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소니 엑스페리아 X 시리즈)] ||<-2> [[파일:http___cdn_phoneintro_com_id_Sony-Xperia-X-Performance.jpg|width=100%]] || || {{{#ffffff 글로벌 모델}}} || {{{#ffffff 일본 내수용}}} || ||<-2> [[http://www.sonymobile.com/kr/products/phones/xperia-x-performance/|{{{#ffffff 한국 소니 모바일 엑스페리아 X 퍼포먼스 공식 사이트}}}]] || >'''The Masterpiece''' >'''마스터피스''' >'''스.타.일.의 완성''' [목차] == 개요 == [[소니 모바일]]이 [[2016년]] 2월, [[MWC]] 2016에서 공개한 [[안드로이드(운영체제)|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이다. 한국에서는 모든 서비스를 소니 코리아로 위탁하여 2016년 7월 4일에 [[단말기 자급제]]로 출시되었다. 개발 코드네임은 [[징|Dora]]로 명명되었다. == 사양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SoC|프로세서]]||[[퀄컴 스냅드래곤 820 MSM8996]] [[SoC]].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구성 내용 확인 ] ||<-2> [[CPU]] ||[[Qualcomm Kryo]] Dual-Core 2.2 GHz + Dual-Core 1.6 GHz [[CPU]] || ||<-2> [[GPU]] ||[[퀄컴 Adreno]] 530 624 MHz [[GPU]] || ||<-2> NPU & DSP ||[[퀄컴]] Hexagon 680 DSP || ||<-2> Sensor Hub ||DSP 대체 || ||<-2> 통신 모뎀 ||[[Qualcomm Snapdragon X12 LTE Modem]] ||}}}}}}|| ||[[메모리]]||3 GB LPDDR4 SDRAM, 32 GB [[eMMC]] -.- 규격 내장 메모리, [[Secure Digital|micro SDXC]] (규격상 2 TB, 200 GB 공식 지원)|| ||[[디스플레이|디스[br]플레이]]||5.0인치 16:9 비율 [[해상도/목록|FHD]](1920 x 1080) Triluminos Display for Mobile (441 ppi){{{#!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세부 정보 확인 ] || 공급사 ||[[LG 디스플레이]], 재팬 디스플레이, 샤프 디스플레이, [[AUO]] || || 픽셀배열 ||RGB 서브픽셀 방식 || || 패널정보 ||IPS TFT-LCD || || 부가정보 ||아사히글래스 드래곤트레일 X ||}}}}}}[br]멀티터치 지원 정전식 [[터치 스크린]]|| ||[[네트워크]]||{{{#!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4G Network ] [[LTE]][[-3CA]] Cat.9 FDD & [[TD-LTE|TDD]][br][[VoLTE]] 지원}}}}}}{{{#!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3G Network ] [[4G|HSPA+]] 42Mbps, [[WCDMA|HSDPA & HSUPA & UMTS]][br]Wideband Audio 및 음성 통신 지원}}}}}}{{{#!