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external/wstatic.dcinside.com/teletobbies.jpg|width=480]] >'''[[부정부패|낡고 구린]] [[대한민국 국회의사당|여의도 동산]]에 [[정당|색깔]]이 다른 [[정치인|텔레토비 친구들]]이 살고 있어요'''.[* 오프닝에서 [[구자형]]이 날리는 해설. 초기에는 "색깔이 다른 여당, 야당 친구들이 살고 있어요."라고 직설적으로 해설했다. [[텔레토비]]에서의 원 대사는 "넓고 푸른 꼬꼬마 동산에 텔레토비 친구들이 살고 있어요." 텔레토비에서는 이 해설을 사실 구자형이 아닌 나나 역을 맡은 [[최덕희]]가 친다.] [목차] == 소개 == [[새터데이 나잇 라이브 코리아|SNL]]에서 2012년 하반기 절찬리에 방영된 스케치. '''본격 주간 정치풍자 스케치!''' 이름에서 알 수 있다시피 [[여의도]](즉 [[대한민국 국회의사당|국회의사당]])에 사는 [[대한민국 국회의원|국회의원]]을 [[텔레토비]]에 빗대 풍자한 프로그램. 마침 스케치가 시작된 2012년 들어 정당들의 색깔이 절묘하게 [[텔레토비]] 캐릭터와 맞아 떨어지고 거기에 [[제18대 대통령 선거]]라는 시기 [[적절]]한 [[떡밥]] 때문에 인기를 모았다. [[충격과 공포]]스럽게도 내레이션 성우는 '''예전 [[텔레토비]]와 똑같이 [[구자형]]이다!''' 그 나긋나긋한 목소리로 옛날과 다르게 --19금이니까-- [[동심 파괴]]급의 내레이션을 읽어준다. 텔레토비와 같이 자란 세대들에겐 충분히 [[충격과 공포]].[* 참고로 텔레토비가 절찬리에 방영하던 [[1990년대]]생의 주 시청자들은 2012년 당시 대부분 20대 초반이었다. 즉, 투표권을 가진 이들. ~~이젠 서른 줄이다~~] 특히 6화(시즌1 최종회)에서 텔레토비들이 끝까지 싸우자 내레이션이 윽박지르는 모습은 여러 모로 압권(...)[* 처음엔 꼬꼬마 버전으로 “이제 그만~”이라고 하다가 '''"아니, 이 새끼들이 정말! 그만 좀 하라고 이놈 새끼들아!!"'''하고 언성이 높아진다.(...).] 텔레토비들이 [[성우]] 선생님이라고 부르면서 당황한다. 뒤이어 안쳤어가 기어들어오는 걸 보고 다채롭게 비아냥대는 것은 덤.[* "'''넌 또 뭐야. 안쳤어! 너 들어오려면 들어오고 나갈 거면 나가, 속 터지게 하지 말고!!!"'''] 2012년 12월 15일 15화에서 [[장진(영화 감독)|장진]] 감독의 하차와 함께 '여의도 텔레토비' 도 완결되었다. 마지막에 텔레토비들이 나와 각자의 캐릭터의 원형인 정치인들에게 감사와 당부인사를 전하면서 끝을 맺었다. --짠하다-- 그리고 대통령 선거 다음 날인 20일에 특집편을 녹화한다는 [[http://media.daum.net/entertain/enews/view?newsid=20121218162920914|기사]]가 떴다. --또를 또 볼 수 있다니!-- 다만 22일은 SNL 크리스마스 특집으로 진행되어 앰비가 또에게 왕관 대관식을 하는 것으로 그렸다. '''시즌 4가 새로 시작한 2013년 2월 23일 다시 찾아왔다!''' 이번에는 세계구급 스케일로 확장되어 이름도 '''글로벌 텔레토비'''로 바뀌었다. 글로벌 텔레토비도 풍자력으로 회자되었으나... 크루스페셜 13화 이후로 '''방영되지 않고 있다.''' 처음에는 박재범의 스케쥴 문제 때문에 방영이 미뤄지는 것이라고 여겨졌으나 CJ 그룹의 비자금 수사 때문에 글로벌 텔레토비의 방영을 중단했다는 추측이 지배적이다. [[청와대 대변인 성추문 의혹사건|윤모씨 사건]]등 다룰게 넘쳐나는데도 CJ 그룹의 약점과 박근혜 정부의 성질 때문에 자칫 잘못하면 SNL이 통으로 폐지될 판이다. ~~만약 폐지되면 시청자들은 뭘 보라는거야~~ 잘못한 게 없어도 권력은 무서운 법인데 그룹이 지은 죄가 있으니 힘을 못쓰는 형국. 결국 13화를 끝으로 조기종영...~~CJ는 결국 이후 [[창조경제]]를 열심히 응원하였다.~~후속 코너로 '슬기로운 탐구생활'과 'tvn동화 행복한 세상'을 거쳐 [[개구쟁이 스덕후]]를 방영하고 있다.이 코너들은 여의도 시리즈와 다르게 사회 풍자 코너. 여의도 텔레토비에서 언급하였던 실제 사건 사례와 개요는 [[http://blog.naver.com/cfcrusader/10140954075|여기 참조.]] 코너가 폐지된 지 3년 뒤,''' [[박근혜-최순실 게이트]]가 터지고 정부의 지시로 [[이미경(기업인)|CJ 부사장]]이 잘리면서 SNL의 제작진과 코너가 같이 잘려나간 것이 밝혀졌다.''' 2017년 11월 19일 크루스페셜을 하면서 '''[[예토전생|부활했다!]]'''