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그람 양성균)] ||<-2> '''{{{#fff {{{+1 연쇄상구균}}}[br]連鎖狀球菌 | Streptococcus}}}'''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연쇄상구균.jpg|width=100%]]}}} || ||<-2> {{{-2 [[전자현미경]]으로 촬영된 [[화농성연쇄상구균]]}}} || || [[학명|{{{#000 '''학명'''}}}]] || ''' ''Streptococcus'' '''[br]Rosenbach, 1884 || ||<-2> {{{#000 '''분류'''}}} || || {{{#000 '''역'''}}} ||[[세균역]] (Bacteria) || || {{{#000 '''미분류'''}}} ||그람 양성균 || || [[생물 분류 단계#s-3.3|{{{#000 '''문'''}}}]] ||[[후벽균문]](Firmicutes) || || [[생물 분류 단계#s-3.4|{{{#000 '''강'''}}}]] ||간균강(Bacilli) || || [[생물 분류 단계#s-3.5|{{{#000 '''목'''}}}]] ||유산균목(Lactobacillales) || || [[생물 분류 단계#s-3.6|{{{#000 '''과'''}}}]] ||연쇄상구균과(Streptococcaceae) || || [[생물 분류 단계#s-3.7|{{{#000 '''속'''}}}]] ||'''연쇄상구균속(''Streptococcus'')''' || [목차] [clearfix] == 개요 == 연쇄상구균([[連]][[鎖]][[狀]][[球]][[菌]])은 Streptococcus속의 세균을 지칭한다. 순우리말로 순화해서 '''사슬알균'''이라 하기도 한다. 군집을 형성한 모양이 사슬 모양이기 때문. 배양용 [[혈액한천배지]](blood agar)의 적혈구를 파괴하는, 또는 용혈시키는 모습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 특징 == 연쇄상구균속에 속하는 세균들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특징들은 다음과 같다. * 이름 그대로 공들이 [[사슬]] 모양으로 길게 이어진 모양을 하고 있다. * [[그람 양성]]이며, 조건부 혐기성 세균(facultative anaerobes)으로서 산소 유무에 따라 대사 방법을 다르게 해 생존할 수 있다. * 배양하기 까다로운 편에 속하는데, 요구하는 영양분이 많다. 이를 위해 혈액 배지 등에서 배양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 조건부 혐기성 세균이므로 산소가 부족한 환경에서는 산소를 이용한 [[세포 호흡]] 대신 공급되는 [[탄수화물]]을 [[발효]]하여 [[젖산]]을 생산한다. * [[이산화 탄소]]가 존재하는 곳에서 잘 자라는 호이산화 탄소성(capnophilic)이다. * [[카탈레이스]](catalase) 음성이다. 이 성질이 중요한 이유는 사람에게 잘 감염되는 다른 그람 양성균인 [[포도상구균]] 종류의 세균들은 카탈레이스 양성이므로, 카탈레이스를 기준으로 균들을 구분할 수 있기 때문이다. == 구분 방법 == 연쇄상구균속에 속하는 균들을 구분하는 방법에는 [[세포벽]]의 [[항원]]을 이용하는 혈청학적인(serologic) 방법, 혈액 배지 안의 [[적혈구]]를 [[용혈]]시키는 방법에 따라 구분하는 방법, 생화학적인 방법 등이 있다. 밑의 구분은 용혈 패턴에 따른 구분이다. 혈청학적인 분류 방법은 [[레베카 란스필드]](Rebecca Lancefield)에 의해 제안되어 흔히 [[란스필드 분류]](Lancefield grouping)라고 불린다. 사실 이 분류법이 제안된 시기와 지금의 [[계통분류학]]이 달라지는 바람에 지금의 기준에서 란스필드 분류에는 [[유산구균]](lactococcus)이나 [[장내구균]](enterococcus)이 연쇄상구균과 함께 혼재해 있다. 따라서 계통분류의 의미에서는 그 의미가 많이 퇴색되었지만 여전히 여러 미생물 테스트에서 사용되고 있다. 