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엘튼 존]] [include(틀:엘튼 존)]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1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45deg, #00ff00, #ff8c00, #ec118f)" '''{{{#fff 엘튼 존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1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45deg, #00ff00, #ff8c00, #ec118f)" '''{{{#fff 엘튼 존의 수훈 및 헌액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입성자,한글명=엘튼 존,영어명=ELTON JOHN,분야=음악,입성날짜=1975년 10월 23일,위치=6915)] ---- ||<-2>
[[파일:songwriters-hall-of-fame-logo_770_441_90_s.jpg|width=50]] {{{+1 '''[[작곡가 명예의 전당|{{{#ffd700 작곡가 명예의 전당}}}]] {{{#ffd700 헌액자}}} ''' }}}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ffd700 이름}}}''' || '''{{{#ffd700 엘튼 존[br]ELTON JOHN}}}''' || || '''{{{#ffd700 멤버}}}''' || {{{#ffd700 (엘튼 존)}}} || || '''{{{#ffd700 입성 연도}}}''' || '''{{{#ffd700 1992년}}}''' [[https://www.songhall.org/profile/Elton_John|출처 참조]] ||}}} || ---- ||<-2>
[[파일:5ARYZvK4L2afx8AcWcf6kF-1.jpg|width=60]] {{{+1 '''[[로큰롤 명예의 전당|{{{#DAA520 로큰롤 명예의 전당}}}]] {{{#DAA520 헌액자}}} ''' }}} || ||<-2><^|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ffd700 이름}}}''' || '''{{{#ffd700 엘튼 존[br]ELTON JOHN}}}''' || || '''{{{#ffd700 헌액 부문}}}''' || '''{{{#ffd700 공연자 (Performers)}}}''' || || '''{{{#ffd700 멤버}}}''' || {{{#ffd700 (개인자격)}}} || || '''{{{#ffd700 입성 연도}}}''' || '''{{{#ffd700 1994년}}}''' || || '''{{{#ffd700 후보자격 연도}}}''' || '''{{{#ffd700 1994년}}}''' || || '''{{{#ffd700 후보선정 연도}}}''' || '''{{{#ffd700 1994년}}}''' ||}}}}}}}}} || ---- [include(틀:대영제국 훈장(기사작위 수훈자들-남자))] ---- [include(틀:컴패니언 오브 아너 수훈자)] ---- ||<-3>
[[파일:그래미 어워드 콤비네이션 로고.png|width=60]] {{{+1 '''[[그래미|{{{#DAA520 그래미 명예의 전당}}}]]''' }}} || || '''{{{#ffffff 제목}}}''' || '''{{{#ffffff 헌액 부문}}}''' || '''{{{#ffffff 입성 연도}}}''' || || [[Your Song|{{{#0c0000,#ffffff Your Song}}}]] || {{{#0c0000,#ffffff 싱글}}} || {{{#0c0000,#ffffff 1998년}}} || || [[Goodbye Yellow Brick Road|{{{#0c0000,#ffffff Goodbye Yellow Brick Road}}}]] || {{{#0c0000,#ffffff 앨범}}} || {{{#0c0000,#ffffff 2003년}}} || || [[Elton John(음반)|{{{#0c0000,#ffffff Elton John}}}]] || {{{#0c0000,#ffffff 앨범}}} || {{{#0c0000,#ffffff 2013년}}} || || [[Tiny Dancer|{{{#0c0000,#ffffff Tiny Dancer}}}]] || {{{#0c0000,#ffffff 싱글}}} || {{{#0c0000,#ffffff 2020년}}} || ---- '''{{{+1 그 외 서훈 및 학위}}}''' [[프랑스 문예공로훈장]](Ordre des Arts et des Lettres) 오피시에 {{{-3 (1993년)}}} [[왕립음악원]] 명예회원 {{{-3 (1997년)}}} [[런던 대학교]] 명예 음악박사 {{{-3 (2002년)}}} [[레지옹 도뇌르 훈장]](Ordre National de la Légion d’honneur) 슈발리에 {{{-3 (2019년)}}} 국가인문학 훈장(National Humanities Medal) {{{-3 (2022년)}}}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1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45deg, #00ff00, #ff8c00, #ec118f)" '''{{{#fff 엘튼 존의 주요 수상 내역}}}'''}}}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ffffff ''' 역대 [[아메리칸 뮤직 어워드|{{{#ffffff 아메리칸 뮤직 시상식}}}]]''' }}} || ||<-5>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AMA_Logo.png|width=150]] || ||<-5> {{{#ffffff '''최우수 팝/록 남성 아티스트상'''}}} || || ''' 제3회 [br] ([[1976년]]) ''' || {{{+1 → }}} || ''' 제4회 [br] ([[1977년]]) ''' || {{{+1 → }}} || ''' 제5~7회 [br] ([[1978년]]~[[1980년|80년]]) ''' || || [[존 덴버]] || {{{+1 → }}} || '''엘튼 존''' || {{{+1 → }}} || [[배리 매닐로]][br]{{{-4 (3년 연속 수상)}}} || ||<-5> {{{#ffffff '''최우수 팝/록 노래상'''}}} || || ''' 제3회 [br] ([[1976년]]) ''' || {{{+1 → }}} || ''' 제4회 [br] ([[1977년]]) ''' || {{{+1 → }}} || ''' 제5회 [br] ([[1978년]]) ''' || || Rhinestone Cowboy[br][[글렌 캠벨]] || {{{+1 → }}} || '''[[Don't Go Breaking My Heart]][br]엘튼 존, 키키 디''' || {{{+1 → }}} || You Light Up My Life[br]데비 분 || ||<-5> {{{#ffffff '''최우수 어덜트 컨템퍼러리 아티스트상'''}}} || || ''' 제24회 [br] ([[1997년]]) ''' || {{{+1 → }}} || ''' 제25회 [br] ([[1998년]]) ''' || {{{+1 → }}} || ''' 제26회 [br] ([[1999년]]) ''' || || [[휘트니 휴스턴]] || {{{+1 → }}} || '''엘튼 존''' || {{{+1 → }}} || [[셀린 디옹]] || ---- ||<-5>'''{{{#ededed 역대 [[MTV 비디오 뮤직 어워드|{{{#ededed MTV 비디오 뮤직 어워드}}}]]}}}'''|| ||<-5>[[파일:external/static1.squarespace.com/mtv+moon+man+vid-atlantic.jpg|width=100]]|| ||<-5>'''{{{#ededed 최우수 안무상}}}'''|| ||'''제1회[br](1984년)'''||{{{+1 →}}}||'''제2회[br](1985년)'''||{{{+1 →}}}||'''제3회[br](1986년)'''|| ||"[[Thriller(노래)|Thriller]]" - [[마이클 잭슨]][br]{{{-2 (안무가: 마이클 잭슨, 마이클 피터스)}}}||{{{+1 →}}}||'''"[[Breaking Hearts#s-6.2.5|Sad Songs (Say So Much)]]"[br]- 엘튼 존[br]{{{-2 (안무가: 데이비드 앳킨스)}}}'''||{{{+1 →}}}||"Raspberry Beret" - [[프린스(음악가)|프린스 앤 더 레볼루션]][br]{{{-2 (안무가: 프린스)}}}|| ||<-5>'''{{{#ededed 특별상}}}'''|| ||'''제3회[br](1986년)'''||{{{+1 →}}}||'''제4회[br](1987년)'''||{{{+1 →}}}||'''제5회[br](1988년)'''|| ||빌 그레이엄, 잭 힐리||{{{+1 →}}}||'''엘튼 존, [[버니 토핀]]'''||{{{+1 →}}}||{{{-3 (특별상 부문 폐지)}}}|| ---- ||<-5>
{{{#ffffff '''역대 [[브릿 어워드|{{{#ffffff 브릿 시상식}}}]]''' }}} || ||<-5> [[파일:external/www.jdhlifestyle.co.uk/BRIT-Awards-2014-Logo.jpg|width=150]] || ||<-5> {{{#ffffff '''우수 기여상'''}}} || || ''' 제5회 [br] ([[1985년]]) ''' || {{{+1 → }}} || ''' 제6회 [br] ([[1986년]]) ''' || {{{+1 → }}} || ''' 제7회 [br] ([[1987년]]) ''' || || [[폴리스(밴드)|폴리스]] || {{{+1 → }}} || '''엘튼 존, [[왬!]]''' || {{{+1 → }}} || [[에릭 클랩튼]] || || ''' 제14회 [br] ([[1994년]]) ''' || {{{+1 → }}} || ''' 제15회 [br] ([[1995년]]) ''' || {{{+1 → }}} || ''' 제16회 [br] ([[1996년]]) ''' || || [[밴 모리슨]] || {{{+1 → }}} || '''엘튼 존''' || {{{+1 → }}} || [[데이비드 보위]] || ||<-5> {{{#ffffff '''영국 최우수 남성 솔로 아티스트상'''}}} || || ''' 제9~10회 [br] ([[1989년]]~[[1990년|90년]]) ''' || {{{+1 → }}} || ''' 제11회 [br] ([[1991년]]) ''' || {{{+1 → }}} || ''' 제12회 [br] ([[1992년]]) ''' || || [[필 콜린스]][br]{{{-4 2년 연속 수상}}} || {{{+1 → }}} || '''엘튼 존''' || {{{+1 → }}} || [[실]] || ||<-5> {{{#ffffff '''프레디 머큐리상'''}}} || || ''' 제16회 [br] ([[1996년]]) ''' || {{{+1 → }}} || ''' 제18회 [br] ([[1998년]]) ''' || {{{+1 → }}} || ''' 제19회 [br] ([[1999년]]) ''' || || The Help Album || {{{+1 → }}} || '''엘튼 존''' || {{{+1 → }}} || Jubilee 2000 || ||<-5> {{{#ffffff '''브릿 아이콘상'''}}} || ||<-5> '''엘튼 존''' || ---- [include(틀:역대 그래미 레전드상 수상자)] ---- ||<-5>
{{{#e5d85c '''역대 [[그래미 어워드|{{{#e5d85c 그래미 시상식}}}]]'''}}} || ||<-5> [[파일:external/www.brooklynvegan.com/grammy.jpg|width=150]] || ||<-5> {{{#e5d85c '''최우수 팝 듀오/그룹 퍼포먼스상'''}}} || || '''제28회[br]([[1986년]])''' || {{{+1 → }}} || '''제29회[br]([[1987년]])''' || {{{+1 → }}} || '''제30회[br]([[1988년]])''' || || "[[We Are the World]]"[br]- USA 포 아프리카 || {{{+1 → }}} || '''"[[That's What Friends Are For]]"[br]- 디온 워릭, 엘튼 존, [[글래디스 나이트]], [[스티비 원더]]''' || {{{+1 → }}} || "[[(I've Had) The Time of My Life]]"[br]- [[Bill Medley|빌 메들리]], 제니퍼 원스 || ||<-5> {{{#e5d85c '''최우수 연주곡상'''}}} || || '''제33회[br]([[1991년]])''' || {{{+1 → }}} || '''제34회[br]([[1992년]])''' || {{{+1 → }}} || '''제35회[br]([[1993년]])''' || || "Change of Heart" - [[팻 메스니]][br]{{{-3 (공연자: 로이 헤이즈, 데이브 홀랜드, 팻 메스니)}}} || {{{+1 → }}} || '''"[[21 at 33#s-8.16|Basque]]" - 엘튼 존[br]{{{-3 (공연자: 제임스 골웨이)}}}''' || {{{+1 → }}} || {{{-1 "Harlem Renaissance Suite" - 베니 카터}}}[br]{{{-3 (공연자: 베니 카터)}}} || ||<-5> {{{#e5d85c '''최우수 남성 팝 보컬상'''}}} || || '''제36회[br]([[1994년]])''' || {{{+1 → }}} || '''제37회[br]([[1995년]])''' || {{{+1 → }}} || '''제38회[br]([[1996년]])''' || || "If I Ever Lose My Faith in You" - [[스팅(가수)|스팅]] || {{{+1 → }}} || '''"[[Can You Feel the Love Tonight]]"[br] - 엘튼 존''' || {{{+1 → }}} || "[[Kiss from a Rose]]" - 실 || || '''제39회[br]([[1997년]])''' || {{{+1 → }}} || '''제40회[br]([[1998년]])''' || {{{+1 → }}} || '''제41회[br]([[1999년]])''' || || "[[Change the World(에릭 클랩튼)|Change the World]]" - [[에릭 클랩튼]] || {{{+1 → }}} || '''"[[Candle in the Wind 1997]]"[br] - 엘튼 존''' || {{{+1 → }}} || "My Father's Eyes" - 에릭 클랩튼 || ||<-5> {{{#e5d85c '''최우수 뮤지컬 앨범상'''}}} || || '''제42회[br]([[2000년]])''' || {{{+1 → }}} || '''제43회[br]([[2001년]])''' || {{{+1 → }}} || '''제44회[br]([[2002년]])''' || || Annie Get Your Gun || {{{+1 → }}} || '''[[아이다(뮤지컬)/사운드트랙|Elton John and Tim Rice's Aida]]''' || {{{+1 → }}} || [[프로듀서스|The Producers]] || ---- ||<-5>
