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엘리멘탈(애니메이션))] [목차] == 개요 == 영화 〈[[엘리멘탈(애니메이션)|엘리멘탈]]〉의 흥행을 정리한 문서이다. == 월드와이드 == ||<-4>
출처: [[https://www.boxofficemojo.com/title/tt15789038/|박스오피스 모조]] || || 국가 || 개봉일 || 총수입 (단위: [[미국 달러]]) || 기준일 || || '''전 세계''' || [[2023년]] [[6월 14일]] || '''$253,826,754''' || '''[[2023년]] [[7월 9일]]''' || ||<-4> 개별 국가 (개봉일 순, 전 세계 영화 시장 1, 2위인 북미, 중국은 볼드체)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캐나다, 출력= )][[북미]]''' || [[2023년]] [[6월 16일]] || '''$109,624,302''' || [[2023년]] [[7월 9일]] || ||'''[include(틀:국기, 국명=중국)]''' || [[2023년]] [[6월 16일]] || '''$15,361,167''' || [[2023년]] [[7월 9일]]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2023년]] [[6월 14일]] || $25,918,750 || [[2023년]] [[7월 9일]] || ||[include(틀:국기, 국명=호주)] || [[2023년]] [[6월 15일]] || $7,953,835 || [[2023년]] [[7월 9일]] || ||[include(틀:국기, 국명=이탈리아)] || [[2023년]] [[6월 21일]] || $4,864,638 || [[2023년]] [[7월 9일]] || ||[include(틀:국기, 국명=프랑스)] || [[2023년]] [[6월 21일]] || $9,179,755 || [[2023년]] [[7월 9일]] || ||[include(틀:국기, 국명=독일)] || [[2023년]] [[6월 22일]] || $5,443,682 || [[2023년]] [[7월 9일]] || ||[include(틀:국기, 국명=브라질)] || [[2023년]] [[6월 22일]] || $7,004,311 || [[2023년]] [[7월 9일]] || ||[include(틀:국기, 국명=멕시코)] || [[2023년]] [[6월 23일]] || $13,544,272 || [[2023년]] [[7월 9일]] || ||[include(틀:국기, 국명=영국)] || [[2023년]] [[7월 7일]] || $3,914,497 || [[2023년]] [[7월 9일]] || ||[include(틀:국기, 국명=스페인)] || [[2023년]] [[7월 14일]] || $- || -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 [[2023년]] [[8월 4일]] || $- || - || 흥행에 실패한 감독의 전작 〈[[굿 다이노]]〉도 3억 9,000만 달러의 수입을 기록하였으나 이번 작품의 상황은 더 좋지 않다. 마케팅 비용을 빼고 제작비 회수만 생각해도 4억 달러 이상의 극장 수입이 필요한 상황이지만 현재까지의 수입은 이에 크게 못 미치고 있는 실정이다. 다만 대한민국에서는 〈굿 다이노〉의 관객수를 이미 뛰어 넘었고 6월 24일을 기점으로 〈[[플래시(영화)|플래시]]〉, 〈[[범죄도시 3]]〉를 제치고 박스오피스 1위를 차지해 [[역주행(은어)#s-4|역주행]] 기록을 쓰고 있으며, 유럽과 남미 주요국들에서도 개봉 첫 주 주말 박스오피스 1위를 차지하였다. 또한 한국과 함께 주요 [[영화 시장]]인 일본과 영국에서 다른 나라들보다 다소 늦게 개봉하며 수입이 올라갈 여지는 있지만 가장 큰 두 시장인 북미와 중국에서의 저조한 성적을 상쇄할 수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 4주 차 * 개봉 24일 차에 2억 달러의 흥행을 돌파하였다. * 개봉 26일 차 기준 2억 5700만 달러를 돌파, <[[버즈 라이트이어(애니메이션)|버즈 라이트이어]]>와 <[[엔칸토: 마법의 세계]]>의 흥행 기록을 넘어서며 팬데믹 이후 디즈니 산하 스튜디오 애니메이션 중 최고 흥행작으로 등극했다. == [[대한민국]] == [include(틀:2023년 한국 개봉 영화 흥행 순위)] ||<-5>
{{{#ffffff '''대한민국 박스오피스 1위 영화''' }}} |||| || 2023년 24주차 ||<|2> → || '''2023년 25주차''' ||<|2> → || 2023년 26주차 || || [[범죄도시 3]] || {{{#ffffff '''엘리멘탈'''}}} || 엘리멘탈 || || 2023년 25주차 ||<|2> → || '''2023년 26주차''' ||<|2> → || 2023년 27주차 || || 엘리멘탈 || {{{#ffffff '''엘리멘탈'''}}} || 엘리멘탈 || || 2023년 26주차 ||<|2> → || '''2023년 27주차''' ||<|2> → || 2023년 28주차 || || 엘리멘탈 || {{{#ffffff '''엘리멘탈'''}}} || ''미정'' || ||<-5> [[http://www.kobis.or.kr/kobis/business/stat/boxs/findWeeklyBoxOfficeList.do|영화진흥위원회 통합전산망 주말 박스오피스 집계 기준]] || ||<-7>
