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다른 뜻, rd1=여와(동음이의어))] [include(틀:삼황오제)]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7B938 0%, #F7B938 20%, #F7B938 80%, #F7B938)" {{{#ece5b6,#000000 '''{{{+1 여와[br]女媧}}}'''}}}}}} || ||<-3>{{{#!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여와.jpg|width=100%]]}}} || ||<-2> '''[[호칭|{{{#ece5b6 호칭}}}]]''' || 여와 / 여왜^^(女媧)^^[* 《[[옥편]]》을 보면 이 한자(媧)는 '왜'라고도 읽는다. 옛날에 나온 책들을 보면 '여왜'라고 표기하는 책들이 꽤 많았다.] || ||<-2> '''{{{#ece5b6 어머니}}}''' || 화서^^(花序)^^ || || '''{{{#ece5b6 생몰 기간}}}''' || {{{#ece5b6 음력}}} || ? ~ ? || || '''{{{#ece5b6 재위 기간}}}''' || {{{#ece5b6 음력}}} || ?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 신화에서 태호 [[복희(중국 신화)|복희]]씨와 함께 인류의 시조격인 존재였다. 현대 [[표준중국어]] 발음은 '''Nǚwā'''(뉘와)이다.[* 과거 기독교의 야훼와 여와의 발음이 비슷하다는 이유로 서구권을 중심으로 야훼=여와설이 돌았는데, 사실 [[야훼]]와는 전혀 관계가 없다. 실은 한국 한자음으로도 야훼와 전혀 관계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왜냐하면 여와는 두음 법칙을 적용해서 된 표기이며, 적용하지 않은 북한식 표기는 '녀와'이기 때문이다. [[상고한어]] 발음도 (정장상팡의 재구를 따랐을 때) /*naʔ *kroːl/(나읏 끄롤)로 야훼와는 전혀 다르다. 다만 서양의 창조과학에서는 이 발음을 노아에 끼워맞추는 억지를 부리기도 한다. '상제'와 '샤다이'를 끼워맞추기도 한다. 애당초 야훼신앙이 정립된 모세 시절보다 중국의 삼황오제가 더 옛날이라 여와가 중국에 전래된 야훼라는 말은 말장난에 가깝다. 한술 더 떠 야훼라는 발음조차 맞는지 아닌지 모르는 판에..] [[복희(중국 신화)|복희]]의 누이 동생이라는 설, 본래는 관계가 없었으며 여와와 복희가 결부되는 것은 [[중국]] [[한나라]] 때부터라는 설 등이 있다. 그리고, "여와(女媧)"라고 하는 이름이자 단어는 여신(女神)을 나타낸다고 한다[* [[이중톈]] 같은 일부 학자는 해당 글자가 의미상으로 蛙(개구리 와)나 蝸(달팽이 와)와 관련이 있다고 풀이하기도 한다. 저 한자들의 상고한어 발음은 각각 /*qʷˤre/와 /*kroːl/(Baxter-Sagart)에 해당한다.]. 달리 '와황'(媧皇)으로 부른다고 한다. 여와의 어머니는 질서의 여신으로 알려진 화서(花序)인데, 우주를 배회하다가 번개의 신 뇌공의 발자국을 밟고 난 후 갑자기 [[임신]]을 했다고 한다. == 기록 및 특징 == 《[[회남자]]》에 이르길, 태고의 하늘을 떠받치던 기둥 4개가 부러지자, 대지는 갈라지고 화재와 홍수가 일어났으며 맹수와 괴조가 횡행하여 사람들을 괴롭혔는데, 이때 여와가 5색으로 빛나는 돌들을 녹여 하늘의 구멍 뚫린 부분을 메웠다고 한다. 위 그림이 바로 하늘 구멍을 틀어막는 여와의 모습을 그린 것이다. 역시 [[복희(중국 신화)|복희]]처럼 [[뱀]]의 몸을 하고 있으며, [[홍수]] 뒤에 인간을 만들었다. 홍수 뒤에 아무것도 남지 않아 심심했던 여와가 '''자신을 닮은''' 존재를 만들어 가지고 놀기 위해 인간을 창조했다는 것이다.