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소니 엑스페리아 플래그십 브랜드)] ||<:>[[파일:XpZ3P_1.jpg|width=100%]] || ||<:>[[http://www.sonymobile.com/global-en/products/phones/xperia-z3-plus/|소니 모바일 글로벌 Xperia Z3 Plus 공식 사이트]] || >'''Slimmer, lighter, faster''' ~~스냅룡 810이 발산하는 열을 물에 담궈서 식힐 수 있는 세계 최초 수랭식 스마트폰~~[* 뜨거운 상태로 차가운 물에 담그면 온도 차로 인하 강화유리가 깨지거나, '''내부에 결로현상이 생길 수 있다'''. 실제로 했다가는 핸드폰을 수장시킬 수 있으니 하지 말자. ~~그러니 물에 담궈놓고 사용하자...는 물 속에서 터치가 안되잖아??~~] [목차] == 개요 == [[소니 모바일]]이 2014년 9월, IFA 2014에서 공개한 [[엑스페리아 Z3]]의 파생 모델로, 2015년 4월에 공개한 [[안드로이드(운영체제)|안드로이드]] [[스마트폰]]. 개발 코드네임은 [[아이비(식물)|Ivy]]. == 사양 == ||||[[SoC|프로세서]]||<-4>[[퀄컴 스냅드래곤 810 MSM8994]] [[SoC]]. [[ARM big.LITTLE]]↓, [[퀄컴 Adreno]] 430 500 MHz [[GPU]][br][[ARM Cortex-A57]] MP4 2 GHz [[CPU]] + [[ARM Cortex-A53]] MP4 1.5 GHz [[CPU]]|| ||||[[메모리]]||<-4>3 GB LPDDR4 SDRAM, 32 GB 내장 메모리, micro SDXC (최대 128 GB 지원)|| ||||[[디스플레이]]||<-4>5.2인치 [[해상도/목록|FHD]](1920 x 1080) RGB 서브픽셀 방식의 Triluminos Display for Mobile (IPS TFT-LCD 방식 & 424 ppi)[br]멀티터치 지원 정전식 [[터치 스크린]]|| ||<|2>[[네트워크|네트]][br][[네트워크|워크]]||<:>'''기본'''||<-4>[[LTE]][[-3CA]] Cat.6, [[4G|HSPA+]] 42Mbps, [[WCDMA|HSDPA & HSUPA & UMTS]], [[GSM|GSM & EDGE]]|| ||<:>'''{{{#FFFF00 선택}}}'''||<:>[[AXGP]] ||<:>[[TD-LTE]] ||<:>[[WiBro Evolution]] ||<:>[[FeliCa]] || ||||근접통신||<-4>[[Wi-Fi]] 802.11a/b/g/n/ac, [[블루투스]] 4.1, [[NFC]], ANT+, '''[[LDAC]]'''|| ||||[[카메라]]||<-4>전면 510만 화소, 후면 2,070만 화소 [[AF]] 지원 F2.0 G렌즈 및 [[LED]] [[플래시(카메라)|플래시]]|| ||||[[배터리]]||<-4>내장형 Li-ion 2930 mAh|| ||||[[운영체제]]||<-4>[[안드로이드(운영체제)/버전|안드로이드]] 5.0 (Lollipop) → 6.0 (Marshmallow) → 7.0 → 7.1 (Nougat)[br][[소니 레이첼]] & [[NTT 도코모 Live UX]][* 지원 모델 추가 지원.]|| ||||규격||<-4>72 x 146 x 6.9 mm, 144 g|| ||||색상[* 제품 공개 당시 같이 공개된 기본 색상에 볼드 처리]||<-4>'''블랙''', '''화이트''', '''코퍼''', '''아쿠아 그린'''|| ||||단자정보||<-4>USB 2.0 micro Type-B x 1, 3.5 mm 단자 x 1[br]일부 모델 듀얼심 지원|| ||<|2>기타||<:>'''기본'''||<-4>IP65/68 등급 방수 방진 지원, 디지털 노이즈 캔슬링 지원, PS4 리모트 플레이 지원, Hi-Res Audio 지원|| ||<:>'''{{{#FFFF00 선택}}}'''||<:>[[VoLTE]] 지원 ||<:>Wideband Audio 지원 ||<:>[[원세그]] TV 및 풀세그 TV 지원 ||<:> FM 라디오 지원 || == 상세 == [[소니 모바일]]의 2015년 상반기 플래그십 [[스마트폰]]으로 [[엑스페리아 Z3]]의 상위 호환 파생 모델이다. 