{{{#e5d85c ''' 역대 [[골든글로브상|{{{#e5d85c 골든 글로브 시상식}}}]]''' }}} || ||<-5> [[파일:goldenglobe.png|width=55]] || ||<-5> {{{#e5d85c '''주제가상 수상작'''}}} || || ''' 제51회 [br] ([[1994년]]) ''' || {{{+1 → }}} || ''' 제52회 [br] ([[1995년]]) ''' || {{{+1 → }}} || ''' 제53회 [br] ([[1996년]]) ''' || || Streets of Philadelphia[br][[브루스 스프링스틴]][br]([[필라델피아(영화)|필라델피아]]) || {{{+1 → }}} || '''[[Can You Feel the Love Tonight]][br]엘튼 존, [[팀 라이스]][br]([[라이온 킹]])''' || {{{+1 → }}} || [[Colors of the Wind]][br][[앨런 멩컨]], [[스티븐 슈왈츠]][br]([[포카혼타스(애니메이션)|포카혼타스]]) || || ''' [[제76회 골든 글로브 시상식|제76회]] [br] ([[2019년]]) ''' || {{{+1 → }}} || ''' [[제77회 골든 글로브 시상식|제77회]] [br] ([[2020년]]) ''' || {{{+1 → }}} || ''' [[제78회 골든 글로브 시상식|제78회]] [br] ([[2021년]]) ''' || || Shallow[br][[레이디 가가]], [[마크 론슨]],[br]안소니 로소먼도 & 앤드류 와이어트[br]([[스타 이즈 본]]) || {{{+1 → }}} || '''[[(I'm Gonna) Love Me Again]][br]엘튼 존, [[버니 토핀]][br]([[로켓맨(영화)|로켓맨]])''' || {{{+1 → }}} || Io sì (Seen)[br]니콜로 알리아르디,[br]라우라 파우지니, 다이앤 워런[br](자기 앞의 생) || ---- ||<-5>
{{{#e5d85c ''' 역대 [[아카데미 시상식|{{{#e5d85c 아카데미 시상식}}}]]''' }}} || ||<-5> [[파일:oscar_logo.svg|width=80]] || ||<-5> {{{#e5d85c '''주제가상'''}}} || || ''' 제66회 [br] ([[1994년]]) ''' || {{{+1 → }}} || ''' 제67회 [br] ([[1995년]]) ''' || {{{+1 → }}} || ''' 제68회 [br] ([[1996년]]) ''' || || Streets of Philadelphia[br][[브루스 스프링스틴]][br]([[필라델피아(영화)|필라델피아]]) || {{{+1 → }}} || '''[[Can You Feel the Love Tonight]][br]엘튼 존, [[팀 라이스]]'''[br]'''([[라이온 킹]])''' || {{{+1 → }}} || [[Colors of the Wind]][br][[앨런 멩컨]], [[스티븐 슈왈츠]][br]([[포카혼타스(애니메이션)|포카혼타스]]) || || ''' [[제91회 아카데미 시상식|제91회]] [br] ([[2019년]]) ''' || {{{+1 → }}} || ''' [[제92회 아카데미 시상식|제92회]] [br] ([[2020년]]) ''' || {{{+1 → }}} || ''' [[제93회 아카데미 시상식|제93회]] [br] ([[2021년]]) ''' || || Shallow[br] [[레이디 가가]], [[마크 론슨]],[br]앤소니 로소먼도 & 앤드루 와이어트[br]([[스타 이즈 본]]) || {{{+1 → }}} || '''[[(I'm Gonna) Love Me Again]][br]엘튼 존, [[버니 토핀]][br]([[로켓맨(영화)|로켓맨]])''' || {{{+1 → }}} || Fight for You[br] 디마일, [[H.E.R.]], 티아라 토마스[br]([[유다 그리고 블랙 메시아]]) || ---- [include(틀:역대 폴라음악상 수상자)] ---- ||<-5>
'''{{{#fcbd33 역대 [[빌보드 뮤직 어워드|{{{#fcbd33 빌보드 뮤직 어워드}}}]]}}}''' || ||<-5> [[빌보드 뮤직 어워드|[[파일:빌보드 뮤직 어워드 로고.svg|width=150]]]] || ||<-5> '''{{{#fcbd33 탑 핫 100 노래상}}}''' || || '''제7회[br]([[1996년]])''' || {{{+1 →}}} || '''제8회[br]([[1997년]])''' || {{{+1 →}}} || '''제9회[br]([[1998년]])''' || || [[마카레나|Macarena]] - [[로스 델 리오]] || {{{+1 →}}} || '''[[Candle in the Wind 1997]] - 엘튼 존''' || {{{+1 →}}} || [[Too Close]] - [[넥스트]] || ||<-5> '''{{{#fcbd33 탑 핫 100 아티스트상}}}''' || || '''제7회[br]([[1996년]])''' || {{{+1 →}}} || '''제8회[br]([[1997년]])''' || {{{+1 →}}} || '''제9회[br]([[1998년]])''' || || [[머라이어 캐리]] || {{{+1 →}}} || '''엘튼 존''' || {{{+1 →}}} || [[어셔]] || ||<-5> '''{{{#fcbd33 탑 록 투어상}}}''' || || '''제25회[br]([[2018년]])''' || {{{+1 →}}} || '''제26~27회[br]([[2019년]]~[[2020년|20년]])''' || {{{+1 →}}} || '''제29회[br]([[2022년]])''' || || [[U2]] || {{{+1 →}}} || '''엘튼 존''' || {{{+1 →}}} || [[롤링 스톤스]] || ||<-5> '''{{{#fcbd33 탑 댄스/일렉트로닉 노래상}}}''' || || '''제28회[br]([[2021년]])''' || {{{+1 →}}} || '''제29회[br]([[2022년]])''' || {{{+1 →}}} || '''제30회[br]([[2023년]])''' || || Roses - 세인트 존 || {{{+1 →}}} || '''[[The Lockdown Sessions#s-6.1|Cold Heart (Pnau Remix)]][br] - 엘튼 존, [[두아 리파]]''' || {{{+1 →}}} || TBA || ---- ||<-5>
{{{#ffffff ''' 역대 [[토니상|{{{#ffffff 토니 시상식}}}]]''' }}} || ||<-5> [[파일:tonyawards.png|width=80]] || ||<-5> {{{#ffffff '''음악상 수상작'''}}} || || ''' 제53회 [br] ([[1999년]]) ''' || {{{+1 → }}} || ''' 제54회 [br] ([[2000년]]) ''' || {{{+1 → }}} || ''' 제55회 [br] ([[2001년]]) ''' || || Parade]br]제이슨 로버트 브라운 || {{{+1 → }}} || '''[[아이다(뮤지컬)|Aida]][br]엘튼 존/[[팀 라이스]]''' || {{{+1 → }}} || [[프로듀서스|The Producers]][br][[멜 브룩스]] || ---- [include(틀:배철수의 음악캠프/20세기 대표 아티스트)] ---- [include(틀:역대 케네디 센터 공로상 수상자)] ---- [include(틀:VH1 선정 가장 위대한 아티스트)] ---- [include(틀:NME/가장 위대한 가수)] ---- [include(틀:Heart 선정 영국 최고의 음악가)]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아티스트)]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항목=1970년대 아티스트,순위=20)]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가장 위대한 아티스트)]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가장 위대한 가수)] ----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 0%, #FFF 20%, #FFF 80%, #FFF )" [[롤링 스톤|[[파일:롤링 스톤 로고.svg|width=80]]]] {{{+1 [[롤링 스톤 선정 100대 송라이터|{{{#CE0000 '''선정 가장 위대한 송라이터'''}}}]]}}}}}} || ||<-5><^|1>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5> {{{-2 {{{#000,#ddd ※ [[롤링 스톤]]이 2015년 대중음악 역사상 가장 위대한 송라이터를 선정한 순위다. }}} }}} || ||<:>'''{{{#white 41위}}}'''||<:>'''{{{#white 42위}}}'''||<:>'''{{{#white 43위}}}'''||<:>'''{{{#white 44위}}}'''||<:>'''{{{#white 45위}}}'''|| || [[맥스 마틴]] || [[슬라이 앤 더 패밀리 스톤]] || [[조니 캐시]] || [[지미 웹]] || [[더 밴드|로비 로버트슨]] || ||<:>'''{{{#white 46위}}}'''||<:>'''{{{#white 47위}}}'''||<:>'''{{{#white 48위}}}'''||<:>'''{{{#white 49위}}}'''||<:>'''{{{#white 50위}}}'''|| || [[노먼 휘트필드]] &[br][[바렛 스트롱]] || [[닐 다이아몬드]] || '''엘튼 존''' & [[버니 토핀]] || [[이글스(밴드)|돈 헨리 & 글렌 프리]] || [[빌리 조엘]] || ||<-5> {{{-2 {{{#000,#ddd [[롤링 스톤 선정 100대 송라이터|모든 순위는 문서 참조.]]}}} }}} || ||<-5> {{{-2 {{{#000,#ddd 같이 보기: [[틀: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1~10위)|명반]], [[틀:롤링 스톤 선정 가장 위대한 아티스트|아티스트]], [[틀:롤링 스톤 선정 가장 위대한 기타리스트|기타리스트]], [[틀:롤링 스톤 선정 가장 위대한 가수|가수]], [[틀:롤링 스톤 선정 가장 위대한 드러머|드러머]]}}} }}} ||}}}}}}}}} || ---- [include(틀:빌보드 선정 시대별 아이콘)] ---- [include(틀:빌보드 차트 올타임 아티스트(앨범))] ---- [include(틀:빌보드 차트 올타임 아티스트(싱글))] ---- [include(틀:빌보드 차트 올타임 남성 아티스트)] ---- [include(틀:빌보드 차트 올타임 아티스트)] ---- '''{{{+1 그 외 수상}}}''' NME상 4회 {{{-3 (1970, 1971, 1974, 2020년, 노미네이트 5회)}}} 아이버 노벨로상 14회 {{{-3 (1974, 1977, 1979, 1986, 1991, 1995, 1998, 2000, 2005, 2007년, 노미네이트 16회)}}} NARM상 {{{-3 (1975년)}}} 주노상 {{{-3 (1976년, 노미네이트 3회)}}} ASCAP 팝 음악상 9회 {{{-3 (1987, 1989, 1991, 1994, 1996, 1999년)}}} 월드 뮤직 레전드상 {{{-3 (1991년)}}} BMI 영화 음악상 {{{-3 (1995년)}}} BMI상 4회 {{{-3 (1996, 1999년)}}} 케이블에이스상 {{{-3 (1995년, 노미네이트 2회)}}} 뉴욕 드라마 비평가 협회 최우수 뮤지컬상 2회 {{{-3 (1998, 2009년)}}} 피플스 초이스상 {{{-3 (1999년)}}} 비토 루소상 {{{-3 (2000년)}}} 뮤지케어스 선정 올해의 인물상 {{{-3 (2000년)}}} 내셔널 브로드웨이 극장상 {{{-3 (2000년)}}} 온라인 필름 & 텔레비전 협회상 {{{-3 (2001년, 노미네이트 2회)}}} OFTA상 2회 {{{-3 (2001, 2020년, 노미네이트 5회)}}} MVPA상 2회 {{{-3 (2002, 2003년)}}} NRJ 뮤직상 {{{-3 (2003년)}}} 골든 카메라상 {{{-3 (2003년)}}} Q상 {{{-3 (2004년)}}} 밤비상 {{{-3 (2004년)}}} 가수 협회 평생 공로상 {{{-3 (2005년)}}} [[디즈니 레전드|디즈니 레전드상]] {{{-3 (2006년)}}} 외부 비평가상 2회 {{{-3 (2009년)}}} 드라마 데스크상 {{{-3 (2009년)}}} 제미니상 {{{-3 (2010년)}}} 헤리티지상 {{{-3 (2010년)}}} 조니 머서상 {{{-3 (2013년)}}} [[존 데이비슨 록펠러|록펠러 재단]] 평생공로상 {{{-3 (2013년)}}} [[하버드 대학교]] 보건대학원 리더십상 {{{-3 (2013년)}}} 하버드 대학교 올해의 인도주의자상 {{{-3 (2017년)}}} [[세계경제포럼]] 크리스탈상 {{{-3 (2018년)}}} 할리우드 뮤직 인 미디어상 {{{-3 (2018년, 노미네이트 3회)}}} 뉴욕 비평가 협회상 {{{-3 (2019년)}}} 폴스타상 {{{-3 (2020년, 노미네이트 2회)}}} 골든더비상 {{{-3 (2020년)}}} 뮤직 시티 필름 비평가 협회상 {{{-3 (2020년)}}} 라티노 엔터테인먼트 비평가 협회상 {{{-3 (2020년)}}} 하와이 비평가 협회상 {{{-3 (2020년)}}} 뮤직 시티 영화 비평가 협회상 {{{-3 (2020년)}}} 아이하트라디오 뮤직상 {{{-3 (2020년)}}} 브리티시 LGBT상 {{{-3 (2020년, 노미네이트 3회)}}} 세계시민상 {{{-3 (2020년)}}} 아이하트라디오 아이콘상 {{{-3 (2021년)}}} 글로벌상 {{{-3 (2022년)}}} 디트로이트 뮤직상 {{{-3 (2022년)}}} ---- }}} || ---- [include(틀:음악가별 음반 판매 순위)] ---- [include(틀:세계 음악가 음반 판매량)]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1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45deg, #00ff00, #ff8c00, #ec118f)" '''{{{#fff {{{+1 엘튼 존}}}[br]Sir Elton John[br]{{{-2 CH, CB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1314448654.jpg|width=100%]]}}} || || '''이름''' ||엘튼 허큘리스 존[br]Elton Hercules John || ||<|2> '''출생''' ||[[1947년]] [[3월 25일]] {{{-1 ([age(1947-03-25)]세)}}} || ||[[대영제국]] [[잉글랜드]] [[미들섹스|미들섹스주]] 피너[br]{{{-1 (現 잉글랜드 그레이터 [[런던]] [[해로#Harrow|해로우구]] 피너)}}}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영국)] || || '''작위''' ||[[기사작위|기사]] {{{-3 (Knight Bachelor)}}} || || '''직업''' ||[[음악가]], [[사회 운동|사회 운동가]], [[프로듀서]], [[기획자]], [[라디오|라디오 진행자]] || || '''서명'''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FFF; border-radius: 4px" [[파일:external/eltonjohnmusicislove.lalique.com/ej-signature-black.png|width=120]]}}}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개명 전 본명''' ||레지널드 케네스 드와이트[br]Reginald Kenneth Dwight || || '''악기''' ||[[보컬]], [[건반 악기]] || || '''장르''' ||[[록 음악|록]], [[팝 록]], [[팝 음악|팝]], [[소프트 록]] || || '''활동 기간''' ||[[1962년]] ~ || || '''데뷔''' ||[[1968년]] 싱글 [[I've Been Loving You]][br][[1969년]] 정규 1집 [[Empty Sky]] || || '''민족''' ||[[영국인]] || || '''신체''' ||172cm || || '''소속 그룹''' ||블루솔로지 {{{-2 (1962-1967)}}} || || '''종교''' ||[[무종교]] || || '''별명''' ||[[Rocket Man]], [[Captain Fantastic and the Brown Dirt Cowboy|Captain Fantastic]] || || '''레이블''' ||필립스, 콩그레스, DJM, 유니, MCA, [[로켓 엔터테인먼트#s-2.1|로켓]], 아일랜드, 머큐리, [[인터스코프 레코드|인터스코프]], [[데카]], [[캐피톨 레코드|캐피틀]], [[EMI]] || || '''소속사''' ||[[유니버설 뮤직 그룹]][br][[로켓 뮤직 엔터테인먼트 그룹]] || || '''재산''' ||$480 Million {{{-3 (약 5천억 원)}}}[* [[https://www.therichest.com/celebnetworth/celeb/musician/elton-john-net-worth/|Elton John Net Worth | TheRichest]]] || || '''부모''' ||^^'''부'''^^ 스탠리 드와이트 시니어 ^^(1925-1991)^^[br]^^'''모'''^^ 실라 에일린 페어브라더 ^^(1925-2017)^^[br]^^'''계부'''^^ 프레더릭 페어브라더 ^^(1922-2010)^^ || || '''배우자''' ||레나테 블라우엘 ^^(1953년생)^^ / ^^(1984-1988)^^[br] 데이비드 제임스 퍼니시 ^^(1962년생)^^ / ^^(2014-)^^ || || '''자녀''' ||^^'''장남'''^^ 재커리 잭슨 리번 퍼니시존 ^^(2010년생)^^ [br] ^^'''차남'''^^ 일라이자 조지프 대니얼 퍼니시존 ^^(2013년생)^^ || ||<|2> '''링크''' ||[[https://www.eltonjohn.