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카드군]][[분류:유희왕/OCG/전사족]][include(틀:상위 문서, top1=엘리멘틀 히어로)] [include(틀:토론 합의, 토론주소1=DramaticDrabShiveringYear, 합의사항1=목차가 길어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개별 문서가 존재하는 카드는 문단을 생성하지 않고 표시하기)] [목차] == 일반 몬스터 == === 레벨 3 === * [[엘리멘틀 히어로 페더맨]] 엘리멘틀 히어로 와일드 윙맨, 에릭실러, 템피스터, 피닉스 가이, 세일러맨, 프레임 윙맨의 융합 소재. 그 외에도 [[이블 히어로 인페르노 윙]], [[이블 히어로#이블 히어로 와일드 싸이크론|이블 히어로 와일드 싸이크론]]의 융합 소재이기도 하다. * [[엘리멘틀 히어로 버스트 레이디]] 애니메이션 출신 엘리멘틀 히어로의 홍일점. 엘리멘틀 히어로 램파트 건맨, 피닉스 가이, 스팀 힐러, 에릭실러, 프레임 윙맨의 융합 소재. 그 외에도 [[이블 히어로 인페르노 윙]], [[이블 히어로#이블 히어로 헬 스나이퍼|이블 히어로 헬 스나이퍼]]의 융합 소재이기도 하다. === 레벨 4 === * [[엘리멘틀 히어로 클레이맨]] 수비력 2000의 벽 몬스터. 엘리멘틀 히어로 썬더 자이언트, 램파트 건맨, 에릭실러, 매드볼맨의 융합 소재. 그 외에도 [[이블 히어로#이블 히어로 라이트닝 골렘|이블 히어로 라이트닝 골렘]], [[이블 히어로#이블 히어로 헬 스나이퍼|이블 히어로 헬 스나이퍼]]의 융합 소재이기도 하다. * [[엘리멘틀 히어로 스파크맨]] 공격력 1600의 하급 어태커. 엘리멘틀 히어로 썬더 자이언트, 다크 브라이트맨, 템피스터, 플라즈마 바이스맨, 샤이닝 피닉스 가이, 샤이닝 플레어 윙맨의 융합 소재. 그 외에도 [[이블 히어로#이블 히어로 라이트닝 골렘|이블 히어로 라이트닝 골렘]]의 융합 소재이기도 하다. === 레벨 7 === * [[엘리멘틀 히어로 네오스]] [[유우키 쥬다이]]의 에이스. [[네오스]]라는 독립적인 카드군에도 속하며, 여기 목록에 있는 나머지 엘리멘틀 히어로하고는 상당히 이질적인 덱 구축을 짜게 된다.[* 물론 기존 히어로처럼 패융합이 가능한 네오스나이트같은 카드도 있기는하다.] == 효과 몬스터 == === 레벨 3 === * [[엘리멘틀 히어로 크노스페]] 전사족이 대다수인 이 카드군 중에서 진화체(?)인 포이즌 로즈와 더불어 유이하게 식물족. * [[엘리멘틀 히어로 아이스에지]] [[전갈(유희왕)|전갈단의 클리프]]와 비슷한 효과를 가진 카드. === 레벨 4 === * [[엘리멘틀 히어로 버블맨]] 초창기 하급 히어로들 중 유일한 효과 몬스터. 별명은 [[욕망의 항아리|단지남]]으로, 엑시즈 소환이 나오면서 7~8기 시절에 재평가받은 카드들 중 하나다.[* 패가 버블맨 한장뿐일경우 특수소환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때문에 에어맨을 비롯한 레벨4의 몬스터를 제외한 몬스터를 극한까지 줄여서 버블맨을 기습적으로 특수소환하는 히어로 비트덱이 4축 엑시즈와 함께 유행한적이 있었다. 