'''대한민국 누적 관객 수''' || || '''주차''' || '''날짜''' || '''일일 관람 인원''' || '''주간 합계 인원''' || '''순위''' || '''일일 매출액''' || '''주간 합계 매출액''' || ||<|4> 개봉 전 || 2023-05-30. (화) || 822명 ||<|4> 3,654명 || 15위 || 7,478,000원 ||<|4> 33,584,000원 || || 2023-06-07. (수) || 247명 || 28위 || 2,223,000원 || || 2023-06-08. (목) || 1,044명 || 8위 || 9,436,000원 || || 2023-06-12. (월) || 1,541명 || 6위 || 14,447,000원 || ||<|7> 1주차 || 2023-06-14. 1일차(수) || 47,683명 ||<|7> 619,241명 || 3위 || 451,193,169원 ||<|7> 6,144,707,649원 || || 2023-06-15. 2일차(목) || 41,844명 || 3위 || 399,716,388원 || || 2023-06-16. 3일차(금) || 64,842명 || 2위 || 651,198,037원 || || 2023-06-17. 4일차(토) || 177,656명 || 2위 || 1,790,865,146원 || || 2023-06-18. 5일차(일) || 179,165명 || 2위 || 1,796,798,177원 || || 2023-06-19. 6일차(월) || 52,373명 || 2위 || 512,852,781원 || || 2023-06-20. 7일차(화) || 55,678명 || 2위 || 542,083,951원 || ||<|7> 2주차 || 2023-06-21. 8일차(수) || 60,808명 ||<|7> 750,607명 || 4위 || 590,185,509원 ||<|7> 7,515,431,811원 || || 2023-06-22. 9일차(목) || 58,079명 || 2위 || 568,696,092원 || || 2023-06-23. 10일차(금) || 81,765명 || 2위 || 829,711,589원 || || 2023-06-24. 11일차(토) || 205,808명 || '''1위''' || 2,084,557,068원 || || 2023-06-25. 12일차(일) || 210,628명 || '''1위''' || 2,125,714,700원 || || 2023-06-26. 13일차(월) || 65,100명 || '''1위''' || 645,478,043원 || || 2023-06-27. 14일차(화) || 68,419명 || '''1위''' || 671,088,810원 || ||<|7> 3주차 || 2023-06-28. 15일차(수) || 110,215명 ||<|7> 1,033,077명 || '''1위''' || 889,359,895원 ||<|7> 10,128,313,270원 || || 2023-06-29. 16일차(목) || 73,599명 || '''1위''' || 723,128,584원 || || 2023-06-30. 17일차(금) || 133,005명 || '''1위''' || 1,340,106,233원 || || 2023-07-01. 18일차(토) || 289,897명 || '''1위''' || 2,938,581,517원 || || 2023-07-02. 19일차(일) || 264,616명 || '''1위''' || 2,667,854,847원 || || 2023-07-03. 20일차(월) || 77,421명 || '''1위''' || 752,758,339원 || || 2023-07-04. 21일차(화) || 84,324명 || '''1위''' || 816,523,855원 || ||<|7> 4주차 || 2023-07-05. 22일차(수) || 101,630명 ||<|7> 1,143,839명 || '''1위''' || 983,445,910원 ||<|7> 11,321,258,985원 || || 2023-07-06. 23일차(목) || 95,037명 || '''1위''' || 918,504,086원 || || 2023-07-07. 24일차(금) || 144,475명 || '''1위''' || 1,442,381,980원 || || 2023-07-08. 25일차(토) || 334,224명 || '''1위''' || 3,336,659,224원 || || 2023-07-09. 26일차(일) || 321,244명 || '''1위''' || 3,195,552,259원 || || 2023-07-10. 27일차(월) || 78,265명 || '''1위''' || 771,407,622원 || || 2023-07-11. 28일차(화) || 68,964명 || '''1위''' || 673,307,904원 || ||<|7> 5주차 || 2023-07-12. 29일차(수) || 63,826명 ||<|7> -명 || 2위 || 617,503,979원 ||<|7> -원 || || 2023-07-13. 