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http://ejaf.org|[[파일:ejaflogo.png|width=70]]]] || ||[[https://www.youtube.com/channel/UCcd0tBtip8YzdTCUw3OVv_Q|[[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https://www.instagram.com/eltonjohn|[[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eltonofficial, 크기=20)] [[https://www.facebook.com/eltonjohn|[[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https://eltonjohn.tumblr.com|[[파일:텀블러 아이콘.svg|width=20]]]] [[https://www.tiktok.com/@eltonjohn|[[파일:틱톡 아이콘.svg|width=20]]]] || }}}}}}}}} || [목차][clearfix] == 개요 == [[영국]]의 [[가수]]/[[작곡가]], [[피아니스트]], [[사회 운동|사회 운동가]], [[프로듀서]], [[기획자]], [[라디오|라디오 진행자]], [[왓포드 FC]] 前 회장이자 종신 명예 회장이다. == 생애 == === 1947~1969 === 1947년 3월 25일, 영국 런던(당시 미들섹스주) 피너에서 '레지널드 케네스 드와이트'로 태어났다. 어머니 실라 에일린 해리스는 전직 공무원이었고 [[영국 공군]] 대위였던 아버지 스탠리 드와이트는 기악 밴드 '밥 밀러 앤 더 밀러멘'에서 트럼펫 연주자로 활동했었다. 3살부터 피아노를 연주하기 시작한 레지 드와이트는 1958년에 [[왕립음악원]]을 입학했으며 5년 뒤 중퇴했다.[* His Song: The Musical Journey of Elton John, 4 페이지[br]Sir Elton: The Definitive Biography, 17 페이지[br]Elton John: The Biography, 17~18 / 29~33 페이지[br][[http://news.bbc.co.uk/2/hi/entertainment/6455921.stm|Sixty things for Sir Elton's 60th]]] 재즈, 트래디셔널 팝, 스키플 등 다양한 음악을 들으면서도 [[빌 헤일리|빌 헤일리 앤 히스 코메츠]], [[엘비스 프레슬리]], [[제리 리 루이스]], [[리틀 리처드]] 같은 뮤지션들의 [[로큰롤]] 음악에 매료하여 음악가의 꿈을 키웠다. 실라 해리스와 스탠리 드와이트는 1962년 이혼했고 스탠리 드와이트는 연구기술자 에드나 클라프와 재혼하여 4명의 아들을 두었다. 실라 해리스는 건축업자 프레더릭 페어브라더와 재혼했고 레지 드와이트는 어머니, 의붓아버지와 함께 지냈다.[* Elton John: The Biography, 27 페이지] ||
[[파일:external/www.eltonjohn.com/archive_006.jpg|width=100%]] || || {{{-1 1965년 블루솔로지, 가장 오른쪽이 레지 드와이트(엘튼 존)이다.}}} || 1962년, 레지 드와이트는 런던 노스우드 힐스 호텔의 술집에서 피아니스트로 고용되면서 자신이 쓴 곡들을 포함하여 컨트리와 블루스, 폴카, 전통 펍 음악 등 다양한 곡들을 연주했다. 같은 해에 친구들과 함께 R&B 밴드 '블루솔로지(Bluesology)'를 결성했고 밴드에서 키보디스트로 활동했다. 앞서 '콜벳스(The Corvettes)'라는 밴드를 결성했으나 블루솔로지로 재결성했다.[* His Song: The Musical Journey of Elton John, 6~7 페이지[br]Elton John: The Biography, 30~33 / 39 페이지[br]Rocket Man: Elton John From A-Z, 70 페이지] 레지 드와이트는 런던 웨스트엔드의 출판사 밀스 뮤직에서 1년간 배달원으로 일하면서도 블루솔로지와 함께 각종 유흥업소에서 공연을 하며 생계를 이어갔다. 블루솔로지는 [[패티 라벨|패티 라벨 앤 더 블루 벨스]], [[아이즐리 브라더스]] 등 미국의 소울/R&B 뮤지션들의 공연들에서 백업 밴드로 활동했고, 1965년 7월 [[Come Back Baby]], 1966년 2월 [[Mr. Frantic]], 1967년 10월 [[Since I Found You Baby]]까지 세 장의 싱글들을 발매했다. 그러나 싱글들은 모두 상업적으로 실패했고 밴드 활동에 불만을 품었던 레지 드와이트는 1967년 12월 블루솔로지를 탈퇴했다.[* 자서전 Me, 7 페이지] 이후 블루솔로지는 1968년 해체되었다. 1967년 6월 17일자 [[NME]] 잡지에 신인 작사/작곡가를 모집한다는 리버티 레코드의 구인 광고가 실렸다. 레지 드와이트는 해당 광고를 쓴 [[A&R]] 프로듀서 레이 윌리엄스에게 연락했고, 리버티 레코드에서 오디션을 봤다. 한편 같은 광고를 본 영국 링컨셔 출신의 작사가 [[버니 토핀]]은 직접 쓴 가사들을 레이 윌리엄스에게 보냈다. 레지 드와이트와 버니 토핀의 잠재력을 느낀 레이 윌리엄스는 [[Regimental Sgt. Zippo#s-6|Scarecrow]]와 [[Regimental Sgt. Zippo#s-5.2.1|A Dandelion Dies in the Wind]]를 포함한 버니 토핀의 가사들을 레지 드와이트에게 전달했고, 레지 드와이트는 전달받은 가사를 보면서 곡을 작곡했고 버니 토핀과의 협업을 시작했다. 리버티 레코드는 무명이었던 레지 드와이트와 버니 토핀을 받아주지 않았지만 레이 윌리엄스는 사무적인 관계를 가졌던 사업가 딕 제임스의 음반사 DJM(Dick James Music) 레코드를 추천해 주며 도와주었다. 레지 드와이트와 버니 토핀은 DJM 레코드의 스튜디오에서 처음 만나기 전까지 20곡 정도를 작곡했다. 1967년 11월, 레지 드와이트와 버니 토핀은 DJM 레코드와 계약을 맺었다.[* [[https://www.eltonjohn.com/stories/ad_that_rocketed_two_careers_50|The Ad That Rocketed Two Careers…50 Years On]], [[https://books.google.co.kr/books?id=1wkEAAAAMBAJ&pg=RA1-PA116&lpg=RA1-PA116&dq=billboard+4+oct+1997+elton+john&source=bl&ots=I_I-izAK3B&sig=ACfU3U11bpS4pmLzfBsPbu7Nqtro4k_kuA&hl=ko&sa=X&ved=2ahUKEwip9cSu6vHnAhVJM94KHaatCPYQ6AEwB3oECAsQAQ#v=onepage&q=billboard%204%20oct%201997%20elton%20john&f=false|1997년 10월 4일 빌보드]][br][[http://albumlinernotes.com/EJ_BT_Interview_1990.html|EJ BT Interview 1990]], [[Elton: Jewel Box]] 라이너 노트[br]Captain Fantastic: The Definitive Biography of Elton John in The '70s, Prologue: Young Man’s Blues (1947-1969)] ||
[[파일:external/si.wsj.net/BN-JI319_NYSCEN_P_20150710155018.jpg|width=100%]] || || {{{-1 엘튼 존과 버니 토핀 (1970년 영국 런던)}}} || 1968년 3월 1일 발매한 솔로 데뷔 싱글 [[I've Been Loving You]]를 앞두고, 다른 이름으로 활동하기로 마음먹은 레지 드와이트는 블루솔로지의 색소포니스트 멤버이자 재즈 뮤지션 '엘튼' 딘(Elton Dean)의 이름, 블루솔로지와 함께 카바레 투어를 돌았던 영국의 블루스 가수 롱 '존' 볼드리(Long John Baldry)의 이름에서 각각 한 단어씩 가져온 예명 '엘튼 존(Elton John)'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1972년 1월 7일, 레지널드 케네스 드와이트에서 '엘튼 허큘리스 존(Elton Hercules John)'으로 법적 개명했다. 중간 이름 [[허큘리스]]는 1962년부터 1974년까지 방영된 [[BBC]]의 시트콤 〈스텝토 앤 선〉에 등장한 말(馬)의 이름에서 가져왔다.[* [[http://archive.is/tS6GC|엘튼 존의 1972년 연대기]], [[http://3.bp.blogspot.com/_RL4UuEhnH1Y/SxrfAPMSZ9I/AAAAAAAADOE/T-TvKQiEiBc/s1600-h/deed_poll_certificate_for_elton_john.jpg|증명사진]][br][[https://www.thegazette.co.uk/London/issue/45571/page/403/data.pdf|The London Gazette, 11th January 1972]][br]Elton John: The Biography, 75 / 137~138 페이지] 1968년부터 대중적인 팝 음악을 작업하라는 임무를 받은 엘튼 존과 버니 토핀은 다른 가수들에게 줄 곡들을 쓰던 작사/작곡가 직원으로 수개월간 일했다. 1967년 11월부터 1968년 5월까지 녹음한 첫 번째 앨범 [[Regimental Sgt. Zippo]]는 발매가 취소되었고 2021년 6월에 정규 34집으로 발매했다. 수백 곡 이상 작곡했지만 대부분 발매하지 않았고 2020년 11월 발매한 박스 세트 [[Elton: Jewel Box]]에 50곡 정도 수록했다.[* Elton: Jewel Box 라이너 노트[br]Tin Pan Alley: The Rise of Elton John, 110~120 페이지[br]Elton John: The Biography, 80~83 페이지] 1969년 1월 발매한 싱글 [[Lady Samantha]]와 5월 발매한 후속 싱글 [[It's Me That You Need]]에 이어 정규 1집 [[Empty Sky]]를 6월 6일 발매했다. 그러나 《Empty Sky》는 앞서 발매한 두 싱글처럼 상업적으로 실패했다. 1968년부터 1970년까지 동료 뮤지션들의 음반에 참여하는 세션 뮤지션으로 활동했고, 각종 팝 히트곡들을 커버하며 저예산으로 작업된 컴필레이션 앨범들에 참여했다. 그 무렵 잠시 존재했던 기악 밴드 '브레드 앤 비어 밴드'와 팝 밴드 '아고시'에 합류했다.[* [[http://www.eltonography.com/albums/appearances/index.html|엘튼 존이 참여한 다른 가수들의 음반들]], [[http://www.eltonography.com/albums/sessions/index.html|'세션 뮤지션 활동' 관련 정보]][br]Captain Fantastic: The Definitive Biography of Elton John in The '70s, 챕터 1: It's A Little Bit Funny[br]Rocket Man: Elton John From A-Z, 12~13 페이지] === 1970~1991 === 1967년과 1968년부터 음반 작업을 함께한 베이시스트 디 머리, 드러머 나이절 올슨과 함께 [[엘튼 존 밴드]]를 결성하여 1970년 봄부터 순회공연을 시작했다. 그해 8월 25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할리우드|웨스트 할리우드]]의 트루버도어 클럽 공연을 시작으로 첫 번째 미국 순회공연을 진행하며 많은 주목을 받았다. 1970년 4월 발매한 정규 2집 [[Elton John(음반)|Elton John]]은 영국 5위, 미국 [[빌보드 200]] 4위 등 기록했고 《Elton John》의 두 번째 싱글 [[Your Song]]은 영국 7위, 미국 [[빌보드 핫 100]] 8위 등 기록하며 세계 각지에서 차트 진입에 성공했다. 이어서 1970년 정규 3집 [[Tumbleweed Connection]]과 1971년 [[Friends(엘튼 존)|Friends]] 사운드트랙, 라이브 앨범 [[17-11-70]], 정규 4집 [[Madman Across the Water]]까지 4장의 앨범들을 연속으로 발매했고 1971년 제13회 [[그래미 어워드]]에서 3개 부문에 후보 지명되는 등 뮤지션으로 인정받기 시작했다.[* [[https://www.eltonjohn.com/stories/troubadour-50|The Troubadour - 50 Years On]], [[https://www.newspapers.com/clip/64260695/the-13th-annual-grammy-awards/|1971년 그래미 어워드]]] 1960년대 데뷔 초기에는 사이키델릭 록 음악을 시도했고, 1970년대 초기 앨범들에서는 관현악 편곡을 바탕으로 한 심포닉 록 음악과 컨트리 록 음악을 시도했으나 1972년 5월 발매한 정규 5집 [[Honky Château]]부터는 밝고 대중적인 팝 록 음악으로 전향했다. 1973년 10월 발매한 정규 7집이자 첫 번째 더블 앨범 [[Goodbye Yellow Brick Road]]는 전 세계적으로 3,000만 장 이상의 판매량이 집계되었다. 1975년 5월 발매한 정규 9집이자 1960년대 무명 시절을 다룬 자전적 앨범 [[Captain Fantastic and the Brown Dirt Cowboy]]는 빌보드 200 역사상 첫 번째 데뷔 1위 앨범이라는 기록을 세웠고, 동년 10월 발매한 정규 10집 [[Rock of the Westies]]는 두 번째 빌보드 200 데뷔 1위 기록을 세웠다. 《Honky Château》부터 《Rock of the Westies》까지 3년간 7장이 빌보드 200에서 연속으로 1위를 기록했다.[* [[https://www.bbc.com/news/entertainment-arts-26648532|Elton John: On the Yellow Brick Road]], [[https://classicrockreview.wordpress.com/2021/06/07/elton-john-goodbye-yellow-brick-road-1973-3/|Elton John: “Goodbye Yellow Brick Road” (1973)]][br][[https://www.billboard.com/artist/elton-john/|엘튼 존의 빌보드 차트 역사]], [[http://archive.is/Ud1qO|Elton Expands 'Captain Fantastic' With Live Tracks]][br][[https://www.udiscovermusic.com/stories/elton-john-rock-of-the-westies-album/|FEATURES‘Rock Of The Westies’: Yet Another Peak In Elton John’s Stunning Career]]] ||
