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attachment/월영/엔드 카드/tsukuyomi_endcard01.jpg|width=220]] || [[파일:attachment/bakemonogatari_endcard_01.jpg|width=190]] || || [[월영 MOON PHASE]] 1화 엔드 카드.[* 최초의 엔드 카드 이다. 일러스트레이터는 캐릭터 디자인을 맡은 아키야마 유키코와 총 작화감독인 아이자와 마사히로.][* 아이자와 카게츠라는 가명으로 활동하고 있다.] || [[바케모노가타리]] 1화 엔드 카드.[* 일러스트레이터는 [[이야기 시리즈]] 원작 일러스트 담당인 [[VOFAN]].] || [목차] == 개요 == {{{+1 エンドカード / End Card}}} [[일본]] TV [[애니메이션]] 방송의 매화 끝에 첨부되는 일러스트를 말한다. == 특징 == [[애니메이션]] 방송 끝부분인 '다음 화에 계속' 혹은 '끝'(최종화)이라고 하는 부분에 공개하는 일러스트로, 다음 회 예고를 한 뒤에 [[광고]]를 하고 엔딩곡과 함께 성우 및 스태프 명단이 쭈욱 나가고 '다음 시간에...' 또는 '끝'을 띄우며 끝내는[* [[애니플러스]]에서는 2010년 4분기부터 아예 오프닝/엔딩 곡의 방영 순서를 한국 방영 방식에 맞추어 재편집하지 않고 일본에서 방영되었던 그대로 방영하는 방식을 채택함에 따라 그때 방영하는 작품들을 기점으로 엔딩곡 끝에 나오는 '다음 시간에...' 또는 '끝'을 더 이상 볼 수 없게 되었다.] [[한국]]과는 달리 [[일본]]에서는 엔딩곡과 함께 성우 및 스태프 명단이 나간 후 다음 회 예고를 한 뒤에 이 엔드 카드를 띄우며 끝내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특별한 의미는 없고 '''일종의 서비스 컷''' 정도의 개념이라고 보면 된다.[* 다만 엔드 카드가 작중 전개를 요약하거나 다음화의 복선이 되는 작품들도 존재한다.] 엔드 카드를 최초로 제안한 것은 [[월영 MOON PHASE]]의 원작자인 아리마 케이타로로, 다른 애니메이션에서 아이캐치를 다른 제작사 스태프를 받는 경우를 보고 자신의 작품에도 다른 사람에게 부탁해보자며 시작했던 게 지금은 샤프트 애니메이션의 전통(?)이 되었다. [[타입문]]의 [[타케우치 타카시]]나 [[니트로플러스]]의 [[니시]]에게도 부탁했는데, 만나본 적도 없어서 거절당하는줄 알았다고 한다. 다행히도 흔쾌히 그려줬다고. [[월영 MOON PHASE]], [[파니포니 대쉬!]]에서는 유명도가 떨어지는 [[일러스트레이터]]에게 받는 경우가 많았는데, [[안녕 절망선생]]에서는 [[쿠메타 코지]]의 17년 경력에 걸맞는 인맥으로부터 일러스트를 받았다. 현재 연재중인 [[소년 매거진]] 관련인물인 니시모토 히데오, [[카미죠 아키미네]] 등, 과거 연재했던 [[소년 선데이]] 관련으로 [[후지타 카즈히로]], [[타카하시 루미코]], [[하타 켄지로]]가 엔드 카드를 그려주었다. 쿠메타 개인적인 친분으로도 [[아라카와 히로무]], [[야스히코 요시카즈]](건담 오리진) 등 엄청난 사람들이 엔드카드를 그려주었다. 다만 같은 [[소년 매거진]] 관련으로 해서 [[마시마 히로]]와 그의 어시스턴트 출신 [[요시카와 미키]]는 [[바케모노가타리]]의 엔드카드는 그려주면서 절망선생의 엔드카드는 안 그려주었고, [[코바야시 진]]은 파니포니 대쉬 이후의 엔드 카드는 다 그려주면서 절망선생의 엔드카드는 안그려주었다. 그런데 [[쿠메타 코지]]는 [[여름의 폭풍!/애니메이션|여름의 폭풍!]]의 엔드 카드는 그려줬다. [[아카마츠 켄]]도 [[쿠메타 코지]]와의 관계를 생각하면 이상하게도 엔드카드를 안그려주었다. [[시이나 타카시]]는 엔드카드 그려달라는 요청이 언제들어올지 두근거려했는데 결국 요청이 안 와서 절망. [[암묵의 룰]]로 원작자 내지는 디자인 원안을 맡은 사람이 최종화의 엔드카드를 장식한다. 시초인 [[샤프트(기업)|샤프트]]의 경우에는 거의 예외를 찾기 힘들다. 물론 아예 없는 건 아니지만...[* 이야기 시리즈의 애니메이션은 전부 1화가 원작의 삽화를 담당한 VOFAN, 마지막화가 애니메이션의 캐릭터 디자이너인 [[와타나베 아키오]]이다.] 