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width=30]]]] {{{#cfa547 '''[[대한민국 국회의원|{{{#cfa547 대한민국 국회의원}}}]] ([[경상남도|{{{#cfa547 경남}}}]] [[남해군·하동군|{{{#cfa547 남해군·하동군}}}]])'''}}} || || 제13-17대[br][[박희태]] || → || '''제18대[br]여상규''' || → || ''선거구 통합''[br]'''여상규'''[*A [[남해군·하동군]] 선거구 [[제18대 국회의원]] → [[사천시·남해군·하동군]] 선거구 [[제19대 국회의원]].] || ||<-5>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svg|width=30]]]] {{{#cfa547 '''[[대한민국 국회의원|{{{#cfa547 대한민국 국회의원}}}]] ([[경상남도|{{{#cfa547 경남}}}]] [[사천시·남해군·하동군|{{{#cfa547 사천시·남해군·하동군}}}]])'''}}} || || ''선거구 통합''[br][[강기갑]][* [[사천시(선거구)|사천시]] 선거구의 [[제18대 국회의원]] 이다.][br]'''여상규'''[*A] || → || '''제19-20대[br]여상규''' || → || 제21대[br][[하영제]] || || {{{#ffffff '''역임한 직위'''}}}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svg|width=30]]]] {{{#cfa547 '''[[대한민국 국회|{{{#cfa547 대한민국 국회}}}]] [[법제사법위원회|{{{#cfa547 법제사법위원장}}}]]'''}}} || || 제20대 전반기[br][[권성동]] || → || '''제20대 후반기[br]여상규''' || → || 제21대 전반기[br][[윤호중]] || ---- }}} || ---- ||<-2> '''{{{#ffffff 대한민국 제18-20대 국회의원[br]{{{+1 여상규}}}[br]余尙奎 | Yeo Sang-kyoo}}}'''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blogpfthumb.phinf.naver.net/_RUS5392.jpg|width=100%]]}}} || ||<|2> '''{{{#ffffff 출생}}}''' ||[[1948년]] [[9월 15일]] ([age(1948-09-15)]세)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정서리 상신마을 || || '''{{{#ffffff 현직}}}''' ||법무법인 한백 자문변호사[* [[https://www.lawtimes.co.kr/Legal-News/Legal-News-View?serial=161848|참조]]][br]대한민국[[헌정회#s-1]] 사무총장 || || '''{{{#ffffff 거주지}}}''' ||[[서울특별시]] [[서초구]] [[양재동]] 양재빌라 || || '''{{{#ffffff 본관}}}''' ||[[여(성씨)#s-3|의령 여씨]][* 삭주공파-사직공파 30세 규(奎) 항렬.] || || '''{{{#ffffff 배우자}}}''' ||박현숙(朴賢淑)[* [[밀양 박씨]] 박효열(朴孝烈)의 딸이다.] || || '''{{{#ffffff 자녀}}}''' ||아들 여정석(余政錫), 딸 여정민(余庭旼) || || '''{{{#ffffff 학력}}}''' ||[[악양초등학교|악양국민학교]] {{{-2 (졸업)}}}[br]악양중학교 {{{-2 (졸업)}}}[br][[경남고등학교]] {{{-2 (졸업 / 22회)}}}[br][[서울대학교 법과대학]] {{{-2 (법학 / 학사)}}} || || '''{{{#ffffff 병역}}}''' ||[[대한민국 육군]] [[상등병|상병]] 만기전역[* [[노무현]] 전 대통령처럼 현역병 출신인데 상병으로 전역한 사례이다.] || || '''{{{#ffffff 종교}}}''' ||[[불교]] || || '''{{{#ffffff 소속 정당}}}''' ||[include(틀:국민의힘)] || || '''{{{#ffffff 의원 선수}}}''' ||'''3''' || || '''{{{#ffffff 의원 대수}}}''' ||[[제18대 국회의원|'''18''']], [[제19대 국회의원|'''19''']], [[제20대 국회의원|'''20''']] || || '''{{{#ffffff 경력}}}''' ||제20회 사법시험 합격[br]제10기 [[사법연수원]] 수료[br][[서울고등법원]] [[판사]][br]법무법인 한백 대표변호사[br]방일영 문화재단 이사[br]사법시험 출제위원[br]사법연수원 외래교수[br][[제18대 국회의원]] {{{-2 ([[남해군·하동군|경남 남해군·하동군]] / [[한나라당]])}}}[br][[한나라당]] 인권위원회 위원[br][[한나라당]] 지방자치안전위원회 위원장[br][[한나라당]] 법률지원단장[br][[제19대 국회의원]] {{{-2 ([[사천시·남해군·하동군|경남 사천시·남해군·하동군]] / [[새누리당]])}}}[br][[제19대 국회]] 전반기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지식경제위원회]] 