[* 내레이션 성우도 [[구자형]] 그대로이다.] 하지만 이날은 SNL이 시즌9를 끝으로 종방하는 날이었다(...). [[서울구치소|선도부]]에 끌려가 벌을 서는 [[박근혜|또]]를 자유한국반에서 내쫓는 [[홍준표|홍그리버드]], [[이명박|앰비]]를 [[적폐청산|청소]]하겠다고 달려드는 새 반장 [[문재인|문제니]], 침묵을 지키다 수다쟁이 모두까기 인형으로 [[국민의당(2016년)|돌변]]한 [[안철수|안쳤어]] 등 달라진 정치 상황을 반영해서 캐릭터들의 성격, 신세가 바귄 게 백미. == '''여의도 텔레토비''' == 그야말로 [[부정부패|낡고 구린]] [[여의도]] 동산에 살고 있는 [[정당|색깔]]이 다른 텔레토비들이 한 주 동안 일어났던 일들을 압축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특히 [[제18대 대통령 선거|여의도 동산 반장선거]]로 캐릭터들이 치고박고 싸우고 있다. === 등장인물 === 이 스케치의 등장 텔레토비를 맡은 배우를 보면 상당히 많이 바뀐 것을 볼 수 있다. 아무래도 파일럿 성격으로 스케치를 진행하다보니...[* 또와 앰비는 3화부터 각각 [[김슬기]]와 [[김원해]]로 고정되고, 화나 역시 5화부터 [[김민교]]로 고정되면서 구라돌이도 5화 이후 [[권혁수(배우)|권혁수]]로 고정될 것으로 보였으나, 리턴즈 1화부터 [[정이랑]]으로 또 바뀌었고 결국 정이랑으로 고정된다. [[이정희]]가 여성후보라는 점을 감안한 듯.] * {{{#8b50a4 '''구라돌이'''}}}: ~~[[통합진보당 비례대표 후보 부정경선 사건|'''구라'''(부정경선) 사건]]을 겪은~~ [[통합진보당]][* 2화와 6화에서 수염을 달고 나온다. --이는 필시 [[강기갑]] 전 의원--]([[이정희]]): [[이한위]](1~3화)[* 3화에서 [[애국가|텔레토비 주제가]]를 부르다가 멈칫하며 [[이석기|"이게 무슨 우리들의 주제가야! 인정 못 해!"]] 라며 땡깡을 부린다.]-[[고경표]](4화)-[[권혁수(배우)|권혁수]](5~6화)-[[정이랑]](리턴즈 1화 이후 고정) * {{{#33a23d '''앰비'''}}}: ~~'''[[MB]]'''~~ [[청와대]]([[이명박]]) : [[김원해]](1화) - [[이상훈(성우)|이상훈]](2화)-김원해(3화 이후 고정) * {{{#ffb300 '''화나 → 문제니'''}}}[* '화나' 로는 1~2화, 4~6화, 리턴즈 1~2화에서 등장하고 '문제니' 로는 3화에서만 언급되다 리턴즈 3화부터 고정된다. 3화에서 여러 명의 화나 개체가 등장했기 때문. 만에 하나 여의도 텔레토비가 재방영된다면 [[여당|화나]]와 [[청와대|문제니]]가 분리될 것으로 보인다.]{{{#ffb300 : ~~보면 볼수록 '''화나'''는~~}}} [[민주통합당]]([[문재인]]): 정명옥(1~2화)[* 술병을 들고 [[임수경|'변절자~' 거리면서 '''빨간색 수경'''을 쓴 채로]] 나타났다.]-[[신동엽]](3화)-정명옥(4화)-[[김민교]](5화 이후 고정) * {{{#ff0000 '''또'''}}}: ~~궁지에 몰리니까 '''또''' 이름만 바꾼~~ [[새누리당]]([[박근혜]]) : 김민교(1화)-고경표(2화)-[[김슬기]](3화 이후 고정) 출연 크루는 리턴즈부터 고정된다. * {{{#8b50a4 '''구라돌이'''}}} : [[이정희]] : [[정이랑]] 분 * {{{#33a23d '''앰비'''}}} : [[이명박]] : [[김원해]] 분 * {{{#ffb300 '''화나/문제니'''}}} : [[문재인]] : [[김민교]] 분 * {{{#ff0000 '''또'''}}} : [[박근혜]] : [[김슬기]] 분 그리고 여의도 텔레토비 초기에 숨겨진 캐릭터로 잠깐 등장하던 '''안쳤어'''는 리턴즈부터 고정출연한다. * {{{#b7b7b7 '''안쳤어'''}}} : [[무소속|???]]([[안철수]]) : [[이상훈(성우)|이상훈]] 분 히든 캐릭터로 잠깐 등장하다[* 히든 캐릭터로 등장할 적에는 거의 몇 초만 나오고 바로 사라져서(얼굴도 보이지 않았다) 그때마다 다른 텔레토비들--과 [[구자형]]--이 하는 말은 ''''쟤 또 간만 보고 간다''''. 그리고 시즌 1 6화에서 구자형이 폭발했을 적 ''''어차피 들어올 거면서 왜 [[지랄|지X]]이냐'''' 라고 독설까지 했을 정도(...) ~~[[안철수]] 씨, 보고 계시나요?