000 연수3동}}}]] {{{#000 인구 추이}}}''' [br] {{{-3 (1995년~현재)}}} || || [[1995년]] [[3월 1일]] 연수1동 → 연수1동, '''연수3동''' 분동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65.888%, #888 0%, #888 100%, #AAA 0%)" {{{#fff 1995년 16,47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100%, #888 0%, #888 100%, #AAA 0%)" {{{#fff 2000년 25,04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91.688%, #888 0%, #888 100%, #AAA 0%)" {{{#fff 2005년 22,92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85.488%, #888 0%, #888 100%, #AAA 0%)" {{{#fff 2010년 21,37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77.984%, #888 0%, #888 100%, #AAA 0%)" {{{#fff 2015년 19,49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66.736%, #888 0%, #888 100%, #AAA 0%)" {{{#fff 2020년 16,68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60.64%, #888 0%, #888 100%, #AAA 0%)" {{{#fff '''2023년 12월 15,160명'''}}}}}} || ||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 ||
[[파일:연수구 CI.svg|height=20]] '''[[청학동(연수구)|{{{#000 청학동}}}]] {{{#000 인구 추이}}}''' [br] {{{-3 (1995년~현재)}}} || || [[1994년]] [[7월 1일]] 연수동 → 연수1동, 연수2동, '''청학동''' 분동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71.803%, #888 0%, #888 100%, #AAA 0%)" {{{#fff 1995년 25,13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98.343%, #888 0%, #888 100%, #AAA 0%)" {{{#fff 2000년 34,42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94.42%, #888 0%, #888 100%, #AAA 0%)" {{{#fff 2005년 33,04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90.651%, #888 0%, #888 100%, #AAA 0%)" {{{#fff 2010년 31,72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85.266%, #888 0%, #888 100%, #AAA 0%)" {{{#fff 2015년 29,84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72.237%, #888 0%, #888 100%, #AAA 0%)" {{{#fff 2020년 25,28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66.14%, #888 0%, #888 100%, #AAA 0%)" {{{#fff '''2023년 12월 23,149명'''}}}}}} || ||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5만 명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 ||
[[파일:연수구 CI.svg|height=20]] '''[[동춘동|{{{#000 동춘1동}}}]] {{{#000 인구 추이}}}''' [br] {{{-3 (1966년~현재)}}} || || 일자미상 동춘동(법정동) → 동춘동(행정동)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12.848%, #888 0%, #888 100%, #AAA 0%)" {{{#fff 1966년 3,21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13.964%, #888 0%, #888 100%, #AAA 0%)" {{{#fff 1970년 3,49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15.404%, #888 0%, #888 100%, #AAA 0%)" {{{#fff 1975년 3,85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17.892%, #888 0%, #888 100%, #AAA 0%)" {{{#fff 1980년 4,47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17.352%, #888 0%, #888 100%, #AAA 0%)" {{{#fff 1985년 4,33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16.42%, #888 0%, #888 100%, #AAA 0%)" {{{#fff 1990년 4,105명}}}}}} || || [[1995년]] [[3월 1일]] 동춘동 → '''동춘1동''', 동춘2동 분동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77.952%, #888 0%, #888 100%, #AAA 0%)" {{{#fff 1995년 19,48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78.472%, #888 0%, #888 100%, #AAA 0%)" {{{#fff 2000년 19,61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75.936%, #888 0%, #888 100%, #AAA 0%)" {{{#fff 2005년 18,98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73.644%, #888 0%, #888 100%, #AAA 0%)" {{{#fff 2010년 18,41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65.124%, #888 0%, #888 100%, #AAA 0%)" {{{#fff 2015년 16,28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100%, #888 0%, #888 100%, #AAA 0%)" {{{#fff 2020년 25,89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97.292%, #888 0%, #888 100%, #AAA 0%)" {{{#fff '''2023년 10월 24,323명'''}}}}}} || ||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1966-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 ||
[[파일:연수구 CI.svg|height=20]] '''[[동춘동|{{{#000 동춘2동}}}]] {{{#000 인구 추이}}}''' [br] {{{-3 (1995년~현재)}}} || || [[1995년]] [[3월 1일]] 동춘동 → 동춘1동, '''동춘2동''' 분동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99.733%, #888 0%, #888 100%, #AAA 0%)" {{{#fff 1995년 47,373명}}}}}} || || [[1996년]] [[1월 1일]] '''동춘2동''' → '''동춘2동''', 청량동 분동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52.505%, #888 0%, #888 100%, #AAA 0%)" {{{#fff 2000년 24,94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75.808%, #888 0%, #888 100%, #AAA 0%)" {{{#fff 2005년 36,009명}}}}}} || || [[2007년]] [[1월 1일]] '''동춘2동''' → '''동춘2동''', 송도동 분동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47.8%, #888 0%, #888 100%, #AAA 0%)" {{{#fff 2010년 22,70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44.457%, #888 0%, #888 100%, #AAA 0%)" {{{#fff 2015년 21,11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39.301%, #888 0%, #888 100%, #AAA 0%)" {{{#fff 2020년 18,66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36.613%, #888 0%, #888 100%, #AAA 0%)" {{{#fff '''2023년 12월 17,391명'''}}}}}} || ||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75만 명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 ||