30일차(목) || 55,212명 || 2위 || 532,394,982원 || || 2023-07-14. 31일차(금) || -명 || -위 || -원 || || 2023-07-15. 32일차(토) || -명 || -위 || -원 || || 2023-07-16. 33일차(일) || -명 || -위 || -원 || || 2023-07-17. 34일차(월) || -명 || -위 || -원 || || 2023-07-18. 35일차(화) || -명 || -위 || -원 || || '''합계''' ||<-6> '''누적관객수 3,672,458명, 누적매출액 36,322,380,945원'''[* ~ 2023/07/13 기준] || *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기준 ## 1위를 차지할 시 순위에 볼드체를 적용해 주세요. ## 날짜는 개봉 일정에 맞게 변경해 주세요. * 개봉 전 * 타겟 관객층이 넓다고는 하나 〈[[범죄도시 3]]〉[* 개봉 3주 차에 접어들기는 하지만 [[범죄도시 시리즈]]의 위상을 생각하면 1주일 동안은 압도적으로 1위를 가져갈 것이 유력하기에 조심할 필요는 있다.], 〈[[트랜스포머: 비스트의 서막]]〉, 〈[[플래시(영화)|플래시]]〉, 〈[[스파이더맨: 어크로스 더 유니버스]]〉, 〈[[인디아나 존스: 운명의 다이얼]]〉과 상영 기간이 겹치기에 개봉 시기 면으로 전망이 좋은 상황은 아니며, 더군다나 사전 평이 좋지 않은 상황에서 같은 날 개봉하는 〈플래시〉의 높은 사전 평 때문에 초기 흥행 전망은 더욱 좋지 않은 편이다. 다만 같은 전체 관람가 영화인 〈[[인어공주(2023)|인어공주]]〉가 흥행이 약세인 것에 더해 이번 작품 개봉 때에는 개봉 4주 차에 접어들기 때문에 이를 이어 가족 단위 관객층에게 입지를 다질 가능성은 있다. * [[CGV]] [[4DX]]와 [[메가박스]] [[Dolby Cinema]]에서 같은 주에 개봉하는 〈플래시〉와 교차 상영된다. 단, 4DX SCREEN을 지원하는 [[CGV 용산아이파크몰#s-4.3|CGV 용산아이파크몰]]을 비롯한 일부 4DX 상영관에서는 해당 포맷으로 제작된 〈플래시〉만 상영한다. * 1주 차 * 개봉일 자정을 기준으로 약 6만 7천 명의 예매 관객 수로 18.1%의 예매율을 기록하며 〈플래시〉, 〈범죄도시 3〉에 이어 예매율 3위를 기록하였다. 또한 이날 약 48,000명의 관객을 동원하며 예매율 순위와 같은 일일 관객 수 3위로 시작을 끊었다. 이는 〈인어공주〉의 개봉일 일일 관객 수와 비슷한 수치로, 이후 강세를 보일 수 있는 주말에서의 화력 및 2주 차에서의 낙폭 정도에 따라 보다 더 많은 관객을 확보할 수 있을지가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그래도 관객층이 겹친 작품들[* 경쟁작 〈[[극장판 포켓몬스터 DP: 아르세우스 초극의 시공으로]]〉와 소소한 입지를 유지하고 있던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2023년 영화)|슈퍼 마리오 브라더스]]〉, 〈[[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동물소환 닌자 배꼽수비대]]〉, 〈[[아기공룡 둘리: 얼음별 대모험]]〉 리마스터링 등]이 다수 있던 〈인어공주〉와 달리 2주 차에 개봉하는, 그마저도 완전히 관객층이 겹친다고 볼 수 없는 〈스파이더맨: 어크로스 더 유니버스〉 외에 별다른 경쟁작이 없고 사전 평에 비해 개봉 후에는 호평이 주된 평을 받고 있어 흥행을 기대해볼 수 있다. * 개봉 2일 차에도 4만 명 초반의 관객을 동원하며 일일 관객 수 3위를 유지하였다. 그러나 시리즈물 특성상 개봉일 당일에 관객이 몰렸던 〈플래시〉가 2일 차에 그 효과가 빠지면서 1만 명 이하로 관객 수 격차가 줄어들었고, 거기에 극찬에 가까운 호평을 받았던 사전 평가에 비해 호불호가 갈리는 평을 듣고 있어 가족 단위 관람객이 증가하는 주말에 돌입하면 일일 관객 수로 〈플래시〉를 추월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장기 흥행 성공 여부에 따라 성적이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 개봉 3일차에 〈플래시〉와 약 4천명의 관객 격차를 벌리며 일일 관객 수 2위로 상승하였다. 또한 주말이 가까워지면서 〈범죄도시 3〉의 예매율을 따라잡고 있어 본디 경쟁이 어려울 것이란 예상과 달리 〈범죄도시 3〉와의 경쟁까지도 노려봄직한 상황이다. * 개봉 4, 5일 차인 주말동안 17만 명대의 관객을 기록하며 일일 관객 수 2위를 유지하였다. 비록 〈범죄도시 3〉를 크게 위협할 정도의 관객을 동원하지는 못하였지만, 소수의 입지로 네자리 수의 관객을 동원한 〈극장판 포켓몬스터 DP: 아르세우스 초극의 시공으로〉, 〈인어공주〉를 제외한다면 사실상 가족 단위 관객을 독차지해 그간에 입지를 확고히 하며 2주 차에 있을 〈스파이더맨: 어크로스 더 유니버스〉와의 경쟁을 이끌어나갈 여지를 남겨두었다. * 개봉 7일 차까지도 일일 관객 수 2위를 유지하며 이날까지 약 62만 명의 관객을 동원하였다. 