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other1=현재 행정구역,rd1=세종특별자치시)] [Include(틀:대한민국의 폐지된 행정구역)] [include(틀:조선의 행정구역)] ||<-4> '''[[충청남도|{{{#000000,#dddddd 충청남도}}}]]의 [[군(행정구역)/대한민국|{{{#000000,#dddddd 폐지된 자치군}}}]]'''[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wiki style="margin: -5px 0;" [[파일:연기군 CI.svg|height=65]]}}}||{{{#!wiki style="margin: -5px 0;" '''{{{+1 연기군}}}'''[br]燕岐郡[br]{{{-1 Yeongi County}}}}}}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세종시, 너비=100%, 높이=100%)]}}} || ||<-2> '''군청 소재지''' ||<-2> [[조치원읍]] 군청로 93 || ||<-2> '''광역자치단체''' ||<-2> [[충청남도]] || ||<-2> '''하위 행정구역''' ||<-2> 1[[읍(행정구역)|읍]] 7[[면(행정구역)|면]] || ||<-2> '''면적''' ||<-2> 361.4㎢ || ||<-2> '''인구''' ||<-2> 88,256명 [* 2012년 6월 기준] || ||<-2> '''인구밀도''' ||<-2> 244.2명/㎢ || ||<|3> '''상징''' || '''군화''' ||<-2> [[복사나무|복숭아꽃]] || || '''군목''' ||<-2> [[향나무]] || || '''군조''' ||<-2> [[제비]] || ||<-2> '''[[지역번호|{{{#fff 지역번호}}}]]''' ||<-2> '''041'''[* 2000년 7월 1일까지는 0415였다.] || ||<-2> '''존속기간''' ||<-2> [[1895년]] [[6월 23일]] ~ [[2012년]] [[6월 30일]] || [목차] [clearfix] == 개요 == 燕岐郡 / Yeongi-gun(County) [[http://web.archive.org/web/20060710173211fw_/http://www.yeongi.go.kr/|홈페이지 아카이브]][* 이 아카이브는 [[2006년]] [[1월 11일]] 당시 충청남도 연기군 홈페이지이다.] [[충청남도]]에 있었던 [[군(행정구역)/대한민국|군]]으로 2012년 7월 1일부터 [[세종특별자치시]]가 출범하면서 폐지되었다. 북으로는 [[천안시]], 동으로는 [[충청북도]] [[청원군]][* [[2014년]] 7월 1일 [[청주시(통합 이전)|청주시]]와 [[청주·청원 통합|통합]]], 서로는 [[공주시]], 남으로는 [[대전광역시]]에 접해 있었다. [[2010년]] 기준 인구는 8만 2천여 명. 하위 행정구역은 1읍[* [[조치원읍]]] 7면[* 동면, 서면, 남면, [[금남면(세종특별자치시)|금남면]], [[전동면]], [[전의면]], [[소정면]]]이다. 지역의 주요 산업은 농업으로, 매년 8월에는 연기군의 [[특산물]]인 [[복숭아]]를 주제로 한 [[세종 조치원 복숭아 축제|조치원 복숭아 축제]][* 세종특별자치시가 출범한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가 열렸다. == 역사 == 중심지인 [[조치원읍]]이 유독 발달해 있고, [[철도역]]도 연기역은 없고 [[조치원역]]이 있다 보니, 연기군 대신 조치원군, 심지어는 조치원시로 오해받는 경우도 종종 있었다. 연기보다 조치원의 인지도가 현저히 높았던 실정이다.[* 그래서 인근지역 출신이 아닌 이상 '연기'라면 잘 모르는 경우가 태반이었다. 2012년에 세종으로 바뀌고 나서야 세상에 제대로 알려지게 된다.] [[백제]] 때는 적현성(赤峴城), 두잉지현(豆仍只縣)이었다. [[통일신라]] 때 연기현이 되었다. [[고려]] 때 에 청주목에 소속되었다가 [[조선]] 때 연기현이 되었다.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전국이 [[23부제]] 행정구역으로 개편되면서 연기군이 등장했다. 원래 역사적으로 연기군의 중심지(읍치)는 남면[* 현 [[연기면]]] 연기리였고, 조치원은 원래 연기군의 변두리 지역이었다. 하지만 [[구한말]] [[경부선]]이 연기리 대신 조치원을 경유하게 되면서 이곳은 교통의 중심지로 발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1911년]] 연기군청이 조치원으로 이전하고, [[1931년]] 조치원면이 읍으로 승격되면서 결국 군의 중심이 조치원으로 바뀌게 된 것이다. 연기군은 구성한 읍면들이 [[1914년]] [[부군면 통폐합]] 이전에는 원래 연기군, 전의군 관할이었다가, [[1906년]] [[월경지]]·[[땅거스러미]] 정리와 [[1914년]] [[부군면 통폐합]] 이렇게 두 번에 걸쳐 연기군으로 통합되었다. 즉, 오리지날 연기와 전의는 작은 고을이었고, 인근의 공주군과 청주군은 땅이 매우 넓은 지역이었다. [[조선시대]]에는 속현을 독립시킬 때 어디는 되고 어디는 안 되던 영향으로 지방 중심 고을이 주위 고을보다 더 넓은 땅을 관할하던 경우가 많았다. [[대한제국]] 시절에는 전의군과 연기군이 나뉘어 있었고, 당시에 워낙 공주군과 청주군이 너무 커서 문제점이 부각되지 않았지만, [[1914년]] 일제가 [[부군면 통폐합]]으로 전의군과 연기군에 대한 연구나 논의도 없이, 일방적으로 연기군으로 통합했는데, 당시에는 공주군과 청주군이 너무 커서 공주와 청주에 사이에 있는 연기와 전의를 통합하는 것 자체는 나름대로 합당한 것이였으나, 이후 연기군의 사정을 볼 때, 생활권의 불일치로 인해, 행정구역 관련으로 문제를 만들었으며, 오히려 개악을 해버린 결과가 되었다. 그 때문에 연기군은 행정구역이라고 하기에는 동서로 좁고, 남북이 긴 편이라 행정 역량이 크게 제한되었고, 군의 중심 역할을 해야 할 조치원읍이 군 중심에 있어도 경계면에 치우쳐 있으며, 연기군을 다른 군(공주나 청주)들이 너무 커서, 비슷한 면적·인구로 맞추기 위해 일제가 궁여지책으로 전의와 연기, 그리고 공주와 청주의 월경지·땅거스러미 면들을 연기군으로 부실하게 합쳐 준 감이 없지 않다. 