~~] 시즌 3에서 한동안 고정. [[무소속|확실한 정치 색깔이 없다보니]] [[중도주의|흰색]]으로 나온다. 안테나 모양과 배 부분 모니터의 로고는 [[서울대학교|샤]] 모양. [[존댓말 캐릭터]]이고 별명은 [[V3(백신)|백신]]. 원래의 [[장발]]이 가려지니 안철수와 상당히 닮았다. 실제 안철수와 만나서 사진까지 찍기도 했다. 텔레토비 배의 화면 부분에는 각 정당들의 로고를 단순화한 무늬가 있다(!)[* 앰비의 경우에는 [[청와대]] 로고를 단순화했고 스페셜편에서는 그냥 이명박의 이니셜인 MB 글자만 새겨져있다. 또의 경우는 5화까지는 [[새누리당]] 로고가 그려져있다가 6화부터 'ㅂㄱㅎ' 마크가 새겨져있고, 글로벌 텔레토비에서는 [[태극기]]가 그려져있으며, 스페셜편에서는 비어있다. 안쳤어의 경우는 [[서울대학교]] 마크가 그려져 있고, 스페셜편에서는 [[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 로고가 새겨져 있다.] 2017년 11월 18일 (토) SNL9 마지막회에서의 스페셜편 등장인물은 아래와 같다. * {{{#ffb300 '''문제니'''}}} : [[청와대]]([[문재인]]) : [[김민교]] * {{{#33a23d '''앰비'''}}} : [[이명박 전 대통령 구속 사건|???]]([[이명박]]) : [[이상훈(성우)|이상훈]] * {{{#b7b7b7 '''안쳤어'''}}} : [[국민의당(2016년)|국민의반]]([[안철수]]) : [[정상훈]][* 앰비 역의 이상훈과 안쳤어 역의 정상훈은 '''성만 다른 동명이인'''이며, 둘 다 정치풍자 스케치에서 안철수 역할을 했었다.(정상훈의 경우는 [[미우프]]의 안찰스) 이는 안철수의 "제가 MB 아바타입니까?" 라는 발언과 대체로 일치한다.--내가 니 아바타입니까!!!--] * {{{#ff0000 '''또'''}}} : [[박근혜 대통령 탄핵|???]]([[박근혜]]) : [[이세영(코미디언)|이세영]][* 아이러니하게도 리턴즈 이래 또를 맡았던 두 배우가 모두 다른 코너에서는 진보정당의 대선후보를 패러디한 역할을 맡았었다.] * {{{#900020 '''홍그리버드'''}}}[* --홍그리버드라는 이름답게-- 다른 텔레토비들과 달리 [[앵그리버드]] [[레드(앵그리버드 시리즈)|레드]]와 비슷한 모습을 하고 있다. 또한 배의 화면 부분에는 [[자유한국당]] 로고가 그려져있다.] : [[자유한국당|자유한국반]]([[홍준표]]) : [[정이랑]][* 항목을 보면 알겠지만 구라돌이 역의 정명옥과 '''동일인물이다.'''] ~~[[이정희|구라돌이는]] [[사퇴|어디갔어 이거?]]~~ == '''여의도 텔레토비 리턴즈''' == 시즌 3 역시 등장. ''''여의도 텔레토비 리턴즈''''라는 이름으로 리부트되어 나왔다. 그리고 드디어... '''안쳤어가 입을 연다'''[* 착해진 줄 알았던 또에게 결국 폭행을 당한다.]. 그리고 --임기가-- 점점 끝나감과 동시에 앰비는 점점 [[레임덕]][* 갖고 노는 오리인형 이름이 레임덕. --스케치가 점점 진행되면서 앰비가 감당 못할 정도로 쑥쑥 컸다--]과 놀고 있다. 시즌 1이 좀 아쉬웠는지 리턴즈부터는 여러 패러디들을 시도하고 있다. 매주 정치권 이슈를 어떻게 표현이 되는지도 기대되지만 깨알 같은 패러디를 보는 것도 쏠쏠할 정도. === 패러디 === 여의도 텔레토비 리턴즈 이후로 매 회 콘셉트를 잡는 경향을 보인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와 같다. * 3화(SNL 3회) * [[스타워즈]] - 안쳤어가 내려오는 장면은 스타워즈 6 [[제다이의 귀환]]에서 [[쉬브 팰퍼틴|팰퍼틴]] 황제가 비행선에서 내려오는 장면과 매우 유사하다.[* 원래 PD의 본 의도는 안쳤어를 [[다스 베이더]]에 대입하여 그가 [[죽음의 별|데스스타]]에 도착하는 장면을 패러디하려 했으나 영화에서는 그러한 장면이 없어서 비슷한 분위기를 내뿜는 황제의 도착 장면을 패러디했다 한다.] * [[타짜]] - "[[아귀(타짜)|또 : 동작 그만 밑장빼기냐?]]" 이 한마디로 충분히 설명이 가능하다. * 4화(SNL 5회) * [[파리의 연인]] - 또가 문제니에게 [[한기주]]의 대사와 안쳤어가 문제니에게 이 안에 너 있다 드립 후 키스를 시전한다.[* 사실 본편에서도 유독 게이드립이 많았다. [[이현우(가수)|이현우]]라든가... [[권오중]]이라든가... ~~[[권오중]]이 이현우의 17년 된 [[발기부전]]을 치료해 줬다. 