단순히 1주 차 관객 수로만 보았을 때는 2019년의 〈[[토이 스토리 4]]〉 이후 픽사 애니메이션 영화 중 최고 기록으로,[* 종전 기록은 2020년 〈[[소울(애니메이션)|소울]]〉의 약 50만 명으로,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극장가가 위축됨에 따라 디즈니+에서의 작품 방영을 수반하며 관객 수가 이전에 비해 줄어들은 상황이었다.] 한국에서는 사전에 개봉 시기 및 평가적인 요소로 보았을 때 흥행이 좋지 않으리라 예상되었던 것에 비해 선전했다고 볼 수 있다. * 2주 차 * 이주에는 〈[[귀공자(영화)|귀공자]]〉, 〈스파이더맨: 어크로스 더 유니버스〉가 개봉하며, 후자 작품의 개봉으로 4DX 상영이 끝난다. Dolby Cinema 상영관에서는 〈플래시〉, 〈스파이더맨: 어크로스 더 유니버스〉와 함께 계속 교차 상영된다. * 2주 차 첫날인 개봉 8일 차, 선술한 두 영화의 개봉으로 일일 관객 수 4위로 하락하였다. 그러나 개봉 2주 차인데도 오히려 개봉 당일보다 더욱 높은 6만 명의 관객을 동원했으며, 이는 전일과 비교해도 낙폭 없이 소폭 증가한 수치임과 동시에 위의 세 영화와도 그리 차이가 크지 않은 기록이다. 국내에서 입소문을 제대로 타고 흥행 [[역주행(은어)#s-4|역주행]]에 시동을 걸기 시작했는데, 이 기세를 2주 차 끝까지 이어 갈 수 있을지 주목해 볼 만한 부분이다. * 개봉 9일 차에 〈귀공자〉, 〈스파이더맨: 어크로스 더 유니버스〉보다 약 1,000회 적은 상영횟수임에도 두 작품을 넘고 일일 관객 수 2위 자리를 탈환하였다. 초기 관심으로 인해 개봉 당일 신작들에 몰린 관객들이 빠지면서 관객 풀이 넓은 영화 특성이 다시 발휘된 영향으로 분석되며, 이에 따라 〈스파이더맨: 어크로스 더 유니버스〉와의 애니메이션 영화 입지 경쟁은 물론이고 흥행 4파전에서 유리한 위치를 점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 개봉 10일 차, 8만 명을 넘은 관객을 동원하며 일일 관객 수 2위를 유지하였다. 이날까지 약 82만 명의 누적 관객 수를 기록하였는데, 전주에 비해 상승한 흥행 추세 상 주말 사이에 누적 관객 100만 명 돌파를 이뤄낼 것으로 보인다. * 개봉 11일 차, 오후 5시 20분 경에 누적 '''100만 관객을 돌파하였다.''' [[https://youtu.be/pZDIfBf38o0|[[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또한 이날 최종적으로 전주 대비 16% 상승한 20만 5천 명의 관객을 동원하며 약 4주 가까이 이어진 〈범죄도시 3〉의 일일 관객 수 1위 독주를 저지하고 일일 관객 수 1위를 차지하였다. * 개봉 12일 차, 전날인 토요일보다 약 5천 명 더 많은 관객인 21만 명을 동원하면서 일일 관객 수 1위를 유지하였으며, 주말 양일 동안 〈범죄도시 3〉보다 관객 수로 우위를 점한 결과 3주간 이어지던 〈범죄도시 3〉의 주말 박스오피스 1위 기록을 저지하고 25주 차 주말 박스오피스 1위를 차지하는 성과를 올렸다. * 주말이 끝났음에도 개봉 13, 14일 차까지 일일 관객 수 1위를 유지하는 데에 성공하였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이번 주 차 동안 총 70만여 명을 동원한 〈범죄도시 3〉보다도 5만 명 더 많은 75만여 명의 관객을 동원해 흥행 4파전의 승자가 되었다. 또한 누적 관객수 137만 명을 돌파하며 감독의 전작 〈[[굿 다이노]]〉의 관객수를 넘어섰다. * 3주 차 * 이 주에는 〈[[인디아나 존스: 운명의 다이얼]]〉, 〈[[애스터로이드 시티]]〉가 개봉하며, 전자 작품의 개봉으로 Dolby Cinema 상영이 끝난다. 〈인디아나 존스: 운명의 다이얼〉의 개봉일이 다가왔음에도 해당 작품과 예매율 1, 2위를 다투는 등 3주 차에도 여전한 화력을 선보이리라 기대해봄직하다. * 3주 차 첫날인 개봉 15일차, 〈인디아나 존스: 운명의 다이얼〉의 개봉에도 이보다 3,000여 명 더 많은 관객을 동원한 약 11만 명의 관객으로 일일 관객 수 1위를 유지하였다. 전주 관객 수의 2배에 가까운 수치이며, 좋은 접근성과 평가로 1, 2주 동안 확보한 입소문의 효과가 아직 꺼지지 않은 상황에서 [[문화가 있는 날]]의 영향까지 받아 2주 차에서의 상승률보다도 더욱 높은 수치를 기록한 것으로 분석된다. * 개봉 17일 차, 13만 3천여 명의 관객을 동원하며 평일 기준 최다 관객 수를 기록헸다. 전주 대비 약 65%가 상승한 수치인데, 이는 문화가 있는 날 영향을 받았던 15일차를 제외하면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 개봉 18일 차, 전주 대비 약 40% 증가한 수치로 30만 명에 육박하는 약 29만 명의 관객을 동원해 누적 관객 수 198만 명을 기록하며 200만 관객 돌파를 목전에 두었다. * 개봉 19일차에 누적 '''200만 관객을 돌파하며''' 〈[[더 퍼스트 슬램덩크]]〉, 〈[[스즈메의 문단속]]〉,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2023년 영화)|슈퍼 마리오 브라더스]]〉에 이어 4번째로 200만 관객을 돌파한 2023년 한국 개봉 애니메이션 영화가 되었다. [[https://youtu.be/7u2FItao218|[[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와 동일한 속도의 기록으로, 이는 〈스즈메의 문단속〉의 13일에 이어 2번째로 빠른 기록이다. 