덱의 특성상, 소모성 마법/함정이 대부분이기때문에 현실적으로 이용이 불가능에 가까웠던 드로우효과까지 쓸수있었고, 그게 미러클퓨전이었을 경우, 물속성을 소재로 소환되는 앱솔루트제로를 이용하는 대역전까지 가능했었다. 심지어 그러고도 패가 한장 남는다!] 엘리멘틀 히어로 세일러맨, 매드볼맨, 스팀 힐러, 에릭실러, 템피스터의 융합 소재. * [[엘리멘틀 히어로 버블맨#엘리멘틀 히어로 버블맨 네오|엘리멘틀 히어로 버블맨 네오]] 버블맨과 [[돌연변이(유희왕)|돌연변이]]를 통해서 소환 가능한 녀석인데, 해당 카드가 금지를 먹어서 [[청천벽력(유희왕)|청천벽력]]이나 엘리멘트의 가호로만 불러낼 수 있다. 물론 그래도 아무도 안쓴다. * [[엘리멘틀 히어로 와일드맨]] 함정내성을 가진 몬스터. 엘리멘틀 히어로 와일드 윙맨, 와일드 쟤기맨, 네크로이드 샤먼의 융합 소재. 그 외에도 [[이블 히어로#이블 히어로 와일드 싸이크론|이블 히어로 와일드 싸이크론]]의 융합 소재이기도 하다. * [[엘리멘틀 히어로 플리즈마]] 애니메이션 첫 등장시에는 레벨이 5였다. 독특한 효과 덕에 검투수 덱에 용병으로 투입된 경력이 있으며, 덱에서 묘지로 보내는 효과를 이용해 현재도 스케어클로 등의 덱에서 덤핑 요원으로 활약하고 있다. * [[엘리멘틀 히어로 에어맨]] '''최강의 하급 히어로.''' 과거에는 그 강력함 덕에 금제 리스트에도 올랐으며 현재도 히어로 덱의 핵심 중 하나다. 강력한 서치 효과와 마함 견제 능력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 [[엘리멘틀 히어로 오션]] [[엘리멘틀 히어로 디 어스]]의 융합 소재. * [[엘리멘틀 히어로 포레스트맨]] [[엘리멘틀 히어로 디 어스]]의 융합 소재. * [[엘리멘틀 히어로 더 히트]] [[엘리멘틀 히어로 프레임 블래스트]]의 융합 소재. 특이하게도 화염족이다. * [[엘리멘틀 히어로 레이디 오브 파이어]] [[엘리멘틀 히어로 프레임 블래스트]]의 융합 소재. 특이하게도 화염족이다. * [[엘리멘틀 히어로 볼테크]] 전사족이 대다수인 이 카드군 중에서 특이하게 번개족. * [[엘리멘틀 히어로 플래시]] 묘지에 존재하는 마법카드를 회수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 카드. * [[엘리멘틀 히어로 섀도우 미스트]][* 엄밀히 따지자면 코믹스 당시에는 효과 자체는 불명 상태로 속성만 나왔던 히어로 카드다. 후에 OCG화되면서 대폭 강해진 케이스.] 에어맨에 이은 강력한 서치 효과를 가진 히어로. 동시에 [[마스크드 히어로]]도 지원한다. * [[엘리멘틀 히어로 캡틴 골드]] [[마천루-스카이스크레이퍼-]]를 서치할 수 있는 OCG 오리지널 몬스터. * [[엘리멘틀 히어로 어나더 네오스]] 추가로 일반 소환해 [[엘리멘틀 히어로 네오스]]의 이름을 얻는 하급 듀얼 몬스터. 과거에는 히어로 비트의 주축이었다. * [[엘리멘틀 히어로 브레이즈맨]] 먼 시간이 지나, [[넥스트 챌린저스]]에서 일본판 월프로 추가된 OCG 오리지널 몬스터. * [[엘리멘틀 히어로 솔리드맨]] 마찬가지로 먼 시간이 지나 출시된 OCG 오리지널 몬스터. * [[엘리멘틀 히어로 리퀴드맨]] 마찬가지로 먼 시간이 지나 출시된 OCG 오리지널 몬스터. === 레벨 5 === * [[엘리멘틀 히어로 네크로다크맨]] 엘리멘틀 히어로 다크 브라이트맨, 네크로이드 샤먼의 융합 소재. 