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최상급 싱크로 몬스터 카드. ||<#E4CC8F>
<:>'''{{{#!html엔라이트멘트 파라딘}}}'''||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livedoor.4.blogimg.jp/05ffcbeb.jpg|width=100%]]}}}|| ||<#E4CC8F><:>{{{#BA344F 강의한 빛을 발하는 용사의 검! 지금 이곳에 섬광과 함께 눈을 떠라! 싱크로 소환! 레벨 8! '''{{{#!html엔라이트멘트 파라딘!}}}'''[br]剛毅の光を放つ勇者の剣!今ここに閃光と共に目覚めよ!シンクロ召喚!レベル8!'''{{{#!html覚醒の魔導剣士!}}}'''}}}[* 79화에서의 대사. 97화에서는 '싱크로 소환!' 뒷부분이 '나타나라, 레벨 8! 각성의 마도검사, 엔라이트멘트 파라딘!(現れろ、レベル8!覚醒の魔導剣士、[ruby(覚醒の魔導剣士, ruby=エンライトメント・パラディン)]!)'으로 변경되었다.]|| ||<#E4CC8F><:>{{{#BA344F 강직한 빛을 발하는 용사의 검이여! 지금 이곳에 섬광과 함께 깨어나라! 싱크로 소환! 등장하라, 레벨 8! 각성의 마도검사! {{{#!html엔라이트멘트 파라딘!}}}}}} [* 듀얼링크스에서 유야 대사]'''|| [목차] == 원작 == [[파일:Enlightenment Paladin anime.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싱크로=, 한글판명칭=엔라이트멘트 파라딘, 일어판명칭=覚醒の魔導剣士(エンライトメント・パラディン), 영어판명칭=Enlightenment Paladin, 속성=어둠, 레벨=8, 공격력=2500, 수비력=2000, 종족=마법사족, 소재=튜너 + 튜너 이외의 몬스터 1장 이상, 효과1=①: 이 카드가 "마술사" 몬스터를 소재로 하고 싱크로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 자신 묘지의 마법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패로 되돌린다., 효과2=②: 이 카드가 전투로 상대 몬스터를 파괴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공격력만큼의 데미지를 상대에게 준다.)] [[사카키 유우야]]의 첫 싱크로 몬스터.[* 유우야도 곤겐자카에 이어 '''펜듈럼 싱크로''' 사용자가 되었다. 그리고 이것을 기점으로 유우야는 당시의 [[아카바 레이지|모든 엑스트라 덱 소환법을]] [[아카바 레이라|다룰 수 있게 되었다.]]] [[유희왕 ARC-V]] 4번째 오프닝에서 [[패왕흑룡 오드아이즈 리벨리온 드래곤]]과 함께 등장해 리벨리온 드래곤 위에 탄다.[* 그 전 장면에서 필드에 왼쪽부터 각검의 마술사와 [[EM 실버 크로우]], [[조율의 마술사]]가 등장했는데, 본편에서도 이들을 소재로 이 카드를 싱크로 소환했다.] 이름의 Enlightenment는 [[계몽주의|'''계몽'''이라는 말]]이 되는데, 여러모로 [[장 미셸 로제|계몽되어야]] [[행정 평의회|할 대상]]이 많은 싱크로 차원에서 소환된 몬스터이기에 붙여진 이름으로 보인다. 참고로 'Enlightenment'는 일본에서는 'エンライトメント([엔라이토멘토])'와 'エンライトンメント([엔라이톤멘토])'의 두 가지 표기가 공존하는데, 이 카드는 전자를 따랐다. 영어를 한국 표기법에 맞게 표기하면 '인라이튼먼트'가 되지만 정발명은 일본어를 그대로 읽은 듯한 '엔라이트멘트'라는 표기가 되었다. 79화에서 첫 등장. 나오자마자 1번 효과로 첫 턴 발동한 "갭 파워"[* 일반 마법: 자신의 LP가 상대보다 적을 때 상대와 자신의 LP 차이의 절반만큼 몬스터 1장의 공격력을 증가]를 발동해 공격력을 4250까지 올려 신지의 몬스터를 파괴하여 2번 효과로 데미지를 입혀 유우야에게 승리를 안겨준다. 싱크로 소환될 때와 묘지의 마법 카드를 발동하는 효과를 쓸 때 [[시간을 읽는 마술사]]가 효과를 발동할 때와 같은 배경이 사용됐고 시간이 되감겨 D휠이 '''역주행'''하는 연출이 나타났다. 그런데 어째 팩의 메인으로까지 나온 몬스터인데도 불구하고 공격명이 나오지 않았다. [[유희왕 ARC-V]]의 팩 메인 몬스터 중 최초로 공격명이 없는 사례. 그리고 이때의 작화가 하도 안 좋아서 생긴 멸칭이 '''[[김치 전사|백김치 워리어]](...).'''[* 진화체인 [[니르바나 하이 파라딘]]은 이보다 더 나쁜 작화나 연출로 '''청김치 워리어'''라는 멸칭이 붙었다(...).] 이후 90화에서 오랜만에 재등장. [[오드아이즈 펜듈럼 드래곤]], [[다크 리벨리온 엑시즈 드래곤]]과 함께 소환돼서 [[오벨리스크 포스]]를 쓰러뜨린다. 97화에서는 EM 치어몰과 함께 [[니르바나 하이 파라딘]]을 꺼내기 위해 릴리스되었다. 다만 묘사상으로는 마치 이 카드가 튜너 취급되어서 싱크로 소환을 한 것처럼 나왔다. == OCG == [include(틀:유희왕/OCG/9기 부스터 팩 커버 카드)] [[파일:覚醒の魔導剣士.