둘이 라디오 방송하면 그렇게 되나 보다~~ 그리고 결정적으로 문제니 역을 맡은 김민교는 아예 SNL에서 주 캐릭터가 ~~찰진~~ 게이 캐릭터(...)] * [[지붕뚫고 하이킥]] - 그 유명한 [[카페베네]] 엔딩이 나온다(...) 그리고 스폰서는 [[투썸플레이스|투썸 가이즈]](...) * 5화(SNL 6회) * [[다모]] - "안쳤어 : 아프냐? 나도 아프다" 로 정리가 가능하다. * [[인정사정 볼 것 없다]] - 문제니와 안쳤어의 마지막 크로스 카운터 장면은 사실 팔이 길면 멋있었을 지도 모른다(...) * 6화(SNL 7회) * [[로스트]] - '[[권진수|페이퍼 타올이 요기잉네?]]' 를 패러디해서 '녹취록이 요기잉네?' 가 되었다. 사실 더 많은 패러디가 있었지만 매니악하다는 이유로 편집되고 SNL PD가 유투브에 올린 디렉터스 컷에 자세히 나온다. ~~"요태까지 날 미행한고야?" 라든가... "물논" 이라든가...~~ * [[드래곤볼]] - 엠비는 [[피콜로(드래곤볼)|피콜로]]로 빙의해서 망토와 두건을 쓰고 또는 [[에네르기파]]를 패러디한 에네렐([[NLL 대화록 논란|NLL]])파를 쓴다. 여기에 문제니는 [[역풍]]을, 안쳤어는 햇볕을 쬔 상태에서 [[태양권]]을 시전한다. 원래 안쳤어가 [[스카우터]]를 쓰고 있었지만 편집되었다. --그리고 깨알 같은 저작권 표기-- * 7화(SNL 9회) * [[골든하베스트]] - 처음에 나오는 그것. 어디가 패러디인지 모르겠다면 항목 참조. * [[용형호제]] 2 - 마지막 크레딧 장면에서 이 영화의 엔딩곡이 사용되었다. 크레딧 중에 NG 장면을 내보내는 것은 성룡 영화 크레딧에서 빠지지 않고 나오는 그것의 오마쥬. * [[E.T.]] - 문제니와 안쳤어가 서로 손가락을 맞대는 장면과 엠비가 자전거를 타고 하늘로 날아간다. * 8화(SNL 10회) * [[슬램덩크(만화)|슬램덩크]] - 8화 전체가 슬램덩크 패러디이다. "[[채소연(슬램덩크)|정치... 좋아하세요?]]", "[[정대만|성우선생님, 반장이 하고 싶어요]]", "[[안한수|포기하면 전쟁은 끝나는 거야]]", "[[포기하면 편해|구라돌이, 포기하면 편해]]", "[[왼손은 거들 뿐]]", [[강백호(슬램덩크)|강백호]]와 [[서태웅]]의 하이파이브 등 필수요소가 모두 들어갔다.[* 참고로 SBS판 [[정대만]]을 맡았던 성우는 내레이션을 맡고 있는 '''[[구자형]]''' 성우다. ~~[[성우개그]]도 거들 뿐...~~] * 9화(SNL 11회) * 또가 3단으로 웃는데 이것은 [[야가미 이오리]]의 웃음소리의 패러디로 보인다. * [[부부 클리닉 사랑과 전쟁]] - [[신구|"엠비 : 2주 후에 뵙겠습니다."]] * [[등짝을 보자]] * 10화(SNL 13회) * [[러브레터#s-2|러브레터]] - "[[나카야마 미호|오겡끼데스까?]]" 로 정리가 가능하다. * 11화(SNL 14회) * [[블레어 윗치]] - 시작하자마자 반쯤 멘붕한 또가 비디오 카메라에 대고 공포를 호소한다. * [[베헤리트]] - 또의 광고 초반부분에 목에 걸고 나온다. 그것도 진홍의 베헤리트에다가 각성 후 버전이다. 게다가 또의 영상 마지막 씬에서 하는 대사가 '''바친다'''. * [[데스노트]] - 또가 구라돌이의 이름을 적는 공책의 이름이 데스노트이다. 여담으로 내레이션 구자형 성우는 데스노트에 죽는 [[레이 펜버]] 역을 맡았다. * [[유주얼 서스펙트]] - 그간 욕 먹고 무시당하며 쳐발리던 구라돌이를 보여주면서 발을 절던 구라돌이가 또와의 토론회씬이 나오면서부터 걸음걸이가 바뀐다. 결정적으로 카이저 소제 말 다했다. * 12화/최종회(SNL 15회) * 꼭 - 아래의 이야깃거리 참고. * [[장비를 정지합니다]] - 앰비가 기력을 잃어 쓰러졌을 때 앰비의 몸에서 나온 효과음. --'장비를 정지합니다' 효과음을 그대로 썼다-- * [[스트리트 파이터]] - 또가 문제니에게 [[승룡권]] 시전하면서 같이 효과음이 나온다. * [[드래곤볼]] - 또가 지지자들의 기력을 받아 '''보수[[원기옥]]'''을 만들고 문제니에게 던졌다. 그리고 막판에 문제니의 한손으로 에네르기파와 함께 뒤에 안쳤어의 환영까지 셀전의 부자에네르기파를 재현했다. * [[슬램덩크(만화)|슬램덩크]] - 또의 보수원기옥의 공격에 맞서기 전 안쳤어가 환영을 통해 "[[포기하면 편해|문제니 포기해선 안 됩니다]]" 라고 말했다. == '''글로벌 텔레토비''' == [[파일:attachment/여의도 텔레토비/e0041802_512a3badc4644.jpg]] {{{#ff0000 '''또'''}}} '''다른 전쟁의 시작''' 시즌 4에서 새로운 텔레토비 이야기. 