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사건사고)] [include(틀:대한민국의 대외 전쟁ㆍ전투)] [include(틀:북한의 대외전쟁)] ||<-3> {{{+1 '''여수 반잠수정 격침사건'''}}} || || '''시기''' ||<-2>[[1998년]] [[12월 17일]] || || '''장소''' ||<-2>[[대한민국]] [[전라남도]] [[여수시]] || || '''교전국'''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3]] [[대한민국]] || [[파일:북한 국기.svg|width=23]] [[북한]] || || '''병력''' ||[[대한민국 육군]] * [[제31보병사단]] [[대한민국 해군]] * [[포항급 초계함|PCC-782 광명함]] * [[P-3|P-3 대잠초계기]] * [[슈퍼링스]] [[대한민국 공군]] * [[KF-5]] * [[CN-235]][* 조명탄 투하 작전에 동원되었다.] [[전남지방경찰청]] [[해양경찰청]] 여수해양경찰서 ||[[정찰총국 육·해상정찰국|조선로동당 작전부]]: 반잠수정 1척 || || '''피해''' || 없음 || 전사 6명 || || '''결과''' ||<-2> '''[[대한민국 해군]]의 승리''' || [목차] [clearfix] == 개요 == [[1998년]] [[12월 17일]] [[전라남도]] [[여수시]]에서 북한군의 [[반잠수정]]이 격침된 사건. == 상세 == 1998년 12월 17일 오후 11시 15분 전라남도 여수시 돌산읍 임포리 앞 임포초소에서 [[열상감시장비]](TOD)를 이용해 바다를 응시하던 [[대한민국 육군]] [[제31보병사단]] 95연대 1대대 김태완(당시 나이 21) 이병[* 해당 병사의 관등성명 및 소속은 언론에도 공개되어 있다. [[https://news.joins.com/article/3739903]]]은 소초로부터 2㎞ 떨어진 방죽포 해수욕장 부근에서 해안 쪽으로 접근하는 [[반잠수정]]을 발견했다. 경비정 2척이 출동해 추격에 나서자 이 반잠수정은 [[일본]] 측 [[EEZ]]를 목표로 도주했다. 다음날 새벽 [[대한민국 국군]]의 경고사격과 정지명령에 [[기관총]]으로 대응하던 북한 반잠수정은 최초 발견 6시간 35분 만인 18일 오전 6시 50분경 거제도 남서쪽 100km 공해상에서 광명함의 76mm 함포와 40mm 함포 사격에 의해 격파되어 격침되었다. 침몰한 반잠수정 내외에서는 숨진 [[북한군]] 6명의 주검이 발견됐으며 교전 과정에서 아군의 인명피해는 없었다.[* [[https://imnews.imbc.com/replay/1998/nwdesk/article/1775114_30723.html]]][* [[https://www.yna.co.kr/view/AKR20151218079600054]]] 침몰한 반잠수정의 유류품을 수색하는 과정에서 북한 공작원의 노트가 발견되었다. 그 노트에선 종북 조직 "민족민주혁명당"에 관한 상세한 기록이 적혀 있었다. 이 증거를 토대로 [[이석기]], [[김영환(1963)|김영환]]등의 조직원들을 적발해 기소할 수 있었다. 이것이 바로 [[민족민주혁명당 사건]]이다. 북한군이 이용한 반잠수정은 길이 12.5m, 폭 3m, 높이 1.4m에 6~8명이 탑승할 수 있었으며 수면 아래로 20m까지 잠수해 시속 7~80km로 이동할 수 있었고 반잠수 상태일 때는 물 위로 6~70cm만 드러나 [[대한민국 해군]]에 들키지 않고 여수까지 내려올 수 있었다. 이후 해군은 이 반잠수정과 동일한 스펙의 선박을 만들어 침투 식별 및 저지 훈련을 하기도 하였다. 이후 노획한 반잠수정과 기관권총, 수류탄, 야전삽 같은 노획물 33점을 인근 율림리의 율림초등학교를 전시관으로 개조해 전시해 두었다. 전시관은 여수시나 [[돌산읍]]에서 [[향일암]]으로 가는 길에 있어 쉽게 발견할 수 있다. 반잠수정을 처음 발견한 [[제31보병사단]]에서는 이 사건을 기념하며 교육 및 훈련 과정에서 자주 언급한다. 루머 중 하나로 최초로 반잠수정을 발견한 [[TOD]] 병이 [[컵라면]]을 먹고 있다가 우연히 발견했다는 이야기가 있는데 이는 사실이 아니며 평범하게 근무하다가 발견했다고. 여수에서는 [[택시 기사]]가 발견했다고도 잘못 알려져 있다. 2021년 9월 27일 기사 [[https://www.wikitree.co.kr/articles/692320|이등병이 잡은 간첩 선박… 국방부 간부가 뜬금없이 나타나 공적 가로챘다]](위키트리 김정연 기자)에서 이 사건이 언급되었다. 국회는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해안 레이더가 유지비로 상당한 비용을 소모하며 일부를 관리 부대 간부들이 가로챈다"는 제보를 확인하기 위해 관련 자료를 요구했다. 이에 국방부는 지난 23일 '여수 반잠수정 격침 사건'을 레이더 장비로 얻은 실적 중 하나로 발표했다. 이 잠수정은 사건 한 달 전 [[강화도]]로 침투하려던 중 이를 발견한 [[대한민국 해병대]]의 잘못된 조치에 도망갔다는 소문이 있다. [[분류:1998년/사건사고]][[분류:해전]][[분류:북한/대남 도발]][[분류:김정일 시대]][[분류:여수시의 사건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