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카드군/지정되지 않는 경우]][[분류:유희왕/OCG/천사족]][[분류:유희왕/OCG/일반 몬스터]][[분류:엘프]] [목차] == 개요 == [[유희왕]]에 존재하는 [[엘프]]란 이름이 붙은 카드들. 작중에서는 [[무토우 유우기]]가 초기 엘프 시리즈 중 [[홀리 엘프]]와 [[엘프 검사]]를 사용했으며,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에서는 [[마자키 안즈]]가 [[속성 장착 마법|엘프의 빛]], [[고대 엘프]], [[쌍둥이 자매 엘프]][* 패에 있는 것으로만 나오고 소환하지는 않았다.] 등을 사용한 것으로 나왔다. [[유희왕 R]]에서 [[텐마 겟코]]가 엘프 테마 덱을 사용했으며, [[유희왕 5D's(코믹스)|유희왕 5D's 코믹스판]]에서는 [[셰리 루브란]]이 '마법요정(매직 엘프)'라는 테마덱을 사용한 바 있지만 이 때 등장한 카드 중 현 시점에서 OCG화가 이루어진 것은 없다. 엘프에 속해 있는 [[엘프 검사]]는 [[엘프의 성검사]]의 효과로 카드군이 되지만 엘프 검사의 영문명이 'Celtic Guardian'이기 때문에 만약 엘프가 카드군이 된다면 에라타나 별도의 명칭 지정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일반 몬스터]] == === [[홀리 엘프]] === === [[엘프 검사]] === === 댄싱 엘프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4454_1.jpg|width=400]] || 한글판 명칭 ||<-4>'''댄싱 엘프'''|| || 일어판 명칭 ||<-4>'''ダンシング・エルフ'''|| || 영어판 명칭 ||<-4>'''Dancing Elf'''|| ||<-5> [[일반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1 || [[유희왕/속성|바람]] || [[천사족]] || 300 || 200 || ||<-5>음악에 맞춰 하늘을 춤추는 엘프. 날개는 예리한 칼날로 되어 있다.|| 유일한 레벨 1의 바람 속성 / 천사족이자 [[일반 몬스터]]. 하지만 천사족 중에서는 빛 속성이자 전용 서포트도 존재하는 [[모케모케]], 또는 [[운마물|운마물-스모크 볼]] 쪽이 더 쓰기 쉽다. 쓴다면 속성이나 레벨을 적극 활용하자. 성능과는 별개로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OCG 시리즈 발매 정보/기타 카드 일람|토너먼트 팩]]에서만 나오고 인지도가 없어 구하기 매우 힘들다. 거기에 일본판은 레어도를 울트라 레어로 찍어버린 귀한 카드다. 일러스트에서는 가슴골이나 허벅지 등이 노출되어있지만, 드물게도 수출판에서 아무런 수정이 가해지지 않았다.~~있는 지도 몰랐을 테니~~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에서는 [[어둠의 유우기]]와 듀얼 중이던 [[스텝 죠니]]의 패에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춤이나 음악을 모티브로 한 팬 덱을 사용하는 만큼 이 카드도 투입된 것으로 추정. [[유희왕 듀얼몬스터즈(게임)|게임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시리즈에서는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 암계결투기]]에서부터 등장. 해당 게임에서는 [[댄싱 솔저|댄싱의 유혹]]에 바칠 제물로 필요한 카드 중 하나였다. 다만 이를 통해 [[의식 소환]]되는 [[댄싱 솔저]]가 실용성이 없는데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I 삼성전신강림]] 이후부터는 다른 카드로도 제물로 바칠 수 있게 되었다. 오히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4 최강결투자전기]] 까지는 다양한 융합 소재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이 더 이용 가치가 있었다. [[유희왕 진 듀얼몬스터즈|유희왕 진 듀얼몬스터즈 II 계승된 기억]]에서는 [[마자키 안즈|안즈]]가 덱 리더로 사용한다. 또한 공격력 800 미만의 천사족 몬스터와 융합하여 [[홀리 엘프]]가 될 수 있는 특수한 융합 패턴이 있었다. === [[고대 엘프]] === === [[쌍둥이 자매 엘프]] === === 윙 에그 엘프 ===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WingEggElf-V5-JP-C.jpg|width=400]] || 한글판 명칭 ||<-4>'''윙 에그 엘프''' (미발매, [[유희왕 듀얼링크스]] 번역명)|| || 일어판 명칭 ||<-4>'''ウィング・エッグ・エルフ'''|| || 영어판 명칭 ||<-4>'''Wing Egg Elf''' (미발매, 공식 번역명)|| ||<-5> [[일반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3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빛]]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종족|천사족]] || 500 || 1300 || ||<-5>알껍질로 몸을 뒤덮은 천사. 커다란 날개로 공격을 막는다.|| 레벨 3 / 빛 속성 / 천사족 [[일반 몬스터]] 중에서는 [[꼬마천사|텐더네스]] 다음 가는 수비력을 가졌으며, 유일하게 [[데브리 드래곤]]의 효과에 대응한다. 또한 [[모케모케]]와 일부 서포트 카드를 공유하므로 모케모케 덱에서 활약할 가능성도 있다. 그밖에 상기의 특징을 살려 [[고등의식술]]의 릴리스 소재로서 [[디클레어러]] 덱에 투입해볼 수도 있겠다. [[팔레트 스왑]] 버전으로 [[일반 몬스터/개별 문서가 없는 카드/레벨 5#탄생의 천사|탄생의 천사]]가 존재한다. 이후 [[사이버 엔젤]] 덱 서포트 카드인 [[사이버 엔젤#사이버 에그 엔젤|사이버 에그 엔젤]]로 리메이크 되었다. == 효과 몬스터 == === [[다크 엘프(유희왕)|다크 엘프]] === === [[엘프 검사(유희왕/카드군)#번롱하는 엘프 검사|번롱하는 엘프 검사]] === === [[툰#툰 쌍둥이 자매 엘프|툰 쌍둥이 자매 엘프]] === === [[풀 엘프]] === === [[엘프의 성검사]] === === [[점술공주#점술공주 페탈엘프|점술공주 페탈엘프]] === === [[신비의 요정 엘피리아]] === 한국판 한정으로 표기 때문에 해당되지 않는다. === [[이괴의 요정 엘포비아]] === 한국판 한정으로 표기 때문에 해당되지 않는다. == 엑시즈 몬스터 == === [[샤인 엘프]] === == 링크 몬스터 == === [[엘페이즈]] === 일어판 한정. 한글판과 영문판에서는 철자가 달라 완전히 호환되지 않는다. === [[스프라이트(유희왕)#스프라이트 엘프|스프라이트 엘프]] === == 마법 카드 == === [[속성 장착 마법#엘프의 빛|엘프의 빛]] === == 함정 카드 == === [[홀리 엘프의 축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