이번에는 한국 주변 국가 및 국가의 지도자를 주변국들을 모티브로 삼은 텔레토비가 나온다. 그리고 기존의 텔레토비 또한 짬짬이 나오고 있는데 2화에서 {{{#33a23d '''앰비'''}}}와 {{{#8b50a4 '''구라돌이'''}}}가 또의 취임식과 관련해서 잠깐 등장했고 3화에서 {{{#ffb300 '''문제니'''}}}에서 {{{#ffb300 '''문어상'''}}}[* 민주통합당 [[문희상]] 비대위원장을 패러디했다. 배우는 못말리는 영애씨에 출연한 정지순.]으로 바뀐 캐릭터가 또의 발목을 붙잡았다. 그리고 4월 보궐선거 출마에 맞춰 {{{#b7b7b7 '''안쳤어'''}}}가 재등장했다. 또한 6화에는 {{{#ffb300 '''화나'''}}}(민주통합당)[* 뒷모습만 나온다.]가 출연했다. 매화 찰진 패러디로 시사를 재밌게 다뤄주던 글로벌 텔레토비가 14화 이후 출연자 개인적인 스케줄 문제와 함께 소재고갈--응?-- 및 방송국 내부상 문제라고 얘기하지만 실상 CJ 비자금 문제 등의 어른의 사정으로 아쉽게도 13화를 끝으로 조기종영해버렸다.거기다 부활한다 해도 또역의 김슬기가 SNL를 떠난 관계로 대타를 구하기 힘든점도 문제.~~김슬기의 또 연기가 워낙 넘사벽인지라...~~ * {{{#ff0000 '''또'''}}} : [[대한민국|여의도 동산]] [[대한민국 대통령|반장]]([[박근혜]]) : [[김슬기]] * {{{#00bf79 '''야매'''}}} : [[일본|이웃 동산]] [[일본 내각총리대신|반장]]([[아베 신조]]) : [[권혁수(배우)|권혁수]] * {{{#b7b7b7 '''시핑'''}}} : [[중화인민공화국|큰 동산]] [[중화인민공화국 주석|반장]]([[시진핑]]) : [[이병진]] → [[진원(가수)|진원]](6화부터) * {{{#fc6d2a '''오바돌이'''}}} : [[미국|먼 동산]] [[미국 대통령|반장]]([[버락 오바마]]) : [[박재범]] * {{{#000000 '''정으니'''}}}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윗 동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무위원회|반장]]([[김정은]]) : 김민교 내레이션은 전작과 마찬가지로 [[구자형]]이 맡았다. 그리고 {{{#33a23d '''앰비'''}}}([[김원해]])는 퇴임을 하면서 또에게 마이너스 통장(...)이 돼버린 학급비 통장을 전해줬다. 하지만 또는 "너의 시대는 갔다" 면서 [[이명박|가카]] 얼굴의 태양을 내리고 --향후 5년 간 무지 바쁘실-- [[정성호(코미디언)|박그네]] 얼굴의 태양으로 바꿨다. 그리고 3화에서 진짜 [[박근혜|그네 잘 타시는 분]]의 얼굴로 바꿨다. 참고로 진짜 [[어른의 사정]]이 있는지 2014년 최근들어 유튜브나 네이버등 1기나 리턴즈 시리즈를 제외하고 글로벌 텔레토비 동영상 대부분이 삭제되었다... 뭐지? 그리고 [[박근혜-최순실 게이트|2016년...]] === 패러디 === 글로벌 텔레토비에서도 패러디는 계속 이어진다. * 1화 * {{{#ff0000 텔레토비 뽀}}} - --텔레토비가 텔레토비를 패러디한다는 게 좀 이상하긴 하지만...-- 구자형이 또에게 "또, 반장 된 게 정말 좋은 모양이로구나" 라 물을 때 또가 [[뽀]]처럼 입을 가리고 웃는다. * [[그 겨울, 바람이 분다]] - 오바돌이와 또가 솜사탕 키스를 한다. --그리고 그 뒤에 깔리는 또×오바돌이 전용 브금(...)-- * 2화 * [[홀리데이(한국 영화)|홀리데이]] - SNL 1화에 나온 그 장면이 또다시 나왔다. 정으니가 우산을 쓰고 다니면서 ~~핵을 들고 핵핵거리며~~ 또를 쫓아다닌다. * [[강남스타일]] - 중국 모 회사의 광고에서 [[김정은]]이 말춤을 추는 형식으로 패러디를 했는데 이걸 시핑이 따라했다. * 3화 * [[시월애]] - 또가 우편함을 열어보는 장면. 영화에서 전지현이 하던 것을 패러디했다. * [[판관 포청천]] - 문어상이 이마에 달을 달고 또의 발목을 잡으면서 "'''개작두를 대령하라'''" 라고 한다. ~~문희상과 포청천의 공통점은 비대하다는 것 뿐인 것 같은데?!~~ --하지만 자세히 보면 좀 닮긴 했다-- * [[네가지]] - "'''[[김준현|이게 누굴 돼지로 아나]]'''" 한마디면 충분하다(...) * [[달의 요정 세일러문]] - '''"정의의 이름으로 용서하지 않겠어."''' 