특정 연쇄상구균을 구분할 때, 용혈을 이용한 방법과 이 혈청학적 구분법을 같이 사용하면 빠르게 어떤 균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가령 화농성연쇄상구균의 경우 먼저 베타 용혈성인 걸 확인한 후 혈청형을 구분하면 더 빠르게 균을 동정할 수 있다. 생화학적인 분류 방법은 현대의 [[계통분류학]]을 일컫는 것으로, 학명을 붙였다는 것 자체가 이 분류 기준에 기반을 둔 것이다. == 용혈 양상에 따른 구분 == === 알파 용혈성 연쇄상구균 === α-hemolytic streptococci 부분 용혈(partial hemolysis)이라고도 하며, 적혈구가 용해되다가 말기 때문에 균주가 초록색을 띈다. ==== [[폐렴구균]]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폐렴구균)] 폐렴알균, Streptococcus pneumoniae 대표적인 [[폐렴]]균. ==== 녹색연쇄상구균 ==== Viridans streptococci. 이전에는 Streptococcus viridans(녹색렌서구균)와 같이 불리기도 했다. 알파 용혈성 연쇄상구균의 한 집단으로, 뮤탄스균(''Streptococcus mutans''), ''S.mitis'' 등이 속한다. 'Viridans'라는 것은 알파 용혈성 균에서 나타나는 녹색을 의미한다. 구강에 서식하며 각종 치과 질환을 일으키는 원인균이며, 상처를 통해 혈류로 유입, [[심내막염]](endocarditis) 등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 ''Streptococcus anginosus'' 그룹 - viridans streptococci 그룹의 균들 중 가장 독성이 강하며, 란스필드 분류에서는 다양한 [[항원]]을 가지는 탓에 A, C, F, G군 등에 퍼져 있다. F군에 속하는 균은 모두 S. anginosus 그룹에 속한다. 베타 용혈성을 띄기도 하나 대개 그 정도가 약하다. 이들의 가장 큰 특징은 자기들끼리 뭉쳐서 [[농양]]을 만드는 경향이 강하다는 것이다. 소화계의 [[정상세균총]]으로 분포하기도 한다. === 베타 용혈성 연쇄상구균 === β-hemolytic streptococci 완전 용혈(complete hemolysis)이라고도 한다. 본래 불투명하던 혈액한천배지가, 베타 용혈성 균들이 있는 곳은 균들이 적혈구를 녹이므로 빛을 비췄을 때 투명하게 보인다. ==== [[화농성연쇄상구균]]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화농성연쇄상구균)] 고름사슬알균, ''Streptococcus pyogenes'' [[고름]]을 만든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다양한 질병의 원인이 된다. [[괴사성근막염]]을 일으켜 [[근막]]을 파괴한다. 치료하지 않고 방치할 시 [[류마티스열]]이 발생해 콩팥, 심장에 해를 끼친다. [[성홍열]]이 일어나 분홍색 발진이 생기고 작은 혈관들이 손상된 모습을 관찰할 수 있다. 패혈성 인두염으로 고열, 기침이 발생하며 [[편도선]]과 [[림프절]]이 부풀어오른다. ==== [[스트렙토코커스 아갈락티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스트렙토코커스 아갈락티아)] ''Streptococcus agalactiae'' 신생아에서의 감염으로 인한 치명적인 질환이나, 임산부의 유방염의 원인이 된다. 그룹 B 연쇄상구균이다. ==== [[스트렙토코커스 디스갈락티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스트렙토코커스 디스갈락티아)] 그룹 C, G 연쇄상구균으로, 화농성연쇄상구균과 비슷한 특징을 가진다. === 감마 용혈성 연쇄상구균 === γ-hemolytic streptococci 혈액 배지에서 용혈이 일어나지 않는 경우이다. 용혈을 잘 일으키지 않는 일부 균들은 알파, 베타와 감마 중 하나로 딱 떨어지는 용혈 패턴을 보이지 않기도 한다. [[분류:연쇄상구균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