애니메이션에서는 에지맨과 네오스의 주요 소환 수단이다. === 레벨 6 === * [[엘리멘틀 히어로 크노스페#엘리멘틀 히어로 포이즌 로즈|엘리멘틀 히어로 포이즌 로즈]] 크노스페에서 로즈 버드를 사용해서 소환하는 몬스터. 마찬가지로 식물족이다. * [[날개 크리보 LV6]] [[날개 크리보]]가 프레임 윙맨의 옷을 입은 몬스터. 효과 외 텍스트로 엘리멘틀 히어로로 취급한다. === 레벨 7 === * [[엘리멘틀 히어로 에지맨]] 초기의 최상급 메인 덱 어태커. 엘리멘틀 히어로 플라즈마 바이스맨, 와일드 쟤기맨의 융합 소재. * [[엘리멘틀 히어로 어니스티 네오스]] * [[엘리멘틀 히어로 스피릿 오브 네오스]] == 융합 몬스터 == 명실공히 '''E히어로의 꽃'''. 소재 역할인 메인 E 히어로의 수만큼, 융합 E히어로도 질릴 정도로 다양하게 나왔다. 기본적으로 엘리멘틀 히어로는 '''융합'''을 해서 강해지는 컨셉이다. 이건 [[유희왕 GX|GX]] 애니판, 코믹스 어느 쪽이든 마찬가지로, (따로 노는 성향이 강한 네오스는 차치하더라도) E히어로의 상급 몬스터들은 수도 적고 파워에도 한계가 있으니 메인 덱만으로 싸우는 데엔 한계가 있기 때문. 그렇다 보니 [[히어로(유희왕)|히어로]] 융합 몬스터들 중에서는 엘리멘틀 히어로가 47종으로 압도적인 다수를 차지하게 된다.[* 나머지 히어로 융합 몬스터는 [[데스티니 히어로]]가 5종류, [[이블 히어로]]가 7종류, [[비전 히어로]]가 2종류, [[마스크드 히어로]]가 9종류다.] 엘리멘틀 히어로 융합 몬스터들의 공통적인 특징이자 단점으로는 네오스 관련 융합체 중 일부[* 엘리멘틀 히어로 갓 네오스, 엘리멘틀 히어로 네오스 나이트, 엘리멘틀 히어로 브레이브 네오스, 엘리멘틀 히어로 네오스 크루거, 엘리멘틀 히어로 샤이닝 네오스 윙맨]와 비(非)네오스 관련 융합 몬스터들은 전부 융합 소환으로만 특수 소환이 가능하며, 나머지 네오스 관련 융합체들은 소재를 덱으로 되돌려 특수 소환하는 것 외에는 특수 소환이 불가능하다. === 레벨 5 === * [[엘리멘틀 히어로 스팀 힐러]] * [[엘리멘틀 히어로 세일러맨]] === 레벨 6 === * [[엘리멘틀 히어로 프레임 윙맨]] 쥬다이의 초기 에이스이자 '''페이버릿 카드.''' 네오스의 등장 이전에는 어지간한 듀얼 3번 중 2번에는 등장하며 피니시를 냈다. 초기 에이스라는 것을 감안해서인지 듀얼링크스에서 쥬다이의 에이스는 네오스지만, 이 카드도 소환씬이 별도로 존재한다. 이는 마스터 듀얼에도 적용되어 R등급임에도 소환씬이 별도로 있는 몇 안되는 카드들 중 하나다. * [[엘리멘틀 히어로 피닉스 가이]] 이쪽은 [[에드 피닉스]]가 사용. 플레임 윙맨과 대칭적인 포지션이다. * [[엘리멘틀 히어로 썬더 자이언트]] * [[엘리멘틀 히어로 램파트 건맨]] * [[엘리멘틀 히어로 매드볼맨]] * [[엘리멘틀 히어로 네크로이드 샤먼]] 특이한 이름으로 인해 [[로이드(유희왕)|로이드]] 카드군에도 속한다. * [[엘리멘틀 히어로 다크 브라이트맨]] * [[엘리멘틀 히어로 가이아]] 속성 융합 엘리멘틀 히어로 1. 