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토론 합의, 토론주소1=ALateAndPeacefulFather, 합의사항1=여담을 서술하는 편집 방식에 대해 부정적 또는 긍정적인 논조를 담은 의견 주장성 서술을 금지하고\, 중립적인 서술만 추가하여 존치하기)] [목차] == 개요 == >이야기하는 과정에서 본 줄거리와 관계없이 흥미로 하는 딴 이야기. >---- >[[표준국어대사전]] {{{+2 [[餘]][[談]] / Digression, [[트리비아|Trivia]]}}} 남는 이야기, 주제 이후에 덧붙이는 이야기. == 나무위키에서 == [include(틀:위키 용어)] [[나무위키]]에는 '여담'이 붙여진 문단이 많이 보이는데 이는 [[리그베다 위키]] 시기부터 있었던 서술 경향이다. 따로 [[문단]]으로 분류하기 어렵고 애매한 것들을 자잘자잘하게 한 마디씩 덧붙이는 방식의 서술을 통해 만들어진다. [[엔하위키]] 시절부터 이곳 위키는 잡설이나 부차적인 이야기를 많이 적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본격적인 내용은 사전이나 책 같은 기존 매체, 혹은 [[위키백과]]에서 쓰고 [[엔하계 위키]]에는 그런 데 쓰기 어려운 것들을 적는 식의 인식이다. 다만 [[나무위키]] 시기부터는 위키백과보다도 더 전문적인 내용의 문서들이 이전 시기에 비해 많이 늘어났다.] 여담 문단도 자주 보인다. 여담 문단을 따로 생성하지 않고 그냥 문장에 '여담으로'를 붙여 기술한 문장도 매우 많다. 이런 경우에는 '트리비아'나 '기타' 같은 표현보다는 '여담'이라는 단어가 주로 많이 쓰인다. 그때는 굳이 '여담으로'라는 말을 쓸 필요가 없다. 본문과 완전히 관련이 없는 내용이 아닌 이상 앞에 사족을 붙일 필요 없이 그냥 기술해도 자연스럽기 때문이다. [[국가]] 문서에서 여담이 좀 많은 편이다. 예를 들면, '여담이지만 이 국가는 자동차 산업이 발달했다.', '여담이지만 이 국가는 [[농구]]를 잘한다.'처럼 [[경제]]나 [[스포츠]] 문단에 쓰면 될 내용인데도 그렇게 분류하지 않고 여담에 쓰는 경우가 꽤 있다. === 문단명 === 비슷한 용도로 [[이야깃거리]]가 쓰인다. 이외에 [[참고]], [[사족]], 뱀발이라는 표현도 있다. 근래에는 대체 표현으로 본문에서는 '참고로'나 '한편'이, 문단명으로는 '기타', '이모저모', '이야깃거리', '[[트리비아]]' 등이 쓰이고 있다. [[나무위키:편집지침/일반 문서#s-3|나무위키의 편집지침]]에 따르면 문단명으로 사용할 경우 '트리비아', '이야깃거리', '이모저모' 등 보다는 '여담' 또는 '기타'를 우선한다는 규정이 있다. 여담은 [[영어]]로 'digression'이며 [[FANDOM]](구 위키아)과 과거의 [[영어 위키백과]]를 비롯한 [[영미권]]의 [[위키]]에서 유래된 사용 법이다. 영미권 위키들에서는 '[[트리비아]](trivia)'라고 자주 쓴다. 완전히 같은 뜻은 아니지만 용법은 아주 비슷하다. 단, 위키백과는 되도록 트리비아 단락을 피하라는 [[https://en.wikipedia.org/wiki/Wikipedia:Manual_of_Style/Trivia_sections|지침]]이 제정된 후 지속적인 정리 작업이 이루어져 위키백과에서 적어도 trivia라는 제목을 가진 독립된 단락은 거의 찾아보기 어렵다. 다만 FANDOM 같은 가벼운 분위기의 위키들에는 여전히 많이 쓰이고 있다. === 여담 === * [[백괴사전]]에는 여담이라는 문서는 없지만 '[[https://uncyclopedia.kr/wiki/%EC%9D%BD%EA%B8%B0_%EC%96%B4%EB%A0%A4%EC%9A%B4_%EB%AC%B8%EC%9E%A5|읽기 어려운 문장]]' 문서에서 Ctrl+F로 여담 항목을 찾을 수 있었다. *~~이 문단은 여담 문서의 여담 문단이라는 것을 알리는 여담이다.~~ == 하위 분류 == * [[:분류:인물별/여담]] == 관련 문서 == * [[트리비아#위키에서의 사용]] * [[나머지|기타]] * [[이야깃거리#문단 제목]] * [[사족]] * [[TMI]] [[분류:여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