또한 이날 최종적으로 약 224만 명의 누적 관객 수를 기록하며 약 205만 관객을 기록한 〈[[소울(애니메이션)|소울]]〉을 넘고 역대 픽사 애니메이션 흥행 6위를 기록하였다.[* 1위부터 5위까지의 작품은 순서대로 약 497만 명의 〈[[인사이드 아웃]]〉, 약 351만 명의 〈[[코코(애니메이션)|코코]]〉, 약 340만 명의 〈[[토이 스토리 4]]〉, 약 303만 명의 〈[[인크레더블 2]]〉, 약 260만 명의 〈[[도리를 찾아서]]〉이다.] * 개봉 20, 21일 차, 누적 관객 수 240만 명을 넘어서며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2023년 영화)|슈퍼 마리오 브라더스]]〉의 관객 수를 넘고 2023년 애니메이션 흥행 3위로 올라섰으며 올해 한국에서 개봉한 할리우드 애니메이션 중 최고 흥행을 기록했다. 동시에 한국 흥행이 1700만 달러를 넘어서며 '''중국을 제치고 북미 제외 흥행 1위'''로 올라섰다. 한편, 지금까지 1주 차에 약 62만 명, 2주 차에 약 75만 명, 3주 차에 약 103만 명의 관객을 동원하며 점점 더 흥행 성적이 지속 상승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역주행 사례는 올해 1월 개봉한 〈[[더 퍼스트 슬램덩크]]〉 이후 처음인데, 해당 영화는 3주 차에 설 연휴가 있었던 부분을 감안한다면 〈엘리멘탈〉은 정석적으로 입소문에 의한 역주행을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렇게 매주 관객 수가 증가한 사례 중 디즈니 작품으로만 보자면 〈[[겨울왕국]]〉 이후 10여 년만에 최초인데, 해당 영화 또한 3주 차에 설 연휴 혜택을 봤었다. 물론 〈엘리멘탈〉 또한 3주 차에 문화가 있는 날로 인한 수요일 관객 수 상승이 있었지만 3~4만명 수준이라 크게 영향을 줄 정도는 아니었다.] * 4주 차 * 이 주에는 〈[[악마들]]〉, 〈[[보 이즈 어프레이드]]〉가 개봉하나, 둘 모두 [[청소년 이용불가|청소년 관람불가]] 등급을 받았기에 접근성이 떨어져 역주행을 하고 있는 이번 작품의 기세를 꺾을 정도로 위협이 되지 못하리라 여겨진다. 한편 이 주에서는 다른 영화들과 교차하는 형태로 특별관 상영이 재개된다. CGV 4DX[* 최초 개봉시 빠졌던 4DX SCREEN 상영관 포함]에서는 〈스파이더맨: 어크로스 더 유니버스〉와, 메가박스 Dolby Cinema에서는 〈스파이더맨: 어크로스 더 유니버스〉, 〈인디아나 존스: 운명의 다이얼〉과 함께 상영된다. * 4주 차 첫날인 개봉 22일차, 10만 명을 넘은 관객을 동원하며 일일 관객 수 1위를 유지하였다. 전주 대비 1만 명 감소한 수치이기는 하나, 전주의 경우 문화가 있는 날의 영향을 받았음을 감안한다면 이번주 역시 매주 관객이 증가하는 추세를 이어갈 수 있으리라고 볼 여지가 있다. * 개봉 23일차, 누적 관객 수 260만 명을 넘어서며 〈도리를 찾아서〉를 제치고 역대 픽사 애니메이션 흥행 5위로 올라섰다. 현재 흥행 추이로 봤을 때 주말 사이에 〈인크레더블 2〉의 기록 303만 명도 넘어설 듯 보인다. * 개봉 25일차, 15시 42분 경에 누적 관객 수 '''300만 명을 돌파하였다.''' [[https://youtu.be/Jlu71bJn3oc|[[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또한 이날 지금까지의 일일 관객 수 기록 중 가장 높은 약 33만 명의 관객을 동원해 최종적으로 308만 명의 누적 관객 수를 기록하며 〈인크레더블 2〉의 기록을 넘고 역대 픽사 애니메이션 흥행 4위로 올라섰다. * 개봉 26일차, 전일과 비슷한 32만 명대의 관객을 동원해 약 340만 명의 누적 관객 수를 기록하며 〈토이 스토리 4〉를 넘고 한국 애니메이션 흥행 12위, 픽사 애니메이션 흥행 3위를 달성하였다. 현 흥행 추세로 보아 다음주 내로 한국 개봉 애니메이션 전체 흥행 11위인 〈코코〉[* 픽사 기준에선 2위], 그리고 약 386만 명으로 10위에 있는 〈[[너의 이름은.]]〉의 관객 수를 넘을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 개봉 28일차, 7월 11일 오후 1시 30분 기준으로 351만 8,709명의 관객을 동원하면서 〈코코〉를 제치고 픽사 애니메이션 영화 국내 흥행 역대 2위의 영화가 되었다. 또한 4주 차 동안 총 114만 명대의 관객 수를 기록하며 2018년 영화 〈[[보헤미안 랩소디(영화)|보헤미안 랩소디]]〉 이후 약 5년만에 1~4주차 역주행에 성공한 영화가 되었다.[* 두 영화 전부 [[비수기]]에 개봉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 5주 차 * 이 주에는 〈[[미션 임파서블: 데드 레코닝 PART ONE]]〉이 개봉한다. 