로 충분히 설명 가능하다. * [[데니스 로드먼]] - 정으니의 말에 따르면 문화어 이름은 '길남자' 라고 한다(...) * 4화 * [[터미네이터2]] - 첫 장면부터 [[터미네이터2]]의 오프닝을 패러디했으며 안쳤어의 등장도 [[터미네이터]]의 등장 장면을 패러디했다 * [[록키]] - 록[[키 리졸브]] 훈련. 더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락한다. * 5화 * [[달콤한 인생(영화)|달콤한 인생]] - [[넌 나에게 모욕감을 줬어]] * [[MBC 뉴스데스크]] 인터뷰 - 2012년 11월 5일 뉴스 인터뷰에서 자막을 [[할아버지]], [[할머니]]로 표시해 논란을 일으켰는데 그 자막을 그대로 가져다 썼다. * 6화 * [[007]] - [[박근혜 정부]] 들어서 낙마한 고위직 인사 '''7명'''에서 착안한 패러디. ~~조만간에 하나 더 늘것 같던데~~ * [[형사 가제트]] - 엠비가 [[레임덕]]을 쓰다듬는 장면이 닥터 클로우가 고양이를 쓰다듬는 것을 패러디했다. * 7화 * 영화 [[스피드]] - 정으니가 버스를 멈추지 말라고 협박하고 달리라고 하는 걸 보면... 그러고 보니 내레이션 하시던 구자형 씨 전문 배우 [[키아누 리브스]]를 띄워준 작품도...[* 내레이션은 안 나왔다만...] * 8화 * 영화 [[도성]] - 메인테마곡부터 정으니의 등장씬, 그리고 포커 장면에서의 심리전 등. * [[소년탐정 김전일]] - '''"[[김일성|할아버지]]의 명예를 걸고 꼭 이기갔어!"''' ~~소년탐정 [[김정은]]~~ * 영화 [[타짜]] - '''"쫄리면 뒈지시던가?"''' * [[도박묵시록 카이지]] - [[자와#s-3.1|술렁~ 술렁~]] * 9화 * [[살인의 추억]] - 전체적인 이번 에피소드의 패러디. ~~미치도록 민심을 잡고 싶은 민주당 디스~~ 또한 '''[[송강호|"밥은 먹고 다니냐?"]]''' 를 정으니가 ~~난장판 남쪽동산을 보면서~~ ''''남쪽동산 동무들 밥은 먹고 다니네?'''' 로 패러디. * [[메탈기어 솔리드]] - 잠입하다가 들켰을 때의 효과음이 진중건이 들어오면서 등장(...) * 우리나라가 강간의 왕국이냐? - 진중건이 해양수산부 장관의 행태를 보면서 ''''한국이 낙하산 왕국인가?'''' 라고 까는 걸로 패러디. * [[사랑했나봐(드라마)|사랑했나봐]] - '''중간에 주스 마시다가 흘리는 장면'''을 패러디했다. '''"지딸도 아닌 예나를!"''' * 10화 * [[인간극장]] - 10화 전체적인 에피소드의 패러디. 비지엠이나 전체적인 구성이 인간극장을 빼다 박았다. 인간극장에서 방영되었던 '운수골 세쌍둥이는 못말려' 란 에피소드가 '반도골 세친구는 못말려' 로 나왔다. * 11화 * 영화 [[대부]] - 11화 전체적인 에피소드의 패러디. 또 정으니 오바돌이 시핑 야매 각 국가 대표인물들이 나와 회담하는데 이는 대부 영화속 마피아 조직 두목들간 모여 토의하는 장면을 패러디한 듯하다. 또한 극중 인물들 중 대사중 일부는 대부에서도 표현된 대사이기도 하다. * 12화 * [[파리의 연인]] - 12화 전체적인 에피소드의 패러디. ~~다만 [[윤창중|윤수혁]]은 안 나왔다~~ * 13화 * [[아이언맨3]] - 근래에 들어 정신 못차리고 망언을 연발하고 있는 야매가 아예 대놓고 [[철면피|아이언 페이스]]를 들고 나와 헛소리를 내뱉자 또, 정으니, 시핑,[* 이쪽은 아예 대놓고 [[만다린(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만다린]] 코스프레.] 오바돌이까지 나서서 다구리를 치려 하고 이에 겁먹은 야매가 냅다 도망치는 식으로 마무리. * [[킬빌]] - 야매의 부인이 하얀 기모노를 입은 모습 등이 영락없이 [[오렌 이시이]]. ~~한류 DVD 좋아하는 걸 보니 영락없이 아키에~~ ~~근데 오렌이 '''카와이한 부인'''이라니~~ * [[더 킹 오브 파이터즈]] - 야매가 던진 신사참[[배(과일)|배]]를 또가 '''A+B'''로 슬쩍 회피한다. * [[SBS 8 뉴스]] 인터뷰 - [[SBS 8 뉴스]]에서 한국 중고생에게 [[야스쿠니 신사]]가 뭐냐고 묻자 일본 젠틀맨이라고 하고 [[안중근]] 의사가 누군지 아느냐고 묻자 [[윤봉길|도시락 투척한 사람]] 아니냐는 것을 그대로 패러디. ~~에라이~~~ * ~~[[전효성]]~~ - 야매가 '''"너희는 민주화 , 우리는 우경화"''' 라는 대사로 패러디. * ~~[[윤창중]]~~ - 정으니가 '''"엉덩이 꽉 잡히고 싶네, 아니면 허리를 툭 쳐줄까?"''' 라는 대사로 암시만 줬다. ~~대체 언제쯤에 직접 나오는 거야...