일제강점기 시절 공주에서 대전으로 충청남도청이 이전하고[* 2013년 충남 내포신도시 이전], 광복 이후 공주와 청주보다 천안[* 1963년 시 승격]과 대전[* 1989년 직할시(현 광역시) 승격]이 훨씬 커지게 되었다. 당시 연기군 자체가 동서로 좁고 남북으로 넓은 관계로 인해 주변 지역에 비해 행정 역량이 집중될 수가 없었고, 그리고 조치원읍은 군의 중심에 있어도 동쪽으로 바로 [[청원군]] 강외면[* 현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1995년에 심중리가 전동면으로 편입된 적이 있다.]인 까닭에 강외면에 있는 넓은 들판을 개발하려 해도 행정구역이 달라서 제대로 개발 할 수가 없는 형편이었으며, 남북으로 긴 행정구역으로 인해 여러가지 생활권 문제가 발생했다.[* 세부적으로 연기군의 중심지이자 군청 소재지인 [[조치원읍]], 동면(현 연동면), [[전동면]]은 조치원 생활권인 동시에, 청주 생활권이었고, 서면(현 연서면)과 남면(현 [[연기면]])은 조치원 생활권이면서 공주 생활권, [[소정면]]과 [[전의면]]은 천안 생활권, 마지막으로 금남면은 대전 생활권이었다.][* 그래서 실제로 생활권을 바탕으로 연기군에서는 타 지역 시내버스들을 자주 볼 수 있는 지역이며, 2012년 세종시로 승격되기 전에는 소정면과 [[전의면]]에는 [[천안시 시내버스]]가, [[조치원읍]]과 동면에는 청원군 농어촌버스(현 [[청주시 시내버스]])가, 서면과 남면에는 [[공주시 시내버스]]가, 마지막으로 금남면은 [[대전광역시 시내버스]]를 주로 볼 수 있었다.] [[2008년]] 서면(현 연서면)에 위치한 [[제62보병사단]]이 해체되었다. [[참여정부]]에서 연기군에 [[행정수도 이전]]을 계획했으며, [[이명박 정부]]에서 행정수도 이전이냐, 과학도시로의 변경이냐 논란 끝에 [[행정중심복합도시]] 조성이 확정되어 [[2012년]] [[7월 1일]] [[세종특별자치시]]로 변경되었다.[* 번암리에 있던 으뜸이 조형물은 세종민속박물관으로 옮겨졌다.] 이에 따라 '연기군'이라는 행정구역은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다만 '연기'라는 지명 자체는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으로 남게 되었다. 이후 2012년 [[세종특별자치시]]가 출범하며 [[청원군]]에서 외천리를 제외한 [[부강면|부용면(현 부강면)]] 전 지역[* 이 중 갈산리는 본래 연기군 동면에 속했다가 1995년에 청원군으로 편입되었다. 어찌보면 17년만의 환원인 셈.], [[공주시]]에서 장기면 대부분[* 이보다 앞서 1973년에 송원리, 나성리가 남면에 편입된 적이 있다.]과 의당면 일부, 반포면 일부[* 이보다 앞서 1973년에 도암리, 성덕리, 영곡리가 금남면에 편입된 적이 있다.]를 세종시로 편입했다. == 인구 == || [[파일:연기군 CI.svg|height=65]]'''[[충청남도|{{{#000 충청남도}}}]] {{{#000 연기군 인구 추이}}}''' [br] {{{-3 (1960년~2011년)}}}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c2f75 68.61%, #888 0%, #888 100%, #AAA 0%)" {{{#fff 1960년 102,91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c2f75 66.89%, #888 0%, #888 100%, #AAA 0%)" {{{#fff 1961년 100,32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c2f75 70.04%, #888 0%, #888 100%, #AAA 0%)" {{{#fff 1962년 105,06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c2f75 68.89%, #888 0%, #888 100%, #AAA 0%)" {{{#fff 1963년 103,33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c2f75 72.46%, #888 0%, #888 100%, #AAA 0%)" {{{#fff 1964년 108,68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c2f75 73.45%, #888 0%, #888 100%, #AAA 0%)" {{{#fff 1965년 110,17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c2f75 72.68%, #888 0%, #888 100%, #AAA 0%)" {{{#fff 1966년 109,01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c2f75 71.83%, #888 0%, #888 100%, #AAA 0%)" {{{#fff 1967년 107,74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c2f75 71.17%, #888 0%, #888 100%, #AAA 0%)" {{{#fff 1968년 106,75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c2f75 70.98%, #888 0%, #888 100%, #AAA 0%)" {{{#fff 1969년 106,46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c2f75 67.40%, #888 0%, #888 100%, #AAA 0%)" {{{#fff 1970년 101,09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c2f75 67.60%, #888 0%, #888 100%, #AAA 0%)" {{{#fff 1971년 