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2G Network ] [[GSM|GSM & EDGE]][br]음성 통신 지원}}}}}}|| ||근접통신||[[Wi-Fi]] 802.11a/b/g/n/ac, [[블루투스]] 4.2 / [[aptX]] Codec & [[LDAC]], [[NFC]]|| ||위성항법||[[GPS|GPS & A-GPS]], [[GLONASS]], [[Beidou]]|| ||[[카메라]]||전면 1,300만 화소 [[AF]], 후면 2,300만 화소 G렌즈 '''Predictive Hybrid [[AF]]''' 및 [[LED]] [[플래시(카메라)|플래시]]|| ||[[배터리]]||내장형 Li-Ion 2700 mAh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충전 기술 정보 ] ||<-2> 유선고속충전 ||퀄컴 퀵 차지 2.0 (- W) ||}}}}}}|| ||[[운영체제]]||[[안드로이드(운영체제)/버전|안드로이드]] 6.0 (Marshmallow) → 7.0 → 7.1 (Nougat) → 8.0 (Oreo)[br][[소니 레이첼]]|| ||규격||70.5 x 143.7 x 8.6 mm, 165 g|| ||색상[* 한국 출시 당시 기본 색상에 볼드 처리]||'''그래파이트 블랙''', '''화이트''', '''로즈 골드''', '''라임 골드'''|| ||단자정보||USB 2.0 micro Type-B x 1, 3.5 mm 단자 x 1|| ||기타||IPX5/IP68 등급 [[방수]] 방진 지원, 에어리어 방식 [[지문인식]] 지원|| ||<-2> '''한국 출시 모델인 F8131 이외 지역 하드웨어 사양'''{{{#!wiki style="margin: 0 -12px; border-right: 2px solid transparent; border-left: 2px solid transparent; color: #181818" {{{#!folding [ 펼치기 · 접기 ] ||<-2>[[SoC|프로세서]] ||<-2>[[퀄컴 스냅드래곤 820 MSM8996]] [[SoC]].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구성 내용 확인 ] ||<-2> [[CPU]] ||[[Qualcomm Kryo]] Dual-Core 2.2 GHz + Dual-Core 1.6 GHz [[CPU]] || ||<-2> [[GPU]] ||[[퀄컴 Adreno]] 530 624 MHz [[GPU]] || ||<-2> NPU & DSP ||[[퀄컴]] Hexagon 680 DSP || ||<-2> Sensor Hub ||DSP 대체 || ||<-2> 통신 모뎀 ||[[Qualcomm Snapdragon X12 LTE Modem]] ||}}}}}} || ||<-2>[[메모리]] ||<-2>3 GB LPDDR4 SDRAM, 32 / 64 GB [[eMMC]] -.- 규격 내장 메모리, [[Secure Digital|micro SDXC]] (규격상 2 TB, 200 GB 공식 지원) || ||<-2>[[디스플레이|디스[br]플레이]] ||<-2>5.0인치 16:9 비율 [[해상도/목록|FHD]](1920 x 1080) Triluminos Display for Mobile (441 ppi){{{#!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세부 정보 확인 ] || 공급사 ||[[LG 디스플레이]], 재팬 디스플레이, 샤프 디스플레이, [[AUO]] || || 픽셀배열 ||RGB 서브픽셀 방식 || || 패널정보 ||IPS TFT-LCD || || 부가정보 ||아사히글래스 드래곤트레일 X ||}}}}}}[br]멀티터치 지원 정전식 [[터치 스크린]] || ||<-2>[[네트워크]] ||<-2>{{{#!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4G Network ] || '''기본지원''' ||<-3> [[LTE]][[-3CA]] Cat.9 FDD[br][[VoLTE]] 지원[*A 지원 기기 추가 지원.] || || '''{{{#ffff00 선택지원}}}''' || [[LTE]] Cat.9 [[TD-LTE|TDD]] || [[AXGP]] || [[WiBro Evolution]]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3G Network ] || '''기본지원''' || [[4G|HSPA+]] 42Mbps, [[WCDMA|HSDPA & HSUPA & UMTS]][br]Wideband Audio 및 음성 통신 지원 || || '''{{{#ffff00 선택지원}}}''' || 없음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2G