결국은 안나왔다.....~~ == 여담 == 초반에는 진짜 동산같은 곳에서 촬영을 했지만 촬영하러 나가기 귀찮았는지 나중에는 스튜디오에서 cg만 입힌다. 촬영지는 경기도에 위치한 '파주 평화누리공원' 이다. 실제로 가보면 아직까지도 그 모습을 유지하고있다. 사실 정치인을 [[텔레토비]]를 빗댄 풍자는 1990년대 후반[* 정확히는 [[텔레토비]]가 국내에 방영됐던 1998년에서 1999년 즈음.] 시절의 유머코드 중 하나였다. [[http://sports.khan.co.kr/bizlife/sk_index.html?cat=view&art_id=200805022112266&sec_id=561101|기사]] 하지만 실제로 국회의원이나 정부를 텔레토비에 비유한 방송물 중 유명세를 탄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특이하게도 진보적인 성향을 띄는 SNL KOREA에서[* [[장진(영화 감독)|장진]] 프로듀서가 영화인 출신이어서 그럴 수도 있다. [[씨네21]]이나 [[영화]] 항목을 보면 알겠지만 보통 영화계 사람들은 진보적인 스탠스를 띈다.][* 그리고 이 프로그램의 원본인 [[SNL]]도 진보적 스탠스. 이유는 방송사가 '''[[NBC(미국 방송)|NBC]]'''이기 때문에. --[[앤디 샘버그]]와 [[제이크 질렌할]]이 대놓고 [[이란]]을 까는 걸 보면... 흠...--] 거의 모든 정당을 희화화했는데 이것은 보다 더 스펙트럼이 넓은 정치풍자를 감행하는 차원에서 기획한 듯 하다.[* 대망의 1화의 내용은 구라돌이가 [[이석기|내면의 적]]과 싸우고 화나는 [[임수경|변절자! 변절자!]]를 외치며 이를 치켜보는 또와 앰비가 [[종북몰이|종과 북]]을 연주한다는 내용. 이것만 보면 오히려 진보를 까는 것으로 보일수도 있을정도.] 그러던 중 [[새누리당]]에서 태클이 들어왔다.[[http://news.nate.com/view/20121028n05681|#]] ~~스브스 출신의~~ [[홍지만]] 의원이 [[방송통신위원회|방통위]]에 재소한 결과 리턴즈 7화(11월 3일자)에서 {{{#ff0000 '''또가 개무시당했다'''}}}. 또가 끼어 들려고 할 때 마다 다른 텔레토비들과 성우가 자리를 피한다. 또가 왜 자기 이야기 안 하냐고 하자 [[구자형]]이 '''"너 때문에 다 짤리게 생겼거든" 하고 급하게 끝!''' 이때 [[골든하베스트]]를 패러디한 스탭롤+NG영상이 나오는데, 막바지에 '또'역을 맡은 [[김슬기]]가 눈물 없이는 들을 수 없는 애원(?)을 한다. [[파일:attachment/여의도 텔레토비/f0099029_5097d8c5cddbc.jpg]] >'''"저기. 제가요 하는 일이 이거 밖에 없거든요. 제 첫 직장이고, 아직 학자금 대출도 갚아야 되는데. 앞으로 욕 많이 안 할게요."'''[* 원 대사는 "다음 학기에 등록금을 내야 하고..." 였지만 김슬기 스스로 저렇게 바꿨다고 한다. 실제로 김슬기는 2013년 당시 학생이었기 때문에(서울예대 교칙상 연예활동시 자동 휴학 규정 존재) 갚아야 하는 학자금이 좀 있었다고.] [[김슬기]] 특유의 울먹이는 표정으로 카메라에 대고 이야기를 하는데 짠하면서도 풍자적이라 이루 형언할 수 없는 분위기를 풍긴다. --짠하기도 하지만 [[김슬기|슬기찡]]이라서 그런지 그냥 귀여워 보인다-- 그리고 SNL 10회의 스케치였던 '[[http://www.youtube.com/watch?v=OD6VFrmRQtY|약심장]]' 에서 최종 우승한 박근혜([[정성호(코미디언)|정성호]] 분)에게 트로피를 주며 이때 보여줬던 표정을 그대로 살려서 '학자금 대출' 드립을 날린다. 그리고 2016년 왜 그렇게 이야기 할 수밖에 없었는지 밝혀졌는데... 자세한 내용은 이 항목 제일 마지막 부분 참조. 그리고 방통위가 이를 받아들여 심의를 했는데[[http://media.daum.net/entertain/enews/view?newsid=20121106104211918|#]] {{{#8b50a4 --여기에 대해 구라돌이쪽 이모 의원은 방통위 심의 대상 논란 자체가 '''정치 코미디'''라고 까는데... 사실 이런 말 하기에 그쪽이 워낙 병맛스러워서--}}} [[http://www.youtube.com/watch?v=DGJTMVeD-uE|#]] 그것이 계기가 되어 10화에서 오히려 또가 기사회생했다! 그러나 곧 어중간하게 단일화한 문제니와 안쳤어에게 맞고 나가 떨어졌다. ~~'''특공!!!'''