101,40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c2f75 68.02%, #888 0%, #888 100%, #AAA 0%)" {{{#fff 1972년 102,030명}}}}}} || || [[1973년]] [[7월 1일]] [[공주군]] [[반포면]] 성덕리·도암리·영곡리 → '''연기군''' [[금남면(세종특별자치시)|금남면]] 편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c2f75 70.46%, #888 0%, #888 100%, #AAA 0%)" {{{#fff 1973년 105,68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c2f75 70.86%, #888 0%, #888 100%, #AAA 0%)" {{{#fff 1974년 106,28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c2f75 70.18%, #888 0%, #888 100%, #AAA 0%)" {{{#fff 1975년 105,27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c2f75 69.14%, #888 0%, #888 100%, #AAA 0%)" {{{#fff 1976년 103,70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c2f75 69.30%, #888 0%, #888 100%, #AAA 0%)" {{{#fff 1977년 103,94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c2f75 68.19%, #888 0%, #888 100%, #AAA 0%)" {{{#fff 1978년 102,28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c2f75 66.73%, #888 0%, #888 100%, #AAA 0%)" {{{#fff 1979년 100,10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c2f75 64.91%, #888 0%, #888 100%, #AAA 0%)" {{{#fff 1980년 97,37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c2f75 66.09%, #888 0%, #888 100%, #AAA 0%)" {{{#fff 1981년 99,13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c2f75 66.39%, #888 0%, #888 100%, #AAA 0%)" {{{#fff 1982년 99,58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c2f75 65.1313%, #888 0%, #888 100%, #AAA 0%)" {{{#fff 1983년 97,69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c2f75 65.128%, #888 0%, #888 100%, #AAA 0%)" {{{#fff 1984년 97,69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c2f75 61.82%, #888 0%, #888 100%, #AAA 0%)" {{{#fff 1985년 92,73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c2f75 60.79%, #888 0%, #888 100%, #AAA 0%)" {{{#fff 1986년 91,18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c2f75 60.39%, #888 0%, #888 100%, #AAA 0%)" {{{#fff 1987년 90,58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c2f75 59.10%, #888 0%, #888 100%, #AAA 0%)" {{{#fff 1988년 88,65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c2f75 58.99%, #888 0%, #888 100%, #AAA 0%)" {{{#fff 1989년 88,48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c2f75 60.26%, #888 0%, #888 100%, #AAA 0%)" {{{#fff 1990년 90,38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c2f75 60.27%, #888 0%, #888 100%, #AAA 0%)" {{{#fff 1991년 90,40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c2f75 57.15%, #888 0%, #888 100%, #AAA 0%)" {{{#fff 1992년 85,75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c2f75 55.86%, #888 0%, #888 100%, #AAA 0%)" {{{#fff 1993년 83,78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c2f75 54.97%, #888 0%, #888 100%, #AAA 0%)" {{{#fff 1994년 82,455명}}}}}} || || [[1995년]] [[1월 1일]] [[충청북도]] [[청원군]] [[오송읍|강외면]] 심중리 → '''연기군''' [[전동면]] 편입 [br] '''연기군''' [[연동면|동면]] 갈산리 → 청원군 [[부용면]] 편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c2f75 53.95%, #888 0%, #888 100%, #AAA 0%)" {{{#fff 1995년 80,93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c2f75 