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기계 == [include(틀:통계역학)] [include(틀:기계공학)] {{{+1 Engine / [[機]][[關]]}}} '''엔진'''은 [[열]], [[화학]], [[전기]] 등의 [[에너지]]를 [[기계]]적인 [[일(물리학)|일]]로 변환하는 장치를 말한다. 한국어로는 기관 또는 원동기라고 한다. 가장 흔한 엔진은 열기관으로, 이는 [[내연기관]]과 [[외연기관]]으로 나뉜다. 이는 열원(대개 불타는 연료)이 동력 생성부의 내부에 있는지, 외부에 있는지에 따른 구분이다. 내연기관이라 하면 [[자동차]] 등에 널리 사용되는 [[왕복엔진]]이 대표적이지만, [[로켓]]과 [[제트엔진]] 역시 내연기관의 일종이다. 엔진 내에서 연료를 연소하기 때문. 외연기관의 대표주자는 [[산업 혁명]]의 원동력이었던 [[증기 기관]]이다. 증기 기관이라 하면 20세기 초에 멸종된 것으로 생각하기 쉽지만, 이는 고전적인 [[석탄]] 보일러 증기 기관에 한정되는 이야기이며 오늘날에도 증기 기관은 널리 이용된다.[* 석탄도 여전히 계속 쓰인다. 특히 화력발전.] [[보일러]]나 [[열교환기]]가 장착된 기관은 전부 증기 기관이다. [[화력발전소]]에 가보면 거대한 증기기관들을 볼 수 있다. 이 부분에서 “[[발전기]]도 엔진인가?”라는 의문이 들 수 있다. 화력발전에 사용되는 외연기관은 발전기에 연결되어 있지만 그 자체가 발전기인 것은 아니다. 외연기관을 작동시켜, 그 동력으로 발전기를 돌리는 것이다.[* 공구상 등에서 판매하는 초소형 휴대용/비상용 발전기들도 작은 [[가솔린]] 엔진에 직류 발전기가 연결되어 있다.] 즉 연료(석탄 등)를 연소해 잠재된 화학 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바꾸고, 그 열에너지로 외연기관에서 일을 일으켜, 그 일로 발전기를 작동시켜 [[전기]]를 만들어내는 것이다. [[수력발전]]에선 낙하하는 물의 힘으로, [[풍력발전]]에선 바람의 힘으로 발전기를 돌리지만, 화력발전에선 연료를 태워 외연기관을 작동시키고, 그 외연기관이 생성하는 동력으로 발전기를 돌린다.[* 참고로 외연기관으로만 발전기를 돌릴 수 있는 건 아니다. 휴대용 소형 발전기는 내연기관인 [[가솔린]] 엔진으로 돌리며, 건물에 설치하는 비상용 발전기도 내연기관인 [[디젤]] 엔진으로 돌린다. 외연기관은 연료비의 경제성이 좋지만 시설이 대형이기 때문에 발전소가 어니면 외연기관으로 발전하기 어렵다.] 에너지를 에너지로 전환(?)하는 것이라 이게 무슨 뻘짓인가 싶지만, 집집마다 석탄이나 디젤유를 공급해 자가발전시키는 것보다 발전소에서 전기를 만들어 공급하는 쪽이 여러 모로 유리하기 때문에 모든 나라가 이렇게 한다. [[원자로]] 역시 열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연료를 태워 만드는 열인 연소열이 아니라 [[동위원소]](방사성 물질)의 붕괴 시 나오는 열로 물을 끓여 증기를 만든다는 점만 다르다. 끓인 물로 [[증기]]를 만들어 [[터빈]]을 돌리는 방식으로, 터빈에 [[프로펠러]]를 연결해 선박([[원자력 잠수함]]이나 [[항공모함]])을 추진하기도 하고 발전기를 돌리기도 한다. 작동 원리는 외연기관과 비슷하지만 연소가 일어나지 않으니 외연기관은 아닌 셈이다. [[스털링 기관]]도 외연기관이다. 츨력이 낮지만 엔진 내 물질(기체 등)을 외부에서 유입하거나 물질을 외부로 배출할 필요가 없는 닫힌 시스템 구조를 갖고 있어 특정한 목적으로는 유용하다. 예를 들어 [[우주선]]. [[전동기]] 역시 엔진의 일종이다. 전동기는 열 기관이 아니란 점에서 위에 나온 엔진들과 차별화된다. 이런 넓은 의미로 보면 생명체의 [[근육]]도 엔진이다. [[아데노신3인산]]이란 물질을 에너지원으로 삼아 액틴-마이오신 수축운동을 발생시켜 근육을 수축시킴으로써 운동을 일으키므로, 화학 에너지원을 이용한 리니어 모터 엔진에 해당한다. 