[[파일:연수구 CI.svg|height=20]] '''[[동춘동|{{{#000 동춘3동}}}]] {{{#000 인구 추이}}}''' [br] {{{-3 (2000년~현재)}}} || || [[1996년]] [[1월 1일]] 동춘2동 → 동춘2동, 청량동 분동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95.698%, #888 0%, #888 100%, #AAA 0%)" {{{#fff 2000년 21,532명}}}}}} || || [[2003년]] [[12월 19일]] 청량동 → '''동춘3동''' 개칭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92.236%, #888 0%, #888 100%, #AAA 0%)" {{{#fff 2005년 20,75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93.236%, #888 0%, #888 100%, #AAA 0%)" {{{#fff 2008년 20,97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92.578%, #888 0%, #888 100%, #AAA 0%)" {{{#fff 2009년 20,83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92.973%, #888 0%, #888 100%, #AAA 0%)" {{{#fff 2010년 20,91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91.36%, #888 0%, #888 100%, #AAA 0%)" {{{#fff 2011년 20,55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91.187%, #888 0%, #888 100%, #AAA 0%)" {{{#fff 2012년 20,51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91.711%, #888 0%, #888 100%, #AAA 0%)" {{{#fff 2013년 20,63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90.773%, #888 0%, #888 100%, #AAA 0%)" {{{#fff 2014년 20,42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89.791%, #888 0%, #888 100%, #AAA 0%)" {{{#fff 2015년 20,20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89.671%, #888 0%, #888 100%, #AAA 0%)" {{{#fff 2016년 20,17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88.507%, #888 0%, #888 100%, #AAA 0%)" {{{#fff 2017년 19,91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86.653%, #888 0%, #888 100%, #AAA 0%)" {{{#fff 2018년 19,49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85.676%, #888 0%, #888 100%, #AAA 0%)" {{{#fff 2019년 19,27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83.822%, #888 0%, #888 100%, #AAA 0%)" {{{#fff 2020년 18,86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82.48%, #888 0%, #888 100%, #AAA 0%)" {{{#fff 2021년 18,55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80.462%, #888 0%, #888 100%, #AAA 0%)" {{{#fff 2022년 18,10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79.644%, #888 0%, #888 100%, #AAA 0%)" {{{#fff '''2023년 12월 17,920명'''}}}}}} || ||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25만 명 2000-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 ||
[[파일:연수구 CI.svg|height=20]] '''[[송도동(연수구)|{{{#000 송도1동}}}]] {{{#000 인구 추이}}}''' [br] {{{-3 (2008년~현재)}}} || || [[2007년]] [[1월 1일]] 동춘2동 → 동춘2동, 송도동 분동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48.393%, #888 0%, #888 100%, #AAA 0%)" {{{#fff 2008년 26,61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60.533%, #888 0%, #888 100%, #AAA 0%)" {{{#fff 2009년 33,29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73.847%, #888 0%, #888 100%, #AAA 0%)" {{{#fff 2010년 40,61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98.678%, #888 0%, #888 100%, #AAA 0%)" {{{#fff 2011년 54,273명}}}}}} || || [[2012년]] [[1월 1일]] 송도동 → '''송도1동''', 송도2동 분동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65.88%, #888 0%, #888 100%, #AAA 0%)" {{{#fff 2012년 36,23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79.495%, #888 0%, #888 100%, #AAA 0%)" {{{#fff 2013년 43,722명}}}}}} || || [[2014년]] [[9월 24일]] '''송도1동''' → '''송도1동''', 송도3동 분동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63.746%, #888 0%, #888 100%, #AAA 0%)" {{{#fff 2014년 35,06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62.689%, #888 0%, #888 100%, #AAA 0%)" {{{#fff 2015년 34,47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63.267%, #888 0%, #888 100%, #AAA 0%)" {{{#fff 2016년 34,79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63.475%, #888 0%, #888 100%, #AAA 0%)" {{{#fff 2017년 34,91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62.316%, #888 0%, #888 100%, #AAA 0%)" {{{#fff 2018년 34,27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65.942%, #888 0%, #888 100%, #AAA 0%)" {{{#fff 2019년 36,26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68.158%, #888 0%, #888 100%, #AAA 0%)" {{{#fff 2020년 37,48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68.471%, #888 0%, #888 100%, #AAA 0%)" {{{#fff 2021년 37,65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68.926%, #888 0%, #888 100%, #AAA 0%)" {{{#fff 2022년 37,90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68.806%, #888 0%, #888 100%, #AAA 0%)" {{{#fff '''2023년 12월 37,843명'''}}}}}} || ||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5.5만 명 2008-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 ||
