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풍월드 무공]] [목차] == 개요 == [[풍종호]] 무협소설 『[[지존록]](至尊錄)』에서 환영(幻影)으로나마 등장하는 풍객(瘋客) [[풍객 치우|치우]](痴愚)가 만들어낸 [[묵연동]](默然洞)의 불가(佛家) 제1위 절기이다. 여래대장경(如來大藏經)의 세 번째 단락에 포함되어 있다. 원래 여래대장경은 여래보결(如來寶玦) 안에 새겨져 있던 것으로, 제대로 읽어낼 수 있는 자에게만 비로소 전수되던 무학이다. 그러던 것이 어느 대인가부터 여래보결은 장문지보가 되어 대신 여래대장경이 전해지기 시작해 투전무승(鬪戰武僧)의 전통도 점차 나약해져 후예들은 여래보결을 볼 능력도 없어져 갔다. 결국, 여래대장경의 앞부분을 읽고 얻은 하찮은 능력에 기고만장(氣高萬丈)하여, 첫째 장과 둘째 장을 완성하면 여래대장경을 대성한다는 풍조가 생겨나는 처참한 상황까지 쇠퇴하고 만다. 오랫동안 [[마교(풍종호)|마교]](魔敎)를 비롯한 수많은 사마외도(邪魔外道)와 싸워 얻은 절기가 사라질 위기였다. 더는 그런 꼴을 볼 수 없었는지 문중의 장로인 한 늙은 투전무승이 여래보결과 여래대장경을 들고 나와버린다. 치우는 그를 만나 비급은 외워 옮기며, 여래보결은 선물로 받아 묵연동에 비치한다. == 구성 == * 1부, '''여래대장팔문묘타(如來大藏八門妙打)''': [[제세칠성]](濟世七聖)은 천축에 갔을 때 '''여래신타(如來神打)'''를 만나서 길 안내를 받아 대가로 통천타(通天打)와 삼반수(三盤手)의 비결을 알려 준다.[* 적과 세 번 접촉이 일어나면, 승리할 수 있는 수법이 삼반수이다. 한 번 만날 때마다 기흔(氣痕)을 남기다가 세 번째에는 경맥(經脈)에 타격이 들어간다. 즉, 미약한 진기의 파문을 연이어 남기고, 그 파문이 한 자리에 모여 타혈(打穴)의 위력을 발휘한다. 이런 삼반수를 제대로 사용할 수 없는 상황이거나 그럴 여유가 없을 경우, 단 한순간에 터뜨리는 것이 통천타이다. 그러므로 삼반수 절반의 효과에 그칠 뿐이다. 이러한 삼반수와 통천타는 귀문신투의 무경요람(武經要覽)에 실린 삼첩인(三疊印)과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 삼첩인이 같은 자리를 같은 수법으로 세 번 거듭 가격하여 어떤 강한 방패라도 부술 수 있는 기예라면, 삼반수는 동류(同流)의 진기를 세 번 접촉하기만 하면 된다. 다만 통천수와 삼첩인을 병용하면, 통천수의 위력이 약한 점을 만회할 수 있다는데··· 정작 무경요람이 견문을 보충하기 위함이라 삼첩인을 펼칠 방법이 쓰여있지 않았다.] 그 여래신타로부터 구대(九代)에 걸쳐서 완성된 것이 여래대장팔문묘타이다. 여래대장팔문묘타는 손과 발 및 온몸을 이용해 전개되는 타격술(打擊術)의 절정기예(絶頂技藝)로, [[풍현]]은 모든 타격술의 대응법인 [[귀문신투]](鬼門神偸)의 무적대금나(無敵大擒拿)를 이미 익힌 바, 쉽게 여래대장팔문묘타를 배운다. * 2부, '''천마비기 사십구결(天魔秘技 四十九訣)''': 여래신타의 후인들이 [[천마(풍종호)|천마]](天魔)의 후예들과 싸워서 간파한, [[천마신공(풍종호)|천마신공]](天魔神功)을 바탕으로 하는 마공절기(魔功絶技)에 공통으로 흐르는 외문초식을 집대성한 것이다. 즉, 여래신타로 이 천마신공의 외문초식을 펼치는 것이 천마비기 사십구결이다. 초식 수가 많지만, 실상은 [[절대천마]](絶代天魔)의 대천마신뢰인(大天魔神雷印) 삼귀결(三歸訣) 중 귀진결(歸眞訣)이 독립한 것과 같아 [[여의천환영]](如意天幻影)이 아주 쉽게 막아낸다. * 3부, '''여래천마자심소(如來天魔慈心笑)''': ''''자비일심소(慈悲一心笑), 천하대독존(天下大獨尊)''''이라 칭해지는 무권(无圈)의 절기이다. 자심무변(慈心無變), 자신의 내공을 방사함으로 형성되는 기권을 다시 비우되, 그 권역에 대한 영향력만은 그대로 행사하는 것이 무권이라 불리는 경지이다. 그리고 이를 한 줄기 미소로 드러낸다 하여 자심소이다. 전개하면 잔잔하고 고요하게 서서히 뻗어 나가는 무권은 그 안에 있는 모든 힘을 지워 무의미하게 한다. 그렇기에 자심소는 칠성의 정종마예(正宗魔藝) 중 혼(魂)마저 멸한다는 구천겁혼(九天劫魂)마저도 안전하게 펼칠 수 있게 한다.[* 풍현이 묵연동에서 여래대장경의 모든 것을 다 익히고 여래천마자심소를 시험 삼아 펼친다. 이왕이면 묵연동을 뒤흔들어 부수고 나갈 틈을 만들 생각이었다. 그러나 치우가 선물로 안배한 [[지존록#s-4|쌍룡신마편]](雙龍神魔鞭)이 기습적으로 풍현에게 쏘아져 내려와 풍현은 자심소를 더 유지하지 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