땅 속성. * [[엘리멘틀 히어로 그랜드맨]] === 레벨 7 === * [[엘리멘틀 히어로 아쿠아 네오스]] * [[엘리멘틀 히어로 플레어 네오스]] * [[엘리멘틀 히어로 블랙 네오스]] * [[엘리멘틀 히어로 글로우 네오스]] * [[엘리멘틀 히어로 그랜드 네오스]] * [[엘리멘틀 히어로 에어 네오스]] * [[엘리멘틀 히어로 네오스 나이트]] 유희왕 [[시공을 초월한 우정]]에서 유세이의 [[정크 가드너]]와 네오스를 쥬다이가 융합시킨 형태. * [[엘리멘틀 히어로 브레이브 네오스]] * [[엘리멘틀 히어로 선라이저]] === 레벨 8 === * [[엘리멘틀 히어로 샤이닝 플레어 윙맨]] 플레임 윙맨의 진화형이자 쥬다이의 초기 에이스. * [[엘리멘틀 히어로 샤이닝 피닉스 가이]] 피닉스 가이와 마찬가지로 에드가 사용한 카드. 이 쪽은 피닉스 가이의 진화체인만큼, 샤이닝 플레어 윙맨과 대칭적인 포지션이다. * [[엘리멘틀 히어로 샤이닝 네오스 윙맨]] 샤이닝 플레어 윙맨과 네오스의 융합체. 다른 윙맨과 네오스랑 융합해 소환할 수도 있다. * [[엘리멘틀 히어로 템피스터]] * [[엘리멘틀 히어로 와일드 윙맨]] * [[엘리멘틀 히어로 와일드 쟤기맨]] * [[엘리멘틀 히어로 플라즈마 바이스맨]] * [[엘리멘틀 히어로 마린 네오스]] * [[엘리멘틀 히어로 디 어스]] 코믹스판 쥬다이의 에이스. 또한 [[플래닛 시리즈]]의 일원. * [[엘리멘틀 히어로 프레임 블래스트]] * [[엘리멘틀 히어로 앱솔루트 Zero]] 속성 융합 엘리멘틀 히어로 2. 물 속성. 단, 나머지 속성 융합 히어로와는 달리 엘리멘틀 히어로가 아니라 히어로 전체를 소재로 요구한다. * [[엘리멘틀 히어로 더 샤이닝]] 속성 융합 엘리멘틀 히어로 3. 빛 속성. * [[엘리멘틀 히어로 Great TORNADO]] 속성 융합 엘리멘틀 히어로 4. 바람 속성. * [[엘리멘틀 히어로 에스크리다오]] 속성 융합 엘리멘틀 히어로 5. 어둠 속성. * [[엘리멘틀 히어로 노바마스터]] 속성 융합 엘리멘틀 히어로 6. 화염 속성. '''코믹스판이 아니라 OCG 출신이다.''' * [[엘리멘틀 히어로 프레임 윙맨-프레임 슛]] 프레임 윙맨의 필살기 카드. === 레벨 9 === * [[엘리멘틀 히어로 마그마 네오스]] * [[엘리멘틀 히어로 카오스 네오스]] * [[엘리멘틀 히어로 스톰 네오스]] * [[엘리멘틀 히어로 네뷸라 네오스]] * [[엘리멘틀 히어로 Core]] GX 코믹스 특별 단편에 출연한 새로운 융합 몬스터로서 [[V점프]] 에디션으로 발매. 이 쪽은 주다이가 아닌 [[히비키 코요]]가 사용한 카드다. * [[콘트라스트 히어로 카오스]] 스트럭처 덱 [[히어로즈 스트라이크]]의 메인 카드이자, 룰 상 "엘리멘틀 히어로"로도 취급되는 히어로. 코믹스판과 이어지는 단편에 출연. * [[엘리멘틀 히어로 네오스 크루거]] 엘리멘틀 히어로 중에서 유일한 마법사족. === 레벨 10 === * [[엘리멘틀 히어로 에릭실러]] 스파크맨 외에 초창기 4 엘리멘틀 히어로를 전부 융합한 궁극의 엘리멘틀 히어로. * [[Wake Up Your 엘리멘틀 히어로]] === 레벨 11 === * [[엘리멘틀 히어로 코스모 네오스]] === 레벨 12 === * [[엘리멘틀 히어로 갓 네오스]] 쥬다이의 최종 에이스. == 서포트 효과 몬스터 == * [[프렌도그]] [[융합(마법카드)|융합]]과 히어로를 샐비지 할 수 있는 카드. * [[히어로 키즈]] 정확히는 이 카드 자체가 아닌, 히어로 키즈랑 관련된 키즈 가드가 엘리멘틀 히어로랑 관련이 있다. 