본래 [[엑스페리아 Z3]]의 후속작이자 [[엑스페리아 Z 시리즈]]의 다섯 번째 [[스마트폰]]으로 알려졌고, [[엑스페리아 Z]]나 [[엑스페리아 Z2]]처럼 2015년 상반기 플래그십 [[스마트폰]]으로서 [[CES]] 혹은 [[MWC]]에서 공개될 것으로 추정되었으나, 공개되지 않고 이후 2015년 4월 20일에 [[엑스페리아 Z4]]라는 정식 발매명으로, [[http://www.sonymobile.co.jp/company/press/entry/2015/0420_1_xperia_z4.html|일본 소니 모바일의 보도자료]]를 통해 일본 선 공개가 이루어졌다. 이후, 2015년 5월 26일에 [[http://blogs.sonymobile.com/press_release/introducing-new-xperia-z3-plus/|글로벌 모델이 정식으로 공개]]되었다. 전반적인 디자인은 본가 모델인 [[엑스페리아 Z3]]와 큰 차이점이 없다. 그러나 [[슬로건]]대로 역대 [[엑스페리아 Z 시리즈]] 중 가장 가볍고 얇으며, 전면의 스테레오 스피커가 [[엑스페리아 Z2]]처럼 기기 프레임에 근접한 부분에 위치하고 있다. 기본 색상은 블랙, 화이트, 코퍼, 아쿠아 그린으로 총 4종이다. 실버 그린에 이어 아쿠아 그린이 [[엑스페리아 Z 시리즈]]의 기본 색상이 됨에 따라, [[소니 모바일]]의 새로운 아이덴티티 컬러가 그린이 되는것이 아니냐는 말도 나오고 있다. 사양은 우선 AP로 [[퀄컴 스냅드래곤 810 MSM8994]]를 사용한다. [[ARM Cortex-A57]] 쿼드코어 [[CPU]]와 [[ARM Cortex-A53]] 쿼드코어 [[CPU]]에 [[ARM big.LITTLE 솔루션|big.LITTLE 솔루션]]을 적용한 옥타코어 [[CPU]]와 [[퀄컴 Adreno]] 430 [[GPU]]를 사용하며 [[LG전자]]의 [[LG G Flex 2|G Flex 2]], [[HTC]]의 [[HTC ONE M9|ONE M9]]와 동일한 AP를 사용한다. 하지만, 그렇고 그런 말이 많은 [[퀄컴 스냅드래곤 810 MSM8994]]를 사용했기에 벤치마크 [[애플리케이션]]으로 측정한 결과는 본가 모델인 [[엑스페리아 Z3]]와 비등한 편이다. RAM은 LPDDR4 SDRAM 방식이며 3 GB다. 내장 메모리는 32 GB 단일 용량이며 micro SD 카드로 용량 확장이 가능하다. 다만 본작의 경우 micro SD 카드 슬롯이 [[SIM]] 카드 슬롯으로 통합되었다. [[SIM]] 카드 규격은 nano [[SIM]]을 사용한다. 디스플레이는 5.2인치 Full-HD 해상도를 지원하며 패널은 IPS TFT-LCD 계열의 Triluminos Display for Mobile을 사용한다. 지원 LTE 레벨은 Cat.9로 다운로드 최대 450 Mbps, 업로드 최대 50 Mbps를 보장한다. 또한 3 Band [[캐리어 어그리게이션]]과 [[VoLTE]] 등을 지원한다. 이는 탑재된 AP인 [[퀄컴 스냅드래곤 810 MSM8994]]에 [[Qualcomm Snapdragon X10 LTE Modem|퀄컴 스냅드래곤 X10 LTE 모뎀]]이 통합되었고 이를 그대로 사용했기 때문이다. 배터리 용량은 내장형 2930 mAh을 사용한다. 후면 [[카메라]]의 경우 G렌즈 기술이 적용된 소니 엑스모어 IMX220 센서의 2,070만 화소 카메라[* 이는 [[엑스페리아 Z1]]부터 계속 사용된 후면 [[카메라]] 사양이기도 하다. 사실, 소니 엑스모어 IMX220 센서도 제원만큼은 하위급 똑딱이 정도에 탑재되는 카메라 센서와 비슷했다. 스마트폰 수준에서는 [[마이크로소프트 루미아|루미아 시리즈]]나 [[삼성 갤럭시|갤럭시]] 시리즈의 카메라 특화 기기를 제외한다면 가장 큰 센서 크기였지만, [[소니 모바일]]이 [[엑스페리아 Z 시리즈]]의 두께를 유지하기 위해 카메라 모듈의 두께를 줄이면서 렌즈의 장수도 같이 줄어들어서 센서의 성능을 제대로 뽑아내지 못했다는 것이 지금까지의 추측이다. ~~물론 카메라 사업부의 노하우는 어따 빼먹은 이미지 프로세싱도 문제지만~~ ~~퀄컴의 ISP 성능도 그지같다~~]를 사용한다. 