여담으로 근육의 에너지 효율은 의외로 낮아 15~25% 범위다(내연기관들은 효율이 30~45% 범위). 나머지는 열이 되어 버리는데, 생명체는 생존을 위해 열도 필요하기 때문에 이를 열손실이라 말하기는 애매한 부분이다. 실제로 체온이 떨어지면 근육이 비자발적으로 운동해 열을 만들어낸다(추울 때 몸이 떨리는 현상). 이공계 개그로 "이 XX는 [[카르노 기관]]을 탑재했다"는 것이 있다. 카르노 기관은 이상적인 열기관으로, 실존하는 기관이 아니라 열기관에 대한 [[사고실험]]에 이용되는 이론적 모델이며 현실에서 만들 수 있는 엔진이 아니다. 자세한 내용은 [[카르노 기관]] 문서를 참조하자. === 어원 === 엔진은 [[라틴어]]의 ingenium(재능, 지혜)에서 유래한 단어다. 원래는 오늘날 우리가 말하는 엔진이 아니라 고대/중세에 전쟁에 사용된 기계들, 즉 [[투석기]] 같은 [[공성병기]]를 지칭하던 단어였다. 이런 공성병기를 유럽에서 엔진으로 지칭하게 된 것은 14세기 무렵이었으며, 이후 17세기에 [[증기기관]]을 엔진이라 부르게 되면서 오늘날 우리가 말하는 “에너지원을 기계적인 [[일(물리학)|일]]로 전환하는 기관”이란 의미가 정착되게 된다.[* 이러한 까닭에 [[동원어]]로 공학자 혹은 [[공병]]을 뜻하는 "Engineer"와 [[공학]]을 뜻하는 "Engineering"가 있다.] 초기 증기기관의 대표적인 용도가 [[증기 기관차]]였기에, 증기 기관차 자체를 “엔진”으로 지칭하는 경우도 많았다([[기관차]][locomotive]가 아니라). 스팀 엔진(증기 기관)은 [[산업 혁명]]의 원동력을 제공했으며, 엔진처럼 복잡한 기관을 설계하고 제작하는 기술은 점차 발전하여 독자적인 학문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를 “[[엔지니어링]]([[공학]])”이라 부르게 되었다. 때문에 [[엔지니어]]란 단어도 [[공학자]]란 의미와 [[기관사]]란 의미를 함께 갖게 되었다. 오늘날에는 [[컴퓨터]] 용어로 특정한 작업(프로세스)을 구현하는 [[모듈]]을 엔진이라 부르는 경우가 흔히 있다. 예를 들어 “그래픽 엔진”은 어떤 컴퓨터 프로그램에서 그래픽 기능을 처리하는 모듈이다. 컴퓨터 용어에서의 엔진은 실체가 있는 [[하드웨어]] 장치가 아니라 프로그램([[소프트웨어]])인 경우가 더 많다. 즉 실체가 없지만 엔진이라 불리는 것이다. === 엔진의 분류 === ==== 열기관의 작동방식에 따른 분류 ==== * [[내연기관]] * [[왕복엔진]] * [[성형엔진]] * [[수평대향 엔진]] * [[대향 피스톤 엔진]] * [[반켈 엔진]](로터리 엔진) * [[가스터빈]] * [[제트엔진]] * [[램제트 엔진]] * [[터보제트]] * [[워터제트]] * [[터보팬]] * [[터보샤프트]] * [[터보프롭]] * [[로켓]] * [[이온 엔진]] * --[[전자기추진 엔진]]-- * [[외연기관]] * [[왕복엔진]] * [[스털링 기관]] * [[증기기관]] * [[증기터빈]] * [[진공 엔진]] ==== 열기관의 사용연료에 따른 분류 ==== * [[가솔린 엔진]] * [[디젤 엔진]] ==== 일반적인 왕복 내연기관 엔진의 구성요소 ==== * [[실린더]] * [[피스톤]] * [[크랭크]] * [[플라이휠]] * 흡배기계통 * [[자연흡기]] * [[과급기]] * [[슈퍼차저]] * [[터보차저]] * [[매니폴드]] * [[카뷰레터]] === 제조사 === 엔진을 만드는 회사는 매우 많다. 오늘날 [[자동차]] 및 [[오토바이]] 메이커로 유명한 기업들 중에는 원래 산업용 엔진 제작으로 시작한 회사들이 많으며, 반대로 엔진을 자체 제작할 기술이 없는 상태에서 자동차 메이커로 개업한 회사들도 있다(다른 회사가 만든 엔진을 사다 쓰는 방식). 때문에 엔진을 스스로 제작할 수 있는지의 여부가 버젓한 자동차 메이커인가를 판가름하는 기준으로 쓰이기도 한다. 