간사[br]제19대 국회 전·후반기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산업통상자원위원회]] 간사[br][[새누리당]] [[황우여]] 대표최고위원 비서실장[br][[새누리당]] 정책위원회 부의장[br][[새누리당]] 중앙윤리위원회 위원장[br][[새누리당]] 제4정책조정위원회 부위원장[br][[제20대 국회의원]] {{{-2 (경남 사천시·남해군·하동군 / [[새누리당]])}}}[br][[제20대 국회]] 후반기 [[법제사법위원회]] 위원장[br][[미래한국당]] 선대위 상임고문[br]대한민국[[헌정회#s-1]] 사무총장 || || '''{{{#ffffff 외부 링크}}}''' ||[[https://m.facebook.com/sky435|[[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http://blog.naver.com/bluesky435|[[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0]]]]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sky435, 크기=20)]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법조인]] 출신 [[정치인]]. 전 국회의원이며, 20대 국회 후반기 때는 [[법제사법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하였었다. == 생애 == 1948년 9월 15일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정서리 상신마을에서 아버지 여민엽(余旻燁)과 어머니 [[김해 김씨]] 김상동(金上同)[* 김응도(金應道)의 딸이다.] 사이의 4남 6녀 중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악양초등학교]], 악양중학교, [[경남고등학교]][* 22회 졸업 동기생으로 [[오거돈]], [[허창수]]가 있다.],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을 수석으로 졸업하였다. [[방일영]] 장학생 1기 출신이다. 이후 [[사법시험]]에 합격하고 사법연수원을 10기로 수료한 뒤 판사로 24년간 근무하다가, 1993년 변호사로 개업하였다. [[판사]]로 근무하던 당시, 훗날 재심으로 무죄로 판결되는 간첩조작 사건을 맡은 것으로 [[그것이 알고싶다]] 1109회(2018년 01월 27일) 방송에 등장하였다. 자신은 간첩조작에 대해 자세한 내막을 모른다는 주장을 하였는데, 이는 [[여상규/논란]] 문서에 자세히 서술되어 있다.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불출마를 선언하고 정치 활동을 그만둔 이후 주중에는 [[변호사]]로, 주말에는 [[농부]]로 살아갈 계획이라고 한다. [[https://www.mk.co.kr/news/politics/view/2020/05/539155/|#]] === 정치 활동 === 2008년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박희태]] 대신 [[한나라당]] 후보로 경상남도 남해군-하동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첫 국회의원에 당선되었으며 이후에 [[친이]]계에 속하였다.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누리당]] 후보로 사천시-하동군-남해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통합진보당]] [[강기갑]] 후보, [[무소속]] [[이방호]] 후보를 꺾으며 재선에 성공하게 되고, 2015년 12월 새누리당 윤리위원장에 선임되었다.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새누리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해 3선에 성공하였다. 그런데 선거가 끝난 뒤인 2016년 5월에 교통사고로 운전 중이던 지역구 사천지역 사무장이 사망하는 일이 발생했다. 본인 또한 이 사고로 목에 부상을 입었지만[* 사고 직후 나온 기사들을 보면 목에 경상을 입었다고 되어 있다.] 현재는 회복된 상태인 걸로 보인다. 2016년 12월 27일 새누리당을 탈당하고 [[바른정당]]에 합류하였지만, 2017년 5월 2일 다른 비유승민계 의원들[* [[장제원]], [[홍문표]], [[박성중]], [[박순자]], [[이진복]], [[이군현]], [[김성태]], [[김재경(1961)|김재경]], [[김학용]], [[권성동]], [[홍일표]], [[황영철]]. 단 [[정운천]]은 [[유승민]]을 지지하기로 하면서 범[[친유]]로 전향했다.]과 함께 [[홍준표]] 후보 지지를 선언하며 [[바른정당]] 탈당계를 제출하고 [[자유한국당]]에 복당을 위한 입당원서를 제출했다.[[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5/02/0200000000AKR20170502050700001.HTML?from=search|#]] 5월 6일 [[홍준표]] 대통령 후보가 당무우선권을 근거로 복당을 지시한 것을 두고 당내 작은 내홍을 겪다가 [[정우택]] 당대표 권한대행이 최종적으로 이를 승인하였다. 