[[파일:064939409e5d740951eb5a1a70a9f0c6.jpg|width=100%]] || || {{{-1 1974년 〈Caribou〉 순회공연에서}}} || 1970년대 초반부터 중반까지 [[Tiny Dancer]], [[Levon]], [[Rocket Man]], [[Honky Cat]], [[Crocodile Rock]], [[Daniel(노래)|Daniel]], [[Saturday Night's Alright for Fighting]], [[Goodbye Yellow Brick Road(노래)|Goodbye Yellow Brick Road]], [[Caribou#s-6.3.4|Step into Christmas]], [[Candle in the Wind]], [[Bennie and the Jets]], [[Don't Let the Sun Go Down on Me]], [[Caribou#s-6.1.1|The Bitch Is Back]], [[Philadelphia Freedom]], [[Captain Fantastic and the Brown Dirt Cowboy#s-7.1.5|Someone Saved My Life Tonight]], [[Island Girl]], 1973년 설립한 음반사 [[로켓 뮤직 엔터테인먼트 그룹#s-2.1|로켓 레코드 컴퍼니]]의 소속 가수였던 키키 디와 부른 [[Don't Go Breaking My Heart]], [[Sorry Seems to Be the Hardest Word]] 등 주요 히트곡들을 배출했다. 1975년 3월 개봉한 뮤지컬 영화 [[Tommy(음반)#s-3|토미]]에 출연하여 '핀볼 위저드' 역을 맡으면서도 [[더 후]]의 1969년 곡 [[Pinball Wizard]]를 불렀다. 1975년 10월 23일에는 [[할리우드 명예의 거리]]에 입성했고, 10월 25일부터 26일까지 [[다저 스타디움]]에서 공연을 두 차례 열었을 때 10만 명 이상의 관객들이 참석했다. 당시 전 세계 음반 판매량의 2%가 엘튼 존의 몫이었다는 이야기가 있을 정도로 많은 인기를 구가하고 상업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었으며, 1970년대를 대표하는 뮤지션들 중 한 명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https://www.youtube.com/watch?v=rh1geXrsvSs|Elton John - Hollywood Walk of Fame in 1975]], [[https://www.eltonjohn.com/stories/dodger-stadium-1975-game-on|Dodger Stadium 1975 – Game On!]][br][[https://web.archive.org/web/20151009135834/http://www.eltonjohn.com/1975-the-year-of-elton-part-1/|관련 자료: 엘튼 존의 1975년 행적 1부]], [[https://web.archive.org/web/20151009122254/http://www.eltonjohn.com/1975-the-year-of-elton-part-2/|엘튼 존의 1975년 행적 2부]], [[https://www.udiscovermusic.com/artist/elton-john/|Elton John - A Very Special Popular Music Artist]]] 그러나 수년간 쉴 새 없이 이어온 활동으로 지쳐가고 있었다.[* 자서전 Me, 141~142 페이지[br][[https://ultimateclassicrock.com/elton-john-island-girl/|How an 'Exhausted' Elton John Still Hit No. 1 With 'Island Girl']]] 1976년 10월 발매한 정규 11집이자 두 번째 더블 앨범 [[Blue Moves]]에서는 프로그레시브 록, 심포닉 록, 퓨전 음악 등 초기 앨범들처럼 실험적인 음악을 시도했다. 1977년 녹음한 소울 앨범 [[The Thom Bell Sessions]]는 1979년 6월에 12인치 EP로 발매했고, 1989년 2월에 정규 22집 [[The Complete Thom Bell Sessions]]로 발매했다. 1977년 11월 3일 웸블리 아레나에서 자선 공연을 열었을 때 공연 은퇴를 선언했지만 1978년 3월에 싱글 [[A Single Man#s-7.3.1|Ego]]를 발매하고 동년 10월에 정규 12집 [[A Single Man]]을 발매하면서 복귀했고, 1979년부터 은퇴 선언을 번복하고 다시 순회공연을 시작했다. 그 무렵 1967년부터 10년 가까이 쉬지 않고 작사/작곡 협업을 이어왔던 엘튼 존과 버니 토핀은 서로에게 약간의 자유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잠시 갈라섰다.[* Captain Fantastic: The Definitive Biography of Elton John in The '70s, 챕터 36: Back in the U.S.S.A.] 엘튼 존은 《A Single Man》부터 영국의 작사가이자 뮤지션 게리 오스본과 함께 몇 년간 작사/작곡 협업을 이루었고, 버니 토핀은 [[앨리스 쿠퍼]]와 멜리사 맨체스터 등 여러 뮤지션들과 협업했다. 이후 엘튼 존과 버니 토핀은 1980년 정규 14집 [[21 at 33]]부터 다시 작사/작곡 협업을 시작했다. 1979년 5월에는 [[이스라엘]]과 [[러시아]]를 방문하여 순회공연을 진행한 첫 번째 서구권 록 뮤지션들 중 하나로 이름을 올렸다.[* [[https://www.eltonjohn.com/stories/eltons-1979-tour-of-the-ussr-a-look-back|Elton’s 1979 Tour of the USSR – A Look Back]], [[http://www.setlist.fm/search?query=elton+john+1979+israel|이스라엘 공연 셋리스트]], [[http://www.setlist.fm/search?query=elton+john+1979+russia|러시아 공연 셋리스트]]] 197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까지 [[A Single Man#s-7.2.6|Song for Guy]], [[The Thom Bell Sessions#s-6.4|Mama Can't Buy You Love]], [[Victim of Love(음반)#s-6|Victim of Love]], [[21 at 33#s-7.1.2|Little Jeannie]], [[The Fox(음반)#s-6.1.4|Nobody Wins]], [[Jump Up!#s-6.2.1|Blue Eyes]], [[Too Low for Zero#s-6.1.5|I Guess That's Why They Call It the Blues]], [[Too Low for Zero#s-6.1.2|I'm Still Standing]], [[Breaking Hearts#s-6.2.5|Sad Songs (Say So Much)]], [[That's What Friends Are For]], [[Ice on Fire#s-6.1.4|Nikita]], [[Leather Jackets#s-6.2.2|Heartache All Over the World]], [[Reg Strikes Back#s-7.1.4|I Don't Wanna Go On with You Like That]], [[Sleeping with the Past#s-7.1.2|Healing Hands]], [[Sleeping with the Past#s-7.2.2|Sacrifice]] 등 많은 히트곡들을 배출했고 정규 앨범도 꾸준히 발매했다. 당시 발매한 대부분의 앨범들은 기대에 못 미친다는 평가를 받으며 음악적으로 침체를 겪었으나, 1989년 8월 발매한 정규 23집 [[Sleeping with the Past]]부터 길었던 침체에서 벗어났다. 1991년 10월에는 엘튼 존과 버니 토핀의 협업 25주년을 기념하는 헌정 앨범 [[Two Rooms: Celebrating the Songs of Elton John & Bernie Taupin]]이 발매되었다. === 1992~2009 === 1990년 재활 치료를 통해 알코올과 약물 중독에서 벗어났으며, 1992년 6월 발매한 정규 24집 [[The One(음반)|The One]]으로 복귀했다. [[The Very Best of Elton John#s-2.3.1|You Gotta Love Someone]], [[조지 마이클]]과 부른 [[Don't Let the Sun Go Down on Me#s-3]], [[The One(음반)#s-8.2|The One]], [[The One(음반)#s-8.11|The Last Song]], [[The One(음반)#s-8.1|Simple Life]], 키키 디와 부른 콜 포터 커버곡 [[Duets#s-6.5|True Love]], [[Made in England#s-7.1|Believe]], [[Made in England#s-7.2|Made in England]], [[Made in England#s-7.11|Blessed]], [[루치아노 파바로티]]와 부른 [[The Big Picture#s-6.2|Live Like Horses]], [[The Big Picture#s-6.6|Something About the Way You Look Tonight]], [[리앤 라임즈]]와 부른 [[Written in the Stars]] 등 히트곡들을 1990년대 후반까지 배출했고 1993년 정규 25집 [[Duets]], 1995년 정규 26집 [[Made in England]], 1997년 정규 27집 [[The Big Picture]]도 큰 성공을 거두었다. 1994년 6월 개봉한 [[월트 디즈니 애니메이션 스튜디오]]의 장편 애니메이션 [[라이온 킹]]에서 [[한스 짐머]], [[팀 라이스]]와 함께 음악을 맡았고, [[라이온 킹/사운드트랙]]과 주제가 [[Circle of Life]], 삽입곡 [[Can You Feel the Love Tonight]] 모두 큰 성공을 거두었다. 사운드트랙 앨범은 전 세계적으로 1,500만 장 이상의 판매량이 집계되었다. 1995년 제67회 [[아카데미 시상식]]과 제52회 [[골든 글로브|골든 글로브 시상식]]에서 "Can You Feel the Love Tonight"으로 주제가상을 수상했다. 이후 팀 라이스와 함께 원작 애니메이션을 재구성한 1997년 뮤지컬이자 역사상 가장 높은 흥행을 거둔 [[디즈니 시어트리컬 프로덕션]]의 뮤지컬 [[라이온 킹(뮤지컬)|라이온 킹]]과 [[주세페 베르디]]의 오페라 [[아이다(오페라)|아이다]]를 재구성한 1998년 [[아이다(뮤지컬)|아이다]] 뮤지컬, 2000년 3월 개봉한 [[드림웍스 애니메이션]]의 장편 애니메이션 [[엘도라도(애니메이션)|엘도라도]]에서도 음악을 맡으며 수년간 작사/작곡 협업을 이루었다. ||
[[파일:external/s-media-cache-ak0.pinimg.com/b5d70b436c2a9f5a8ff3ed62b917eeb4.jpg|width=100%]] || || {{{-1 엘튼 존 (1992년 프랑스 파리)}}} || 절친한 사이였던 [[다이애나 스펜서]]가 1997년 8월 31일 프랑스 파리에서 교통사고로 사망한 이후, 1973년 곡 "Candle in the Wind"를 다이애나 스펜서를 추모하는 [[Candle in the Wind 1997]]으로 개사했다. 이 개사한 곡을 그해 9월 6일 [[웨스트민스터 사원]]에서 거행된 장례식에서 불렀고, 9월 13일 "Something About the Way You Look Tonight"과 함께 더블 싱글로 발매했다. 이 더블 싱글은 전 세계적으로 1위를 기록했고 3,300만 장 이상의 판매량이 집계되며 큰 성공을 거두었다. 5,000만 장 이상의 판매량이 집계된 [[빙 크로스비]]의 1942년 곡 [[화이트 크리스마스#s-4|White Christmas]] 다음으로 세계에서 두 번째로 많이 팔린 싱글이자 가장 빠르게 팔린 싱글로 집계되었고 2007년 [[기네스북]]에도 등재되었다.[* Guinness Book of Records, 2007 Edition, 187 페이지] 1996년 '음악과 자선 활동에 헌신한 공적'을 인정받아 [[대영제국 훈장]] 3등급(CBE)을 받았다. 1998년 신년 서훈 명단에 역시 음악과 자선 활동 공훈으로 [[기사작위]](Knight Bachelor) 대상자에 오르며 기사작위를 받았다. 2020년에는 영국 1.5등급 훈장에 해당하는 서훈 컴패니언 오브 아너(Order of the Companions of Honour)를 받았다.[* [[http://archive.is/QtBp5|런던 가제트, 페이지 9]], [[http://archive.is/7XENH|런던 가제트, 페이지 2]][br][[https://www.instagram.com/p/B6l_kSRDQcH/|엘튼 존 인스타그램의 축하 게시글]]] 1999년에는 〈아이다〉 뮤지컬의 콘셉트 앨범 [[Elton John and Tim Rice's Aida]]와 코미디 영화 〈뮤즈〉의 사운드트랙 [[The Muse]]를 발매했고 2000년에는 애니메이션 〈엘도라도〉의 사운드트랙 앨범 [[The Road to El Dorado(음반)|The Road to El Dorado]]를 발매하는 등 사운드트랙 작업에 매진했다. 2000년 영화 [[빌리 엘리어트(영화)|빌리 엘리어트]]를 재구성한 2005년 뮤지컬 [[빌리 엘리어트(뮤지컬)|빌리 엘리어트]]에서 해당 영화의 작가 리 홀과 함께 음악을 맡았고, [[앤 라이스]]의 [[뱀파이어 연대기]]를 재구성한 2005년 [[레스타(뮤지컬)|레스타]] 뮤지컬에서는 버니 토핀과 함께 음악을 맡았다. 〈아이다〉와 〈빌리 엘리어트〉는 호평을 받았고 세계적으로 흥행에도 성공했지만, 〈레스타〉는 혹평을 받았고 흥행 실패로 일찍이 막을 내렸다. 2001년 10월 발매한 정규 28집 [[Songs from the West Coast]]부터는 피아노와 밴드 연주에 초점을 맞춘 음악을 하기 시작했다. [[I Want Love]], [[This Train Don't Stop There Anymore]], [[Original Sin]], 이탈리아의 팝페라 가수 알레산드로 사피나와 부른 [[Your Song]], [[블루(밴드)|블루]]와 부른 [[Sorry Seems to Be the Hardest Word]], [[The Thom Bell Sessions#s-6.5|Are You Ready for Love]] 리믹스 곡, [[Peachtree Road#s-6.8|All That I'm Allowed (I'm Thankful)]], [[Ghetto Gospel]], [[Peachtree Road#s-7.3|Electricity]], [[Tiny Dancer#s-3|Tiny Dancer (Hold Me Closer)]] 등 각종 히트곡들을 2000년대 후반까지 배출했다. 《Captain Fantastic and the Brown Dirt Cowboy》의 후속 앨범이자 정규 30집 [[The Captain & the Kid]]를 2006년 9월 발매했다. === 2010~ === 미국의 싱어송라이터이자 엘튼 존의 우상들 중 한 명인 [[리언 러셀]]과 함께 작업한 앨범이자 정규 31집 [[The Union]]을 2010년 10월 발매했고, 평단으로부터 호평을 받았다. 빌보드 200에서 3위를 기록하며 1997년 정규 27집 [[The Big Picture]] 이후로 13년 만에 미국에서 10위권 진입한 정규 앨범이자, 1976년 정규 11집 [[Blue Moves]] 이후로 5위권 진입한 정규 앨범이 되었다. 이후 발매한 2013년 정규 32집 [[The Diving Board]], 2016년 정규 33집 [[Wonderful Crazy Night]]도 좋은 반응을 얻었고 리언 러셀과 함께 부른 곡들 [[The Union#s-6.1|If It Wasn't for Bad]], [[The Union#s-6.3|Hey Ahab]], 솔로 곡들 [[Home Again]], [[Looking Up]], [[A Good Heart]] 등 곡들을 싱글로 발매했다. 호주의 댄스 뮤직 그룹 '파나우(Pnau)'는 1969년부터 1977년까지의 엘튼 존 곡들을 [[신스팝]]과 [[누디스코]] 음악으로 리믹스한 앨범 [[Good Morning to the Night]]을 2012년 7월 발매했다. 《Good Morning to the Night》은 영국에서 데뷔 1위를 기록했고 타이틀 트랙 [[Good Morning to the Night#s-7]]과 [[Good Morning to the Night#s-7|Sad]]를 싱글로 발매했다. 이후 파나우는 2020년부터 두 번째 리믹스 작업을 했고 [[두아 리파]]가 참여한 곡 [[The Lockdown Sessions#s-6.1|Cold Heart]]를 2021년 싱글로 발매했다.[* [[https://www.eltonjohn.world/pnau-and-sir-elton-are-teaming-up-again/|Pnau and Sir Elton are Teaming Up Again]][br][[https://www.billboard.com/music/music-news/pnau-nick-littlemore-elton-john-empire-of-the-sun-interview-1235004590/|Pnau’s Nick Littlemore Talks Elton John Collaboration, New Empire of The Sun Music]]] 이 곡은 세계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었다. ||
