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세종특별자치시의 읍면동)] ||<-2> '''[[세종특별자치시|{{{#000000,#dddddd 세종특별자치시}}}]]의 [[면(행정구역)|{{{#000000,#dddddd 면}}}]]'''[br]'''{{{+1 연기면}}}'''[br]燕岐面 | Yeongi-myeon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세종특별자치시 || || '''행정표준코드''' || 5690067 || || '''관할 법정리''' || 4리 || || '''하위 행정구역''' || 7행정리 32반 || || '''면적''' || 12.08㎢ || || '''인구''' || 2,567명[* 2023년 6월 주민등록인구] || || '''인구밀도''' || 212.50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국회의원 | 세종특별자치시 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강준현]] ,,(초선),, || ||<-2> '''세종특별자치시의원 | 제4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윤지성 ,,(초선),, ||}}}}}}}}} || ||<|2>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당산로 81 (한별동 317-31) || || [[https://www.sejong.go.kr/yeongi/index.do|연기면사무소]] || [목차][clearfix] == 개요 == [[세종특별자치시]]의 [[면(행정구역)|면]]. 연기면이라는 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일제강점기]] 이전까지 [[연기군]]의 중심지였다. == 역사 == * [[조선시대]]: [[연기군]] 군내면(郡內面) 7개 리(보통리 수산리 눌왕리 교촌리 / 봉암리 와촌리 부동리) * 1911년: 연기군청 북면 조치원리 이전[* 조치원 일대가 조치원리/죽내리로 별개의 조치원면을 형성한 것은 1917년이었다.] * 1914년 [[부군면 통폐합]]: 남부 [[금강]] 일대의 공주군 지역까지 포함되면서 남부 4개리(보통리, 수산리, 눌왕리, 교촌리)는 구 [[공주시|공주군]] 장기면 8개리(월산리, 고정리, 갈운리, 방축리, 송담리, 종촌리, 양화리, 진의리)와, 북부 3개리(봉암리, 와촌리, 부동는 서면 6개리(기룡리, 쌍류리, 신대리, 국촌리, 용암리, 청라리에 편입됨. 남면 12개리(산리, 고정리, 갈운리, 방축리, 송담리, 종촌리, 양화리, 진의리 / 보통리, 수산리, 눌왕리, 교촌리→연기리) / 서면 9개리(기룡리, 쌍류리, 신대리, 국촌리, 용암리, 청라리 / 봉암리, 와촌리, 부동리) * 1955년: 면사무소 연기리 → 종촌리 (현 세종 [[도담동]]/[[어진동]] 일대) 이전 * 1973년: [[공주군]] 장기면 2개리(나성리, 송원리) 편입 * 2004년: [[행정중심복합도시]] 개발지역 선정 * 2008년: 면사무소 종촌리→연기리 이전 * 2012년 [[세종특별자치시]] 출범: 남부 10개리(월산리, 고정리, 갈운리, 방축리, 송담리, 종촌리, 양화리, 진의리 / 나성리, 송원리) 폐지. 5개리(한별리, 누리리, 산울리, 해밀리, 세종리) 신설. 종촌리 / 나성리는 [[종촌동]], [[나성동]]으로 명칭이 계승되었다. 폐지된 리와 오늘날의 동 소재지는 [[http://www.wikiwand.com/ko/%EC%84%B8%EC%A2%85%ED%8A%B9%EB%B3%84%EC%9E%90%EC%B9%98%EC%8B%9C%EC%9D%98_%ED%96%89%EC%A0%95_%EA%B5%AC%EC%97%AD | 출처 문서]] 참조. * 2020년 7월: 해밀리, 산울리가 동으로 전환. * 2022년 7월: 한별리, 누리리, 세종리가 동으로 전환. * 추후 [[연서면]] 3개리[* 봉암리, 와촌리, 부동리로 1914년 이전에 연기군 군내면에 속했었다.] 편입 예정 출처: 연기면사무소 누리집 1905년 [[경부선]]이 개통하여 [[조치원역]]이 신설되었고 1911년 연기군청이 [[조치원읍|북면 조치원리]]로 이동하기 전까지 연기군의 중심지였으며, 당시 명칭은 군내면(郡內面)이었다. 1914년 부군면 통폐합 시행으로 연기군 영역이 남쪽으로 확장되면서 [[공주시|공주군]]의 일부(명탄면, 양아리면)와 합병되어 남면으로 개칭되었다. 그러나 이후 남면사무소는 종촌리로 이전하였고, 면소재지 주변에 [[1번 국도]]와 [[36번 국도]]가 분기하는 교통의 요충지로 발전하여 소규모 시가지가 형성되었다. 특이하게도 당시 남면사무소가 위치했던 종촌리 일대가 [[행정중심복합도시]] 개발지역에 포함되면서 면사무소가 연기리로 다시 이전하여 1914년 이전의 군내면 중심지와 정확히 일치하게 되었다.