[[파일:연수구 CI.svg|height=20]] '''[[송도동(연수구)|{{{#000 송도2동}}}]] {{{#000 인구 추이}}}''' [br] {{{-3 (2012년~현재)}}} || || [[2012년]] [[1월 1일]] 송도동 → 송도1동, '''송도2동''' 분동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44.129%, #888 0%, #888 100%, #AAA 0%)" {{{#fff 2012년 25,37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46.802%, #888 0%, #888 100%, #AAA 0%)" {{{#fff 2013년 26,91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53.810%, #888 0%, #888 100%, #AAA 0%)" {{{#fff 2014년 30,94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74.903%, #888 0%, #888 100%, #AAA 0%)" {{{#fff 2015년 43,06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81.103%, #888 0%, #888 100%, #AAA 0%)" {{{#fff 2016년 46,63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86.004%, #888 0%, #888 100%, #AAA 0%)" {{{#fff 2017년 49,45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99.647%, #888 0%, #888 100%, #AAA 0%)" {{{#fff 2018년 57,297명}}}}}} || || [[2019년]] [[1월 1일]] '''송도2동''' → '''송도2동''', 송도4동 분동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63.743%, #888 0%, #888 100%, #AAA 0%)" {{{#fff 2019년 36,65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63.744%, #888 0%, #888 100%, #AAA 0%)" {{{#fff 2020년 36,65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63.877%, #888 0%, #888 100%, #AAA 0%)" {{{#fff 2021년 36,72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63.437%, #888 0%, #888 100%, #AAA 0%)" {{{#fff 2022년 36,47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63.784%, #888 0%, #888 100%, #AAA 0%)" {{{#fff '''2023년 12월 36,676명'''}}}}}} || ||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5.75만 명 2012-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 ||
[[파일:연수구 CI.svg|height=20]] '''[[송도동(연수구)|{{{#000 송도3동}}}]] {{{#000 인구 추이}}}''' [br] {{{-3 (2014년~현재)}}} || || [[2014년]] [[9월 24일]] 송도1동 → 송도1동, '''송도3동''' 분동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36.378%, #888 0%, #888 100%, #AAA 0%)" {{{#fff 2014년 18,18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39.21%, #888 0%, #888 100%, #AAA 0%)" {{{#fff 2015년 19,60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57.762%, #888 0%, #888 100%, #AAA 0%)" {{{#fff 2016년 28,88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73.286%, #888 0%, #888 100%, #AAA 0%)" {{{#fff 2017년 36,64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89.466%, #888 0%, #888 100%, #AAA 0%)" {{{#fff 2018년 44,73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96.21%, #888 0%, #888 100%, #AAA 0%)" {{{#fff 2019년 48,10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97.496%, #888 0%, #888 100%, #AAA 0%)" {{{#fff 2020년 48,74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98.104%, #888 0%, #888 100%, #AAA 0%)" {{{#fff 2021년 49,05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97.476%, #888 0%, #888 100%, #AAA 0%)" {{{#fff 2022년 48,73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97.116%, #888 0%, #888 100%, #AAA 0%)" {{{#fff '''2023년 12월 48,558명'''}}}}}} || ||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5만 명 2014-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 ||
[[파일:연수구 CI.svg|height=20]] '''[[송도동(연수구)|{{{#000 송도4동}}}]] {{{#000 인구 추이}}}''' [br] {{{-3 (2019년~현재)}}} || || [[2019년]] [[1월 1일]] 송도2동 → 송도2동, '''송도4동''' 분동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50.316%, #888 0%, #888 100%, #AAA 0%)" {{{#fff 2019년 1월 22,64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61.424%, #888 0%, #888 100%, #AAA 0%)" {{{#fff 2019년 7월 27,64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77.831%, #888 0%, #888 100%, #AAA 0%)" {{{#fff 2020년 1월 35,02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97.844%, #888 0%, #888 100%, #AAA 0%)" {{{#fff 2020년 7월 44,030명}}}}}} || || [[2020년]] [[10월 26일]] '''송도4동''' → '''송도4동''', 송도5동 분동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55.191%, #888 0%, #888 100%, #AAA 0%)" {{{#fff 2021년 1월 24,83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55.971%, #888 0%, #888 100%, #AAA 0%)" {{{#fff 2021년 7월 25,18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56.633%, #888 0%, #888 100%, #AAA 0%)" {{{#fff 2022년 1월 25,48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56.849%, #888 0%, #888 100%, #AAA 0%)" {{{#fff 2022년 7월 25,58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61.184%, #888 0%, #888 100%, #AAA 0%)" {{{#fff 2023년 1월 27,53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65.54%, #888 0%, #888 100%, #AAA 0%)" {{{#fff 2023년 7월 29,49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73.362%, #888 0%, #888 100%, #AAA 0%)" {{{#fff '''2023년 12월 33,013명'''}}}}}} || ||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5만 명 2019-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 ||