히어로 키즈 자체는 히어로도 아니니 유의. * [[크로스 키퍼]] 엘리멘틀 히어로와 [[네오 스페이시언]]을 서포트한다. * [[암드 네오스]] 엑스트라 덱의 엘리멘틀 히어로 몬스터를 소환 조건을 무시하고 특수 소환하는 효과를 가진 카드. == 서포트 마법 카드 == * [[마천루-스카이스크레이퍼-]] 1화부터 등장한 서포트 카드. 엘리멘틀 히어로 전용의 필드 마법. * [[엘리멘틀 히어로 스파크맨|스파크 건]] 스파크맨 전용 카드. 효과는 표시형식 변경. * [[엘리멘틀 히어로 버스트 레이디|버스트 리턴]] 버스트 레이디 전용 카드. 효과는 다른 엘리멘틀 히어로 몬스터 바운스. * [[엘리멘틀 히어로 페더맨|페더 샷]] 페더맨 전용 카드. 효과는 연속 공격. * [[엘리멘틀 히어로 와일드맨|싸이크론 부메랑]] 와일드맨 전용 카드. 효과는 공격력 상승 및 파괴되었을 때 상대 마법&함정 파괴 및 데미지. * [[엘리멘틀 히어로 버블맨|버블 일루전]] 버블맨 전용 카드. 효과는 패에서 함정 카드 발동. * [[엘리멘틀 히어로 버블맨|버블 셔플]] 버블맨 전용 카드. 효과는 다른 엘리멘틀 히어로 특소. * [[엘리멘틀 히어로 버블맨|버블 샷]] 버블맨 전용 카드. 효과는 공격력 상승 및 전투 파괴 내성. * [[미러클 퓨전]] 묘지 융합 카드. * [[히어로 플래시!!]] 아래의 4장의 카드를 발동한 후에 사용 가능. * H-히트 하트 사실 히어로 전용은 아니다. * [[E-이멀전시 콜]] 서치 카드. * R-라이트 저스티스 마/함 파괴 카드. * O-오버 소울 소생 카드. * [[마천루2-히어로 시티]] 쥬다이의 친구인 [[마에다 하야토]]가 만들어 준 2번째 마천루. * [[히어로 마스크]] [[엘리멘틀 히어로 섀도우 미스트]] 덕분에 재평가된 카드. * [[다섯 번째 희망]] * [[로즈 버드]] 크노스페를 포이즌 로즈로 만드는 전용 카드. 이 카드의 이름 때문에 [[로지즈 버드]]가 이름 변경의 피해를 입었다. * [[평행 세계 융합]] 융합 카드군이기도 하고, 효과에 엘리멘틀 히어로가 언급되어있는 히어로 관련 카드군이기도 하다. * [[히어로 얼라이브]] 라이프를 반 지불하는 것으로 덱에서 히어로를 뽑아내는 강력한 카드. 덕분에 히어로 비트덱에도 꽉꽉 채용되며, 금제도 자주 올랐다. * [[엘리멘틀 히어로 프레임 윙맨|스카이 스크레이퍼 슛]] * [[제너레이션 넥스트]] 일러스트에 있는것은 페더맨, 클레이맨, 버스트 레이디. 자세히 보면 구도가 1기 OP당시의 구도임을 알 수 있다. * [[페이버릿 히어로]] * [[페이크 히어로(유희왕)|페이크 히어로]] * [[히어로 하트]] * [[히어로즈 본드]] * [[Get Your Game On!]] == 서포트 함정 카드 == * [[히어로 블래스트]] 묘지의 일반 엘리멘틀 히어로도 회수하고 상대 몬스터도 파괴할 수 있는 카드. * [[히어로 키즈|키즈 가드]] 히어로 키즈가 있을 때 쓰는 [[프렌드 실드]]. * [[히어로 키즈|미러클 키즈]] 히어로 키즈가 있을 때 쓰는 공격력 하락 카드. * [[엘리멘틀 히어로 클레이맨|클레이 차지]] 클레이맨 전용 카드. 효과는 공격 몬스터 파괴. * [[엘리멘틀 히어로 페더맨|페더 윈드]] 페더맨 전용 카드. 효과는 디메리트 없는 [[마궁의 뇌물]]. * [[엘리멘틀 히어로 에지맨|에지 해머]] 에지맨 전용 카드. 