[[파일:external/2.bp.blogspot.com/eltonbernieleon.jpg|width=100%]] || || {{{-1 버니 토핀, 엘튼 존, 리언 러셀 (2010년 5월 5일 로스앤젤레스)}}} || 2011년에는 매니지먼트 회사 [[로켓 뮤직 엔터테인먼트 그룹]]을 설립했다. 그해 2월에는 [[로켓 뮤직 엔터테인먼트 그룹#s-4|로켓 픽처스]], [[터치스톤 픽처스]] 제작 및 배급을 맡은 장편 애니메이션 [[노미오와 줄리엣]]이 개봉했고, 버니 토핀과 함께 쓴 주제가 [[노미오와 줄리엣#s-4.1|Hello, Hello]]를 [[레이디 가가]]와 함께 불렀다. 2018년 3월 개봉한 후속편 [[셜록 놈즈]]에서도 버니 토핀과 함께 음악을 맡았다. 2015년 7월부터 [[애플 뮤직]]에서 라디오 방송 '로켓 아워'를 진행하면서 다양한 음악을 재생하고 칭찬을 아끼지 않는 편이며, [[노엘 갤러거]], [[데이먼 알반]], [[올리 알렉산더]], [[리나 사와야마]], [[찰리 푸스]], [[로열 블러드]], [[줄리안 레논]] 등 뮤지션들과 인터뷰도 자주 가졌다. 2018년에는 인디 록 밴드 [[세이수미]]를 소개했다.[* [[http://archive.is/AGpOT#selection-657.1-657.55|A Guide to “Elton John’s Rocket Hour” on Beats 1 Radio]], [[https://music.apple.com/us/curator/rocket-hour/993269779|Rocket Hour on Apple Music]][br][[https://www.donga.com/news/Culture/article/all/20180326/89308353/1|“끝내주죠” 엘튼 존-해외 매체가 극찬한 부산 밴드 ‘세이수미’]]] 2018년 1월 24일, [[엘튼 존 밴드#s-7|Farewell Yellow Brick Road]] 투어를 끝으로 투어 활동에서 은퇴하겠다고 선언했다. 다만 세계적으로 진행하는 투어 활동에서만 은퇴하고 음악 활동은 계속한다고 밝혔다. 〈Farewell Yellow Brick Road〉는 2018년 9월부터 2021년 11월까지 진행할 예정이었지만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2023년 7월까지 연장했다. 마지막 투어를 마치고 나서 다시 공연을 하게 된다면 자주 부르지 않은 곡들로 구성한 전속 공연을 하겠다고 밝혔다.[* [[https://www.youtube.com/watch?v=9r6NI9m_IxM|Farewell Yellow Brick Road 투어 발표 영상 (2018년 1월 24일 뉴욕 고담홀)]][br][[https://www.eltonjohn.com/stories/farewell-yellow-brick-road|Farewell Yellow Brick Road 투어 상세 정보]], [[https://www.youtube.com/watch?v=38W7if2orLM|An Evening with Elton John]]] 2018년 1월 30일 [[매디슨 스퀘어 가든]]에서 엘튼 존과 버니 토핀의 50년 경력을 기념한 그래미 헌정 공연이 열렸고, 헌정 앨범들 [[Revamp(음반)|Revamp]], [[Restoration]]이 동년 4월 6일 발매되었다. ||
[[파일:elton-john-golden-globe-1578277773-640x439.jpg|width=100%]] || || {{{-1 2020년 골든 글로브 시상식에 참석한 엘튼 존}}} || 뮤지컬 전기 영화 [[로켓맨(영화)|로켓맨]]이 2019년 5월 22일(영국), 5월 31일(미국), 6월 5일(한국) 개봉했다. 버니 토핀이 작사하고 엘튼 존이 작곡한 주제가 [[(I'm Gonna) Love Me Again]]은 영화에서 엘튼 존 역을 맡은 [[태런 에저턴]]과 불렀다. 이 주제가로 2020년 [[제77회 골든 글로브 시상식]]과 [[제92회 아카데미 시상식]] 주제가상을 수상했고, 태런 에저턴은 이 영화로 골든 글로브 뮤지컬/코미디 부문 남우주연상을 수상했다. 2019년 7월 개봉한 [[라이온 킹(2019)|라이온 킹]] 실사 영화에 참여하여 팀 라이스와 함께 엔드 크레딧 삽입곡 [[라이온 킹(2019)/사운드트랙#s-3|Never Too Late]]를 작곡했고, 동년 10월에는 자서전 〈Me〉를 출간했다. 이후 자서전은 2020년 10월에 증보판으로 재출간했다.[* [[https://www.eltonjohn.com/stories/me|'Me' by Elton John]], [[https://eltonjohnworld.com/house-songwriter-previews-new-chapter-in-paperback-edition-of-me/|House: Songwriter Previews New Chapter in Paperback Edition of ''Me'']]] 2010년대 중-후반부터 2022년까지 엘튼 존은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샤이나 타부와 함께 로렌 와이스버거의 2003년 소설 및 2006년 영화를 재구성한 2022년 뮤지컬 [[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s-3|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 음악을 작곡했고, 미국의 팝 록 밴드 '시저 시스터즈'의 멤버이자 싱어송라이터 제이크 셰어스와 함께 미국의 전도사이자 LGBT 인권 운동가 태미 페이 메스너(1942~2007)의 삶을 다룬 2022년 뮤지컬 〈태미 페이〉 음악을 작곡했다.[* [[https://www.eltondaily.com/2015/01/jake-shears-writing-lyrics-for-elton.html|Jake Shears Writing Lyrics for Elton]][br][[https://www.broadwayinchicago.com/show/prada/|The Devil Wears Prada - Broadway In Chicago]][br][[https://people.com/theater/elton-john-is-bringing-a-tammy-faye-musical-to-the-london-stage/|Elton John Is Bringing a Tammy Faye Musical to the London Stage]]] 코로나19로 인해 모든 공연들을 연기했을 때 작업한 합동 앨범이자 정규 35집 [[The Lockdown Sessions]]를 2021년 10월에 발매했다. 두아 리파가 참여한 파나우의 리믹스 곡 "Cold Heart", 찰리 푸스와 쓰고 부른 [[The Lockdown Sessions#s-6.4|After All]], [[스티비 원더]]와 부른 [[The Lockdown Sessions#s-6.14|Finish Line]], [[에드 시런]]과 쓰고 부른 크리스마스 곡 [[The Lockdown Sessions#s-8.1|Merry Christmas]], [[브리트니 스피어스]]가 참여한 리믹스 곡 [[Hold Me Closer]] 등 다양한 곡들을 2020년대 초반에 발매했다. == 음악 특징 == === 음악성 === [[클래식(음악)|클래식]], [[로큰롤]], [[소울 음악|소울]], [[블루스]], [[가스펠]]의 영향을 받으며 종합시키고, [[록 음악|록]]과 [[팝 음악|팝]]을 바탕으로 하면서도 [[피아노]]가 중심을 이루는 음악이 특징이다. [[사이키델릭 록]], [[프로그레시브 록]], [[글램 록]], [[하드 록]], [[포크 록]], [[컨트리 록]], [[R&B]], [[재즈]], [[뉴웨이브(음악)|뉴 웨이브]], [[레게]], [[디스코]], [[필라델피아 소울]], [[라틴 팝]] 등 다양한 장르를 시도하면서도 단기간 내 수많은 작품을 만들어내는 창작력으로 대중성과 상업성을 유지하고 있다. 활동 초기에는 테너 창법이었고 1970년대 후반부터 소울에 한층 가까운 음색으로 노래를 부르기 시작했다. 1986년 성대결절로 인해 1987년에 성대 수술을 받았고, 그 이후에도 수술 이전의 창법을 유지했으나 1990년대부터 바리톤으로 창법을 바꾸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c7u1GsXtouc|1965년부터 2013년까지의 보컬 변천사]][br][[https://www.youtube.com/watch?v=OkQWRMmHdng|E2부터 D6까지의 곡들 음역대 모음]]] 1960년대 무명 시절에 직접 가사를 쓴 곡들만 해도 십수 곡 정도 있고 인기스타 반열에 오른 이후에도 작사에 참여한 경우도 있지만, ([[Regimental Sgt. Zippo#s-6|The Witch’s House]], [[I've Been Loving You]], [[Border Song]], [[Sorry Seems to Be the Hardest Word]], [[The Goaldiggers Song]], [[A Single Man#s-7.3.2|Flinstone Boy]], [[Leather Jackets#s-6.2.4|Memory of Love]] 등) 일반적으로 가사는 작사가에게 맡기고, 작곡과 연주를 맡으며 음악 그 자체에만 집중한다. 그래서 엘튼 존은 싱어송라이터보다는 '가수/작곡가(singer and composer)'로 분류된다. 버니 토핀과 팀 라이스, 리 홀 등 작사가들이 쓴 가사를 보며 20~30분 이내에 피아노를 연주하면서 작곡하고 녹음도 신속히 하는 걸로 알려져 있다.[* Elton John: In His Own Words, 35 페이지[br]Elton John: The Biography, 144 페이지] === 상업적 성공 === 대중음악 역사상 가장 큰 성공을 거둔 뮤지션들 중 한 명이다. 2억 장 이상의 음반 판매량, 추정치로 2억 5천만 장에서 3억 장에 이르는 음반 판매량을 기록했다. [[비틀즈]], [[엘비스 프레슬리]], [[마이클 잭슨]]에 이어 세계에서 네 번째로 많은 음반을 판매한 뮤지션이자 가장 많은 음반을 판매한 영국 솔로 뮤지션이다. 가장 많은 판매량이 집계된 앨범들로 1973년 정규 7집 [[Goodbye Yellow Brick Road]](3,000만 장)와 1974년 컴필레이션 앨범 [[Greatest Hits(엘튼 존 음반)|Grestest Hits]](2,400만 장)가 있고, 가장 많은 판매량이 집계된 싱글로 1997년 곡 [[Candle in the Wind 1997]](3,300만 장)이 있다. 2021년 영국에서 [[아델(가수)|아델]]과 함께 가장 많은 앨범 판매고를 올린 뮤지션이다.[*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best-selling_music_artists|영어 위키피디아의 음반 판매량 문서]][br][[https://eltonjohnworld.com/official-charts-company-reveals-last-year-s-favourites/|Official Charts Company Reveals Last Year's Favourites]]] [[빌보드]]가 선정한 시대별 아이콘에서 1970년대 아이콘으로 엘튼 존을 선정했고, 빌보드 200에서 가장 성공한 아티스트 200선에서 5위, 빌보드 핫 100 100선에서 3위에 선정했다. 빌보드 125주년 기념 올타임 아티스트 125선에서 3위, 빌보드 핫 100 60주년 기념 남성 아티스트 60선에서 1위에 선정했다.[* [[http://www.izm.co.kr/contentRead.asp?idx=2226&bigcateidx=19|빌보드 집계 각 시대 최고 가수들]], [[https://archive.ph/AM4FM|가장 성공한 아티스트 200선]], [[https://www.billboard.com/charts/greatest-hot-100-artists/|가장 성공한 아티스트 100선]][br][[https://www.billboard.com/charts/greatest-of-all-time-artists/|빌보드 올타임 아티스트 125선]], [[https://www.billboard.com/pro/hot-100-turns-60-top-60-male-artists-all-time-elton-john-stevie-wonder-elvis-presley-michael-jackson/|남성 아티스트 60선]]] === 버니 토핀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0px-Elton_John_Bernie_Taupin_1971.jpg|width=250]]||[[파일:external/a.abcnews.com/GTY-elton-john-bernie-taupin-jt-170316_12x5_1600.jpg|width=400]]|| || {{{-1 버니 토핀과 엘튼 존 (1971년)}}} || {{{-1 버니 토핀과 엘튼 존 (2017년)}}} || 영국의 작사가 [[버니 토핀]]과는 1967년부터 장기간의 작사/작곡 협업을 이룬 음악적 동반자이자 형제 같은 친구이다. '존-토핀'은 대중음악을 대표하는 작사/작곡 콤비들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https://www.smoothradio.com/features/top-songs/songwriting-partnerships-duos/|관련 자료: The 10 greatest songwriting partnerships ever, ranked]]] 엘튼 존은 팀 라이스와 게리 오스본 등 다양한 작사가들과 함께 작사/작곡 협업을 이루었지만 대부분의 작품들은 버니 토핀과 함께 작업했다. 버니 토핀은 자신들의 인생을 묘사한 자전적 가사와 미국 대중문화의 영향을 받으면서도 각종 상상력을 담은 가사, 사회·정치적인 가사, 실존 인물의 삶을 다룬 가사 등 다양한 가사를 작사했다. 두 사람은 서로 성적으로 엮은 일도 없었을뿐더러, 음악 활동을 하면서 언쟁을 벌인 적도 없다고 밝혔다. 버니 토핀은 여성과 결혼만 네 차례 한 적 있는 이성애자이며, 2004년 재혼 이후로 두 딸을 두며 60대에 두 아들을 둔 엘튼 존과 마찬가지로 가정에 헌신한 걸로 알려졌다.[* 2017년 11월 12일 BBC Radio 2 인터뷰[br][[https://people.com/music/bernie-taupin-elton-john-partnership-early-days-interview/|Bernie Taupin Recalls the Start of His Friendship with Elton John: 'We Were All Each Other Had']]] 버니 토핀이 먼저 가사를 쓰고 나서 엘튼 존에게 전달했고, 엘튼 존은 완성된 가사를 보며 피아노를 연주하면서 신속히 곡을 작곡했다. 버니 토핀은 작사만 맡고, 엘튼 존은 작곡만 맡으며 작사/작곡 영역이 각각 나눠져 있다. 엘튼 존이 작사에 참여한 적은 있었어도 버니 토핀이 작곡에 참여한 경우는 없다. 두 사람은 같은 장소에 있어도 각각 다른 방에서 곡들을 작업했고, 다른 지역에 있을 때는 버니 토핀이 가사를 엘튼 존에게 팩스 또는 이메일로 보내는 식으로 작업했다.[* [[https://www.newyorker.com/magazine/1996/08/26/elton-john-profile-hes-a-little-bit-funny|He’s a Little Bit Funny: Elton John, or how to survive twenty-five years at the top]]] === 악기 === ||<-5>