참고로 엔드 카드엔 유명 만화가나 일러스트레이터, 애니메이터들이 참여하는게 보통이지만, 드물게는 이쪽 직업과 관계없는 인물이 이름을 올리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성우 [[코바야시 유우]]가 출연한 작품의 엔드 카드에 코바야시 화백의 그림이 들어가는 경우라던가. 2000년대 중반까진 엔드 카드를 쓰는 애니메이션이 드물었지만, [[바케모노가타리]]의 히트로 매화 엔드 카드를 쓰는게 유행하고 있다. 일본 애니메이션이 한국에 수입되어 방송될 땐 대부분 편집돼서 보기 어렵다. 예외적으로 드라마이긴 하지만 [[미라클 멜로디]]가 한국에서 방송될 때 엔드카드가 그대로 나온 적이 있다. 최근에는 매화가 끝난 뒤 공식 트위터에 올라오는 추세. == 엔드 카드 목록 == 샤프트 작품은 ★표시를 한다. === ㄱ ~ ㄷ === * [[걸즈 앤 판처/엔드 카드]] * [[그녀의 플래그가 꺾이면/애니메이션/엔드 카드]] * [[그래도 마을은 돌아간다/애니메이션/엔드 카드]] ★ * [[그래서 나는 H를 할 수 없다/엔드 카드]] * [[금빛 모자이크/애니메이션/엔드 카드]] * [[길티 크라운/엔드 카드]] * [[나는 친구가 적다/애니메이션/엔드 카드]] * [[나에게 천사가 내려왔다!/애니메이션/엔드 카드]] * [[내가 인기 없는 건 아무리 생각해도 너희들 탓이야!/애니메이션/엔드 카드]] *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애니메이션/엔드 카드]] * [[니세코이/애니메이션/엔드 카드]] ★ * [[대도서관의 양치기(애니메이션)/엔드 카드]] * [[댄스 인 더 뱀파이어 번드/엔드 카드]] ★ * [[던전에서 만남을 추구하면 안 되는 걸까(애니메이션 1기)/엔드 카드]] * [[도우미 여우 센코 씨/애니메이션/엔드 카드]] * [[돌아가는 펭귄드럼/엔드 카드]] * [[디플래그!/엔드 카드]] === ㄹ ~ ㅂ === * [[로젠 메이든(2013년 애니메이션)/엔드 카드]] * [[마리아 홀릭/애니메이션/엔드 카드]] ★ * [[마시로이로심포니/엔드 카드]] *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엔드 카드]] ★ * [[메카쿠시티 액터즈/엔드 카드]] ★ * [[문제아들이 다른 세계에서 온다는 모양인데요?/엔드 카드]] * [[미라큘러스: 레이디버그와 블랙캣/엔드 카드]] * [[벚꽃사중주/애니메이션/엔드 카드]] * [[블레이블루 알터 메모리/엔드 카드]] * [[블랙 불릿/애니메이션/엔드 카드]] === ㅅ ~ ㅈ === * [[사랑하는 소행성/애니메이션/엔드 카드]] * [[사사미양@노력하지않아/애니메이션/엔드 카드]] ★ * [[사쿠라 트릭/엔드 카드]] * [[성 아랫마을의 단델리온#s-7.1.3|성 아랫마을의 단델리온/엔드 카드]] * [[성흔의 퀘이사/엔드 카드]] * [[소드 아트 온라인/애니메이션/엔드 카드]] * [[스노하라장의 관리인씨/애니메이션/엔드 카드]] * [[스타뮤/엔드 카드]] * [[시큐브/애니메이션/엔드 카드]] * [[신만이 아는 세계/애니메이션/엔드 카드]] * [[신의 탑(TVA)/엔드 카드]] * [[쓰리몬/애니메이션/엔드 카드]] * [[아라카와 언더 더 브리지/애니메이션/엔드 카드]] ★ * [[아르슬란 전기/애니메이션/엔드 카드]] * [[아마가미 SS+/엔드 카드]] * [[아빠 말 좀 들어라!/애니메이션/엔드 카드]] * [[아웃브레이크 컴퍼니(애니메이션)/엔드 카드]] * [[안녕 절망선생/애니메이션/엔드 카드]] ★ * [[암살교실/애니메이션/엔드 카드]] * [[에로망가 선생/애니메이션/엔드 카드]] * [[에스카 & 로지의 아틀리에 ~황혼 하늘의 연금술사~/엔드 카드]] * [[여동생만 있으면 돼./애니메이션/엔드 카드]] * [[여름의 폭풍!/애니메이션/엔드 카드]] ★ * [[우리들에게 날개는 없다/애니메이션/엔드 카드]] * [[유유시키/애니메이션/엔드 카드]] * [[윤회의 라그랑제/엔드 카드]] * [[월영 MOON PHASE/엔드 카드]] ★[* '''최초의''' 엔드 카드다.] * [[이 미술부에는 문제가 있다!