자동차 엔진 외의 엔진들, 즉 [[비행기]]나 [[선박]] 엔진, [[로켓]] 엔진, [[기관차]] 엔진 등은 본체 제조사와 엔진 제조사가 서로 다른 경우가 매우 많다(즉 본체 제조사가 엔진을 사다 쓴다). 대표적인 엔진 제조사들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는 [[내연기관]] 엔진만 논하도록 한다(전기 모터는 제조사가 너무 많기 때문). ==== 한국 ==== * [[현대자동차]] - 긴 역사를 가진 자동차 메이커지만 의외로 자체개발 엔진의 양산은 1991년부터 시작했다([[현대 알파 엔진|알파 엔진]]).[* 알파 엔진이 개발되기 전까지는 [[미쓰비시 자동차|미쓰비시]]의 엔진을 사용했다. 그 엔진들 중 하나가 바로 특유의 공회전 소리로 유명한 [[미쓰비시 시리우스 엔진|시리우스]].] * [[현대중공업]] - 큰 선박용 엔진을 만들며 엔진 사업부가 따로 있다. * [[KR모터스]] - [[이륜차]] 메이커로 엔진을 자체 제작한다. [[대우중공업]], [[대우자동차]] 등 한때 엔진을 만들었으나 폐업한 기업들도 있다. 이외에 엔진을 자체 생산하는 한국 기업이 있으면 추가 바람. ==== 미국 ==== * [[제네럴 모터스]] - 기나긴 역사를 자랑한다.[* 세계 최초의 [[OHV]] 엔진은 GM이 1904년에 만들었다.] 자동차 산업의 종가집 같은 지위를 가진 회사라, GM 엔진들의 계보를 따져보면 복잡하게 얽혀 있다. [[대우자동차]], [[토요타]], 이스즈, 오펠, 사브, 스즈키 등등이 GM에서 엔진을 공급받거나 납품하기도 한다. GM은 자동차용 엔진과 드라이브트레인을 OEM 제품으로 판매한다. 차를 만들고 싶은데 엔진 만들 기술이 없으면 복잡한 계약 같은 거 없이 그냥 GM에 주문하면 된다는 얘기. * [[제네럴 일렉트릭]] - 엔진의 덩치에 비례해 이 회사 제품일 가능성이 상승한다. 대형 항공기 엔진은 GE 제품이 아닌 것을 세는 게 더 빠르다. * [[포드 모터 컴퍼니]] - 긴 역사를 가진 자동차 회사. 다른 회사들이 고성능 첨단 엔진을 추구하던 시절에도, 포드는 어떻게 하면 더 싸게 만들까를 고민했다. 때문에 초창기 포드 엔진들을 보면 “이래도 된다고?“ 싶은 부분이 많다.[* 냉각수 펌프가 없이 그냥 [[대류]] 현상으로 냉각수를 순환시킨다든지, 연료 펌프 없이 그냥 중력으로 연료가 엔진에 도달하게 한다든지...] * 로켓다인(Rocketdyne) - [[새턴 V]] 로켓의 엔진을 만든 회사. 로켓 제작은 [[보잉]] 등이 했지만 그 엔진은 로켓다인이 제작했다. 로켓다인은 보잉이 인수했으니 결국 한 집안이 되었지만... 여담으로 보잉은 오늘날에도 엔진을 자체 제작하지 않으며 GE 등의 회사에서 사다 쓴다.[* 보잉도 자체 엔진 제작을 위해 유나이티드 에어크래프트라는 자회사를 세운 적이 있는데 미국 정부가 반독점 규정을 들어 분리시켜버렸다. 이때 유나이티드 에어크래프트가 여러 회사들로 나눠졌는데, 그 중 하나가 오늘날의 항공사 [[유나이티드 항공]]이다.] * [[프랫 앤 휘트니]] - 군용 항공기 엔진의 본가. ==== 러시아 ==== * [[라보츠킨]] - [[소유즈]] 로켓 엔진을 이 회사가 만들었다. ==== 유럽 ==== * [[롤스 로이스]] - 고급 승용차 메이커로 유명하지만 비행기 엔진의 명가이기도 하다.[* 이 중 [[롤스로이스 멀린|멀린 엔진]]은 2차대전 당시 연합군의 제공권 확보에 큰 활약을 하게 해준 엔진이다.] * [[메르세데스-벤츠]] - 고급 승용차 메이커로 유명하지만 대형 상용차 엔진으로도 유명하다. * [[BMW]] - 원래는 비행기 엔진만 만들던 회사. 오토바이와 자동차 제작은 꽤 나중에 시작했다. 이 회사가 처음 만든 엔진이 [[포커 D.VII]]에 탑재된 IIIa 엔진이다. * [[재규어(자동차)|재규어]] - [[랜드로버]]에 탑재되는 엔진도 이 회사가 만든다. * [[아우디]] - 벤츠의 기술자였던 아우구스트 호르히가 레이스 카를 만들고 싶어 독립해서 세운 회사. 