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데이비드 크로넨버그 감독 장편 연출 작품)] ---- ||<-2>
{{{#FEFEFC '''{{{+1 엑시스텐즈}}}''' (1999)[br]''eXistenZ''}}}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1999 엑시스텐즈 포스터.jpg|width=100%]]}}} || || '''장르''' ||{{{#!wiki style="margin: 0px 10px" [[공포]], [[미스터리]], [[SF]], [[스릴러]]}}} || || '''감독 | 각본''' ||{{{#!wiki style="margin: 0px 10px" [[데이비드 크로넨버그]]}}} || || '''제작''' ||{{{#!wiki style="margin: 0px 10px" 데이비드 크로넨버그, 안드라스 하모리, 로버트 란토스, 마이클 맥도널드}}} || || '''출연''' ||{{{#!wiki style="margin: 0px 10px" [[제니퍼 제이슨 리]], [[주드 로]], [[이안 홈]], 돈 맥켈러, 캘럼 키스 레니, [[세라 폴리]], [[크리스토퍼 에클스턴]], [[윌렘 대포]] 외}}} || || '''촬영''' ||{{{#!wiki style="margin: 0px 10px" 피터 서스치츠키}}} || || '''편집''' ||{{{#!wiki style="margin: 0px 10px" 로널드 샌더스}}} || || '''미술''' ||{{{#!wiki style="margin: 0px 10px" 캐롤 스피어}}} || || '''음악''' ||{{{#!wiki style="margin: 0px 10px" [[하워드 쇼어]]}}} || || '''의상''' ||{{{#!wiki style="margin: 0px 10px" 데니즈 크로넨버그}}} || || '''제작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0]] 텔레필름 캐나다, 알리앙스 알틀란티스, 해롤드 그린버그 기금, 세렌디피티 포인트 필름스, 더 무비 네트워크 [[파일:영국 국기.svg|width=20]] 내추럴 나일론 엔터테인먼트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 UGC}}} || || '''수입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소니 픽처스 코리아|콜럼비아-트라이스타 영화]]}}} || || '''배급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와인스틴 컴퍼니|디멘션 필름스]][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소니 픽처스 코리아|콜럼비아-트라이스타 영화]]}}} || || '''개봉일'''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베를린 국제 영화제 로고.svg|width=20]] 1999년 2월 16일[br][[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0]] 1999년 4월 23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1999년 8월 7일}}} || || '''화면비''' ||{{{#!wiki style="margin: 0px 10px" 1.85 : 1}}} || || '''상영 시간''' ||{{{#!wiki style="margin: 0px 10px" 1시간 37분}}} || || '''제작비''' ||{{{#!wiki style="margin: 0px 10px" 1,500만 달러}}} || || '''북미 박스오피스''' ||{{{#!wiki style="margin: 0px 10px" $2,856,712}}} || || '''대한민국 총 관객 수''' ||{{{#!wiki style="margin: 0px 10px" 서울 관객 13,857명}}} || || '''상영 등급''' ||{{{#!wiki style="margin: 0px 10px" '''[[청소년 이용불가|[[파일:영등위_18세이상_2021.svg|width=30]] {{{#373a3c,#dddddd 청소년 관람불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데이비드 크로넨버그]] 연출, [[제니퍼 제이슨 리]], [[주드 로]] 주연의 1999년 [[SF]] [[공포]] 영화. [[가상현실]] 게임을 소재로 한 바디 호러 영화로, 제49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 경쟁 부문에 초청받아 은곰상: 예술공헌상을 수상했다.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x5vuBa6PrzU)]}}}|| || {{{#FEFEFC '''예고편'''}}} || == 시놉시스 == * 출처: [[네이버 영화]] > 세계 최고의 게임 디자이너 엘레그라 겔러는 개발사인 안테나 리서치사에서 몇 명의 고객들과 함께 신제품 테스트를 하게 된다. > 엘레그라의 신개발 게임은 생체 컴퓨터 게임 '엑시스텐즈'. > 인간의 신경계와 직접 연결되어 가상현실을 체험하게 만드는 차원 다른 시뮬레이션 게임의 일종이다. > 이 게임을 시작하면 테스트 참가자 12명은 현실을 떠나 아직 한번도 경험하지 못했던 게임 속 새로운 인물로 다시 태어나게 된다. > 그러나 막 테스트를 시작하려는 순간 시뮬레이션 게임으로 인간성을 잃어 가는 것을 반대하는 현실주의자에게 테러를 당한 엘레그라는 상처를 입고 몸을 피한다. > 이때부터 그녀를 보호하게 된 견습사원 테드와 엘레그라는 필사의 도주를 시작한다. > 도피 도중 엘레그라는 엑시스텐즈가 무사한지 확인하기 위해 테드에게 같이 '엑시스텐즈'에 접속할 것을 부탁하지만 > 테드는 게임 접속에 필요한 바이오 포트를 뚫지 않은 상태였다. > 한적한 주유소에 도착한 엘레그라와 테드는 게스의 도움으로 테드의 척추에 바이오포트를 뚫지만 게스의 목적은 엘레그라에게 걸려있는 5백만불의 현상금. > 둘은 가까스로 위기를 모면하나 게스가 뚫어준 바이오포트가 감염된 것을 모르고 엑시스텐즈에 접속하다 게임기까지 감염되고 만다. > 진퇴양란에 빠진 엘레그라와 테드. 