출연진 및 시리즈의 명성, 영상미에 대한 기대, 관객들에게 다가가기 쉬운 장르, 관객층이 겹치는 큰 경쟁작의 부재, 높은 사전 평가 등 호재료가 많아 해당 작품이 1위 자리를 가져갈 확률이 높다. 그러나 격차가 나기 시작한 4주 차 주말 이전까지 작품의 개봉일이 다가옴에도 밀리지 않고 같이 예매율이 상승하며 1위 자리 경쟁을 벌였고, 4주 차까지 매주 관객이 증가하고 있는 흥행 추세로 미루어볼 때 특별관을 비롯한 대다수 상영관을 내어주며 1위 자리에서 내려오되 400만 관객 돌파에 제동이 걸릴 정도로 큰 낙폭은 기록하지 않을 것으로 예측된다. * 29일차에 예상대로 2위로 내려왔지만, 낙폭이 크지않아 이번 주말 400만명 돌파가 유력하다. == [[북미]] == * 개봉 전 * 2023년 5월 19일, 박스오피스 프로에서 개봉 후 3일간 성적을 2,800만~3,800만 달러, 최종 성적을 8,900만~ 1억 1,500만 달러로 예측하였다. 〈[[온워드: 단 하루의 기적]]〉 이후 3년 만에 공개하는 [[픽사 애니메이션 스튜디오]]의 오리지널 극장판이라는 점, 같은 여성과 가족 관객층을 노리고 북미에서 흥행한 〈[[인어공주(2023)|인어공주]]〉의 개봉 4주 차에 개봉하기에 경쟁을 최소화할 수 있어 장기적으로 여름까지 흥행을 이어갈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흥행 요소로 보았다. 그러나 이번 작품 이전의 픽사 영화인 〈[[소울(애니메이션)|소울]]〉, 〈[[루카(애니메이션)|루카]]〉, 〈[[메이의 새빨간 비밀]]〉이 [[디즈니+]] 공개를 수반하며 저조해진 흥행 수익, 직전 개봉한 [[토이 스토리 시리즈]]의 외전 〈[[버즈 라이트이어(영화)|버즈 라이트이어]]〉의 흥행 참패, 다소 보수적일 것이라 예측되는 극장 흐름으로 인해 보다 적은 관심이 예상되는 점을 흥행에 불리한 요소로 보았다. [[https://www.boxofficepro.com/long-range-box-office-forecast-the-flash-elemental-and-the-blackening-look-to-combine-for-a-strong-fathers-day-juneteenth-frame|#]] * 1주 차 * 같은 날 개봉한 〈[[플래시(영화)|플래시]]〉에 이어 개봉 첫 주 주말 박스오피스 2위를 차지하였다. 하지만 이 기간 벌어들인 수입이 2,950만 달러에 불과, 픽사 애니메이션 28년 역사상 가장 낮은 최악의 개봉주 성적을 기록하였다. [[https://www.yna.co.kr/view/AKR20230620041800075|#]] 이는 픽사 흥행 실패작으로 꼽히는 〈[[굿 다이노]]〉 (3,910만 달러), 〈[[온워드: 단 하루의 기적]]〉 (3,900만 달러), 〈[[버즈 라이트이어]]〉 (5,100만 달러)가 같은 기간 벌어들인 수입보다도 적다. * 〈플래시〉가 심한 낙폭을 보이면서 개봉 7일 차에 처음으로 일일 박스오피스 1위를 차지하였다. * 2주 차 * 37.6%의 다소 적은 낙폭으로 〈[[스파이더맨: 어크로스 더 유니버스]]〉에 이어 개봉 2주 차 주말 박스오피스 2위를 유지하였다.[* 하지만 〈스파이더맨: 어크로스 더 유니버스〉가 북미에서 개봉 4주 차라는 점을 고려하면 이번 작품의 북미 흥행을 기대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https://www.hollywoodreporter.com/movies/movie-news/elemental-box-office-no-hard-feelings-flash-1235522485/|#]] 다행히 〈플래시〉보다 많은 관객 수를 유지하고 있지만 첫 주 성적이 매우 낮아 수입을 올리기 힘든 상황이다. 당장 3주 차에는 〈[[인디아나 존스: 운명의 다이얼]]〉, 관객층이 겹치는 [[드림웍스 애니메이션]]의 〈[[틴에이지 크라켄 루비]]〉가 개봉하기 때문에 낙폭을 최대한 적게 가져가는 것이 최선의 시나리오이다. * 3주 차 * 개봉 3주 차 주말에 〈인디아나 존스: 운명의 다이얼〉이 개봉했지만, 간발의 차이로 〈스파이더맨: 어크로스 더 유니버스〉를 누르며 2위를 유지하였다. 이번주 또한 낙폭이 적은 탓에 예측 수익보다는 상회할 가능성이 높아졌고, 〈[[버즈 라이트이어(영화)|버즈 라이트이어]]〉의 최종 수익은 확실히 넘어설듯 하다. * 전주 대비 적은 낙폭으로 1억 불을 돌파하였다. 2018년 이후 오리지널 애니메이션이 1억 불을 돌파한 것은 이번 작품이 처음이다. 좋은 입소문 덕에 3주째 꾸준히 관객들을 끌어들이고 있다. * 7월 8일 시점으로 〈플래시〉의 누적 수입을 역전하였다. == [[홍콩]] == ||<-5>
{{{#ffffff '''홍콩 박스오피스 1위 영화''' }}} || || 2023년 26주차 ||<|2> → || '''2023년 27주차''' ||<|2> → || 2023년 28주차 || || [[인디아나 존스: 운명의 다이얼]] || {{{#de2408 '''엘리멘탈''' }}} || ''미정'' || ||<-5> [[https://www.boxofficemojo.com/intl/hongkong/|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홍콩 주말 흥행 집계 기준]] || == [[베트남]] == ||