때문에 초창기에는 줄창 레이스 카 엔진만 만들었다. 1964년에 폭스바겐이 아우디를 인수한 이후 고급차를 아우디, 보급형 차를 폭스바겐 브랜드로 팔지만 엔진은 대부분 같은 공장에서 만든다(예외의 경우도 물론 있다). * [[폭스바겐]] - [[폭스바겐 비틀|비틀]]로 유명한 자동차 메이커. 특히 비틀에 탑재되었던 공랭식 수평대향 4기통 엔진이 유명하다(엔진이 대부분 알루미늄과 마그네슘으로 만들어졌다). ==== 일본 ==== * [[마쓰다]] - 특이할 정도로 [[반켈 엔진]]에 집착하는 엔진 메이커지만 평범한 자동차 엔진도 많이 만든다. * [[SUZUKI|스즈키]] - [[2행정 기관]] 시절이 유달리 길었던 회사. 최초의 [[4행정 기관]]이 1977년에 나왔을 정도니… * [[야마하]] - 의외로 엔진의 명가. [[볼보]] 자동차 중에도 야마하 엔진이 탑재된 것들이 있었다. * [[혼다]] - 자동차부터 로봇까지 만드는 종합 기술 기업으로 유명하지만 최초로 만든 제품은 자전거에 장착하는 1기통 엔진이었다(1947년, “A형 엔진”). 창업자가 [[공랭식 엔진]] 빠돌이라 자동차에 계속 공랭식 엔진만 싣겠다고 고집을 부려 회사 엔지니어들을 골치아프게 했다. * [[미쓰비시 자동차|미쓰비시]] - [[미쓰비시 그룹]] 산하의 자동차 회사. 오랜 역사를 가진 회사로 랠리 등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며 나름 인정받았으나[* 현대자동차그룹에게 기술을 알려주고 자동차를 생산할 수 있게 해준 스승이기도 하다.] 20세기 말에 망조가 들기 시작해 지금은 상황이 매우 안 좋다. [[태평양 전쟁]]에서 활동하던 [[제로센]] 전투기도 미쓰비시가 만들었다. * [[IHI]] - 에도막부부터 존재한 엔진의 명가로 군용엔진을 주로 만든다. ==== 중국 ==== * [[중국발사체기술연구원]] - 중국의 우주 발사체인 [[창정]] 로켓을 개발하는 기관이다. === 관련 문서 === * [[나선 엔진]] * [[영구기관]] * [[파워트레인]] * [[카트라이더 엔진등급]] == [[기관차]] == [[철도]]로 달리는 [[기관차]]를 흔히 엔진이라 부른다. 물론 기관차에 엔진이 탑재되어 있지만, 기관차 자체를 엔진이라 부르기도 하는 것이다. 정식 명칭은 물론 기관차(locomotive)지만, [[산업 혁명]] 당시부터 기관차를 엔진이라 불렀으며 오늘날에도 종종 쓰이는 표현이다. == 소프트웨어 == [[프로그램]]의 운영 전반을 조정하거나 중심적인 기능을 하는 것. * [[검색 엔진]] * [[게임 엔진]] * [[렌더링 엔진]] * [[위키엔진]] * [[월페이퍼 엔진]] == [[후지 테레비]]의 드라마 [[엔진(드라마)|엔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엔진(드라마))] == [[아이돌 마스터 신데렐라 걸즈]]의 유닛 [[炎陣]]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炎陣)] == [[ENHYPEN]]의 팬덤명 [[ENGENE]]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ENGENE)] == [[BMS]] 곡 [[Engine]]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Engine)] == [[염신]]의 현지화명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염신)] == [[벚꽃사중주]]의 등장인물 [[히이즈미 엔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히이즈미 엔진)] == [[원신]]의 용어 [[원신 엔진|엔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원신 엔진)] [[분류:엔진]][[분류:소프트웨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