전면 [[카메라]]도 전작의 200만에서 500만 화소로 상향되었고, 25mm의 광각 렌즈 탑재로 개선되었다. 이외에도 [[소니 모바일]]의 [[스마트폰]]이라면 기본적으로 탑재되었다 할 수 있는 방수 방진을 지원한다. 등급은 IP65/68로, 본가 모델인 [[엑스페리아 Z3]]와 마찬가지로 방진 등급은 최고레벨이다. 게다가 디스플레이에 물이 묻어도 터치 인식이 잘 되도록 [[https://youtu.be/_vK0K0oNmzs|터치 스크린이 개선]]되었다(**그러므로 z3+ 는 물에 담궈서 사용하도록 하자!**). 그리고 기존의 [[엑스페리아 Z 시리즈]]와 달리 캡리스 방수 방진 솔루션을 채택하여, [[소니 모바일]]이 대안으로 제시했던 마그네틱 충전 솔루션은 지원하지 않는다.[* [[엑스페리아 Z3]]의 미국 [[버라이즌]] 전용 파생 모델인 엑스페리아 Z3v에 [[무선충전]] 솔루션이 탑재되어 후속작부터 마그네틱 충전 솔루션의 대안으로 탑재될 것 같다는 의견이 많았지만, [[엑스페리아 Z3]]의 후속작이 아니라 상위 호환 파생 모델로 출시됨에 따라 [[무선충전]] 솔루션은 [[엑스페리아 Z5]]부터 정식으로 탑재될 것이라는 추측이 많았다. 하지만, 실제로는 [[엑스페리아 Z5]] 모두 [[무선충전]] 솔루션이 탑재되지 않았다.] 안드로이드 5.0 롤리팝을 기본으로 탑재했다. 공개 당시 펌웨어 버전은 5.0.x이다. == 추가 기능 및 주변기기 == * [[LDAC]] 코덱 지원 [[소니 모바일]]의 모 회사인 소니가 개발한 [[http://www.sony.co.kr/electronics/bluetooth-technology-wireless-music-streaming-ldac|블루투스 코덱]]이다. 이를 통해 무선으로도 높은 비트레이트의 음악 전송이 가능해졌다. * 퀄컴 퀵차지 2.0 지원 엑스페리아 스마트폰 최초로 고속충전을 지원한다. (퀵차지 1.0을 건너뛰고 2.0부터 최초로 지원) == 출시 == 2015년 상반기를 책임질 플래그십 [[스마트폰]]을 종전과 같이 CES나 [[MWC]]에서 공개하지 않고, 소박하게 보도자료 형태로 공개한 점으로 인해 출시 일정에 대해 많은 이야기가 오가는 상황이다. 게다가 [[소니 모바일]]이 글로벌 모델의 정식 발매명을 [[http://www.kbench.com/?q=node/149793|엑스페리아 Z3 Plus로 변경해 출시할 것]]이라는 주장까지 나왔다. 이를 바꿔말하면, [[엑스페리아 Z3]]의 후속작이 아닌 [[엑스페리아 Z3]]의 상위 호환 파생 모델로 취급하겠다는 소리가 되버린다. 이후, 2015년 5월 26일에 [[http://blogs.sonymobile.com/press_release/introducing-new-xperia-z3-plus/|글로벌 공식 보도자료]]가 나오면서 이는 사실이 되었다. 즉, 해당 기기는 [[엑스페리아 Z3]]의 후속작이자 [[엑스페리아 Z 시리즈]]의 다섯 번째 [[스마트폰]]이 아니라 [[엑스페리아 Z3]]의 상위 호환 파생 모델이 되어버렸다.[* [[엑스페리아 Z3]]의 후속작이자 [[엑스페리아 Z 시리즈]]의 다섯 번째 [[스마트폰]]이라는 타이틀은 [[엑스페리아 Z5]]가 가져가게 되었다. ~~드디어 세대와 넘버링이 일치하기 시작했다~~] 일본에는 [[엑스페리아 Z4]]라는 정식 발매명으로 [[NTT 도코모]], [[소프트뱅크 모바일]] 그리고 [[KDDI]] au 계열을 통해 출시되었다. 이 중, [[소프트뱅크 모바일]] 출시 기기는 4G [[TD-LTE|LTE-TDD]]와 호환성을 가지는 [[AXGP]]를 추가로 지원하고, [[KDDI]] au 계열은 4G [[WiBro Evolution]]을 추가로 지원한다. 중국에는 듀얼심을 지원하는 [[차이나유니콤]] 모델이 출시되었다. 4G [[LTE]]-FDD, 3G [[WCDMA]], 2G [[GSM]]을 지원하면서 추가적으로 4G [[LTE-TDD]]를 지원하나, 3G [[TD-SCDMA]]나 [[CDMA]] 계열 이동통신은 지원하지 않는다. 여기에 퀄컴 [[퀵차지]] 2.0을 지원하지 않는다. 