5월 12일 마침내 동반 탈당한 11명의 [[바른정당]] 탈당파 의원들과 함께 복당 절차가 완료되었다. 20대 국회 후반기 [[법제사법위원회]] 위원장이었으며, 21대 총선에서는 불출마를 선언하였다.[[https://www.yna.co.kr/view/AKR20200102015751001?input=1195m|#]] 2020년 3월 29일 [[미래한국당]]으로 당적을 옮기면서 미래한국당의 [[원내교섭단체]] 구성에 기여하였다.[[https://newsis.com/view/?id=NISX20200329_0000974285&cID=10301&pID=10300|#]] 이후 3월 31일 출범한 미래한국당 선거대책위원회 상임고문에 임명되었다.[[https://view.asiae.co.kr/article/2020033115202873195|#]] [[친이]]계 중진답게, 2022년 1월 24일에는 [[이명박]] 전 대통령 석방을 촉구하기 위한 전직 국회의원들의 성명서에 이름을 올렸다. [[https://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2/01/24/2022012400084.html|#]] == 사상 및 견해 == * 개헌론자로, [[이원집정부제]]를 지지하는 걸로 보인다. * 사드 문제에 대해 중국이 레이더로 한국 감시를 다 하는데 방어용 무기를 들여온다고 중국이 보복을 하는 것은 올바르지 않은 일이라고 주장한 바 있다. == [[/논란|논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여상규/논란)] == 여담 ==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당선 이후인 2016년 5월 10일 지역구 행사에 가다가 차량이 빗길에 미끄러지는 교통사고가 있었다.[[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208032|#]] 이 때 운전자였던 사천지역 사무장은 즉사하고 본인은 부상을 입어 20대 국회 임기 초반 2년을 허송세월 보냈다고 한다. 무리해서 지역 행사에 가다 보니[* 특히 서울과 사천은 굉장히 멀리 떨어져있다. 서울과 비교적 가까운 수도권, 충청권 등에 비해 영호남의 경우 지역구 관리가 힘든 측면이 있다. 그나마 [[KTX]], [[SRT]]를 이용할 수도 있는 [[부산광역시|부산]], [[대구광역시|대구]], [[울산광역시|울산]], [[창원시|창원]], [[김해시|김해]], [[양산시|양산]], [[거제시|거제]], [[구미시|구미]], [[경산시|경산]], [[김천시|김천]]과 같은 지역구의 경우에는 접근성도 용이하고 면적 범위도 좁아서 큰 문제가 없지만, 여상규 국회의원의 사례는 농어촌, 그것도 [[경상남도]]의 중심인 동부경남권과 멀리 떨어진 서부경남권 지역이라 자가용을 이용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과속과 신호위반이 잦았다고 한다. 사고 1년 후 의사의 권유로 과일나무 농사를 지으면서 통증이 덜해졌고,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불출마 이후 주말 농부 생활을 하고 있다.[[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2005312045025|#]][* 이 지역구의 전직 의원인 [[강기갑]] 전 의원도 정계 은퇴 후 농부 생활을 하고 있다.] * [[2019년]] [[12월 30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 이뤄진 [[추미애]] [[법무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 도중, 졸지에 [[팀킬]](?)을 해 버렸다. 사실은 [[자유한국당]] 소속 [[장제원]], [[이은재(정치인)|이은재]] 의원 등이 처음부터 과거에 있었던 1억 원 정치자금법 위반에 대해 공세를 펼쳤는데, 여상규 위원장이 이를 제지한 것. 그래서 이에 반발한 [[자유한국당]] 의원들에게 소리를 지르고 강하게 제지하는 아이러니한 상황이 벌어진것이다. 이에 대해 [[대안신당]] [[박지원(1942)|박지원]] 의원은 "여상규 위원장님이 끝물을 잘하셨다."며 칭찬을 했었다. 또 네티즌들은 "잘했다" "원래 이렇게 해야 한다" 같은 호의적 반응부터 "같은 판사 출신이라 그런가?" 같은 의아한 반응과 "[[추미애]] 법무부 장관 후보자에게 잘 보이려고 한다"는 비판적 반응이 나오는 등 상당히 [[호불호]]가 갈리는 중. [[http://naver.me/xay2BVQj|여상규 VS 장제원 고성... 박지원 "여상규 존경한다"]] * [[제21대 국회]] 원구성에서 [[더불어민주당]]이 법사위원장 자리를 가져오려는 의지가 강한 모습을 보이는데 이유가 여상규 의원이 법사위원장을 지내는 동안 마치 미국 국회의 상원처럼 다른 상임위에서 이미 가결한 안건들을 또 한번 심사하며 발목을 잡았던 것 때문이라는 분석이 있다. 게다가 법사위 권한 축소를 하기로 하고 당 대 당으로 합의를 봤음에도 법사위원장에 앉자 축소는 없다고 하는 등 빈축을 샀다.