Network ] || '''기본지원''' || [[GSM|GSM & EDGE]][br]음성 통신 지원 || || '''{{{#ffff00 선택지원}}}''' || 없음 ||}}}}}} || ||<-2>근접통신 ||<-2>[[Wi-Fi]] 802.11a/b/g/n/ac, [[블루투스]] 4.2 / [[aptX]] Codec & [[LDAC]], [[NFC]]/[[FeliCa]][*A] || ||<-2>위성항법 ||<-2>[[GPS|GPS & A-GPS]], [[GLONASS]], [[Beidou]] || ||<-2>[[카메라]] ||<-2>전면 1,300만 화소 [[AF]], 후면 2,300만 화소 G렌즈 '''Predictive Hybrid [[AF]]''' 및 [[LED]] [[플래시(카메라)|플래시]] || ||<-2>[[배터리]] ||<-2>내장형 Li-Ion 2700 mAh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충전 기술 정보 ] ||<-2> 유선고속충전 ||퀄컴 퀵 차지 2.0 (- W) ||}}}}}} || ||<-2>[[운영체제]] ||<-2>[[안드로이드(운영체제)/버전|안드로이드]] 6.0 (Marshmallow) → 7.0 → 7.1 (Nougat) → 8.0 (Oreo)[br][[NTT 도코모 Live UX]][*A] || ||<-2>규격 ||<-2>70.5 x 143.7 x 8.6 mm, 165 g || ||<-2>색상[* 제품 공개 당시 같이 공개된 기본 색상에 볼드 처리.] ||<-2>'''그래파이트 블랙''', '''화이트''', '''로즈 골드''', '''라임 골드''' || ||<-2>단자정보 ||<-2>USB 2.0 micro Type-B x 1, 3.5 mm 단자 x 1[br]일부 모델 듀얼심 지원 || ||<|2>기[br]타 || '''기본''' ||<-2>IPX5/IP68 등급 [[방수]] 방진 지원 || || '''{{{#ffff00 선택}}}''' || 에어리어 방식 [[지문인식]] 지원 || [[원세그]] TV 및 풀세그 TV 지원 || }}}}}} || }}} * 지원 이동통신 주파수 - [[http://www-support-downloads.sonymobile.com/f8131/whitepaper_EN_F8131_2.pdf|한국 출시 모델 F8131 기준]] * 4G [[LTE]]-FDD Band 1, 2, 3, 4, 5, 7, 8, 12, 13, 17, 19, 20, 26, 28, 29 / 4G [[LTE-TDD]] 38, 39, 40, 41 * 3G [[WCDMA]] 800, 800-japan, 850, 900, AWS, 1900, 2100 MHz * 2G [[GSM]] 850, 900, 1800, 1900 MHz == 상세 == [[소니 모바일]]이 2016년 2월, [[MWC]] 2016에서 공개한 [[소니 엑스페리아 X 시리즈|엑스페리아 X 시리즈]]의 기본형 [[스마트폰]]인 엑스페리아 X의 상위형 형제 모델이다. 엑스페리아 X의 하드웨어 사양이 2016년 플래그십 스마트폰이라고 하기에는 조금 떨어지는 부분이 있어서 이쪽이 사실상 [[엑스페리아 Z5]]의 후속작으로 지칭되던 (가칭) 엑스페리아 Z6의 포지션에 더욱 가깝다고 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전작 제품군인 [[엑스페리아 Z5]]를 계승한 듯한 디자인을 가지고 있지만, 전면 강화 유리로 2.5D 글래스를 채용한 것과 후면을 메탈 소재로 만든 점이 차이점이다. 기본 색상은 그래파이트 블랙, 화이트, 로즈 골드, 라임 골드로 총 4종이다. 단, 헤어라인 처리는 그래파이트 블랙 색상과 화이트 색상에만 되어 있다. 사양은 우선 AP로 [[퀄컴 스냅드래곤 820 MSM8996]]를 사용한다. [[Qualcomm Kryo]]를 듀얼코어 [[CPU]]로 구성된 두 개의 클러스터로 나누어서 한쪽에는 고클럭 세팅으로 빅 클러스터 형태로 만들고 다른 한쪽에는 저클럭 세팅으로 리틀 클러스터 형태를 만들어 [[ARM big.LITTLE 솔루션|big.LITTLE 솔루션]]을 적용한 HMP 모드 지원 쿼드코어 [[CPU]]와 [[퀄컴 Adreno]] 530 [[GPU]]를 사용한다. 