[* 물론 이들 지역도 일부가 행정중심복합도시 구역에 포함된 관계로 100% 일치하지 않는다.] 사실 [[연서면]] 봉암리와 연기면 보통리/연기리는 중간에 연기천을 두고 불과 1km 정도 떨어져 있을 뿐이라서 거의 연담되어 있다. 2020년 및 2022년에 2회에 걸쳐 연기면 중 행정중심복합도시 개발 구역 내에 포함된 지역이 세종시 동 지역으로 전환되면서 연기면의 관할구역이 대거 축소되었다. == 관할 리 == 수산리, 눌왕리는 서쪽 산지로 들어간다. === 연기리 === 본래 교촌리였지만 1914년 연기리로 리 명칭을 변경했다. 평지에 있으며 농경지가 넓게 조성되어 있고, 마을 동쪽으로 미호강이 흐른다. 연남초등학교가 소재해 있으며 이 곳이 사실상 연기면의 중심지이다. 연기[[향교]]가 있으며, 남면사무소가 방축리에 있었던 시절에도 현 시가지는 존재했으니 그 역사성을 짐작할 수 있다. 하지만 봉암과는 달리 이 곳에 시외버스가 정차하진 않는다. 연기면사무소가 있는 한별동으로부터 400m 떨어져있다. === 보통리 === 시외버스가 [[1번 국도]] 상에서 정차하는 마을로, 예전에 통합병원이 있었던 곳이라 그런지 충남도내 시외버스터미널에서는 통합병원 정류장으로 표기하지만 실제 정차 정류장은 보통2리, 방공학교이다. 가운데 언덕진 성산(150m)을 통해 동서로 마을이 분리된 형태를 하고 있다. 산 동쪽 [[미호강]]변은 보통1리, 산 서쪽은 보통2리이다. 보통2리는 연기리와 거의 이어져있다. 보통1리에 보통1, 2, 3길이 지나고 보통2리에는 잣띠길이 지난다. 이를 통해서도 짐작할 수 있지만 동리 통폐합에 의해 합쳐진 리로, 본래 동쪽 보통1리만이 보통리였고 서쪽은 잣띠라고 별개의 동네였다.[[https://www.sejong.go.kr/dong/sub05_02_03_02.do|#]] === 눌왕리 === 수왕초등학교가 이 곳에 소재해 있다. === 수산리 === [[고속화도로]]인 [[정안세종로]]([[43번 국도]])가 서쪽 수산리 너머 장군면으로 이어지지만 일반 도로는 수산리에서 모두 막혀있다. 수산리에서도 수산교차로를 통해 정안세종로에 진입할 수 있다. 접속 도로는 조뱅이길. == [[공동주택/목록/세종특별자치시|공동주택]] == [[공동주택/목록/세종특별자치시]] 참조 == 교통 == === 버스 === ||<-3> '''연기면을 경유하는 버스 목록''' || || '''[[세종 버스 430|{{{#ffffff 430}}}]]''' ||[[꽃동네대학교]] - [[세종고속시외버스터미널]]||<|4> || || '''[[세종 버스 550|{{{#ffffff 550}}}]]''' ||<|2>[[조치원역]] - 산성동시내버스정류장|| || '''[[세종 버스 551|{{{#ffffff 551}}}]]''' || || '''[[세종 버스 601|{{{#ffffff 601}}}]]''' ||[[조치원역]] - 수루배마을8,9단지|| || '''[[세종 버스 991|{{{#ffffff 991}}}]]''' ||대곡리 - 국책연구단지|| 연기면사무소 경유 || || '''[[세종 버스 16|{{{#ffffff 16}}}]]''' ||<|2>[[조치원역]] - 은하수공원||<|2> || || '''[[세종 버스 17|{{{#ffffff 17}}}]]''' || || [[공주 버스 500|{{{#ffffff 500}}}]] ||<|2>[[조치원역]] - 산성동시내버스정류장||<|2>[[공주시 시내버스]] (환승할인 X)|| || [[공주 버스 502|{{{#ffffff 502}}}]] || 그 외에 {{{#76a732 ●}}}[[세종 버스 61|61번]], {{{#005bac ●}}}[[세종 버스 340|340번]], {{{#a1598b ●}}}[[세종 버스 1000|1000번]]도 연기면을 경유하나 관내 정류장은 없다. === 철도 === [[철도]]를 이용하려면, [[세종특별자치시|세종시]] [[조치원읍]]에 위치한 [[경부선]], [[충북선]] [[조치원역]]을 이용할 수 있다. 단, 조치원역은 일반철도역이기 때문에 만약 고속철도를 이용하고 싶으면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에 위치한 [[경부고속선]], [[호남고속선]] [[오송역]]을 이용할 수 있다. 오송역에서는 고속철도인 [[KTX]]와 [[SRT]]를[* 충북선 [[무궁화호]]가 정차하는 역이다.], 조치원역에서는 일반철도인 [[무궁화호]]와 [[ITX-새마을|ITX-새마을호]]를 이용할 수 있다. == 교육 == 관내에 중, 고등학교가 한 곳도 없다. 중, 고등학교로 진학하려면 동지역 및 타 읍면지역으로 가야한다. === 초등학교 === * 수왕초등학교 * 연남초등학교 == 주요시설 == * 연기향교 * 내운사 [[분류:세종특별자치시의 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