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싱크로=, 한글판명칭=엔라이트멘트 파라딘, 일어판명칭=覚醒の魔導剣士(エンライトメント・パラディン), 영어판명칭=Enlightenment Paladin, 속성=어둠, 레벨=8, 공격력=2500, 수비력=2000, 종족=마법사족, 소재=튜너 + 튜너 이외의 몬스터 1장 이상, 효과외1="엔라이트멘트 파라딘"의 ①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마술사" 펜듈럼 몬스터를 소재로 하고 이 카드가 싱크로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 자신 묘지의 마법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패에 넣는다., 효과2=②: 이 카드가 전투로 상대 몬스터를 파괴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원래 공격력만큼의 데미지를 상대에게 준다.)] [[브레이커즈 오브 섀도우]]의 커버 카드. 각성의 마도검사라고 쓰고 엔라이트먼트 파라딘이라고 읽으므로, [[마도(유희왕)|마도]]에는 미포함된다. 전체적인 디자인은 [[시간을 읽는 마술사]]와 [[마술사(유희왕)#각검의 마술사|각검의 마술사]]를 닮았다. 기본적으로 보면 [[엘리멘틀 히어로 프레임 윙맨]]과 [[암즈 에이드]]를 떠올리게 하는 번 데미지 효과. 그러나 파괴 후 묘지로 보내야 데미지를 줄 수 있는 앞의 둘과 달리 이 카드는 일단 뭐라도 파괴하기만 하면 추가 데미지를 줄 수 있다. 이 효과 덕분에 묘지로 가지 않는 토큰이나 펜듈럼 몬스터를 파괴해도 번 데미지를 줄 수 있다. 문제는 효과 발동 조건이 전투 파괴인데 레벨 8 싱크로 몬스터치고는 이 카드의 타점은 낮은 편이다. 또한 유희왕의 환경 자체가 이미 전투로 뭔가를 파괴해 대미지를 줘서 이길 수 없는 상황이 되어버려서 그냥 달려있는 덤이라고 생각하는 게 편하다. 역시 메인 효과는 에라타 전 '''[[혼돈의 흑마술사]]'''와 같은 묘지의 마법을 회수하는 ①의 효과다. 그러나 정작 마술사 덱에는 사용하기 굉장히 애매한 효과이기도 하다. 기본적으로 11기 환경에서 술사는 덱에 마술사와 EM 펜듈럼 몬스터들만 가득 집어넣고 운용하는 게 주류 구성이다. 덱에 들어가는 마법 카드는 기본적으로 성상의 펜듈럼그래프 한 장, [[듀얼리스트 어드벤트]] 2~3장이 끝이다. [[어둠의 유혹]], [[갑부 고블린]] 등 드로우 부스팅 카드들을 넣는 구성이 있긴 하지만 취향을 많이 타고 회수하면서까지 쓰기에도 애매하다. 회수는 덤으로 치고 그냥 뽑기에는 8렙 싱크로에 [[바렐로드 새비지 드래곤]]이나 [[패왕권룡 클리어윙]], [[폭룡검사 이그니스터P]] 등의 쟁쟁한 경쟁자들이 많다. 즉 효과는 좋으나 덱을 잘못 탄 케이스. 뽑는다면 기본적으로는 조현의 마술사를 통해 4렙 비튜너 마술사를 꺼내거나 혹은 EM 오드아이즈 싱크론으로 펜듈럼 존의 천룡의 마술사를 뽑아서 싱크로하게 될 것이다. 드물게 아스트로그래프 + 이펙트 뵐러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그렇게 되면 회수 효과를 쓰지 못해 계륵. 여담으로 원래는 '''[[팔라딘]]'''으로 표기해야 하지만 [[초마도검사 블랙 파라딘|이 카드]]의 전례로 인해 파라딘으로 번역되었다. ||수록 시리즈 || ||<(> 2016-02-01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BOSH-KR047 | '''[[브레이커즈 오브 섀도우]]'''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L)][include(틀:유희왕 레어도/HR)] || ||<(> 2017-03-14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SD31-KR042 |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 - [[펜듈럼 에볼루션(스트럭처 덱)|펜듈럼 에볼루션]]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5-10-17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BOSH-JP047 | '''[[브레이커즈 오브 섀도우|BREAKERS OF SHADOW]]'''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L)][include(틀:유희왕 레어도/HR)] || ||<(> 2016-12-23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D31-JP042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 [[펜듈럼 에볼루션(스트럭처 덱)|ペンデュラム・エボリューション]]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6-01-15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BOSH-EN047 | '''[[브레이커즈 오브 섀도우|Breakers of Shadow]]'''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2017-06-23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PEVO-EN031 | '''[[펜듈럼 에볼루션(스트럭처 덱)|Pendulum Evolution]]'''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관련 카드 == * [[니르바나 하이 파라딘]] == 관련 문서 == * [[마술사(유희왕)]] [[분류:유희왕/OCG/마법사족]][[분류:유희왕/OCG/싱크로 소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