효과는 유사 [[파괴륜]]. * [[D-타임]] [[에드 피닉스]]가 사용한 카드. "엘리멘틀 히어로"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를 지정하고 있다. [[데스티니 히어로]] 문서 참조. * [[엘리멘틀 히어로 디 어스|어스 그라비티]] 디 어스 전용 카드. * [[매지스터리 알케미스트]] * [[히어로 시그널]] * [[이차원 터널 미러 게이트]] * [[히어로 베리어]] * [[영웅변화-리플렉터 레이]] * [[엘리멘틀 차지]] * [[히어로 스피릿]] * [[히어로 역습]] * [[엘리멘트의 가호]] == OCG화 되지 않은 카드 == === 융합 몬스터 === * [[엘리멘틀 히어로 클레이맨|엘리멘틀 히어로 클레이 가드맨]] 애니메이션 출신 카드. === 마법 카드 === * 크로스 체인지 [[엘리멘틀 히어로]]와 [[네오 스페이시언]]을 동시에 지정하는 카드.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네오 스페이시언, 앵커=크로스 체인지)] ==== 히어로 다이스 ==== [[파일:HeroDice-OW.png]] || 한글판 명칭 ||<-4>''' 히어로 다이스 '''|| || 일어판 명칭 ||<-4>''' ヒーロー・ダイス '''|| || 영어판 명칭 ||<-4>'''Hero Dice'''|| ||<-5> 일반 마법 || ||<-5>주사위를 1회 던진다. 나온 수의 눈에 따라 자신 필드 위에 존재하는 "엘리멘틀 히어로"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 카드 1장은 이하의 효과를 얻는다. 1: 자신은 원래 공격력만큼의 데미지를 받는다. 2: 자신 필드 위에 존재하는 마법 카드 1장을 파괴한다. 3: 자신 필드 위에 존재하는 몬스터 카드 1장을 파괴한다. 4: 상대 필드 위에 존재하는 몬스터 카드 1장을 파괴한다. 5: 상대 필드 위에 존재하는 마법 카드 1장을 파괴한다. 6: 상대 플레이어에게 직접 공격할 수 있다.|| ==== 엘레멘틀 스톰 ====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ElementalStorm-JP-Anime-GX.png]] || 한글판 명칭 ||<-4>'''엘레멘틀 스톰'''|| || 일어판 명칭 ||<-4>'''エレメンタル・ストーム'''|| || 영어판 명칭 ||<-4>'''Elemental Storm'''|| ||<-5> 일반 마법 || ||<-5>자신 필드 위의 "엘리멘틀 히어로" 몬스터 1장을 선택하고 발동한다. 선택한 몬스터는 이 턴 공격선언할 수 없다. 선택한 몬스터의 원래 공격력보다 낮은 원래 공격력을 가진 상대 필드 위의 몬스터 1장을 파괴한다.|| ==== 태그 리퀘스트 ==== [[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TagRequest-JP-Anime-GX.png]] || 한글판 명칭 ||<-4>'''태그 리퀘스트'''|| || 일어판 명칭 ||<-4>'''タッグ・リクエスト'''|| || 영어판 명칭 ||<-4>'''Tag Request'''|| ||<-5> 일반 마법 || ||<-5>자신 필드 위의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한다. 