[* 한(漢)나라의 신화에선 [[반고]]가 아닌 여와가 창세신으로 되어 있다. 또는 [[복희(중국 신화)|복희]]와 함께 창세신으로 대접받는다.] 처음 여와가 만들어낸 인간은 동물(염소, 닭 등)을 닮았으나, 강물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보다 자신과 닮은 인간들을 만들어내었다고 한다. 처음엔 재미도 있었지만, 차차 귀차니즘이 발동한 여와는 진흙탕에 새끼줄을 담가 여기저기 뿌렸으며, 그 흙알갱이가 하나하나 '''[[평민]]'''이 되었고, 초기에 애정을 담아 손수 제작한 인간은 '''[[귀족]]'''이 되었다.[* 이 때문에 여와를 두고 [[중국 공산당]]이 신분제를 만들었다며 비판했다.] 이러한 점 때문에 아이를 낳은 첫번째 존재이자 모든 인간의 창조자로 여겨지며, 고대 중국이 모계 중심 사회였던 것을 생각해보면, 모든 인간의 어머니라고 할 수가 있는 여와는 가장 중요한 여신이라 할 만하다. 몇몇 창조신화에 따르면 복희와 여와가 결합하여 인간이 창조되었다고 한다. 그렇게 인간을 만들었으나 필멸자인 인간은 시간이 지날수록 그 수가 점점 줄어들 수밖에 없었다. 이를 근심하던 여와는 [[결혼|남녀를 짝지어]] 스스로 자손을 낳게 했고, 인류는 대를 이어가며 번성하게 되었다. 최초의 중매쟁이였던 여와는 후대 사람들에게 '고매'(高媒), 즉 혼인과 생육의 신으로 모셔졌다고 하는데, 《풍속통의》에 이러한 얘기가 나온다. 이러한 점으로 인해 혼인과 잉태, 출산을 관장하는 신이 되었으며, 박으로 만드는 호로사, 생황, 갈대 피리 등 각종 고대 악기도 만들어냈고, 남편인 복희와 더불어 세계의 질서 자체를 회복하며, 인간이 살아가는 방식을 만들어냈다고 한다. 그리고, 여와의 사당에 가서 빌면 결혼이 가능하고, 자식도 낳을 수 있다는 믿음이 있다고 한다. 고대 중국에서는 부족 사회를 이루며 살고 있었고, 여성의 비중이 컸기 때문에 이러한 여와의 신화는 모계사회의 대변이라고 할 수 있다. [[파일:복희씨1.jpg]] <복희여와도>라는, 천지창조 신화에 등장하는 남신 복희와 여신인 여와를 주제로 삼은 그림이 있다. 이 그림은 한나라 때에 돌에 새긴 그림과 당나라 때의 채색한 비단 그림, 그리고 아스타나 무덤에서 발견되었다. 복희와 여와는 상반신은 사람 모습을 하고, 각각 손에는 창조의 상징물인 구부러진 자, 즉 곡척(曲尺)과 컴퍼스를 들었데, 몸을 꼰 모습은 세계의 조화와 만물의 생성이 초래됨을 나타낸다고 한다. [[초고대문명설]]에서는 이것을 [[DNA]] 이중나선 구조에 대한 지식을 표현한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그리고, 남신 복희와 마찬가지로 여와의 모티브는 [[인도]]나 서아시아의 [[메소포타미아]]에서도 발견되는데, 복희와 여와라는 테마가 중국이 아닌 남방 문화로부터 형성되어 중국에 전래되었다는 학설이 존재한다. 중국의 소수 민족들에게도 여와를 신으로 모시는 풍습이 있다. 투르판 아스타나의 묘실 천정에 부착되었던 <복희여와도>는 중국 내륙에서 출토된 예가 없다고 한다. 그리고, 복희와 여와의 이야기는 세계 곳곳에 존재하는 인간 탄생 신화와 유사하다. 여와가 흙으로 사람을 빚어낸 것은 [[그리스 로마 신화]]의 [[프로메테우스]]가 강물에 흙을 반죽해 사람을 만든 내용, 《성서》에서 하느님이 진흙으로 사람을 만들고 코에 생명의 입김을 불어넣었다고 한 내용과 닮아 있다. 홍수 이야기는 [[그리스 로마 신화]]의 데우칼리온 부부 이야기, 《성서》에서의 노아의 방주 이야기와 닮아 있는 편이다. 인간들에게 모셔지며 편히 지내던 여와에게 하늘이 무너져 내리는 대참사가 일어났다. [[축융(삼황오제)|축융]]과 [[공공]]이 시비가 붙었는데, 성질이 매우 사나운 공공이 싸움에 진 뒤 제 성질을 못 이겨 부주산[* 원래 이름은 부주산이 아니었는데 이 사건이 일어난 다음에 이름이 바뀌었다고 한다. 