[[http://www.newspim.com/news/view/20200512001002|#]] 결론적으로 더불어민주당 [[윤호중]] 의원이 제21대 국회 전반기 법제사법위원장을 맡게되었다. == 소속 정당 == || '''{{{#fff 소속}}}''' || '''{{{#fff 기간}}}''' || '''{{{#fff 비고}}}''' || || [include(틀:한나라당)] || 2008 - 2012 || 정계 입문 ||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2012 - 2016 || 당명 변경 || || [include(틀:무소속)] || 2016 - 2017 || 탈당[*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로 인한 탈당.] || || [include(틀:바른정당)] || 2017 || 창당 || || [include(틀:무소속)] || 2017 || 탈당[* 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 || || [include(틀:자유한국당)] || 2017 - 2020 || 복당 || || [include(틀:미래통합당)] || 2020 || 합당[* [[새로운보수당]], [[미래를향한전진4.0]]과 신설 합당.] || || [include(틀:무소속)] || 2020 || 탈당[* [[미래한국당]] 합류를 위한 탈당.] || || [include(틀:미래한국당)] || 2020 || 입당 || || [include(틀:미래통합당)] || 2020 || 합당[* [[미래통합당]]에 흡수 합당.] || || [include(틀:국민의힘)] || 2020 - 현재 || 당명 변경[br]정계 은퇴 ||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 2008 ||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 경남 [[남해군·하동군|남해·하동]] || [include(틀:한나라당)] || '''34,874 (56.74%)''' ||<|3> '''당선 (1위)''' || '''초선''' || || 2012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2> 경남 [[사천시·남해군·하동군|사천·남해·하동]] ||<|2>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57,840 (50.30%)''' || '''재선''' || || 2016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 '''59,717 (54.83%)''' || '''3선'''[* 2016.12.27 새누리당 탈당[br]2017.1.24 바른정당 창당[br]2017.5.2 바른정당 탈당[br]2017.5.12 자유한국당 복당[br]2020.3.29 미래통합당 탈당 및 미래한국당 입당[br]2020.5.29 미래통합당 흡수합당] || || {{{#ffffff '''역대 선거 벽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utkdrb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utkdrb2.jpg|width=100%]]}}} || || [[제18대 국회의원 선거|{{{#000000,#e5e5e5 18대 총선}}}]] [[남해군·하동군|{{{#000000,#e5e5e5 (경남 남해군·하동군)}}}]]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000000,#e5e5e5 19대 총선}}}]] [[사천시·남해군·하동군|{{{#000000,#e5e5e5 (경남 사천시·남해군·하동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utkdrb3.jpg|width=100%]]}}} || ||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000000,#e5e5e5 20대 총선}}}]] [[사천시·남해군·하동군|{{{#000000,#e5e5e5 (경남 사천시·남해군·하동군)}}}]] || || }}}}}} || == 둘러보기 == [include(틀:제18대 국회의원/경상남도)] [include(틀:제19대 국회의원/경상남도)] [include(틀:제20대 국회의원/경상남도)] [include(틀:제19대 국회의원/새누리당)] [include(틀:제20대 국회의원/미래통합당)] [[분류:제18대 국회의원]][[분류:제19대 국회의원]][[분류:제20대 국회의원]][[분류:한나라당 국회의원]][[분류:새누리당 국회의원]][[분류:바른정당 국회의원]][[분류:자유한국당 국회의원]][[분류:미래통합당 국회의원]][[분류:미래한국당 국회의원]][[분류:대한민국의 법조인]][[분류:의령 여씨]][[분류:하동군 출신 인물]][[분류:1948년 출생]][[분류:법조인 출신 정치인]][[분류:경남고등학교 출신]][[분류:서울대학교 출신]][[분류:국민의힘 소속]][[분류:대한민국의 농부]][[분류:2020년 은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