[[파일:연수구 CI.svg|height=20]] '''[[송도동(연수구)|{{{#000 송도5동}}}]] {{{#000 인구 추이}}}''' [br] {{{-3 (2020년~현재)}}} || || [[2020년]] [[10월 26일]] 송도4동 → 송도4동, '''송도5동''' 분동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69.394%, #888 0%, #888 100%, #AAA 0%)" {{{#fff 2020년 12월 34,69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76.942%, #888 0%, #888 100%, #AAA 0%)" {{{#fff 2021년 4월 38,47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78.716%, #888 0%, #888 100%, #AAA 0%)" {{{#fff 2021년 7월 39,35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79.524%, #888 0%, #888 100%, #AAA 0%)" {{{#fff 2021년 10월 39,76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80.032%, #888 0%, #888 100%, #AAA 0%)" {{{#fff 2021년 12월 40,01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80.024%, #888 0%, #888 100%, #AAA 0%)" {{{#fff 2022년 4월 40,01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79.922%, #888 0%, #888 100%, #AAA 0%)" {{{#fff 2022년 7월 39,96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79.564%, #888 0%, #888 100%, #AAA 0%)" {{{#fff 2022년 10월 39,78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80.008%, #888 0%, #888 100%, #AAA 0%)" {{{#fff 2022년 12월 40,00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87.87%, #888 0%, #888 100%, #AAA 0%)" {{{#fff 2023년 4월 43,93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91.172%, #888 0%, #888 100%, #AAA 0%)" {{{#fff 2023년 7월 45,58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92.424%, #888 0%, #888 100%, #AAA 0%)" {{{#fff 2023년 10월 46,21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f3c95 92.368%, #888 0%, #888 100%, #AAA 0%)" {{{#fff '''2023년 12월 46,184명'''}}}}}} || ||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5만 명 2020-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 == 지역 특징 == 연수구 일대는 구 [[송도유원지]] 일대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지역이 [[1990년대]] 이후에 지어진 [[신도시]]로, 신도시 특성상 외지인이 많고 평균 소득수준이 높기 때문에 90년대부터 인천의 '''강남'''이라고 불리는 지역이었다. [[동막역]] 이북의 연수지구가 [[1기 신도시]] 사업 당시 같이 발표가 되어 조성되었고, 이후 남서쪽 바다를 매립하여 만든 [[송도국제도시]]가 조성되어 인천의 [[부촌]] 이미지를 굳히게 되었다. 또한 한때 부촌이었던 '''[[도원역]] 일대를 계승'''했다. 덕분에 송도와 모서리가 겨우 닿아있는 [[남동구]]와 [[중구(인천광역시)|중구]], [[미추홀구|남구]]가 서로 송도7공구와 9공구, 10공구를 달라고 계속 싸워댔다. 일단 고수익 기반의 사업 유치가 쉬워지고 그로 인한 세수증가가 장난이 아니기 때문. 근데 애초에 [[송도국제도시]]의 지명의 원천인 '송도'가 연수구 관내에 있으므로 인천광역시는 연수구의 편을 들어줬다. 근데 결국 [[미추홀구|남구]]와 [[중구(인천광역시)|중구]], [[남동구]]가 헌법소원까지 내버려 결국 [[송도국제도시]]의 모든 구역은 연수구 관할'이라고 확정이 났고, 연수구청은 그걸 엄청 홍보하는 중이다. === 구 송도 === 송도라는 지명의 유래가 된 과거 송도유원지가 있던 [[옥련동]] 일대. 과거 협궤철도 시절 [[수인선]]과 현재 [[수인분당선]]의 [[송도역]]이 이 지역에 있다.[* 때문에 외지인들이 송도국제도시로 가기 위해 송도역으로 왔다가 낭패를 본 사례가 꽤 있다.] 연수구가 [[미추홀구]](당시 남구)에서 분구되기 전 연수구 일대의 중심지였다.[* 나머지 여타지역은 개요부분에서 서술한 것처럼 90년대 초까지 [[갯벌]]만 있던 동네였다.] 주요시설로는 인천시립박물관이 있다.[* 그리고 박물관 뒷길로 들어가다 보면 드라마에서 볼법한 재벌가들의 단독주택들이 즐비해 있는데 그 일대가 [[셀트리온]]의 [[서정진(기업인)|서정진]] 회장과 [[길병원|가천길재단]]의 [[이길여]] 회장 등이 거주하는 서울로 치면 [[평창동]], [[성북동(서울)|성북동]], [[한남동]]과 같은 인천의 전통 로열부촌이다.] 미니 신도시 개발사업인 [[송도역세권개발사업]]이 진행중이다 === 연수지구 === ||[[파일:attachment/14_2.jpg|width=100%]]|| [[파일:attachment/1369113320.jpg|width=100%]] || ||<-2> [[1기 신도시]] 발표 당시 연수지구의 배치도. || 위 사진의 현재 아파트 명칭은 아래와 같다. || '''구역''' || '''단지명''' || '''세대수''' || '''입주''' || '''건설사''' || ||<-5>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000,#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1 || 효정 || 312 || 1993년 12월 || 효정개발(주) || || 2 || 성일 || 414 || 1994년 10월 || 성일건설(주) || || 3 || 동남 || 420 || 1994년 2월 || 동남기업(주) || || 4 || 인향, 우주, 태경 || 220, 230,220 || 1992년 6월 || 인향건설, 우주건설, 태경건설 || || 5 || 문남마을 || 400 || 1994년 12월 || 풍창건설(주) || || 6 || 연수대명 || 108 || 1993년 7월 || 대명주택 || || 7 || 연수유천 || 788 || 1993년 9월 || 유천건설(주) || || 8 || 태산 || 420 || 1993년 12월 || 태산도시산업(주) || || 9 || 영남 || 622 || 1992년 12월 || 영남주택 || || 10 || 세경 || 567 || 1997년 8월 || 세경산업 || || 11 || 연수주공3단지 || 1,170 || 1993년 10월 || 한성(주) || || 12 || 대우 || 390 || 1992년 6월 || (주)대우 || ||<|2> 13 || 연수주공1단지 || 1,654 || 1992년 7월 ||<|2> 성지건설 || || 연수주공2단지 || 960 || 1992년 6월 || ||<|2> 14 || 대림 || 640 ||<|2> 1993년 5월 || 대림산업(주) || || 경남 || 620 || 경남기업(주) || || 15 || 연수풍림1차 || 769 || 1992년 3월 || 풍림산업 || ||<|2> 16 || 연수시영1차 || 370 || 1992년 5월 || 코오롱건설(주) || || 솔밭마을(구.연수시영2차) || 1200 || 1993년 5월 || 한보철강건설 || || 17 || 우성2차 || 2,044 || 1995년 2월 || (주)우성건설 || || 18 || 대동 || 768 || 1993년 11월 || 대동주택종합건설(주) || || 19 || 우성1차 || 1,088 || 1994년 9월 || (주)우성건설 || || 20 || 한양1차 || 1,020 || 1994년 12월 || (주)한양 || || 21 || 대우삼환 || 1,776 || 1994년 5월 || (주)대우, 삼환기업(주) || || 22 || 현대1차 || 1,040 || 1993년 1월 || 현대산업개발(주), 현대건설(주) || || 23 || 연수풍림2차 || 1,200 || 1993년 6월 || 풍림산업(주) || || 24 || 무지개마을 || 1,068 || 1995년 8월 || 태화건설(주) || || 25 || 동남 || 1,350 || 1994년 12월 || 동남주택산업(주) || || 26 || 아주 || 348 || 1994년 4월 || (주)아주건설 || || 27 || 대동 || 336 || 1994년 5월 || (주)대동건설 || || 28 || 한양2차 || 1,440 || 1994년 6월 || (주)한양 || || 29 || 대림3차 || 408 || 1993년 7월 || 대림산업(주) || || 30 || 건영 || 970 || 1994년 4월 || (주) 건영 || || 31 || 태평1차 || 192 || 1992년 12월 || 태평주택건설 || || 32 || 삼성.