그 몬스터와 같은 공격력을 가진 패의 "엘리멘틀 히어로"라고 이름 붙은 몬스터 1장을 패에서 특수 소환한다.|| 일러스트는 상처입은 클레이맨을 대신에 버블맨이 링 위에 올라 태그 매치를 준비하는 모습. 카드 이름을 보아 클레이맨이 버블맨에게 태그를 요청한 모양이다. 일러스트에 나오는 [[엘리멘틀 히어로 클레이맨]]과 [[엘리멘틀 히어로 버블맨]]은 둘 다 공격력이 800이라서 일러스트 재현이 가능하다. 애니에서는 [[유벨]]이 빙의한 [[카노 마르탄]]과의 듀얼에서 사용했다. [[엘리멘틀 히어로 스파크맨]]이 있을 때 발동해서 [[엘리멘틀 히어로 네크로 다크맨]]을 필드로 불러냈다. 이후 순간융합으로 엘리멘틀 히어로 다크 브라이트맨까지 소환했지만, 크게 도움이 되지는 않았다. 오히려 삼환마를 부르는 데 도움이 됐으면 모를까. 다크니스 전에서는 발동 턴 파괴된 몬스터를 대상으로 덱에서 같은 공격력의 몬스터를 소환하는 릴레이션 쉽을 사용했다. 이 때의 대상 카드도 스파크맨과 네크로 다크맨. 다만 이 두 장 모두 쥬다이 덱에서도 실용성은 크지 않은 편이다. ==== 선량한 히어로 ==== [[파일:GoodHero-OW.png]] || 한글판 명칭 ||<-4>'''선량한 히어로'''|| || 일어판 명칭 ||<-4>'''良いヒーロー'''|| || 영어판 명칭 ||<-4>'''Good Hero'''|| ||<-5> 일반 마법 || ||<-5>덱에서 공격력 / 수비력 1000 이하의 일반 몬스터 1 장을 선택해 특수 소환하고, 이 카드를 장착한다. (그 후 덱을 셔플한다) 필드 위의 "엘리멘틀 히어로"라고 이름이 붙은 몬스터 1장당, 장착 몬스터의 공격력을 300 포인트 올린다. 이 카드가 파괴되었을 때, 장착 몬스터를 파괴한다.|| [[만죠메 쥰]]을 정신 차리게 하려고 이 카드로 [[방해꾼]] 옐로를 불러왔다 === 함정 카드 === * [[엘리멘틀 미라지]] ==== 영혼의 결속 - 소울 유니온 ====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SoulUnion-JP-Anime-GX.png]] || 한글판 명칭 ||<-4>'''영혼의 결속 - 소울 유니온 '''|| || 일어판 명칭 ||<-4>'''魂の結束-ソウル・ユニオン'''|| || 영어판 명칭 ||<-4>'''Soul Union'''|| ||<-5> 일반 함정 || ||<-5>이 턴, 공격을 받은 몬스터 1장의 공격력은 자신의 묘지에서 선택한 "엘리멘틀 히어로"라고 이름붙은 몬스터 1장의 수치만큼 올린다.|| [[마루후지 료]]의 졸업듀얼에서 발동. 엘리멘틀 히어로 와일드 쟤기맨이 [[파워 본드]]의 힘을 받은 [[사이버 엔드 드래곤]]에게 공격당하자 발동하여 [[엘리멘틀 히어로 에지맨]]의 공격력을 더했다.[* 에지맨을 융합소재로 한 몬스터의 공격력은 에지맨과 동일하기에 사실상 2배로 뻥튀기한 것 뿐이다.] [[미스터 T]]와의 듀얼에서도 사용, 영웅 출현으로 튀어나온 네오스에 매드볼맨의 공격력을 더해 [[메테오 블랙 드래곤]]을 쓰러뜨렸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엘리멘틀 히어로, version=651, title2=엘리멘틀 히어로/융합 몬스터, version2=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