~~ 결국 방통위에서 선거방송으로 문제가 없으며 욕설은 일반심의위에서 논의하면 되는 사항이라는 결정을 내렸다.[[http://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serial=704420&g_menu=020320&rrf=nv|#]] 그리고 판정 이후 여의도 텔레토비를 비롯해서 SNL 코리아의 전체적인 정치풍자 강도가 훨씬 더 가열차게 올라갔다. 그리고 그 뒤론 [[새누리당]]도 포기했는지 그냥 받아들인건지 오히려 '''또'''라는 캐릭터를 홍보용으로 써먹기까지 했단다.[[http://news.naver.com/main/ranking/read.nhn?mid=etc&sid1=111&rankingType=popular_day&oid=404&aid=0000020107&date=20121220&type=1&rankingSeq=1&rankingSectionId=106|김슬기 인터뷰]] SNL 14회 스케치 중 하나였던 '베이비시터 면접2' 에는 {{{#8b50a4 이정희}}}에 [[김슬기]], {{{#ffb300 문재인}}}에 [[김민교]], {{{#ff0000 박근혜}}}에 [[정성호(코미디언)|정성호]]가 나왔다. 사실 여의도 텔레토비 이외의 스케치에서는 정성호가 박근혜 역을 자주 맡는다. --''또가 정식으로 새누리당 마스코트가 되었다!'' [[http://cnews.mt.co.kr/mtview.php?no=2012121015578297604&type=2|#]]-- --그런데 또는 패러디지만 꼭은 텔레토비 모방 아닌가? 저작권 문제는 없는건가?-- 그리고 이것을 '''결국 최종화에서 또가 써먹었다'''. [[나로호]] 발사를 은근히 부정적으로 보는 경향이 있다.[* '여의도 텔레토비' 뿐만 아니라 [[정성호(코미디언)|정성호]]가 [[한석규]]를 성대모사 한 '석규's Kitchen' 에서도 나로호를 깐다. --여기에는 [[보드카]]와 [[초코파이|쬬코파이]], [[고무링]]이 등장한다--] 나로호 발사가 연기될 때마다 구자형이 '''"앰비, 또 나로호 발사 실패했다며?"''' 면서 앰비를 갈군다. 심지어 리턴즈 최종화에서 북동산이 로켓 발사에 성공한 걸 비교하면서 또 깐다. 물론 대통령이 직접 진두지휘하는 분야도 아니니 딱히 깔 만한 거리는 못 된다. 게다가 쏘는 시기가 임기랑 겹친 거지 직접 기획한 것도 아니고.../ 안 그래도 [[4대강|이름을 불러선 안될 그 분은]] [[자원외교|이미]].... 대사 중에 욕설이 섞여있는 경우가 많은데 대본의 대사와 배우들의 애드립이 섞여 나온다고... 애드립은 전체 맥락에서 크게 무리가 없겠다 판단되는 것만 쓴다고 한다. --그리고 욕이라곤 전혀 못하던 [[김슬기|또]]가 [[정명옥|구라돌이]]의 도움을 얻었다 카더라-- 2016년 11월 24일, JTBC 뉴스룸 측에서는 '''청와대가 여의도 텔레토비 작가의 정치성향 조사'''를 했었다는 보도를 했다. 위에도 언급했다시피 박근혜 정부 이전부터 새누리당의 태클이 있었지만 '''박근혜 대통령 출범 이후 작가의 성향을 조사했다고 한다.''' [[http://m.entertain.naver.com/read?oid=311&aid=0000676398|#]] 그러나 12월 9일 박근혜 대통령 직무 정지로 인해 정치풍자를 하는데 권력의 눈치를 보지않아도 되는 상황이 되자 풍자는 없고 성드립만 난무한다는 비난을 받던[* 그나마도 시즌 5에서 다시 15금으로 회귀해 성드립이 많이 줄었다. --물론 [[신동엽|이 사람]]이 있는 이상 성드립이 없어지진 않겠지만--] SNL을 구원할 마지막 히든 카드라고 여겨졌으나 SNL 코리아 시즌9의 시작과 함께 여의도 텔레토비 대신 [[미운 우리 새끼]]와 [[프로듀스 101]]를 패러디해 대선주자들을 풍자하는 새 코너 '미운 우리 프로듀스 101'를 신설했다. Weekend Update에서 신동엽의 말에 따르면 [[18대 대선]]때 '여의도 텔레토비'가 많은 인기를 얻고 대선 이후에도 계속 하려했는데 상황이 여의치않아서 그만하게 됐다고 설명하며 다시 '여의도 텔레토비'를 할 수는 없어서 '미운 우리 프로듀스 101'을 했다고. [[쿠팡 플레이]]의 SNL 코리아 시즌 10에서는 [[20대 대선]]을 맞이해 프로그램 시초에 윤석열과 이재명 부부를 풍자하는 내용을 방영했다. 문제니를 전담하던 김민교는 이번엔 윤석열(...) 대통령 선거는 아파트 반상회장 선거로 바뀌었다. [[분류:SNL 코리아]][[분류:정치풍자물]][[분류:블랙 코미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