럭키 || 1,080 ||<|2> 1993년 8월 || 삼성건설(주), 럭키개발(주) || || 33 || 현대2차,대림2차 || 700 || 대림산업(주), 현대산업개발(주) || || 34 || 연수타운(금호,동아) || 1,056 || 1993년 4월 || 동아, 금호건설 || || 35 || 동춘마을 || 930 || 1994년 7월 || 한보철강공업(주) || || 36 || 연수대우3차 || 344 || 1993년 12월 || 대우(주) || || 37 || 연수2차하나타운 || 264 || 1994년 9월 || (주)한국공영 || || 38 || 인천연수풍림3차 || 440 || 1993년 12월 || 풍림산업(주) || || 39 || 조흥 || 97 || 1997년 2월 || 조흥건설산업 || || 40 || 롯데 || 320 || 1993년 8월 || 롯데건설(주) || || 41 || 연수하나1차 || 724 || 1995년 3월 || (주)한국공영 || || 42 || 용담마을 || 500 || 1994년 9월 || 한주개발(주) || || 43 || 시대 || 916 || 1994년 10월 || 시대종합건설(주) || || 44 || 연수서해 || 294 || 1993년 6월 || (주)서해종합건설 || || 45 || 성호 || 488 || 1993년 11월 || 성호건설(주) || || 46 || 삼용 || 300 || 1994년 3월 || 삼용종합건설산업(주) || || || 태평2차 || 198 || 1995년 11월 || (주)태평주택 || }}}}}}}}} || 연수지구는 [[1990년대]]에 [[분당신도시|분당]], [[일산신도시|일산]] 등 [[1기 신도시|5개 신도시]]가 발표될 때 대전의 [[둔산신도시]]와 같이 발표된 택지지구로써, 형성된 시기가 같기 때문에 분당, 일산과 유사한 느낌이 많이 난다. 다만 국가에서 밀어준 1기의 다섯 메인 신도시에 비해서 상업지구나 유흥거리가 적다 보니 [[베드타운]]의 성격이 더 강하다. 이 연수지구는 연수구청을 끼고 있고, 연수구의 주요 시설이 몰려있는 연수구의 중심지이다. 최근 [[송도국제도시]]의 개발로 위상이 예전보다 많이 떨어졌다고는 하나, 송도의 특성상 땅이 기존 연수구만한데, 아직까지 개발이 완료되지 않은 지역이 많기 때문에 아직까지 연수구에서 연수지구를 빼놓고 이야기 할수는 없다. 하지만 송도는 인천 뿐만 아니라 외지에서도 부유층이 많이 유입이 되고 있기 때문에 점점 집값의 차이가 많이 나고 있어 향후 연수구의 중심지가 송도로 넘어갈 가능성 역시 다분하다.[* 다만 이는 연수지구의 집값이 떨어진 것이 아니라 정체중이기 때문이다. 송도는 집값이 계속 오르는 중.] 부동산 시장에서는 연수지구는 인천의 잠실, 송도국제도시는 인천의 강남이라 비유하고 있다. 실제로 아파트 광고 등 부동산 업계쪽에서 인천 논현을 송파, 송도를 강남, 연수지구를 잠실로 비유하는 것을 볼 수 있다. [[http://giljjuki73.egloos.com/2328919/|참고]] [[동춘역]] 주위의 대우삼환아파트 밑으로 [[동막역]] 끝자락까지는 전부 엘리베이터도 없는 단층 아파트들인데, 연수구가 생길 당시엔 군부대 및 미사일기지 때문에 고도제한이 있었기 때문이다. 허나 생긴지 얼마 되지 않아서 [[인천국제공항]]이 생기든 말든 고도제한따윈 다 풀려버렸고, 1999년 이후에 미사일기지도 옮겨버려, 연수구가 재개발 하면 인천 전체가 요동친다는 우스갯 소리가 있다. 그리고 슬슬 하나 둘씩 재개발 떡밥들이 자라나고 있다. 연수지구에서 제일 오래된 아파트가 1992년에 지어진 단지들인데, 1995년 전에 지어진 아파트는 25년+(준공연도-1990)이 재개발 조합설립 연한이기 때문에 2020년이면 재개발 추진 조합 설립이 가능하게 된다. 다만 안전성 조사의 통과가 관건이겠지만 인천이 인구 수에 비해 학교수가 매우 많은 편임에도 계속 짓고 있는 중인데, 추후 연수구 재개발 시를 대비한 것이란 설이 있다. 실제로 15층 이상의 고층 단지 비율보다 중저층 단지 비율이 매우 많아 재개발을 하게되면 인구 수용력이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이기 때문. 이 얘기는 상대적으로 저층 아파트가 많은 지역은 당연한 얘기이나, 고도제한이 있는 [[성남시]]를 제외하면 저층 아파트 비율이 이렇게 많은 지역은 찾기 힘들다. 그리고 빌라단지인 [[연수동(연수구)|연수동]] 연수1동 함박마을의 연수4단지 지역[* 인근에 위치한 [[가천대학교]] 학생들과 [[남동인더스파크]]가 있는데 이 지역에서 유독 토막살인사건을 비롯한 범죄가 자주 발생했고, 연수구 지역 탈선 청소년들이 대부분 이 지역에 모이기 때문에 연수구의 할렘가로 불리며 많은 연수구민들의 기피 장소가 되었다.], 옥련1동 송도역 부근, 동춘1동 청량산, 범좌산 북쪽의 소암마을이 연수구에서 개발이 안되고 남아있던 지역인데, 소암마을과 동춘1동 지역은 동춘1, 2구역 도시개발지구로 개발 중이지만, 구 송도유원지와 대우자판 부지에 건설하려 했던 '송도 파인 시티' 는 몇 년 동안 삽도 파지 못하고 표류하고 있다. 또한 승기하수처리장도 시설 노후화로 인해 이전하고 그 일대 부지를 개발할 예정이다. 구청사 건물은 2000년 초반에 지어진 터라 시청보다 더 좋은 환경을 제공하고 있으며, 인천시청보다 크다. 다만 인천시청은 1985년에 신축된지라 비교 대상이 아니긴 하다. 주변이 아파트 단지이기 때문에 공무원들이 근무하기 편안한 환경을 제공하고 있어서 인천시 공무원들이 가장 근무하고 싶어하는 지자체이기도 하다. 인천시 공무원의 경우 퇴직 전에 도서지역을 한번이라도 3년간 갔다와야 하기 때문에 그런 성향이 강한 편인데, 도서지역에 갔다 온 후에는 연수구쪽으로 배치해주는 경우가 많다. 이전의 구청은 청학동, 정확히 말하면 현재 고가교 바로 옆에 있는 연수구 선거관리위원회 건너편 자리가 옛 연수구청 자리다. 인천에서 공원이 잘 조성되어 있는 곳 중 하나로, 청학, 청량, 능허대, 솔안, 용담, 구민체육, 대학, 동남, 양지, 동막근린(한양), 동춘근린(건영), 부수지근린(삼환), 풍림, 하나공원 등은 각종 분수, 해시계(!!), 축구장, 풋살장, 호수, 어린이 놀이시설 들은 모두 기본으로 갖추고 있는 지라 여름에 저녁만 되면 사람이 많다. 용담공원의 경우 호수, 축구장, 씨름장, 벚꽂길까지 있어 사람들이 많이 찾는 곳. [[송도국제도시]] 공원들과 비교하기는 그렇지만, 연수지구는 [[1기 신도시]]가 발표될 때 함께 계획된 곳이라 공원이 잘 되어 있고, 산책하기엔 좋은 곳이다. 승기천 공원은 얼핏 보면 연수구 관내로 보일수도 있으나 남동구 관할인데, 남동인더스파크는 주거단지가 아니므로 주로 연수구 주민들이 이용한다. 남동구 예산으로 연수구민들이 득을 보고 있는 것이다. 공단에 닿아있는 공원치고 관리를 잘 했는데 여름만 되면 모기 때문에 난감하다. === [[송도국제도시]] === 연수구임에도 기존 연수지구와 다른 지역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신도시 국제도시인데다 [[크기]]가 무려 [[부천]] [[면적]] 수준이라서 영종구 검단구처럼 미래 분구 가능성도 있다. === [[연수구청|구청]]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연수구청)] == 교통 == === 도로교통 === [include(틀:인천광역시의 대로)] [include(틀:연수구의 로)] [[인천대교]]가 완공되면서 이제 [[제2경인고속도로]]도 이 구를 경유한다. 하지만 새로 생긴 IC 두 개([[옥련IC]], [[송도IC]])가 전부 인천대교 방향으로만 진입 가능. 인천대교 완공으로 [[인천국제공항]]으로의 접근성이 매우 높아진 상태. 기존은 [[영종대교]]까지 가야 했으므로 상당히 오래 걸렸었다. 그 덕에 송도에 [[U-복합환승센터]]가 생겨, 전국 각지로 가는 공항버스가 여기에 정차하기도 한다. [[송도국제도시]] 주민들과 연수구 남부 주민들은 많이 편해졌다. 자가용으로 서울 방면으로 가려면 남동구의 [[남동IC]]나, 문학터널을 거쳐서 가는 [[미추홀구]]의 [[문학IC]]를 이용한다. 아니면 용현동 쪽으로 진출하여 [[경인고속도로]]를 타거나, 논현동과 인천대공원을 지나 장수 나들목에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를 타는 방법, 아암대로 남쪽에서 [[제3경인고속화도로]]를 타는 방법 등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각자 자신들이 가장 빨리 갈 수 있는 루트를 타는 쪽을 원하는 듯 하다. 버스교통의 경우는, 송도동에 [[송도공영차고지]], 동춘동, 옥련동에 개별 회사 차고지가 있다. 인천 버스 특유의 그 택배근성을 가진 노선이 꽤 많다. 동춘동과 송도동은 공영차고지와 개별 회사 차고지가 있어 버스교통이 별로 불편하지 않고, 연수동의 경우는 동춘동 종점에서 출발한 많은 버스들이 연수동을 거쳐가기에 버스교통이 그다지 불편하지 않다. 선학동의 경우는 [[선학역]]에 수많은 버스들이 정차하기에 별 문제가 없는 상황. 다만 옥련동의 경우 버스교통이 꽤 불편하다. 다른 연수구 지역에 비해 다니는 버스의 숫자도 적고, 이로 인해 갈 수 있는 곳이 한정되어 있다. 그리고 동춘동의 경우, 유난히 인천 시내를 순환하는 순환형 시내버스가 다니던 동네이다. [[동춘역]]과 [[동막역]]에서는 [[인천 버스 6]], [[인천 버스 6-1]] 을 탈 수 있다. 6번은 동막역 1번 출구 기준으로 청학동과 선학동을 들르고, 6-1번은 연수구청과 남동공단, 논현, 서창지구를 들른다. === 철도교통 === [include(틀:연수구의 철도역)] 주요 지하철 노선으로는 이 구 동쪽에서 남북으로 달리는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이 [[문학경기장역]]부터 [[송도달빛축제공원역]]까지 운행하고 있다.