54.15%, #888 0%, #888 100%, #AAA 0%)" {{{#fff 1996년 81,22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c2f75 53.75%, #888 0%, #888 100%, #AAA 0%)" {{{#fff 1997년 80,62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c2f75 54.17%, #888 0%, #888 100%, #AAA 0%)" {{{#fff 1998년 81,26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c2f75 54.19%, #888 0%, #888 100%, #AAA 0%)" {{{#fff 1999년 81,28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c2f75 53.90%, #888 0%, #888 100%, #AAA 0%)" {{{#fff 2000년 80,85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c2f75 54.55%, #888 0%, #888 100%, #AAA 0%)" {{{#fff 2001년 81,82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c2f75 55.38%, #888 0%, #888 100%, #AAA 0%)" {{{#fff 2002년 83,06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c2f75 55.88%, #888 0%, #888 100%, #AAA 0%)" {{{#fff 2003년 83,81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c2f75 57.05%, #888 0%, #888 100%, #AAA 0%)" {{{#fff 2004년 85,57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c2f75 56.93%, #888 0%, #888 100%, #AAA 0%)" {{{#fff 2005년 85,39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c2f75 56.07%, #888 0%, #888 100%, #AAA 0%)" {{{#fff 2006년 84,10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c2f75 54.3%, #888 0%, #888 100%, #AAA 0%)" {{{#fff 2007년 81,45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c2f75 53.41%, #888 0%, #888 100%, #AAA 0%)" {{{#fff 2008년 80,11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c2f75 54.05%, #888 0%, #888 100%, #AAA 0%)" {{{#fff 2009년 81,06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c2f75 55.67%, #888 0%, #888 100%, #AAA 0%)" {{{#fff 2010년 83,50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c2f75 56.47%, #888 0%, #888 100%, #AAA 0%)" {{{#fff 2011년 84,71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c2f75 58.84%, #888 0%, #888 100%, #AAA 0%)" {{{#fff '''2012년 6월 88,256명'''}}}}}} || || [[2012년]] [[7월 1일]] [[충청남도]] '''연기군''' → [[세종특별자치시]] 출범으로 인해 관할구역 전역이 편입되며 폐지 || ||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1960-2012.06:연기군 통계연보}}}}}} || == 하위 행정구역 == [[파일:연기군 행정구역.jpg|width=500]] * 舊 연기현 지역 * [[조치원읍]] * [[연동면|동면]] * [[연서면|서면]] * [[연기면|남면]] * 舊 공주현 지역 * [[금남면(세종특별자치시)|금남면]] * 舊 전의군 지역 * [[전동면]] * [[전의면]] * [[소정면]] == [[세종특별자치시/정치|정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세종특별자치시/정치)] == 여담 == [[파일:attachment/연기군/yeongi-mascot.jpg]] 마스코트 으뜸이. [[특산물]]인 [[복숭아]]를 형상화했다. [[파일:external/www.doopedia.co.kr/400_1158606944810.jpg]] 舊 연기군청사. [[세종특별자치시]] 출범 이후 연기군청사는 세종시청사로 쓰이다가 2015년에 세종시청이 보람동으로 이전된 뒤 현재는 [[세종특별자치시청#s-5.2|세종특별자치시청 조치원청사]]로 사용되고 있다. [youtube(s0w7HZifX_k)] * 1993년 5월 16일 처음으로 연기군에서 전국노래자랑이 촬영된 이후 1995년 8월 6일, 2002년 5월 12일, 2004년 5월 16일, 2006년 3월 19일, 2007년 8월 5일 이렇게 총 6번 전국노래자랑 제작진이 연기군을 다녀갔다. * [[구글 지도]]에서는 폐지된 지 10년이 지난 2022년까지도 세종특별자치시를 충청남도 연기군으로 인식하였으나, 2023년 상반기부터는 정상적으로 세종특별자치시로 인식한다.[* 다만 삼성 갤럭시 갤러리에서 촬영한 장소의 위치를 확인할 경우는 아직도 연기군으로 뜬다.] [[분류:충청남도의 폐지된 행정구역]][[분류:1895년 설치된 행정구역]][[분류:2012년 폐지된 행정구역]][[분류:세종특별자치시]][[분류:향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