이외의 글로벌 모델은 2015년 6월 이후부터 순차적으로 출시될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엑스페리아 Z1]]부터 [[엑스페리아 Z 시리즈]]는 꾸준히 출시를 했고, 심지어 본가 모델인 [[엑스페리아 Z3]]는 IFA 2014에서 진행되는 공개 행사보다 이틀이나 앞선 2014년 9월 2일에 전파인증을 통과한 전례가 있었던 한국 시장에는 결국 출시되지 않았다. == 소프트웨어 지원 == === OS 업그레이드 === ==== [[안드로이드 마시멜로|6.0 마시멜로]] ==== 2015년 10월 6일, [[소니 모바일]]이 공식 블로그를 통해 공개한 [[http://blogs.sonymobile.com/2015/10/06/sony-xperia-and-android-6-0-marshmallow/|안드로이드 6.0 마시멜로 업그레이드 대상 기기 목록]]에 엑스페리아 Z3 Plus가 포함되었다. 2016년 3월 7일, 엑스페리아 Z3 Plus와 엑스페리아 Z4 태블릿 글로벌 모델의 안드로이드 6.0 마시멜로 업그레이드가 실시되었다. 해당 업그레이드를 통해 Antutu 벤치마크 기준으로 본가 모델인 [[엑스페리아 Z3]]와 벤치마크 [[애플리케이션]] 상 결과 값이 비등했던 것과는 달리, [[http://forum.xda-developers.com/xperia-z4/general/antutu-benchmark-marshmallow-settled-t3335936|큰 격차를 보일 정도로 퍼포먼스가 많이 개선]]되었으며 발열 현상 역시 많이 완화되었다고 한다. ==== [[안드로이드 누가|7.0 누가]] ==== 2016년 8월 23일, [[소니 모바일]]이 공식 블로그를 통해 공개한 [[http://blogs.sonymobile.com/2016/08/23/sony-xperia-and-android-7-0-nougat/|안드로이드 7.0 누가 업그레이드 대상 기기 목록]]에 엑스페리아 Z3 Plus가 포함되었다. ==== [[안드로이드 누가|7.1.1 누가]] ==== 소니 모바일이 일부 엑스페리아 제품군에 안드로이드 7.1.1 누가(Nougat) 업데이트를 시작했다. 안드로이드 7.1.1 업데이트를 받고 있는 제품은 엑스페리아 Z5, 엑스페리아 Z5 콤팩트, 엑스페리아 Z5 프리미엄, 엑스페리아 Z3 플러스(+), 엑스페리아 Z4 태블릿 등이다. 이들 제품은 올해 2월 안드로이드 7.0 업데이트를 받은 바 있다. 업데이트 빌드 넘버는 32.4.A.160이다. 업데이트에는 엑스페리아 어시스트 등 일부 새로운 기능과 6월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미지 처리 성능도 개선된 것으로 알려졌다. == 논란 및 문제점 == === 발열 === [[퀄컴 스냅드래곤 810 MSM8994]]를 모바일 AP로 탑재한 극초기 스마트폰 중 하나다. 따라서, [[LG G Flex 2]]와 [[HTC ONE M9]]가 겪는 발열 문제를 동일하게 겪고있다. 하지만, 이는 일본 시장에 선 출시된 물량에 한정된 부분이며 시일의 차이를 두고 출시된 글로벌 모델의 경우 어느정도 해결이 되었다고 한다. 물론 초기 설정때 발열 현상이 여전히 심한 편이고, 810의 한계상 근본적인 해결이 불가능한 부분도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 그 외 문제점 === * 본가 모델인 [[엑스페리아 Z3]]와 마찬가지로 프레임이 휘는 현상이 발생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 기타 == * 부팅음이 PS4의 부팅음과 유사하다. == 홍보 영상 == [youtube(eG0RXy7rezE)] [[소니 모바일]] 타이완 공식 홍보 영상. [youtube(zznPovLQ85c)] [[소니 모바일]] 타이완 공식 홍보 영상. [youtube(60XQdE62vCs)] [[소니 모바일]] 타이완 공식 홍보 영상 - 카메라 편 [youtube(z1dc9SJJMLg)] [[소니 모바일]] 타이완 공식 홍보 영상 - 배터리 편 [[분류:스마트폰(안드로이드)/소니]][[분류:소니 엑스페리아]][[분류:스마트 디바이스/2015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