이는 같은 시기에 공개된 [[삼성전자]]의 [[갤럭시 S7]] 및 [[갤럭시 S7 엣지|S7 엣지]], [[LG전자]]의 [[LG G5|G5]]와 동일한 AP이다. RAM은 LPDDR4 SDRAM 방식이며 3 GB다. 내장 메모리는 32 GB와 64 GB로 이원화되었다. 또한, micro SD 카드로 용량 확장이 가능하다. 디스플레이는 5.0인치 Full-HD 해상도를 지원[* 인치 당 픽셀 수가 445 ppi이기 때문에 실제로는 4.94인치 전후의 크기를 가진 것으로 보인다.]하며 패널 형식은 IPS TFT-LCD 방식의 Triluminos Display for Mobile이다.[* 여담으로, 기기 전면 자체의 크기는 약 5.2인치 수준이라고 한다.] 지원 [[LTE]] 레벨은 Cat.9로 다운로드 최대 450 Mbps, 업로드 최대 50 Mbps를 보장한다. [[퀄컴 스냅드래곤 820 MSM8996]] 자체는 [[LTE]] Cat.12·13을 만족하지만 [[소니 모바일]]이 의도적으로 제한을 건 것으로 보인다. [[SIM]] 카드 규격으로 nano [[SIM]]을 사용한다. 배터리 용량은 내장형 2,700 mAh이며 배터리 최소 용량은 2,570 mAh이다. 또한, 퀄컴 퀵 차지 2.0 규격의 고속충전 기술을 지원한다. 상대적으로 특별한 점이 없는 배터리에 비해 디스플레이 크기가 5.0인치 임에도 불구하고 무게는 165 g에 육박해 객관적으로 무거운 편에 속한다.[* 물론, 내부 무게중심을 어떻게 설계했는지에 따라서 무거워도 실제 사용할 때는 크게 문제가 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크기에 비해 무거운 것은 사실이다.] 과거, [[엑스페리아 Z 시리즈]]는 [[엑스페리아 Z1]], [[엑스페리아 Z2]], [[엑스페리아 Z3]] 등 세대가 넘어갈수록 점점 가벼워지기까지 했는데[* 다만, 이는 나름대로 하드웨어 면에서 많은 변경을 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엑스페리아 Z1]]에서 [[엑스페리아 Z2]]로 넘어갈 때는 디스플레이 크기가 약 0.2인치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엑스페리아 Z1]]이 측면에 두꺼운 알루미늄 프레임을 사용하는 등 무거울 수 밖에 없는 소재를 사용했기에 결과적으로 무게가 더욱 가벼워졌으며 [[엑스페리아 Z3]]와 [[엑스페리아 Z3+]]는 배터리 용량이 줄었기에 무게가 감소할 여지가 존재했다.] 도로 무거워졌고, 여기에다 무겁기로 소문난 [[엑스페리아 Z1]]과는 달리, 측면을 플라스틱 소재로 사용하고, 배터리 용량도 줄어들었지만 무게 차이는 불과 5 g 밖에 나지 않아서 더더욱 비판을 받고 있다. 후면 [[카메라]]는 소니 엑스모어 RS IMX300 센서의 2,300만 화소 [[카메라]]를 탑재했다. 그리고 Hybrid [[AF]]보다 더 진보된 콘트라스트 [[AF]]와 [[위상차 검출 AF]]를 융합한 Predictive Hybrid [[AF]]를 지원한다. 또한, 카메라 렌즈 커버를 플라스틱 소재에서 강화 유리 소재로 변경 함에 따라 내구성이 증가했다. 전면 [[카메라]]는 셀피 강화를 목적으로 소니 엑스모어 RS IMX214 센서의 1,300만 화소 [[카메라]]를 탑재했다. 여기에 [[AF]]를 지원한다. 측면에 카메라 버튼이 위치하고 있으나, 동그란 메탈 표현이 사라지고 일반적인 일자 버튼으로 변경되었으며 기기 우측 하단에 존재한다. 그래도 반 셔터는 여전히 지원한다. 단자 규격은 일명 '5핀 단자'라 지칭되는 [[USB]] micro Type-B를 입출력 단자로 사용하며 전송 규격으로 최대 [[USB 2.0]]까지 지원한다. 그리고 사운드 출력을 위한 3.5 mm 단자가 탑재되었다. 에어리어 방식의 [[지문인식]] 센서가 [[엑스페리아 Z5]]와 동일하게 측면 전원 버튼에 탑재되어 있다. [[지문인식]] 센서라 하기에는 작은 크기지만, 손톱 밑에 있는 일부의 지문 만으로도 인식률이 매우 높다고 한다. 