<-5><#DA251D> {{{#ffff00 '''베트남 박스오피스 1위 영화''' }}} || || 2023년 24주차 ||<|2> → || '''2023년 25주차''' ||<|2> → || 2023년 26주차 || || [[플래시(영화)|플래시]] ||<#FFFF00> {{{#DA251D '''엘리멘탈''' }}} || 엘리멘탈 || || 2023년 25주차 ||<|2> → || '''2023년 26주차''' ||<|2> → || 2023년 27주차 || || 엘리멘탈 ||<#FFFF00> {{{#DA251D '''엘리멘탈''' }}} || 엘리멘탈 || || 2023년 26주차 ||<|2> → || '''2023년 27주차''' ||<|2> → || 2023년 28주차 || || 엘리멘탈 ||<#FFFF00> {{{#DA251D '''엘리멘탈''' }}} || ''미정'' || ||<-5> [[https://www.boxofficemojo.com/weekend/by-year/?area=VN|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베트남 주말 흥행 집계 기준]] || == [[영국]] == ||<-5>
{{{#ffffff '''영국 박스오피스 1위 영화''' }}} || || 2023년 26주차 ||<|2> → || '''2023년 27주차''' ||<|2> → || 2023년 28주차 || || [[인디아나 존스: 운명의 다이얼]] || {{{#ffffff '''엘리멘탈''' }}} || ''미정'' || ||<-5> [[http://www.boxofficemojo.com/intl/uk/|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영국 주말 흥행 집계 기준]] || == [[프랑스]] == ||<-5>
{{{#ffffff '''프랑스 박스오피스 1위 영화''' }}} || || 2023년 24주차 ||<|2> → || '''2023년 25주차''' ||<|2> → || 2023년 26주차 || || [[플래시(영화)|플래시]] || {{{#ffffff '''엘리멘탈''' }}} || [[인디아나 존스: 운명의 다이얼]] || ||<-5> [[https://www.allocine.fr/boxoffice/france/|알로시네]] [[http://www.boxofficemojo.com/intl/france/|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프랑스 주말 흥행 집계 기준]] || == [[독일]] == ||<-5>
{{{#ffd700 '''독일 박스오피스 1위 영화''' }}} || || 2023년 24주차 ||<|2> → || '''2023년 25주차''' ||<|2> → || 2023년 26주차 || || [[플래시(영화)|플래시]] || {{{#ffd700 '''엘리멘탈''' }}} || [[인디아나 존스: 운명의 다이얼]] || ||<-5> [[http://www.boxofficemojo.com/intl/germany/|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독일 박스오피스 집계 기준]] || == [[이탈리아]] == ||<-5>
{{{#ffffff '''이탈리아 박스오피스 1위 영화''' }}} || || 2023년 24주차 ||<|2> → || '''2023년 25주차''' ||<|2> → || 2023년 26주차 || || [[플래시(영화)|플래시]] || {{{#ffffff '''엘리멘탈''' }}} || [[인디아나 존스: 운명의 다이얼]] || ||<-5> [[http://www.boxofficemojo.com/intl/italy/|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이탈리아 주말 흥행 집계 기준]] || == [[멕시코]] == ||<-5>
{{{#ffffff '''멕시코 박스오피스 1위 영화''' }}} || || 2023년 25주차 ||<|2> → || '''2023년 26주차''' ||<|2> → || 2023년 27주차 || || [[플래시(영화)|플래시]] || {{{#ffffff '''엘리멘탈''' }}} || [[인시디어스: 빨간 문]] || ||<-5> [[http://www.boxofficemojo.com/intl/mexico/|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멕시코 주말 흥행 집계 기준]] || == [[브라질]] == ||<-5>
{{{#fedf00 '''브라질 박스오피스 1위 영화''' }}} || || 2023년 24주차 ||<|2> → || '''2023년 25주차''' ||<|2> → || 2023년 26주차 || || [[플래시(영화)|플래시]] || {{{#fedf00 '''엘리멘탈''' }}} || 엘리멘탈 || || 2023년 25주차 ||<|2> → || '''2023년 26주차''' ||<|2> → || 2023년 27주차 || || 엘리멘탈 || {{{#fedf00 '''엘리멘탈''' }}} || 엘리멘탈 || || 2023년 26주차 ||<|2> → || '''2023년 27주차''' ||<|2> → || 2023년 28주차 || || 엘리멘탈 || {{{#fedf00 '''엘리멘탈''' }}} || ''미정'' || ||<-5> [[https://www.boxofficemojo.com/intl/brazil/|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브라질 주말 박스오피스 집계 기준]] || == [[아르헨티나]] == ||<-5>