산의 형태가 무너져 온전하지 못하게 된 데서 부주(不周)가 유래한 것.]을 들이받아 무너트린 것이다. 여와는 분주히 물을 퍼내어 인명 구조를 하는 한편 오색의 돌을 녹여 구멍난 하늘을 메웠으며, 바다에 살던 큰 거북의 네 다리를 얻어내어 이를 지탱했다고 한다. 이때 좀 급하게 고치느라 지축이 기운 건 수리하지 못해 북서쪽 땅은 하늘과 가까워졌고(땅이 융기했고), 남동쪽이 내려앉아 모든 강이 그쪽으로 흐르게 됐다고 한다. 이는 서고동저(西高東低)인 중원 대륙의 지형을 반영한 내용으로 보인다. 그리고, 대홍수가 일어날 때 오색의 돌을 녹였다고 하는데, 이 오색의 돌은 청, 적, 황, 백, 흑/목, 화, 토, 금, 수 등 다섯 가지 요소를 의미하는 '''오행'''을 뜻한다고 한다. 여와는 [[창조신]]이자 생명의 신으로서의 의미를 강하게 지니고 있다고 한다. 복희는 혼자서 인간을 만들었다는 이야기가 거의 없지만, 여와 혼자서 만들었다라는 이야기가 많이 있는데, 이것은 여와가 부활, 창조의 의미를 지닌 여러 상징들과 함께 묘사가 된다라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복희누 행적이나 상징물에서 보면 생장 혹은 성장의 모티브를 많다. 여와의 하반신은 뱀 형상인데, [[중국 신화]]에서 용과 뱀은 숭배의 대상이다. 그리고, 여와의 그림을 보다 보면 손에 달을 지닌 그림도 있는데, 여와가 [[생명]]과 [[부활]]의 의미가 있다. 일부 [[환빠]]들이 여와와 [[유대교]]/[[기독교]]의 [[여호와]]의 발음의 유사성을 들어 이상한 논리를 전개하기도 했지만,[* [[한니발]] = 한이발, [[이스터 섬]]의 돌석상 = [[돌하르방]] 등.] 현대 학설에 의하면 여호와설은 폐기 직전이고 유대교/기독교의 신 이름은 [[야훼]]에 더 가까운 것이 정설화되었다. [[한국 신화]]에도 조역으로 등장하는데, 백두산이 무너져서 유복자만 남기고 사망한 어머니의 요청을 받아들여 이를 다시 고쳐야 하는데 여와는 너무 늙어서 그의 증손녀가 대신 고쳤다는 백두산의 짤막한 이야기에서 손녀를 걱정하는 할머니로 나온다. 이후 손녀가 백두산을 고치자 그를 칭찬하며 홀로 남겨진 유복자를 위해 손녀를 지상으로 보낸다. 배일동의 <독음 - 소리의 이치와 원리를 깨쳐 궁극에 이르다>라는 저서에 따르면, 남매인 [[복희]]가 손에 [[태양]]을 받들고 있다면, 여와는 이와 반대로 [[달]]을 받들고 있으며[* 이렇게 보면은, [[복희]]는 [[태양신]]이, 여와는 [[월신]](月神)이 되는 셈인데, 그러면서 중국 고대의 점성술에 따르면은 달은 수해와 가뭄을 주관했으며, 그렇기에 달의 모양에 의해 기상을 점쳤다고 한다. 즉, 여와는 달의 신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가뭄을 주관하는 역할도 맡았다고 볼 수가 있다.], 여와의 와(媧)는 '고대의 신성한 여인으로 만물을 화육, 즉 창조하고 길러낸 존재이자 사람'이라는 뜻이고, 그 자체로 음제(陰帝)로써 [[복희]]를 보필하여 통치하는 자라고 한다. 그러면서 실제로는 여아(女娥)이며 상의(常儀)이며 또한 [[상아]]였다고 한다. 그러면서 방금 전 서술한 상아는 본래 사신(射神)이며 동이의 [[추장]]이었다고 한다. 또한, 여루는 여와의 명호를 달리 쓴 것이며, 흔히 판소리에서 말하는 '여와 여와 여루 상사 뒤여'라는 노래와도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한다. == [[여와(동음이의어)|대중문화에서]] == 해당 문서로. == 둘러보기 == [include(틀:사기)] [include(틀:도교의 신)] [각주] [[분류:중국 신화]][[분류:창조신]][[분류:출산의 신]][[분류:삼황오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