[* 문학경기장역은 이름만 보면 미추홀구 소속으로 착각할 수 있으나, 역무실 주소는 연수구로 되어있다.]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이 총 13개 역으로, [[대구광역시]] [[동구(대구)|동구]]의 [[대구 도시철도 1호선]](13개역)와, 한 구(區) 안의 단일 노선에 역 소재 공동 1위이다. 다만 연수구에 있는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역들을 보면 선학역 주변은 그나마 좀 나은 편이나, 다른 역들의 경우는 남동인더스파크와의 연계성까지 함께 고려한 덕분에 역 위치가 아파트 단지 끄트머리에 위치하고 있어 지하철을 이용하는 연수구민들은 버스를 이용해서 지하철역까지 간 다음 지하철을 이용한다. [[수도권 전철 수인선]]이 '''드디어''' 2012년 6월 30일에 표준궤 복선전철로 부활하였다. 연수구 구간에는 [[원인재역]](환승역) - [[연수역]] - [[송도역]]이 있다. [[수도권 전철 수인선]]의 개통으로 인해 연수구의 전철역 개수는 총 14개역.[* 총 개수는 강남구의 26개역이나 중구, 종로구 근방의 역 개수보다는 현저히 적으나, 연수구('19.07월 주민등록인구 357,244명)에 14개역은 지나치게 많은 편인건 사실이다. 인구가 더 많은 부평구('19.07월 주민등록인구 517,029명)가 11개역, 남동구('19.07월 주민등록인구 534,871명)가 8개인데 비해 산술적으로도 많다. 수원의 경우 지금 짓고 있는 노선을 다 지어도 인구 120만을 목전에 둔 도시에 총 10개 역 밖에 안된다.][* 그런데 인천 1호선의 송도-신흥동 연장과, 송도-주안지선, 인천 순환선 계획이 전부 연수구를 다 지나간다. 실행이 돼야 일어날 이야기겠지만...] 그리고 2016년 2월 27일에 [[인천역]]까지 연장되고, 2020년 9월 12일에 [[수원역]]까지 연장 및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으로 직결 운행이 시작되었다. 그리고 인천의 숙원 사업이었던 [[인천발 KTX]]가 연수구에 위치한 [[수인·분당선]] [[송도역]]에서 착발하는 방안으로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하면서, 2020년 7월 현재 기본 설계를 시행중에 있다. 2020년이나 말이나 못해도 2021년 초에는 착공 후에, 2025년에 개통될 예정이다. 다만, 오해의 여지가 있는것이 [[수인선]] [[송도역]]은 우리가 잘 아는 [[송도국제도시|그 도시]]에 위치해있지는 않고, 지금의 [[송도국제도시]] 토지가 매립되기 전에 존재하던 [[송도유원지]] 인근에 위치하던 옛 [[수인선(협궤)|수인선 협궤철도]] 시절 [[송도역]]을 그대로 이어받은 것이기에, 옛 송도 지역에 위치한 것이 지금의 [[송도역]]이다. 현재 [[강릉선 KTX|만종-강릉]]과 [[수도권 전철 경강선|판교-여주]] 구간만 개통되어있는 [[경강선]]이 [[월곶역]]까지 완전 개통된다면 [[연수역]]에 주박기지가 들어서며, 경강선 일반 전동차와 급행 개념의 일반열차([[KTX-이음]])가 각각 [[연수역]]과 [[송도역]]에서 시종착할 예정이다. 2024년 [[GTX-B]] [[인천대입구역]]이 착공해 2030년 완공 예정이다. 한편 [[송도트램]] 등 여러 노선이 계획 중이다. == 상권 == 상권은 그리 크지 않은 편이다. 아니 워낙에 구월동상권과 부평상권이 너무 이유도 있지만, 일반 주거단지 내부의 상권, 그 이상 그 이하도 아니다. [[파일:external/www.sptoday.com/29byc_copy.jpg]] 연수구의 상권은 연수고가 근처의 청학동와 연수2동, 동춘3동사이에 있는 통칭 "BYC빌딩" 혹은 "대동월드쪽"이라 불리는 상권, 동춘2동에 있는 "한화마트 상권", 송도지역에 있는 "오피스텔 상권"이다. 송도국제도시 지역은 예전에는 지하철이 개통되지 않아 접근성이 다소 떨어지는 경향이 있으나, 서서히 유동인구가 오르는 중. 가장 큰 문제는 자체 유동 인구는 많아도 타 지역 유입 유동 인구가 거의 없는 편이다. 물론, 송도에 좋은 공원이 많이 생긴 걸 아는 사람들은 데이트 코스로도 하나 둘씩 유명해진 상태다. "한화마트 상권"은 가장 오래된 상권으로 과거 연수구지역 상권의 대표가 되었던 곳이다. 한화마트는 지금은 롯데슈퍼로 바뀐 중대형 할인점으로 과거엔 로얄백화점, 로얄아울렛으로 불리어 한화마트로 있던 기간이 제일 긴 덕분에 아직도 한화마트쪽이라 불린다. 지금은 과거에 있던 프랜차이즈 업체들이 다 떠나고(맥도날드, 파파이스가 있었지만, 지금은 모두 없다.롯데리아는 아직 남아있다) 학원촌으로 바뀌었는데 인천, 경기지역에서 학원 프랜차이즈를 형성한 정문학원 산하의 동부정문학원이 주변 학원 중에선 가장 크다. 최근엔 상권이 아예 죽어버리다시피 해서 학원촌 그 이상 그 이하도 아니었다가, 나사렛국제병원이 생겨 상권부활의 희망을 갖고 있기도 하다. 또한 옥련동은 과거에 옛 수인선 송도역을 중심으로 시장이 생겨나는 등 상권이 발달했으나 현재 큰 상권은 없고, 우리은행 사거리와 옥련시장을 중심으로 작게 상권이 형성되어 있다. 수인선 개통이 다가오면서 연수역 주변이 연수구 개발 완료 근 15년만에 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연수역 주변에 있던 연수구 성립 이전에 생겼던 빌딩들이 헐리고 그 자리에 초고층 아파트가 건설 중이며 망했다 하더라도 인천에서 제일 밀어주는 지역인건 변함없다. 타 상권의 영향은 동별로 차이가 매우 큰 편. 동춘2동, 동춘3동은 58번, 63번, 81번 버스등으로 주안에 진출 할 수 있지만, 인천 버스 특유의 '택배 근성'으로 인해 부평 쪽으로의 유동인구가 많은 편이다. 더 가까운 동인천 가려면 112번 버스로 40분은 가야하는데, 부평은 25분이면 간다. 서쪽의 BYC빌딩쪽의 동춘3동 지역은 버스를 이용한 동인천 쪽으로의 유동인구가 다소 있다. 청학동과 옥련동의 경우 112번, 9번, 16번 버스등을 통해 동인천 쪽으로의 유동인구가 대부분. 이 [[인천 도시철도]]와 지리적으로 먼 위치 때문에 생긴 일이다. 선학동과 연수2동의 경우 지리적으로는 부평에 16분 밖에 걸리지 않지만, 버스를 통한 주안으로의 유동인구도 꽤 많은편. 이렇게 유동인구가 많은 덕분에 연수구 구내 상권은 이동 비율이 낮은 비교적으로 나이 많은 인구가 주 소비층이었지만 [[스퀘어원]]의 개장으로 다시 동춘동과 연수동에는 유동인구가 늘고 있다. 전국에서 매출 3위 안에 드는 [[이마트 연수점]]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 매장은 [[동춘역]]과 연결되어 있다. 덕분에 아파트단지 이용객과 이마트 이용객이 합쳐저서 이용률은 꽤 높은편. 그러나 논현동에 홈플러스와 뉴코아가 생기면서 위협받고 있다. 후술하듯이, 이마트가 워낙 크고 쾌적하기에 연수지구와 송도, 논현동까지 흡수해서 전국 2,3위의 이마트가 된 것. 사실 연수구 내에서는 롯데마트 연수점에 대한 평판이 좋지 않았기 때문에 연수구 주민들이 선호한다. 지금은 멀지 않은 위치에 [[홈플러스 인천송도점]]과 [[현대프리미엄아울렛 송도점]]이 크고 아름답게 생겨나면서 약간이나마 분산된 상태. 그래도 아직 [[이마트 연수점]]이나 [[스퀘어원]], [[홈플러스 인천연수점]]을 가려는 차가 주말마다 줄을 슨다. 연수구에 있는 영화관은 [[동춘역]] 근처 [[스퀘어원]]에 있는 [[CGV 인천연수]], [[테크노파크역]] 근처 [[메가박스 송도]], [[연수역]] 근처에 있는 [[CGV 연수역]] 세 곳(지금은 5곳)이다. 곳이다. 과거에 있던 IMC9은 롯데시네마에 인수되었지만 2010년 11월 25일 이후로 롯데시네마마저 폐점했고 [[씨너스]]는 메가박스로 새로 시작했다가 CGV로 바뀌었다. 대신 송도 [[트리플스트리트]]에 [[메가박스 송도]]가 새로 입점했다. 2020년 12월 인천대입구역 근처에 [[CGV 송도타임스페이스]]가 새로 생겼다. 유명 프랜차이즈 패밀리 레스토랑으로는 스퀘어원에 입점한 [[VIPS]], [[애슐리(패밀리 레스토랑)|애슐리]]가 있다. 씨푸드 뷔페로 유명한 드마리스가 논현동에 있어 연수동에서도 찾는 사람들이 많다. 다른 뷔페로는 송도 미추홀호텔에 피에스타, 구 송도 라마다호텔에 벨뷰, 메가박스에 갈라드7이 있다. 과거 동춘동에 [[아웃백스테이크하우스]]가 있었다가 송도동으로 이전했다. 패스트푸드 업체는 과거 동춘동 상권이 잘나가던 시절에 맥도날드, 롯데리아, 파파이스가 같이 있었기도 했으나 스퀘어원과 이마트가 생기기 전에 다들 폭싹 망해버려 다 사라지기도 했다.[* 참고로 지금까지 언급된 패스트푸드 업체는 전부 동춘동 한화마트 상권 내에 있었다. 물론 2013년 현재는 모두 사라졌다는게 함정이다.] [[2016년]] [[1월]] 기준으로 송도를 제외한 연수구 지역에는 [[KFC]]가 한 곳, [[롯데리아]]는 세 곳, [[맥도날드]]는 네 곳이 있으며, [[맘스터치]]는 두 곳, [[버거킹]] 두 곳이 있다. [[송도국제도시]] 지역에는 [[맥도날드]]가 한 곳, [[롯데리아]]가 다섯 곳, [[버거킹]]과 [[맘스터치]]가 두곳씩 있다. 맥도날드 배달이 안되는 지역이 많다. 또한 맥도널드 딜리버리 앱에서는 배달이 불가능하다고 나오나 [[배달의 민족]] 등 배달앱에서는 배달주문이 되는 경우도 있다. 특히 선학동에는 맥도날드, 롯데리아, KFC, 버거킹, 맘스터치, 파파이스등 국내 패스트푸드 업체가 한 1곳도 존재 하지 않는다. 