이들은 마지막 피난처인 게임 전문가 카이리 비노코의 연구소를 찾아 그의 도움으로 게임기를 수술한 뒤 엑시스텐즈의 세계로 들어간다. > 엑시스텐즈, 그곳은 게임을 만든 엘레그라조차도 한 치 앞을 예측할 수 없을 정도로 스릴있고, 동시에 너무나 현실적인 세계였고, 완전히 새로운 세계였다. > 그러나 그 세계에 빠져들면 빠져들수록 엘레그라와 테드의 행동과 성격은 극단적으로 변해가고 극악스럽고 교묘한 효과들로 게임은 꼬여 가는데... == 출연진 == * [[제니퍼 제이슨 리]] - 엘레그라 겔러 역 * [[주드 로]] - 테드 피쿨 역 * [[이안 홈]] - 카이리 비노코 역 * 돈 맥켈러 - 예브게니 역 * 캘럼 키스 레니 - 휴고 카를로 역 * [[세라 폴리]] - 멀 역 * 로버트 A. 실버맨 - 다시 네이더 역 * [[크리스토퍼 에클스턴]] - 세미나 리더 역 * [[윌렘 대포]] - 개스 역 == 줄거리 == ==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 code=existenz, critic=68, user=5.9)]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 code=existenz, tomato=74, popcorn=69)] [include(틀:평가/IMDb, code=tt0120907, user=6.8)]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existenz, user=3.5)] [include(틀:평가/알로시네, code=9450, presse=3.5, spectateurs=3.3)] [include(틀:평가/키노포이스크, code=7569, user=7.073)] [include(틀:평가/야후! 재팬 영화, code=159873, user=3.4)] [include(틀:평가/Filmarks, code=10564, user=3.5)] [include(틀:평가/엠타임, code=10631, user=7.2)]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1299213, user=7.1)] [include(틀:평가/왓챠, code=m5xJMEO, user=3.4)] [include(틀:평가/키노라이츠, code=47046, light=75)] [include(틀:평가/네이버 영화, code=24594, expert=전문가평점, audience=관람객 평점, user=7.29)] [include(틀:평가/다음 영화, code=1983, user=7.2)] [include(틀:평가/CGV, code=영화코드, egg=지수)] [include(틀:평가/MRQE, code=existenz-m100037798, critic=66, user=유저평점)] [include(틀:평가/시네마스코어, score=스코어)] [include(틀:평가/TMDB, code=1946-existenz, user=69)] [include(틀:평가/무비파일럿, code=existenz-2, user=7.0)] [include(틀:평가/RogerEbert.com, code=existenz-1999, user=3.0)] > Gooey, slimy, grotesque fun. > '''끈적거리면서도 기괴한 재미.''' >---- > [[로튼 토마토]] 평론가 총평 > '''도착적이고 위험하면서도 매혹을 주는 인간 신체의 섞어놓기''' >---- > 김영진 ([[씨네21]]) | ★★★☆ > '''인간은 기계처럼, 기계는 인간처럼. 가상현실로 옮아간 테크노 에로티시즘''' >---- > [[심영섭]] ([[씨네21]]) | ★★★★ > '''울렁울렁, 어뜩어뜩, 으슬으슬, 크로넨버그의 괴력!''' >---- > [[박평식]] ([[씨네21]]) | ★★★☆ == 흥행 == ||<-4>
출처: [[https://www.boxofficemojo.com/title/(링크)/|박스오피스 모조]] || || 국가 || 개봉일 || 총수입 (단위: [[미국 달러]]) || 기준일 || || '''전 세계''' || (최초개봉일) || '''$(세계누적)''' || '''(기준일자)''' || ||<-4> 개별 국가 (개봉일 순, 전 세계 영화 시장 1, 2위인 북미, 중국은 볼드체) || || '''[[북미]]''' || 미정 || '''$2,856,712''' || 미정 || == 수상 및 후보 이력 == * 제49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 은곰상: 예술공헌상 '''수상''' * [[카예 뒤 시네마]] 선정 [[카예 뒤 시네마/연도별 베스트|1999년 영화 베스트 4위]] == 기타 == ## 문단 분리가 되지 않은 잡다한 정보들을 서술하는 문단입니다. == 관련 문서 == * [[가상현실]] == 외부 링크 == ## 해당 작품과 관련 있는 외부 사이트의 링크를 기재하는 문단입니다. ## 아래 예시에 삽입된 주소와 문구를 연결을 원하는 사이트로 교체합니다. == 둘러보기 == ## 해당 작품과 관련된 둘러보기 틀을 배치하는 문단입니다. ## 최상단 둘러보기 틀은 최대 2개까지만 배치할 수 있으니 더 많은 둘러보기 틀을 넣길 원하면 본 문단에 배치하세요. [[분류:캐나다 공포 영화]][[분류:캐나다의 미스터리 영화]][[분류:캐나다의 SF 영화]][[분류:캐나다의 스릴러 영화]][[분류:영국 공포 영화]][[분류:영국의 미스터리 영화]][[분류:영국의 SF 영화]][[분류:영국의 스릴러 영화]][[분류:프랑스 공포 영화]][[분류:프랑스의 미스터리 영화]][[분류:프랑스의 SF 영화]][[분류:프랑스의 스릴러 영화]][[분류:1999년 영화]][[분류:하워드 쇼어]][[분류:바이오펑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