{{{#fcbf49 '''아르헨티나 박스오피스 1위 영화''' }}} || || 2023년 23주차 ||<|2> → || '''2023년 24주차''' ||<|2> → || 2023년 25주차 || || [[인어공주(2023)|인어공주]] || {{{#fcbf49 '''엘리멘탈''' }}} || 엘리멘탈 || || 2023년 24주차 ||<|2> → || '''2023년 25주차''' ||<|2> → || 2023년 26주차 || || 엘리멘탈 || {{{#fcbf49 '''엘리멘탈''' }}} || 엘리멘탈 || || 2023년 25주차 ||<|2> → || '''2023년 26주차''' ||<|2> → || 2023년 27주차 || || 엘리멘탈 || {{{#fcbf49 '''엘리멘탈''' }}} || 엘리멘탈 || || 2023년 26주차 ||<|2> → || '''2023년 27주차''' ||<|2> → || 2023년 28주차 || || 엘리멘탈 || {{{#fcbf49 '''엘리멘탈''' }}} || ''미정'' || ||<-5> [[https://www.boxofficemojo.com/intl/argentina/|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아르헨티나 박스오피스 집계 기준]] || == [[콜롬비아]] == ||<-5>
{{{#ff0000 '''콜롬비아 박스오피스 1위 영화''' }}} || || 2023년 24주차 ||<|2> → || '''2023년 25주차''' ||<|2> → || 2023년 26주차 || || [[플래시(영화)|플래시]] || {{{#ffd700 '''엘리멘탈''' }}} || 엘리멘탈 || || 2023년 25주차 ||<|2> → || '''2023년 26주차''' ||<|2> → || 2023년 27주차 || || 엘리멘탈 || {{{#ffd700 '''엘리멘탈''' }}} || 엘리멘탈 || || 2023년 26주차 ||<|2> → || '''2023년 27주차''' ||<|2> → || 2023년 28주차 || || 엘리멘탈 || {{{#ffd700 '''엘리멘탈''' }}} || ''미정'' || ||<-5> [[https://www.boxofficemojo.com/intl/colombia/|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콜롬비아 주말 박스오피스 집계 기준]] || == [[칠레]] == ||<-5>
{{{#ffffff '''칠레 박스오피스 1위 영화''' }}} || || 2023년 24주차 ||<|2> → || '''2023년 25주차''' ||<|2> → || 2023년 26주차 || || [[인어공주(2023)|인어공주]] || {{{#ffffff '''엘리멘탈''' }}} || 엘리멘탈 || || 2023년 25주차 ||<|2> → || '''2023년 26주차''' ||<|2> → || 2023년 27주차 || || 엘리멘탈 || {{{#ffffff '''엘리멘탈''' }}} || 엘리멘탈 || || 2023년 26주차 ||<|2> → || '''2023년 27주차''' ||<|2> → || 2023년 28주차 || || 엘리멘탈 || {{{#ffffff '''엘리멘탈''' }}} || ''미정'' || ||<-5> [[https://www.boxofficemojo.com/intl/chile/|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칠레 주말 박스오피스 집계 기준]] || == [[오스트레일리아]] == ||<-5>
{{{#ffffff '''오스트레일리아 박스오피스 1위 영화''' }}} || || 2023년 23주차 ||<|2> → || '''2023년 24주차''' ||<|2> → || 2023년 25주차 || || [[인어공주(2023)|인어공주]] || {{{#ffffff '''엘리멘탈''' }}} || 엘리멘탈 || || 2023년 24주차 ||<|2> → || '''2023년 25주차''' ||<|2> → || 2023년 26주차 || || 엘리멘탈 || {{{#ffffff '''엘리멘탈''' }}} || [[인디아나 존스: 운명의 다이얼]] || ||<-5> [[http://www.boxofficemojo.com/intl/australia/|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오스트레일리아 주말 흥행 집계 기준]]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엘리멘탈(애니메이션), version=852, paragraph=11)] [[분류:엘리멘탈(애니메이션)]][[분류:흥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