커피전문점의 경우 [[스타벅스]]가 8개, [[커피빈]]이 1개, [[카페베네]]가 8개, 탐앤탐스가 3개, 투썸플레이스가 5개, 할리스가 2개, 자바시티가 1개, 카페 티아모가 1개, 이디야가 1개,엔젤리너스가 4개 등이 있으며, '''인천에서 카페가 제일 많다.''' 주 분포지역은 대동월드, BYC, 동춘동, 스퀘어원, 송도 신도시 쪽이다. 그리고 스퀘어원과 트리플스트리트에 스무디킹이 들어섰으니 '''모든 메이저 커피 및 음료 프랜차이즈 전문점들이 연수구에 다 있다.''' 연수구 주 상권지역인 청학동과 대동월드 근방엔 로스팅 카페나 개인 소규모 카페가 곳곳에 있어 찾아보기도 쉽다. 송도국제도시를 제외하면 베드타운 성격이 짙은 곳에 카페가 이리 많은 건 상술하였듯 치맛바람이 센 지역이라는 특성에 기인한다. 아이들 학교나 학원에 보내놓고 학부모들이 모임을 가지면서 자녀교육에 대해 이야기할 공간으로 활용되기 때문이다. === 주요 스팟 === * 송도동 해양경찰청 일대의 중심상업지구: 연수구 제1의 번화가. 송도 구축([[대한민국 해양경찰청]]), 현대프리미엄아울렛 주변을 말한다. 아직 개발이 완료되지 않은 송도에서 일단 가장 번화한 곳으로 각종 식당과 학원이 몰려있으며 드림시티, 밀레니엄등은 송도 구축의 상징이다.[[더샵 퍼스트월드]]만 통과하면 [[송도컨벤시아]]가 나온다. 인근의 [[연세대학교 국제캠퍼스]], [[인천대학교]] 학생도 학교 주변에 이렇다할 유흥가가 없기 때문에 전부 여기로 몰린다. 그러나 해양경비안전본부로 개편 이후 세종시로 이전이 확정된 상황이라 명칭과 운명이 변경될 예정...이었다가 문재인 정부가 들어서면서 해경 반환 확정을 약속하여 다시 돌아왔다. 현대프리미엄 아울렛, 트리플스트리트 등도 여러 지역에서 찾아오는 곳이다. * BYC거리: 연수구 제2의 번화가. 먼우금사거리에서 가장 눈에 띄는게 BYC 속옷 매장이라 그냥 이렇게 통칭한다. [[롯데마트 연수점]]과 과거 메가박스 자리엔 [[CGV 연수역]]가 있고 각종 식당과 유흥가가 몰려있으며 군데군데 학원도 더러 있다. 연수동, 동춘동, 청학동이 만나는 지점에 위치한다. * [[동춘동]] 나사렛국제병원, 롯데슈퍼 주변: 과거 연수구 상권을 담당한 곳으로 세월의 흔적이 남아있지만 아직 건재하다. 나사렛병원 건설, 동춘동공영주차장 개선등으로 계속된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다. 규모는 비록 작지만 웬만한 카페 브랜드는 거의 모두 입점하고 있다. 동춘역에서 10분 걸어가면 나온다. * [[연수도서관]] : 공부에 관심 있고 말고를 떠나서 연수구를 거친 중고딩이라면 누구나 한번이라도 이용하게 되는 곳. 아직 송도에 제대로된 도서관이 없는지라 송도동 사람들도 이곳을 이용한다. * 동춘3동 이마트, [[스퀘어원]] : 동춘역이 바로 옆에 있어 교통이 편리하다. 2002년 12월 12월 이마트가 50번째 매장으로 오픈하였다. 전국 이마트 매출 상위권(5위권)에 속한다. 2012년 10월 5일 스퀘어원이 이마트 바로 옆에 입점하였다. 대형 복합 쇼핑몰로 2010년대 연수의 대표 상권이다. 2024년 스퀘어원플러스가 이마트 뒤 문화의 집 부지에 신축 될 예정으로 지하6층, 지상8층 규모로 이마트와 같이 동춘역이 지하통로로 연결된다. === 금융 === ||<-4> '''{{{#fff 인천 연수구에 위치한 금융기관}}}'''[*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 ||<-4> '''{{{#1d1e23 제1금융권}}}'''[*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 ||<-4> '''{{{#1d1e23 국가기관 }}}''' || ||<-4> [[우정사업본부|{{{#fff '''인천우체국 (5)'''}}}]][* 인천 중구, 동구와 백령면과 대청면을 제외한 나머지 옹진군의 관할 우체국의 업무도 담당한다.] || ||<-4> '''{{{#1d1e23 국책은행 }}}''' || ||<-2> [[한국산업은행|{{{#fff '''한국산업은행 (1)'''}}}]] ||<-2> [[기업은행|{{{#fff '''중소기업은행 (5)'''}}}]] || ||<-4> '''{{{#1d1e23 특수은행 }}}''' || ||<-2> [[수협은행|{{{#fff '''수협은행 (1)'''}}}]] ||<-2> [[농협은행|{{{#fff '''농협은행 (6)'''}}}]] || ||<-4> '''{{{#1d1e23 시중은행 }}}''' || ||<-2> [[신한은행|{{{#fff '''신한은행 (7)'''}}}]] ||<-2> [[우리은행|{{{#fff '''우리은행 (7)'''}}}]] || ||<-2> [[SC제일은행|{{{#66cc00 '''SC제일은행 (2)'''}}}]] ||<-2> [[하나은행|{{{#fff '''하나은행 (5)'''}}}]] || ||<-4> [[국민은행|{{{#fff '''국민은행 (6)'''}}}]] || ||<-4> '''{{{#1d1e23 지방은행 }}}''' || ||<-2> [[광주은행|{{{#fff '''광주은행 (1)'''}}}]] ||<-2> [[전북은행|{{{#4169e1 '''전북은행 (2)'''}}}]] || ||<-4> '''{{{#fff 제2금융권(상호금융)}}}'''[*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 ||<-2> [[농협|{{{#fcaf16 '''남인천농협 (9)'''}}}]] ||<-2> [[농협|{{{#fcaf16 '''인천축산농협 (1)'''}}}]] || ||<-4> '''{{{#fff 수산업협동조합 }}}''' || ||<-2> [[수협|{{{#00a5e3 '''인천수협 (5)'''}}}]] ||<-2> [[수협|{{{#00a5e3 '''경인북부수협 (1)'''}}}]] || ||<-4> '''{{{#fff 새마을금고 }}}''' || || [[새마을금고|{{{#afeeee '''연수새마을금고 (5) '''}}}]] || [[새마을금고|{{{#afeeee '''송도새마을금고 (2) '''}}}]] || [[새마을금고|{{{#afeeee '''관교문학동새마을금고 (1) '''}}}]] || [[새마을금고|{{{#afeeee '''엠코테크놀로지코리아새마을금고 (1) '''}}}]] || ||<-4> '''{{{#fff 신용협동조합 }}}''' || ||<-2> [[신협|{{{#ffa500 '''인천송도신용협동조합 (4)'''}}}]] ||<-2> [[신협|{{{#ffa500 '''휴니드신용협동조합 (1)'''}}}]] || == 관광 == * 원인재 [[파일:원인재.jpg]] [[인천 이씨]] 중시조인 이허겸의 사당 겸 묘명인 원인재이다. 원래는 사당만 원인재에 해당되었고 연수구 아파트단지 한복판에 있었으나, 아파트 공사로 인해 현재의 위치인 이허겸의 묘명 근처로 옮겨왔다.[* 그래서 아파트단지 한복판에 있는 연수구청의 신 주소가 [[원인재로]]이다] 원인재에선 연수구 문화인사들이 주최하는 문화행사를 종종 한다. 이 이름을 딴 지하철역인 [[원인재역]]에서 멀지 않은 곳에 있기때문에 타 지역에서도 비교적 쉽게 찾아갈 수 있다. * 능허대 [[파일:external/commondatastorage.googleapis.com/10082029.jpg]] 능허대는 백제가 중국 동진과 통교를 시작한 근초고왕 27년부터 옹진으로 도읍을 옮긴 개로왕 21년(475년)까지 사신들이 중국을 왕래할 때 출발했던 나루터가 있던 곳이다. 지금은 바다 주변이 모두 매립되어 과거에 나루터였다는 사실이 믿기지가 않는 공원 형태로 되어있다. 위치는 옥련동. * [[인천상륙작전]]기념관 [[파일:인천상륙작전기념관.jpg]] 옥련동 송도유원지 근처에 1984년 개관한 곳이다. 6.25 전쟁 당시 인천상륙작전을 기념하기 위해 5공 시절 전두환 전 대통령이 만든 곳이다. 높은 언덕과 함께 학생들의 현장체험학습으로 많이 찾아오는 곳이다. 다만 실제 상륙작전이 이뤄진 곳은 이 근처가 아닌, 차량으로 10분정도 거리에 있는 용현동 부근. * 인천시립박물관 [[파일:인천시립박물관.jpg]] 원래는 1946년 중구 송학동에 있었으나, 1990년 지금의 위치에 개관하였다. 위치는 송도유원지 근처. 상륙작전 기념관과도 가까운 위치에 있다. 비교적 최근인 2006년에 박물관 리모델링을 끝내고 재개관하기도 하였다. * 가천박물관 [[가천대학교]]의 재단의 부설 박물관이다. 위치는 송도유원지 근처. 앞서 나온 상륙작전 기념관과 시립박물관과도 멀지 않은 곳에 있다. 가천박물관은 한국의료생활사에 나타나는 문화사를 조명하기 위해 건립되었다고 한다. == 생활문화 == === [[연수구/교육|교육]]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연수구/교육)] [include(틀:인천광역시 연수구의 초등학교)] [include(틀:인천광역시 연수구의 중학교)] [include(틀:인천광역시 연수구의 고등학교)] [include(틀:연수구의 공공도서관)] === 치안 === [[인천연수경찰서]]가 연수구 전체의 치안을 담당하고 있으며, [[인천송도경찰서]]가 개서 추진 중이다. [[https://mois.go.kr/pdf/safety-grade(table%2C%202015-2018).pdf|행정안전부의 최근 4년간 지역안전지수]]에 따르면, 가장 최근인 2018년에 범죄 분야에서 1등급을 받아, 인천 치안 1위 타이틀을 받았다. 예전부터 [[계양구]]와 함께 1등급과 2등급을 받던 곳이어서 치안이 나쁜 수준은 아니었기에, 2등급을 받은 [[계양구]]와 함께 인천에서 치안이 좋은 편에 속한다. === 의료기관 === 1차의료기관인 의원급들은 신도시이니만큼 충분히 많이 있다. 