[[파일:external/www.eltonjohn.com/million1.jpg|width=100%]] || || {{{-1 2011년 〈The Million Dollar Piano〉 공연에서 야마하 피아노를 연주하는 엘튼 존}}} || 클래식 음악과 가스펠, 블루스, 로큰롤의 영향을 받아 풍부한 화음을 넣으며 건반을 거세게 내리치고, 아르페지오와 브로큰 코드, 블루스 릭 위주의 화려한 피아노 연주법을 가지고 있다.[* [[https://www.thetoptens.com/best-rock-n-roll-pianists/|관련 자료: Best Rock n Roll Pianists top 10]], [[https://www.gigwise.com/photos/108601/the-15-greatest-rocknroll-pianists-ever|The 15 greatest rock'n'roll pianists... Ever!]][br][[https://www.classicfm.com/lifestyle/culture/elton-john-is-actually-a-piano-genius/|관련 자료: Here’s why Elton John is a piano genius]]] 공연에서는 [[Take Me to the Pilot]], [[Burn Down the Mission]], [[Levon]], [[Honky Cat]], [[Rocket Man]], [[Bennie and the Jets]], [[Reg Strikes Back#s-7.1.3|Mona Lisas and Mad Hatters (Part Two)]] 같은 곡들에 즉흥 연주를 덧붙이며 길게 연주했고, 대부분의 곡들에서 각종 꾸밈음을 추가했다. 앨범을 녹음했을 때는 피아노 이외에도 [[오르간]]과 [[하프시코드]], [[펜더 로즈 일렉트릭 피아노]], [[신시사이저]], [[멜로트론]], [[호너 클라비넷]], [[ARP#s-2.1.3|ARP 스트링 앙상블]] 등 다양한 건반 악기를 연주했다.[* 1~3집, 5~9집, 11~12집, 16~21집, 23~29집, 34~35집 라이너 노트] 1970년부터 1986년까지의 대부분 공연들에서는 [[스타인웨이앤드선스]] 그랜드 피아노를 연주했고, 1988년부터 1993년까지 [[Roland|롤랜드]] RD-1000 디지털 피아노를 연주했고, 1993년부터 [[야마하]] 그랜드 피아노를 연주하기 시작했다. 1976년과 1986년 공연들에서는 [[어쿠스틱 기타]]를 연주한 적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rrGsrfwWNQg|1976년 8월 7일 미국 버펄로 공연: Love Song (어쿠스틱 기타)]] / [[https://www.youtube.com/watch?v=GXKEpwJQFuE|1986년 8월 21일 미국 캔자스시티 공연: Love Song (어쿠스틱 기타)]][br][[https://www.youtube.com/watch?v=Pjb9Fgj1oAM|1986년 12월 14일 호주 시드니 공연: Bennie and the Jets (스타인웨이 그랜드 피아노)]][br][[https://www.youtube.com/watch?v=KLhXgGas5a0|1989년 6월 6일 영국 방송 공연: Sad Songs (Say So Much) (롤랜드 RD-1000 디지털 피아노)]][br][[https://www.youtube.com/watch?v=KapghzaNqug|1994년 9월 22일 미국 로스앤젤레스 공연: Levon (야마하 그랜드 피아노)]]] === 의상 === ||[[파일:external/www.eltonjohn.com/onStage_005.jpg|width=280]] || [[파일:external/www.eltonjohn.com/1986b.jpg|width=400]] || || {{{-1 1974년 〈Caribou〉 순회공연의 깃털 의상}}} || {{{-1 1986년 12월 14일 호주 시드니 공연의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의상}}} || 화려한 의상과 수많은 선글라스 및 안경으로 유명하다. 공연 중 피아노를 과격하게 연주하다가 의자를 걷어차고 폴짝 뛰거나, 피아노 위로 올라가는 쇼맨십을 1970년대부터 십수 년간 선보였다. 10대 때 우연히 [[버디 홀리]]의 모습을 보고 감명을 받은 계기로 안경을 쓰기 시작했다. 피아노는 매우 무거운 악기라서 연주를 하게 되면 항상 앉아만 있는 등 한계가 있었기 때문에 이러한 쇼맨십을 선보였고, 피아노 위에 발을 올리던 [[리틀 리처드]]와 피아노 위에서 뛰어내리던 [[제리 리 루이스]]를 보며 자랐기에 그에 버금가면서도 차별성이 있는 무언가를 선보이고 싶었다고 설명했다.[* The Union 다큐멘터리 (2011)[br]Elton John The Nation's Favourite Song (2017)] 197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 중반까지는 콘택트렌즈를 착용했다.[* Elton John: The Biography, 31 페이지[br]Captain Fantastic: The Definitive Biography of Elton John in The '70s, 챕터 33: Ego] === 내한 공연 === || '''2004년 공연 셋리스트 및 공연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 '''셋리스트'''}}}|| ||1. The Bitch Is Back[br]2. Bennie and the Jets[br]3. Levon[br]4. Daniel[br]5. Someone Saved My Life Tonight[br]6. Philadelphia Freedom[br]7. Rocket Man[br]8. I Guess That's Why They Call It the Blues[br]9. Singin' in the Rain[br]10. I Want Love[br]11. Tiny Dancer[br]12. Take Me to the Pilot[br]13. Sorry Seems to Be the Hardest Word[br]14. Sacrifice[br]15. Candle in the Wind[br]16. Funeral for a Friend/Love Lies Bleeding[br]17. Are You Ready for Love[br]18. I'm Still Standing[br]19. Saturday Night's Alright for Fighting[br]20. Crocodile Rock[br]21. Pinball Wizard[br]22. Your Song[br]23. Can You Feel the Love Tonight|| ||{{{+1 '''엘튼 존 밴드'''}}}|| ||보컬, 피아노 - 엘튼 존[br]기타, 백 보컬 - 데이비 존스턴[br]베이스, 백 보컬 - 밥 버치[br]드럼, 백 보컬 - 나이절 올슨[br]퍼커션, 백 보컬 - 존 메이혼[br]키보드 - 가이 바빌론|| }}}}}}}}} || [[내한 공연]]은 1989년 12월 16일과 17일 [[KSPO 돔|잠실 체조경기장]]에서 추진될 예정이었으나 취소되었고, 2004년 9월 17일 [[서울 올림픽 주 경기장]]에서 열렸다. 이 공연은 [[SBS]]에서 기획을 했고 엘튼 존 측과 협의하에 카메라를 동원해 실황을 촬영하여 그다음 주인 추석 연휴 중에 녹화했고, 이날 부른 23곡 중에서 [[Rocket Man]], [[Take Me to the Pilot]], [[Funeral for a Friend/Love Lies Bleeding]], [[I Want Love]] 등 8곡을 편집하여 15곡만 수록한 공연 실황 영상을 특집으로 방영했다.[*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9082900209220001&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9-08-29&officeId=00020&pageNo=20&printNo=20896&publishType=00020|1989년 8월 29일자 동아일보 기사]][br][[https://www.youtube.com/watch?v=LAoJVzNdeGw|2004년 9월 17일 공연 영상]]] 당일 날씨가 대체로 흐렸던 데다 공연 초반에 부슬비가 잠시 내렸다. 올림픽 주 경기장은 지붕으로 덮는 형태의 돔 스타디움이 아니기 때문에 운동장 쪽에 위치한 앞 좌석 쪽은 비를 피할 지붕 같은 게 없었다. 엘튼 존은 즉석에서 [[사랑은 비를 타고#s-6|Singin' in the Rain]]을 연주하며 관객들의 폭소를 자아낸 덕분에 분위기가 진정될 수 있었고 이후 비는 그쳤다. 당시 모든 관객은 좌석에 앉아서 공연을 감상하기로 되어 있었으나, 공연 중반부부터 분위기가 달아오르더니 무대 위치상 거의 앞자리를 차지했던 VIP 및 A 구역 관객들이 무대 앞 공간에 우르르 몰려들면서 스탠딩 공연이 되어버렸다. [[Crocodile Rock]]을 불렀을 때 관객이 무대로 던진 전통 부채를 들고 관중들의 제창을 유도하는 등 모습을 보여주었다. [[Your Song]]을 부르기 앞서 다음번에는 실내에서 공연하겠다고 말했는데, 2012년 공연은 실내에서 진행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0GuYAKJlGaQ|Singin' in the Rain (2004년 9월 17일 서울)]][br][[https://www.youtube.com/watch?v=MqJRYB6kVqA|Crocodile Rock (2004년 9월 17일 서울)]][br][[https://www.youtube.com/watch?v=7JITEC7lEC0|Your Song (2004년 9월 17일 서울)]]] ---- || '''2012년 공연 셋리스트 및 공연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 '''셋리스트'''}}}|| ||1. The Bitch Is Back[br]Bennie and the Jets[br]3. Grey Seal[br]4. Levon[br]5. Tiny Dancer[br]6. Believe[br]7. Mona Lisas and Mad Hatters[br]8. Philadelphia Freedom[br]9. Candle in the Wind[br]10. Goodbye Yellow Brick Road[br]11. Rocket Man[br]12. Hey Ahab[br]13. I Guess That's Why They Call It the Blues[br]14. Funeral for a Friend/Love Lies Bleeding[br]15. Honky Cat[br]16. Sad Songs (Say So Much)[br]17. Daniel[br]18. Sorry Seems to Be the Hardest Word[br]19. Nikita[br]20. Don't Let the Sun Go Down on Me[br]21. I'm Still Standing[br]22. Crocodile Rock[br]23. Saturday Night's Alright for Fighting[br]24. Your Song[br]25. Circle of Life|| ||{{{+1 '''엘튼 존 밴드'''}}}|| ||보컬, 피아노 - 엘튼 존[br]기타, 백 보컬 - 데이비 존스턴[br]베이스, 백 보컬 - 맷 비저넷[br]드럼, 백 보컬 - 나이절 올슨[br]퍼커션, 백 보컬 - 존 메이혼[br]키보드 - 킴 불러드[br]첼로 - [[투첼로스]][br]백 보컬 - 타타 베가, 로즈 스톤, 리사 스톤, 진 존슨 위더스푼|| }}}}}}}}} || 2008년에 두 번째 내한 공연이 성사될 예정이었지만 무산되었다. 2012년 11월 27일 서울과 11월 29일 부산에서 두 번째 내한 공연이 잡혔다. 그러나 부산 [[벡스코]] 공연은 취소되었고, 11월 27일 서울 [[올림픽공원(서울)|올림픽공원]] 체조경기장에서만 공연했다.[* [[http://www.eltondaily.com/2008/01/elton-coming-to-south-korea.html|Elton Coming to South Korea]][br][[http://sports.khan.co.kr/entertainment/sk_index.html?cat=view&art_id=201210031618323&sec_id=540301&pt=nv|엘튼 존, 부산 공연 취소! 서울 내한 공연은 예정대로]]] ---- || '''2015년 공연 셋리스트 및 공연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 The Bitch Is Back[br]2. Bennie and the Jets[br]3. Candle in the Wind[br]4. Levon[br]5. Tiny Dancer[br]6. Daniel[br]7. Philadelphia Freedom[br]8. Goodbye Yellow Brick Road[br]9. Rocket Man[br]10. I Guess That's Why They Call It the Blues[br]11. The One[br]12. Your Song[br]13. Sad Songs (Say So Much)[br]14. Don't Let the Sun Go Down on Me[br]15. I'm Still Standing[br]16. Your Sister Can't Twist (But She Can Rock n' Roll)[br]17. Saturday Night's Alright for Fighting[br]18. Crocodile Rock|| ||{{{+1 '''엘튼 존 밴드'''}}}|| ||보컬, 피아노 - 엘튼 존[br]기타, 백 보컬 - 데이비 존스턴[br]베이스, 백 보컬 - 맷 비저넷[br]드럼, 백 보컬 - 나이절 올슨[br]퍼커션, 백 보컬 - 존 메이혼[br]키보드 - 킴 불러드|| }}}}}}}}} || 2015년 11월 27일, 세 번째 내한 공연은 서울 한남동의 소규모 공연장인 [[현대카드]] 언더스테이지에서 500명 관객을 대상으로 열렸다. 이런 형태의 공연은 2015년 〈All the Hits〉 투어가 진행된 세계 40여 개 도시 중에서도 유일했다. 전석 스탠딩이었고, 〈All the Hits〉 투어의 평균 셋리스트인 24곡 중에서 6곡을 제외하고 18곡만 불렀다. 공연 하루 전에는 [[윤하]], [[윤종신]], [[김수로(배우)|김수로]] 등 연예인들과 일부 관객을 대상으로 한 프라이빗 공연을 열었다. 한국을 방문한 김에 자신이 주주로 있는 코코넛 제품 브랜드 '잭스코코' 사업 등을 논의하고자 홍콩에 있는 잭스코코 본사에서 잭스코코 코리아를 설립한 [[박진영]]과 일정을 조율하기도 했다.