여기에 측면 전원 버튼에 탑재되어 있기 때문에 지문을 저장한 뒤, 저장된 지문을 가진 손가락으로 전원 버튼을 누르면 디스플레이가 켜짐과 동시에 지문인식 센서가 지문을 인식해 바로 잠금을 해제하기 때문에 편의성 역시 다른 [[지문인식]] 센서를 탑재한 [[스마트폰]]에 비해 좋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그리고 2016년 2월에 공개된 소니 모바일의 스마트폰 중에서 유일하게 방수 방진을 지원한다. 등급은 IP68로, 전작인 [[엑스페리아 Z5]]와 동일하게 방진 등급은 최고레벨이지만, 방수 등급은 IPX9K 등급보다 1단계 낮다. 추가적으로 IPX5 등급의 방수[* 상위 등급인 IPX8 등급의 방수를 지원하지만 IPX8 등급과 IPX5 등급은 측정 방식 및 등급이 지향하는 부분이 다르기 때문에 구분해서 표기하는 경우가 있다.]를 별도로 지원한다. 또한, 캡리스 방수 방진 설계가 적용되었다. 이를 위해 전면 스테레오 스피커는 고무로 밀폐처리 되어있고, [[SIM]] 카드 트레이와 micro SD 카드 슬롯에도 고무실링이 처리되었다. 기기 공개 당시 안드로이드 6.0 마시멜로를 기본으로 탑재했다. 구체적인 운영체제 버전은 6.0.1이다. === 기능 === * [youtube(8FdYBsm5Rlg)] Predictive Hybrid AF 오토 포커스 속도가 약 0.03 초로 빨라졌으며, 오토 포커스 예측 기술이 탑재되어서 피사체가 움직이더라도 초점이 선명하게 유지된다고 한다. 이 때문에 [[OIS]] 기술이 적용된 카메라 모듈을 사용하지 않았지만 흔들림으로 촬영 결과물이 좋지 않게 나오는 경우는 적다고 한다. *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변경 기본 내장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이 원형으로 통일되었고,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색감이 조정되었다. 이와 더불어 모 회사인 [[소니]]의 [[XMB|Xross Media Bar]]나 [[플레이스테이션 4|Playstation 4]]의 라이브 배경화면과 유사했던 기본 배경화면과 잠금 화면이 [[유화(미술)|유화]] 느낌의 정적인 배경화면으로 변경되었다. 또한, 기존 [[엑스페리아 Z 시리즈]]에는 존재했던 스몰앱 기능이 삭제되었다. == 출시 == === 한국 시장 === [[엑스페리아 아크]]와 [[엑스페리아 레이]] 이후 한국 시장 공략이 번번히 좌절[* 엑스페리아 플레이, 엑스페리아 S, 엑스페리아 ion 등 한국 출시 준비가 진행된 기기들은 존재했었으나, 게임 등급심의제와 이동통신사와의 협상 결렬 등으로 인하여 출시가 무산되었다.]되었던 소니 모바일은 [[엑스페리아 Z1]]를 기점으로 소니 코리아를 통해 한국 출시를 재개하면서 [[엑스페리아 Z3]]까지 꾸준히 출시 절차를 밟았다. 그러나, [[엑스페리아 Z3+]]와 [[엑스페리아 Z5(제품군)|엑스페리아 Z5 제품군]]이 출시되지 않으면서 소니 코리아가 [[스마트폰]] 사업 철수를 한 것이 아니냐는 추측이 제기되었다. 그러던 중, 한국 소니 모바일 공식 사이트[* 여담으로, 한국에는 [[소니 모바일]]의 지사가 없다. 소니 코리아가 소니 모바일 공식 사이트의 한국어판을 개설해 운영하는 것이다.]에 엑스페리아 X, 엑스페리아 XA 그리고 엑스페리아 X 퍼포먼스의 사이트 접속 링크가 개설[* 다만, 연결은 소니 모바일 글로벌의 각 기기 사이트로 연결되었다.]되었다. 이는 소니 코리아 측에서 실수로 만들어진 것이라 해명하면서 다시 수정하긴 했으나, 소니 코리아의 A/S 센터 쪽에서 한국 출시에 대한 떡밥이 흘러나왔다. 이에 대해 진짜로 정식 출시가 진행될 것이라는 주장과 [[엑스페리아 Z5(제품군)|엑스페리아 Z5 제품군]]의 출시 당시 상황과 유사하게 흘러가고 있기에 출시되지 않을 것이라는 주장이 팽팽하게 맞섰다. 이는 떡밥 자체가 신뢰성이 낮은 출처에서 나온 것이고 2016년 기준, [[LG U+]]의 [[VoLTE]] 지원 문제로 인해 많은 한국 외 제조사들이 전파인증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점에서 후자의 주장이 더 힘을 얻었다. 