/애니메이션/엔드 카드]] * [[이누가미 양과 네코야마 양/엔드 카드]] * [[이세계 콰르텟/엔드 카드]] * [[이야기 시리즈/애니메이션/엔드 카드]] ★ * [[재와 환상의 그림갈/애니메이션/아이캐치 및 엔드 카드]] * [[주문은 토끼입니까?/애니메이션/엔드 카드]] * [[중2병이라도 사랑이 하고 싶어!/애니메이션/엔드 카드]] * [[전설의 용자의 전설/엔드 카드]] * [[전자상가의 서점 아가씨/엔드 카드]] * [[진격의 거인/애니메이션/엔드 카드]] === ㅊ ~ ㅎ === * [[책벌레의 하극상/애니메이션/엔드 카드]] * [[취성의 가르간티아/엔드 카드]] * [[카기나도/엔드 카드]] * [[카나메모/엔드 카드]] * [[칸나기/애니메이션/엔드 카드]] * [[쾌도천사 트윈엔젤/엔드 카드]] * [[쿠로코의 농구/애니메이션/엔드 카드]] * [[파니포니 대쉬!/엔드 카드]] ★ * [[파이-브레인 신의 퍼즐/엔드 카드]] * [[프리큐어 시리즈/엔드 카드]] * [[두 사람은 프리큐어 Splash Star/엔드 카드]] * [[Yes! 프리큐어 5/엔드 카드]] * [[Yes! 프리큐어 5 GoGo!/엔드 카드]] * [[후레쉬 프리큐어!/엔드 카드]] * [[하트캐치 프리큐어!/엔드 카드]] * [[스위트 프리큐어♪/엔드 카드]] * [[스마일 프리큐어!/엔드 카드]] * [[심쿵! 프리큐어/엔드 카드]] * [[Go! 프린세스 프리큐어/엔드 카드]] * [[마법사 프리큐어!/엔드 카드]] * [[허긋토! 프리큐어/엔드 카드]] * [[딜리셔스 파티♡프리큐어/엔드 카드]] * [[푸른 강철의 아르페지오 -아르스 노바-/엔드 카드]] * [[프리징 바이브레이션/엔드 카드]] * [[하나마루 유치원/애니메이션/엔드 카드]] * [[행복 그래피티/엔드 카드]] ★ * [[히다마리 스케치/애니메이션/엔드 카드]] ★ === A ~ Z, 1 ~ 9 === * [[ef - a tale of memories./엔드 카드]] ★ * [[ef - a tale of melodies./엔드 카드]] ★ * [[Fate/kaleid liner 프리즈마☆이리야/애니메이션/엔드 카드]] * [[Free!/엔드 카드]] * [[NO.6(소설)/애니메이션/엔드 카드]] * [[Occultic;Nine/애니메이션/엔드 카드]] * [[RAIL WARS!(애니메이션)/엔드 카드]] * [[Robotics;Notes/애니메이션/엔드 카드]] * [[STAR DRIVER 빛의 타쿠토/엔드 카드]] == 기타 == * [[히카와 헤키루]]는 파니포니 이후 전 작품의 엔드카드를 그려주어서 [[안녕 절망방송]]에서는 "히카와 헤키루 뭐하는 사람?" "샤프트 엔드카드 그려주는 사람"이라는 굴욕을 당하기도 하였다. 도합 8회로 코바야시 진과 동일한 회수지만 코바야시 진은 [[여름의 폭풍]]의 원작자로 두번 그린거여서 히카와 헤키루가 최다이다. 히카와 헤키루는 [[안녕 절망방송]]에 통장 내역을 봤더니 들어온 돈은 샤프트에 그려준 엔드 카드로 받은 것만 있다고 자학 네타를 보내기도 하였다. * [[기어와라! 냐루코 양]]이나 [[아이우라]], [[전용]]처럼 [[니코니코동화]]에 연관이 많은 작품들은 니코동 산하의 일러스트사이트인 니코니코 정화에서 일러스트를 응모해서 뽑기도 한다. * [[무한의 리바이어스]]의 엔드 카드는 [[스크래치#s-5]] 기법으로 제작된 것이 특징이다. [[https://blog.naver.com/mariji89/90155929355|참고]] * [[샤프트(기업)|샤프트]]의 [[월영 MOON PHASE]]부터 시작하여 샤프트 애니메이션, 더 나아가서 [[일본 애니메이션]]의 전통이 되었는데 샤프트는 다양한 작가로부터 일러스트를 받는 것이 특징으로, 본래는 팬북 등에 투고하는 일러스트를 방송한다는 느낌이다. 시청자를 방송 후까지 잡아두는 효과로 [[시청률]] 증진에 도움이 될 수 있겠다. 더불어 주제곡 CD 등에 일러스트를 끼워주는 등 이래저래 상업적으로 쓸모가 많은 것 같은데 샤프트 이외에는 잘 안 하는 편이다. 샤프트 이외에는 [[코드 기어스 반역의 를르슈]] R2의 경우가 있는데 여기서는 원래 작화가가 SD스타일로 담당했다. == 관련 문서 == * [[만화 및 애니메이션 관련 정보]] * [[아이캐치]] [[분류:엔드 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