[* [[https://www.mk.co.kr/news/culture/view/2015/10/978303|엘튼 존 한국 온다…다음달 27일 소극장 공연]],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003&aid=0006899324|(리뷰) 엘튼 존 500명 소극장 콘서트, 오디세이아 쓰다]][br][[http://www.sporbiz.co.kr/news/articleView.html?idxno=23638|윤종신, 엘튼 존과 함께 한 놀라운 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11/04/0200000000AKR20151104075000005.HTML?input=1195m|내한하는 엘튼 존, 박진영 만난다…"코코넛 사업 논의"]]] == 그 외 활동 == === 왓포드 FC === * 엘튼 존은 어렸을 때부터 [[왓포드 FC]] 팬이었고 1973년 왓포드 FC에서 부사장으로 임명되면서 오랜 인연이 시작되었다. 1974년 이사 임명에 이어 1976년부터 1987년까지, 1997년부터 2002년까지 두 차례에 걸쳐 회장을 역임했다. 1990년에는 종신 명예 회장으로 임명되었다.[* [[http://archive.is/ylTFl|엘튼 존 홈페이지의 '왓포드' 관련 정보]], [[http://blog.naver.com/britishcouncilkorea/220934382168|[이성모의 영국축구 이야기 06] 엘튼 존과 왓포드 FC의 '우정' 이야기]][br]Elton John: The Biography, 214~215 페이지] * 2014년에는 홈구장의 스탠드 개축이 이루어지면서 스탠드 중 하나의 이름이 엘튼 존 경 스탠드(The Sir Elton John Stand)로 바뀌었다. === 자선 활동 === * [[라이언 화이트]], [[프레디 머큐리]] 등 많은 친구들이 [[에이즈]]/[[HIV]]로 사망한 것을 수없이 봐온 엘튼 존은 해당 질병에 대해 진지한 입장을 가지고 있다. 1980년대 후반부터 [[HIV]]/[[에이즈]] 퇴치 운동에 참여하기 시작했고, 1992년에는 비영리 단체 '엘튼 존 에이즈 재단(Elton John AIDS Foundation)'을 설립했다. [[사회적 소수자]] 인권 운동을 포함하여 HIV/에이즈 치료 연구 기금으로 수십억 이상의 거금을 기부하는 사회 운동가로 활동하고 있다.[* [[http://ejaf.org|엘튼 존 에이즈 재단]], [[https://www.eltonjohn.com/charities|엘튼 존 홈페이지의 '자선 활동' 관련 정보]]] * 엘튼 존 에이즈 재단 주최로 1993년부터 매년 [[아카데미 시상식]] 때 후속 파티(Elton John AIDS Foundation Academy Award Party)가 개최되었고, 아카데미 시상식 후속 파티를 포함하여 각종 행사를 통해 모은 수십억 정도의 모금액을 HIV/에이즈 퇴치 및 치료 연구 비용으로 전액 기부했다.[* [[https://www.forbes.com/sites/stevebaltin/2018/03/05/elton-john-oscar-party-raises-almost-6-million-for-fight-against-aids/?sh=6fe875f43494|Elton John Oscar Party Raises Almost 6 Million For Fight Against AIDS]][br][[https://www.hollywoodreporter.com/movies/movie-features/elton-johns-oscar-party-turns-25-spielberg-hanks-an-oral-history-aids-benefit-heidi-klum-da-977094/|25 Years of Elton John's Oscar Parties: An In-Depth History]]] === 개인사 === * 1967년 겨울부터 1968년 여름까지 교제했던 린다 우드로라는 여성과의 결혼 문제로 인해 같이 지내던 아파트에서 가스를 틀어놓으며 자살 시도를 했다. 이 사건은 1975년 곡 [[Captain Fantastic and the Brown Dirt Cowboy#s-7.1.5|Someone Saved My Life Tonight]]에서 다루었다. 1975년 10월 미국 로스앤젤레스의 베네딕트 캐니언 맨션에서 다량의 신경안정제를 복용하고 수영장에 뛰어들며 두 번째 자살 시도를 했다. 두 자살 시도는 2019년 전기 영화 [[로켓맨(영화)|로켓맨]]에서 다루었지만 1968년 사건은 삭제되었다.[* [[http://archive.is/2iwQy#selection-1329.46-1329.58|Elton John goes back to his musical roots with his long-lost pop idol, Leon Russell]][br][[https://ultimateclassicrock.com/elton-john-1975-suicide-attempt/|The Story of Elton John’s 1975 Suicide Attempt]][br][[https://www.youtube.com/watch?v=S1Xm1jBc84U|로켓맨 - 1975년 자살 시도 장면]], [[https://www.youtube.com/watch?v=UE4SGV0KjAY|로켓맨 - 1968년 자살 시도 삭제 장면]]] * 1976년 10월 [[롤링 스톤]] 인터뷰에서 [[양성애자]]로 커밍아웃했다. 음반 작업으로 만난 친구였던 독일 출신의 음향 기술자 레나테 블라우엘과 1984년 2월 14일 호주 시드니에서 결혼했으나 1988년 11월 18일 이혼했다. 1992년 3월 〈롤링 스톤〉 인터뷰에서 [[동성애자]]로 재차 커밍아웃했다.[* [[https://www.rollingstone.com/music/music-news/elton-john-lonely-at-the-top-rolling-stones-1976-cover-story-238734/|1976년 10월 롤링 스톤]], [[https://books.google.co.kr/books?id=1o8YQZQhqGoC&pg=PA23&redir_esc=y&hl=ko#v=onepage&q&f=false|The Seductions of Biography, 23 페이지]], [[https://books.google.co.kr/books?id=T9qCCwAAQBAJ&pg=PT43&lpg=PT43&dq=rolling+stone+19+march+1992+elton+john+philip+norman&source=bl&ots=DosOttpHEC&sig=ACfU3U2diKLtNry432yYDG2a4k2V_JLjHg&hl=ko&sa=X&ved=2ahUKEwiIpvPUwdDzAhUwE6YKHYTPDdIQ6AF6BAgXEAM#v=onepage&q=%20philip%20norman&f=false|29 페이지]][br][[http://eltonjohnallsongslist.blogspot.com/2008/01/unforgettable-people-iv-renate-blauel.html|Unforgettable People (VI): Renate Blauel]]] * 1987년, 영국의 일간지 [[The Sun|더 선]]은 엘튼 존을 성도착자로 묘사하면서도 동물 학대를 저질렀다는 허위 기사들을 보도했다. 엘튼 존은 더 선을 17차례의 명예 훼손으로 고소했고 1988년에 재판 없이 100만 파운드와 소송비용을 받아내는 조건으로 합의했으며, 이 돈을 자선단체에 전액 기부했다.[* Elton John: The Biography, 305~309 페이지[br]자서전 Me, 200~203 페이지] * 1970년대 중반부터 십수 년간 [[마약]]과 [[알코올]]에 중독되고 [[우울증]]과 [[폭식증]] 등 각종 질병을 앓았던 엘튼 존은 1980년대 후반부터 [[라이언 화이트]] 가족과 함께 지냈던 경험이 자신을 변화시키는 힘을 주었으며, 큰 감동을 받았다고 밝혔다. 라이언 화이트가 사망하고 3개월 뒤, 1990년 7월 29일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의 루터란 종합병원에 입원하여 6주간 치료를 받으며 재활에 성공했고 1992년 정규 24집 [[The One(음반)|The One]]을 작업하기 전까지 휴식을 취했다.[* [[https://fherehab.com/news/how-elton-john-found-long-term-recovery-from-cocaine/|How Elton John Found Long-Term Recovery from Cocaine]], [[https://www.biography.com/news/elton-john-drugs-alcohol-addiction|Elton John's Past Struggles With Drugs and Alcohol]][br]Elton John: The Biography, 317 페이지, [[https://ultimateclassicrock.com/elton-john-ryan-white/|엘튼 존과 라이언 화이트의 우정]]] * 2005년 12월 21일, 영국에서 [[시민결합]]이 허용되자 1993년부터 교제한 캐나다의 영화 제작자 데이비드 퍼니시와 함께 법적 파트너가 되었고, 2014년 [[동성결혼]]이 허용되자 그해 12월 21일 결혼했다. 데이비드 퍼니시는 엘튼 존의 매니저이기도 하다. 대리모를 통해 장남 재커리 잭슨 리번 퍼니시존이 2010년 12월 25일 태어났고, 같은 대리모를 통해 차남 일라이저 조셉 대니얼 퍼니시존이 2013년 1월 11일 태어났다. [[레이디 가가]]가 재커리와 일라이저의 [[대모]]이다.[* [[http://archive.is/P4ohM|10 Years Ago: Elton John and David Furnish Make It Legal]], [[http://archive.is/s10K0|Sir Elton John and David Furnish marry]][br][[https://www.musicbusinessworldwide.com/the-idea-of-managing-elton-before-i-got-sober-would-have-been-terrifying12/|데이비드 퍼니시 인터뷰 (2022년 1월 5일)]], 자서전 Me, 320~325 페이지[br][[https://people.com/parents/elton-john-sons-rare-appearance-oscars-viewing-party-godmother-lady-gaga/|Elton John's Sons Make Rare Appearance at Oscars Viewing Party with Godmother Lady Gaga]]] * 자선 활동 목적으로 2009년 우크라이나 키이우의 고아원을 방문했을 때 레프라는 소년을 만났고 입양하려 했다. 그러나 우크라이나 당국으로부터 나이가 많다는 이유와 현지에서는 인정되지 않는 동성부부라는 이유로 입양이 거절되었다. 입양에 실패한 이후에도 교류를 계속 이어왔다.[* [[https://www.dailymail.co.uk/femail/article-7590111/Why-Elton-son-leave-behind.html|Why Elton John can't let go of the 'son' he had to leave behind]]] * 탈모로 인해 1970년대 후반부터 모자를 쓰며 활동했지만 1990년대 초반에는 붙임 머리와 부분 가발을, 1990년대 중반부터 가발을 착용하기 시작했다.[* Rocket Man: Elton John From A-Z, 42 페이지[br]자서전 Me, 145~147 페이지] * 패션 상품과 꽃, 책, 음반 수집광으로 유명하다.[* Elton John: The Biography, 21~22 / 86~87 / 125 / 357 페이지[br][[https://www.coolaccidents.com/news/elton-john-record-collection|Elton John Has Over 130,000 CDs And Vinyl Records So When Are We Coming Over]]] == 인간관계 == ||[[파일:elton_john_lennon.jpg|width=220]]||[[파일:elton_john_paul_mccartney.jpg|width=170]]||[[파일:elton-john-george-harrison.jpg|width=250]]||[[파일:elton john_ringo starr.jpg|width=130]]|| || {{{-1 존 레논 (1974년)}}} || {{{-1 폴/[[린다 매카트니]] (1971년)}}} || {{{-1 조지 해리슨 (1987년)}}} || {{{-1 링고 스타 (1975년)}}} || * [[비틀즈]]의 멤버들과 프로듀서 [[조지 마틴]]과 친한 사이를 유지했다. 비틀즈가 1960년대 활동했을 당시 엘튼 존은 무명 가수였기 때문에 그룹 자체와는 연관성이 없었고, 1970년 비틀즈 해체 이후로 음반 작업과 무대 협업을 이룬 뮤지션들 중에서 자주 언급되는 편이다. * [[존 레논]] 생전 절친한 사이였으며, 차남 [[션 레논]]의 대부가 엘튼 존이다. 엘튼 존이 참여한 [[Whatever Gets You thru the Night]]이 1974년 빌보드 핫 100 1위를 기록했고, 엘튼 존이 녹음하고 존 레논이 참여한 [[Lucy in the Sky with Diamonds]]도 1975년 빌보드 핫 100 1위를 기록했다. 존 레논은 1974년 11월 28일 [[매디슨 스퀘어 가든]]에서 열린 [[https://www.youtube.com/watch?v=4fFfbp_5qlg|엘튼 존 공연]]에 참여했다.[* [[https://www.express.co.uk/entertainment/music/1343853/John-Lennon-Elton-John-friend-Beatles-John-Lennon-son-Sean|관련 자료: John Lennon Elton John: Were Beatles star and Sir Elton friends? 'Whirlwind romance']]] 이후 엘튼 존은 존 레논을 추모하는 두 곡 [[Jump Up!#Empty Garden (Hey Hey Johnny) - 5:05|Empty Garden (Hey Hey Johnny)]], [[Ice on Fire#The Man Who Never Died - 5:12|The Man Who Never Died]]를 각각 1982년과 1985년 발매했다. [[신비한 TV 서프라이즈]]에서 두 사람의 비화를 2015년 방영한 적 있는데, 존 레논이 엘튼 존이 입국한 로스앤젤레스 공항으로 달려가 무릎을 꿇었다는 건 한국에서만 돌아다니는 완전히 허구의 이야기다.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신비한 TV 서프라이즈/논란, 앵커=현실 반영 부족\, 오역 및 그 사례)] * [[링고 스타]]의 1974년 정규 4집 [[Goodnight Vienna]]에 참여하여 버니 토핀과 함께 쓴 곡 [[Captain Fantastic and the Brown Dirt Cowboy#Snookeroo - 3:30|Snookeroo]]를 주었고, 이 곡에서 피아노 연주를 맡았다. [[조지 해리슨]]의 1987년 정규 11집 [[Cloud Nine]]에서 피아노와 일렉트릭 피아노 연주로 참여했다. [[폴 매카트니]]의 음반들에 참여한 적은 없다. * 조지 마틴은 1995년 곡 [[Made in England#Latitude - 3:34|Latitude]]에서 편곡을, 1997년 곡 [[Candle in the Wind 1997]]에서 프로듀싱과 편곡을 맡았다. 그의 아들이자 프로듀서 자일스 마틴과도 친분이 있으며, 2019년 [[로켓맨(영화)/사운드트랙|로켓맨 사운드트랙]]과 2021년 정규 35집 [[The Lockdown Sessions]]에 참여하는 등 여러 차례 협업했다. * [[로드 스튜어트]]는 일종의 라이벌 관계로 서로 티격태격하면서도 친하게 지낸 걸로 알려진 친구이며, 무명 시절이던 1960년대부터 친분이 시작되었다.[* Elton John: In His Own Words, 107 페이지[br]Rocket Man: Elton John From A-Z, 95 페이지[br][[http://archive.is/GkwIQ|Rod Stewart and Elton John text each other to compare album sales as part of rivalry]]] 엘튼 존은 버니 토핀과 함께 쓴 경쾌한 록 곡 [[Let Me Be Your Car]]를 1974년에 로드 스튜어트에게 주었고, 이 곡에서 피아노 연주와 보컬도 맡았다. * 1971년부터 1998년까지 엘튼 존의 매니지먼트를 맡았던 전직 매니저 존 리드가 1975년부터 1978년까지 [[퀸(밴드)|퀸]] 매니지먼트를 맡았을 때 엘튼 존은 퀸 멤버들과 친분이 있었는데 특히 [[프레디 머큐리]]와 친했다. 