종합병원은 [[나사렛국제병원]](252병상)과 인천적십자병원(122병상)이 있으며, 나사렛국제병원은 상가 블록의 한 건물로 있다보니 다소 뜬금없다는 느낌이 든다. 그 외 필요한 상위 의료서비스는 [[길병원]]이나 [[인하대병원]]으로 나가는 편. == [[연수구/정치|정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연수구/정치)] == 하위 행정구역 == || [[파일:연수행정1.jpg|width=100%]] || [[파일:연수법정.jpg|width=100%]] || || 연수구의 '''행정동''' || 연수구의 '''법정동''' || 연수구는 법정동과 하위 행정동의 명칭이 일치한다. === [[옥련동|옥련1동, 옥련2동]] - 갑 === 연수구 내에서 구시가지에 해당하는 지역이자 원래 인천에서 송도라고 불리던 지역이다. [[송도유원지]]로 유명했다. * '''옥련1동''': 인구는 '''17,637명'''.[*P 2024년 3월 주민등록인구통계] 송도로터리 앞의 거대한 중고차단지가 옛 송도유원지에 해당하는 지역이다. 과거 이 일대를 능허대라고도 불렀다. [[인천시립박물관]], [[인천상륙작전]]기념관이 있다. 학교는 능허대초, 송도초, 축현초, [[옥련중]]이 있다. * '''옥련2동''': 인구는 '''19,221명'''.[*P] 옥련시장을 낀 아파트단지이다. [[수인분당선]] [[송도역]]이 있으나 접근성이 썩 편하지는 않다. 학교는 옥련초, 인송중, [[송도고]], [[옥련여자고등학교|옥련여고]], [[인천해양과학고등학교|인천해양과학고]]가 있다. === [[연수동(연수구)|연수1동, 연수2동, 연수3동]] - 갑 === [[연수지구]]를 구성하는 중심지역이다. * '''연수1동''': 인구는 '''17,172명'''.[*P] 수리봉사거리를 중심으로 한 주변 지역이 해당하며, 아파트단지와 저층 주거지역이 혼재되어 있다. 학교는 문남초, 함박초, [[인천생활과학고등학교|인천생활과학고]]가 있다. * '''연수2동''': 인구는 '''19,795명'''.[*P] [[원인재역]]의 서쪽에 해당하며 [[연수역]] 상권의 한 부분을 차지한다. [[인천연수경찰서]]가 있다. 학교는 연화초, [[연화중학교|연화중]], [[연수고]]가 있다. * '''연수3동''': 인구는 '''15,024명'''.[*P] 대학공원을 둘러싼 주변 아파트단지이다. [[인천광역시교육청연수도서관]], 문화공원, 인천적십자병원, [[가천대학교]] 메디컬캠퍼스가 있다. 학교는 연수초, 중앙초, [[연수중학교|연수중]], [[인천중]], [[인천여고]]와 특수학교인 인천연일학교가 있다. === [[동춘동|동춘1동, 동춘2동, 동춘3동]] - 갑 === [[연수지구]]를 구성하는 또 다른 지역이다. * '''동춘1동''': 인구는 '''24,345명'''.[*P] 송도유원지 서쪽에서부터 먼우금사거리까지 이어지는 상당히 넓은 지역이며 [[미추홀대로]]를 가운데 두고 동네가 구분되어 있다. 송도유원지 쪽에는 라마다호텔을 중심으로 음식점들이 많이 있고 송도테마파크가 들어설 예정이다. [[미추홀대로]] 동쪽은 전형적인 연수지구 아파트단지이다. 학교는 동춘초, 박문초, 새봄초, [[연수여고]], [[인천대건고]]가 있다. * '''동춘2동''': 인구는 '''17,324명'''.[*P] 속칭 한화마트 상권이 형성되어 있으며 연수구 최대 병원인 나사렛국제병원이 있다. 인천환경공단이 있다. 학교는 동막초, 서면초, [[인천여자중학교|인천여중]], [[인천뷰티예술고등학교|인천뷰티예술고]]가 있다. * '''동춘3동''': 인구는 '''17,842명'''.[*P] [[연수구청]], 연수구의회가 있는 연수구 지역정치/행정의 중심지이며 주변을 둘러싼 지역은 주택이나 빌라가 없이 몽땅 아파트단지이다. [[동춘역]] 건너편 [[스퀘어원]]과 [[이마트 연수점]]도 있어 상권도 제법 크게 형성되어 있다. 학교는 연성초, 청량초, [[연성중학교(인천)|연성중]], [[청량중학교(인천)|청량중]]이 있다. === [[선학동]] - 갑 === 법정동과 행정동이 일치한다. 인구는 '''17,907명'''.[*P] 연수구 최북단이며 남동구, 미추홀구와 접한다. 다만 주거지는 [[선학역]]사거리를 중심으로 연수동과 바로 붙어서 형성되어 있다. [[인천아시안게임]] 선학경기장이 있다. 학교는 선학초, [[선학중]]이 있다. === [[청학동(연수구)|청학동]] - 갑 === 법정동과 행정동이 일치한다. 인구는 '''22,954명'''.[*P] 연수지구에 해당하는 지역은 [[비류대로]] 남쪽이며, 북쪽은 자연마을로 형성된 자역으로 연립주택과 저층 아파트가 있다. 동쪽 끝 [[연수역]]과 접해있는 지역은 연수역 상권의 한 부분을 차지하며 [[롯데마트 연수점]], [[CGV 연수역]]이 있다. 연수구보건소, LF팩토리아울렛이 있다. 문학터널을 통해 미추홀구 및 [[제2경인고속도로]] [[문학IC]]로 연결된다. 학교는 청학초, [[청학중학교|청학중]], [[함박중학교|함박중]], [[인천바이오과학고등학교|인천바이오과학고]]가 있다. === [[송도동(연수구)|송도1동, 송도2동, 송도3동, 송도4동, 송도5동]] - 을 === [[송도국제도시]]에 해당하는 지역. 덕분에 연수구 육지부의 면적이 두 배 이상 늘어났다. * '''송도1동''': 인구는 '''38,125명'''.[*P] 송도국제도시 중 가장 먼저 개발된 지역으로 [[해양경찰청]], [[롯데마트 송도점]], 송도타임스페이스, 송도컨벤시아, 쉐라톤 그랜드 인천 호텔, [[인천대학교]] 송도캠퍼스, [[포스코타워-송도]], [[셀트리온]] 본사 및 공장이 있다. 송도 앞바다에 [[인천신항]], [[한국가스공사]] LNG터미널이 있는 간척섬이 있는데, 3동과 도로로 연결되어 있지만 행정적으로는 1동에 속한다. 학교는 먼우금초, 신송초, 해송초, [[신송중]], [[해송중]], [[신송고]], [[인천해송고]]가 있다. * '''송도2동''': 인구는 '''36,839명'''.[*P] [[송도 센트럴파크]] 북쪽으로 아파트단지들이 잔뜩 있는 송도의 핵심 주거지역. [[경원재 앰배서더 인천]] 등 호텔도 몇 군데 있다. 송도달빛축제공원까지 송도2동에 속한다. 학교는 명선초, 신정초, [[인천연송초등학교]], [[인천신정중|신정중]], [[인천연송고등학교|인천연송고]], [[인천포스코고]]과 외국인학교인 채드윈송도국제학교가 있다. * '''송도3동''': 인구는 '''48,597명'''[*P]으로 연수구 행정동 중 인구가 가장 많다. 다만 1동과는 달리 아파트단지가 다소 띄엄띄엄 있어 1동처럼 밀집되어 있는 느낌은 덜한 편. [[송도국제대로]] 동쪽이 모두 해당되며 [[현대프리미엄아울렛 송도점]], 트리플스트리트와 같은 상업시설, [[인천가톨릭대학교]] 송도국제캠퍼스, [[연세대학교]] 국제캠퍼스와 같은 교육시설, [[삼성바이오로직스]] 본사 및 공장을 비롯한 산업시설, [[송도소방서]] 등이 있다. 학교는 송명초, 송원초, 첨단초, [[능허대중]], [[박문중]], [[박문여고]]가 있다. * '''송도4동''': 인구는 '''34,735명'''.[*P] [[인천대입구역]]을 중심으로 서쪽에 해당한다. [[코스트코 송도점]], [[홀리데이 인]] 인천송도가 있으며 송도워터프론트호수 서쪽으로 아파트단지가 올라가고 있기 때문에 인구가 계속 늘 것으로 보인다. 학교는 [[예송중]]과 [[인천과학예술영재학교]]가 있다. * '''송도5동''': 인구는 '''46,308명'''.[*P] [[인천대교]] 북쪽에 해당하며 [[인천항국제여객터미널]]과 크루즈터미널이 있다. 아직은 공사판이지만 빠르게 인구가 늘어나는 중. 학교는 인천미송초, 인천송담초, 인천은송초, [[인천미송중학교|인천미송중]]이 있다. == 출신 인물 == * [[BewhY]] * [[C JAMM]] * [[PATEKO]] * [[VINXEN]] * [[강기영]] * [[권희준]] * [[김보섭]] * [[김진야]] * [[리아(ITZY)]] * [[문지효]] * [[민호]] * [[박민호]] * [[백승건]] * [[션(Billlie)]] * [[태영(CRAVITY)]] * [[영훈]] * [[오세훈(축구선수)]] * [[엄지(VIVIZ)]] * [[이찬(다크비)]] * [[정승환(가수)]] * [[정우영(1999년생 축구선수)]] * [[코드 쿤스트]] * [[현재(더보이즈)]] * [[이은해]] : [[가평 계곡 살인 사건]] 범인. 중학교 이후로는 인천 연수구 거주가 아닐수는 있다. == [[사건사고]] == 2019년 5월 A(50·5급)과장 등 [[미추홀구]] 소속 5∼7급 공무원 4명이 B(51)팀장 등 [[인천도시공사]] 직원 3명과 함께 연수구 한 [[유흥주점]]에서 술을 마신 뒤 인근 [[모텔]]에서 [[러시아인]] 여성과 [[성매매]]를 하다 경찰에 적발됐다. [[https://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81&aid=0003000204|#기사]] * [[인천 공무원 갑질 사건]] * [[동춘동 초등학생 유괴 살인사건]] * [[인천 중학생 추락사 사건]] * [[인천 연수구 아내 살인사건]] * [[인천 11세 아동 학대 사건]] * [[인천 어린이집 폭행 사건]] * [[송도국제도시 여중생 집단 성폭행 사건]] == 관련 문서 == * [[송도국제도시]] * [[스퀘어원]] * [[송도]] * [[재외동포청]] * [[인천 도시철도 1호선]] * [[연수동(연수구)|연수동]] 함박마을 [[외국인 마을]] [[분류:연수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