프레디 머큐리는 1987년에 엘튼 존에게 에이즈 감염 사실을 알렸고, 프레디 머큐리 임종 직전 병문안이 허락된 몇 안 되는 인물도 엘튼 존이었다.[* [[https://www.smoothradio.com/artists/queen/elton-john-freddie-mercury-gift-story/|Elton John shares beautiful story about Freddie Mercury's battle with AIDS]][br][[https://www.mirror.co.uk/3am/celebrity-news/freddie-mercurys-heartbreaking-final-note-21823779|Freddie Mercury's heartbreaking final note for pal Elton John days before he died]]] 1992년 4월 20일 [[프레디 머큐리 추모 콘서트]]에 참여하여 [[https://www.youtube.com/watch?v=MqesIQa_4xw|The Show Must Go On]], 액슬 로즈와 함께 [[https://www.youtube.com/watch?v=i26406_EldM|Bohemian Rhapsody]]를 불렀다. 엘튼 존은 1992년과 1993년 순회공연에서도 [[The Show Must Go On]]을 자주 불렀다. 1997년 1월 17일 프랑스 파리의 샤이요 국립극장에서 베자르 발레단의 퍼포먼스에 맞춰 퀸과 함께 프레디 머큐리와 [[조르주 돈]]을 기하는 공연을 열었을 때 [[https://www.youtube.com/watch?v=LgROJoX3OYM|The Show Must Go On]]을 불렀다. * [[다이애나 스펜서]]와 각별한 우정을 가졌다. 다이애나 스펜서를 추모하는 곡으로 개사한 [[Candle in the Wind 1997]]을 장례식에서 불렀고 싱글로 발매했으며, 싱글로 얻은 수익금을 다이애나비 추모 기금에 기부했다. 그의 두 아들 [[윌리엄 아서 필립 루이]]와 [[헨리 찰스 앨버트 데이비드]]와도 좋은 사이를 유지했다.[* [[https://www.heart.co.uk/news/royals/princess-diana/elton-john-friendship/|Inside Elton John and Princess Diana's close friendship]][br][[https://www.biography.com/news/princess-diana-elton-john-friendship-fight|관련 자료: Inside Princess Diana and Elton John's Tight — but Often Complicated — Friendship]]] * [[빌리 조엘]]은 피아노를 기반으로 한 음악을 선보인 뮤지션이라는 공통점이 있지만 〈Face to Face〉 합동 투어를 진행하기 전까지 음악적 만남이 거의 없었다.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빌리 조엘, 앵커=엘튼 존)] * [[건즈 앤 로지스]]의 보컬리스트 [[액슬 로즈]]도 엘튼 존 음악에 많은 영감을 받았으며, 1991년 영화 [[터미네이터 2: 심판의 날]]의 주제가 "You Could Be Mine"의 가사에 1973년 곡 [[I've Seen That Movie Too]]를 인용한 적 있다. 엘튼 존이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 1994년 헌액되었을 때 [[https://youtu.be/QsXrsmNjmYc|액슬 로즈가 헌사]]를 남겼고 1973년 곡 [[Bennie and the Jets]]를 처음 듣고 연주자가 되어야겠다는 생각을 했다고 밝혔다. 두 사람은 1992년 4월 20일 프레디 머큐리 추모 공연에서 [[Bohemian Rhapsody]]를 불렀고, 그해 9월 9일 로스앤젤레스에서 열린 제9회 [[MTV 비디오 뮤직 어워드]]에서는 [[https://www.youtube.com/watch?v=DwL0hWRQA34|November Rain]] 무대를 선보였다. * [[에미넴]]과도 친분이 있다. 에미넴의 또 다른 인격이자 자아인 [[슬림 셰이디]]의 랩에 [[호모포비아]] 요소가 가득해서 이에 대해 많은 논란이 있었을 때 엘튼 존은 에미넴은 호모포비아가 아니라고 옹호했고, 2001년 2월 21일 제43회 [[그래미 어워드]]에서 함께 [[https://www.youtube.com/watch?v=eOAiwE48g10|Stan]] 무대를 선보이며 크게 화제가 되었다. 그 후로 서로의 애칭을 "cunt"라고 부를 정도로 친하게 지냈고 2017년과 2018년에는 함께 인터뷰도 했다. 약물 중독에 시달렸던 에미넴에게 도움을 주기도 했다.[* [[http://archive.is/6PLia|Flashback: Eminem and Elton John Join Forces at the 2001 Grammys]][br][[https://theboombox.com/eminem-elton-john-friendship/|'Eminem Was Never Homophobic': How Elton John Helped Rap's Biggest Star]][br][[https://www.interviewmagazine.com/music/eminem-elton-john-december-2017-interview|2017년 12월 인터뷰]], [[https://www.youtube.com/watch?v=4MyNi1zsJJg|2018년 10월 인터뷰]][br][[https://www.theguardian.com/music/2009/may/15/eminem-elton-john|Eminem: Elton John got me off drugs]]] * [[오지 오스본]]과 친분이 있고 특히 그의 배우자 샤론 오스본과 친하다. 오스본 부부 또는 가족과 함께 엘튼 존 에이즈 재단 주최 아카데미 시상식 후속 파티에 자주 참석했고, 배우자 데이비드 퍼니시와 함께 2002년부터 2005년까지 [[MTV]]에서 방영된 리얼리티 프로그램 〈오스본 패밀리〉(The Osbournes)에 특별 출연한 적 있다. 오지 오스본의 2020년 정규 12집 《Ordinary Man》에 참여하여 타이틀 트랙 [[https://www.youtube.com/watch?v=dBF78tA443A|Ordinary Man]]을 같이 불렀다.[* [[https://www.youtube.com/watch?v=Jku6nWs0lBU|오스본 패밀리 시즌4 6회 (2005)]][br][[https://www.gqkorea.co.kr/2021/03/19/록-음악계의-어둠의-왕자-오지-오스본의-고백/|GQ 2021년 3월 인터뷰]]] == 대중매체에서 == * 1977년 10월 영국에서 촬영되고 1978년 1월 8일(영국), 2월 4일(미국) 방영된 [[더 머펫 쇼]] 시즌 2 에피소드 14에서 게스트로 출연했다. 거대한 깃털 의상을 입고 [[Crocodile Rock]]을 불렀고 [[일렉트릭 메이헴]]이 백업 연주를 맡았다. 머펫 캐릭터들과 함께 [[Bennie and the Jets]]를 불렀고, 일렉트릭 메이헴과 [[Goodbye Yellow Brick Road(노래)|Goodbye Yellow Brick Road]]를, 미스 피기와 함께 [[Don't Go Breaking My Heart]]를 불렀다. 일렉트릭 메이헴의 리더 닥터 티스는 엘튼 존과 미국의 싱어송라이터이자 피아니스트 닥터 존의 영향을 받은 캐릭터인데, 기획 단계에서는 이름이 "Leon "Doctor" Eltonjohn Dontshoot (The Piano Player)"이었다.[* [[https://www.imdb.com/title/tt0653155/|IMDb - 더 머펫 쇼 시즌 2 에피소드 14 관련 정보]][br][[https://eltonjohnallsongslist.blogspot.com/2009/09/1977-goaldiggers-chronology_25.html|1977: Goaldigger's Chronology]], [[https://books.google.co.kr/books?id=7ApdHuH7h8UC&pg=PT167&lpg=PT167&dq=Leon+%22Doctor%22+Eltonjohn+Dontshoot+(The+Piano+Player)&source=bl&ots=DkE9439bN6&sig=ACfU3U3-0KECkg5X5aGv9yy2te_K-6w8tw&hl=ko&sa=X&ved=2ahUKEwi715De54foAhUrGKYKHQWLA5oQ6AEwAXoECAkQAQ#v=onepage&q=Leon%20%22Doctor%22%20Eltonjohn%20Dontshoot%20(The%20Piano%20Player)&f=false|Jim Henson: The Biography]][br][[http://static3.wikia.nocookie.net/__cb20060312024432/muppet/images/4/41/Drteethsketch.jpg|Leon "Doctor" Eltonjohn Dontshoot (The Piano Player)]]] * 1991년 출시된 [[NES]] 게임 [[액션 52]]의 스물여덟 번째 게임 [[액션 52/게임 목록(패미컴)#s-28|NON-HUMAN]]에 나오는 얼굴은 엘튼 존을 묘사했다고 한다. * 1998년 10월 7일 방영된 [[사우스 파크]] 시즌 2 에피소드 14 [[Chef Aid]]에 출연했고 목소리를 맡았다. 버니 토핀과 함께 경쾌한 록 곡 [[https://www.youtube.com/watch?v=he4dNbs2Mlg|Wake Up Wendy]]를 특별히 썼고, 해당 에피소드에서 [[스탠 마시]]가 [[웬디 테스터버거]]를 위해 직접 가사를 쓰고 엘튼 존이 작곡한 걸로 묘사되었다. "Wake Up Wendy"는 1998년 11월 발매된 사운드트랙 《Chef Aid: The South Park Album》에 수록되었다. 사우스파크 제작자 [[트레이 파커]]는 엘튼 존 팬이라고 인터뷰에서 밝혔다.[* [[http://archive.is/bM1mQ|트레이 파커 인터뷰]]] * 1999년 2월 14일 방영된 [[심슨 가족]] 시즌 10 에피소드 14 [[https://www.youtube.com/watch?v=Di1h6Pha2fY|I'm with Cupid]]에 출연했고 목소리를 맡았다. * 2001년 10월 22일 방영된 영국의 애니메이션 [[밥 더 빌더]]의 크리스마스 특집 [[https://www.youtube.com/watch?v=fP3F30iehMg|A Christmas to Remember]]에 출연했고 목소리를 맡았다. * 2016년 12월 21일 개봉된 [[일루미네이션 엔터테인먼트]]의 장편 뮤지컬 애니메이션 [[씽(영화)|씽]]에서 [[조니(씽)|조니]](성우 [[태런 에저턴]])가 1983년 히트곡 [[Too Low for Zero#I'm Still Standing - 3:02|I'm Still Standing]]을 피아노를 연주하면서 불렀다. 작중 '조니' 역을 맡은 태런 에저턴은 2019년 전기 영화 〈로켓맨〉에 출연했을 때에도 "I'm Still Standing"을 다시 불렀다. * 2017년 9월 22일 개봉된 [[킹스맨: 골든 서클]]에서 카메오로 출연했다. 포피 아담스한테 납치되어서 강제로 공연을 하고 마약을 몰래 한 탓에 온몸에 파란 핏줄이 생기는 등 포피의 전용 광대로 고생하면서 고통받는 역할이다. [[해리 하트]]와 [[게리 에그시 언윈]]이 구조하러 올 때, 킹스맨이 포피의 아지트로 습격한 날이 수요일이라서 [[Saturday Night's Alright for Fighting]]을 "Wednesday"로 바꾸어 부르면서도 포피의 부하들을 혼자 상대한다. 해리 하트가 포피의 로봇 개들한테 공격당할 뻔할 때 포피가 로봇 개는 엘튼 존을 공격하지 못하게 설정한 걸 이용해 해리를 도와주고 같이 로봇 개를 박살 내는 활약을 한다.[* 직전에 로봇의 전자화면에다 포피한테 욕을 한바가지 날리고 이에 뚜껑이 열린 그녀가 엘튼도 죽이라고 명령을 내리지만 때는 이미 늦어서 해리와 엘튼은 서로 볼링공으로 로봇 개를 후려친다.] 이때 해리는 "세상을 구하고 나면 다음 공연 티켓 2장(본인 것과 에그시 것) 얻을 수 있을까요?"라고 하자 엘튼은 "자기(Darling)가 세상을 구하면 백스테이지 패스를 주겠다"라고 한다. 이 대사는 [[킹스맨: 시크릿 에이전트]]에서 에그시가 틸디 공주를 구출할 때 했던 대사의 오마주이다. 이후 에그시와 틸디 공주의 결혼식에서 오르간을 연주하고 결혼을 축하해 준다. 작중 "Saturday Night's Alright for Fighting"을 포함하여 [[Daniel(노래)|Daniel]], [[Rocket Man]], [[Jack Rabbit]]까지 4곡이 삽입되었다. * 뮤지컬 전기 영화 [[로켓맨(영화)|로켓맨]]이 2019년 5월 개봉했다. 킹스맨 시리즈에서 게리 에그시 언윈 역을 맡은 테런 에저턴이 엘튼 존을 연기했고, [[제이미 벨]]이 버니 토핀을 연기했다. 제이미 벨은 엘튼 존이 작곡을 맡은 [[빌리 엘리어트(뮤지컬)|빌리 엘리어트]] 뮤지컬의 원작인 2000년 영화 [[빌리 엘리어트(영화)|빌리 엘리어트]]에서 주인공 빌리 역을 맡은 바 있다. == 디스코그래피 == === [[엘튼 존/음반 목록|음반]] === === [[:분류:엘튼 존 노래|문서가 분리된 곡들]] === === [[엘튼 존/음반 목록#s-13|영국/미국 차트 성적]] === == 필모그래피 == '''{{{+1 영화}}}''' * 1972년 《본 투 부기》 - 본인 * 1975년 《[[Tommy(음반)#s-3|토미]]》 - 핀볼 위저드 * 1997년 《스파이스 월드》 - 본인 * 2002년 《컨트리 베어스》 - 정원사 * 2009년 《[[브루노(영화)|브루노]]》 - 본인 * 2017년 《[[킹스맨: 골든 서클]]》 - 본인 ---- '''{{{+1 음악 및 기획}}}''' * 1970년 《더 게임스》 - [[From Denver to L.A.]] * 1971년 《프렌즈》 - 음악 * 1975년 《[[Tommy(음반)#s-3|토미]]》 - [[Pinball Wizard]] * 1982년 《해변의 연인들》 - [[21 at 33#s-8.10|Take Me Down to the Ocean]] * 1989년 《[[고스트버스터즈 2]]》 - [[Sleeping with the Past#s-7.3.2|Love Is a Cannibal]] * 1990년 《[[폭풍의 질주]]》 - [[The Very Best of Elton John#s-2.3.1|You Gotta Love Someone]] * 1990년 《[[록키 5]]》 - "The Measure of a Man" * 1992년 《[[푸른 골짜기]]》 - [[The One(음반)#s-10.1|Some Other World]] * 1992년 《[[리썰 웨폰 3]]》 - [[The One(음반)#s-8.4|Runaway Train]] (엘튼 존/[[에릭 클랩튼]]) * 1994년 《[[라이온 킹]]》 - 음악 * 1999년 《뮤즈》 - 음악 * 2000년 《[[엘도라도(애니메이션)|엘도라도]]》 - 음악 * 2001년 《위민 토킹 더티》 - 기획, "Sofa Love" * 2003년 《모나리자 스마일》 - "The Heart of Every Girl" * 2008년 《오스트레일리아》 - "The Drover's Ballad" * 2011년 《[[노미오와 줄리엣]]》 - 음악, 기획 * 2017년 《아메리칸 에픽》 - "2 Fingers of Whiskey" (엘튼 존/[[잭 화이트]]) * 2018년 《[[셜록 놈즈]]》 - 음악, 기획 * 2019년 《[[로켓맨(영화)|로켓맨]]》 - 기획, 음악 * 2019년 《[[라이온 킹(2019)|라이온 킹]]》 - 음악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