그런데 2016년 6월 14일, [[http://www.sedaily.com/NewsView/1KXL4PCAXZ|이동통신사들이 엑스페리아 X를 동년 여름에 출시할 것을 검토 중]]이라는 소식이 들렸다. 다만, [[엑스페리아 X]] 단독 출시에 높은 출고가로 인해 저항이 강했다. 그런데 같은 날, 한 IT 커뮤니티 관리자가 소니 코리아 홍보대행사 측에서 엑스페리아 X 퍼포먼스 체험 행사에 초대하고 싶다는 연락을 받았고 IT 커뮤니티 이용자들의 관심이 있는지 조사를 하기 시작하면서 엑스페리아 X 퍼포먼스 한국 출시 가능성이 대두되기 시작했다. 이는 또 다른 [[http://cafe.naver.com/x1smart/491983|IT 커뮤니티]]에서도 동일한 내용이 올라오면서 2016년 6월 23일에 체험 행사가 있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2016년 6월 16일, 한국 소니 스토어 공식 사이트를 통해 [[http://store.sony.co.kr/handler/mobile/Index-Start|티저 이미지]]가 공개되었고, [[http://www.edaily.co.kr/news/newspath.asp?newsid=01223446612683360|관련 보도자료가 배포]]되면서 엑스페리아 X 퍼포먼스의 한국 출시가 확정되었다. 그리고 2016년 6월 20일에는 국립전파연구원을 통해 [[http://m.it.chosun.com/data/photos/20160622/2820820_04060922325100.jpg|전파인증도 통과]]되었다. 출시 방식은 기존과 동일하게 [[단말기 자급제]]로 출시되고, 또한 이동통신사를 통해 위탁 판매를 동시에 하는 방식이라고 한다. [[http://www.sedaily.com/NewsView/1KXL4PCAXZ|2016년 여름에 출시]]되고 출고가는 759,000 원으로 책정되었다. 2016년 6월 27일 오전 9시부터 동년 7월 3일까지 소니 스토어를 통해 사전 예약 판매가 실시되며 소니 micro SD 카드 UHS-I 128 GB 모델을 사은품으로 제공한다고 한다. 이후, [[SK텔레콤]]과 [[KT]]를 통해서도 사전 예약 판매가 실시되었고, 11번가에서 포토상품평을 남기는 응모 이벤트를 진행하면서 선착순 30명에게도 동일한 사은품을 제공했다. 2016년 12월 12일, 출고가가 659,000 원으로 [[http://www.ddaily.co.kr/news/article.html?no=150608|인하]]되었다. 이에 대해 가격 대 성능비를 확보하게 되었다는 평가가 나오기도 했다. 2017년 6월 23일, 출고가가 499,000 원으로 인하되었다. 2017년 8월 말 한국 소니 스토어 기준, 판매가가 399,000 원으로 조정되었다. === 한국 시장 이외 === 미국에도 출시되었다. [[CDMA]] 계열 이동통신은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버라이즌 와이어리스]][* 다만, [[VoLTE]] 서비스를 하고 있기 때문에 이론 상으로 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 [[스프린트 코퍼레이션]], [[US 셀룰러]] 등 [[CDMA]] 계열 이동통신을 서비스하는 이동통신사를 통해서는 사용할 수 없다. 또한, 측면 전원에 위치하는 [[지문인식]] 센서는 삭제되었다. 일본에는 [[NTT 도코모]], [[소프트뱅크]] 그리고 [[KDDI]] 계열[* 직접 운용 브랜드인 au, [[MVNO]] 통신사인 [[UQ 모바일]] 그리고 합자회사이자 지역 이동통신사인 오키나와 셀룰러 등이 있다.]을 통해 출시되었다. [[엑스페리아 X 시리즈/2016년|2016년 엑스페리아 X 시리즈]] 중에서는 유일하게 출시되었으며 각 이동통신사가 서비스하는 4G 이동통신을 각각 지원하며 [[원세그]] TV와 풀세그 TV를 지원한다. 동시에 후면 디자인이 변경되었다. == 소프트웨어 지원 == === 제조사 공식 === ==== [[안드로이드 마시멜로|6.0 마시멜로]] 마이너 업데이트 ==== 2016년 7월 23일, 한국 출시 모델 F8131의 안드로이드 6.0 마시멜로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6.0.1이며 빌드 버전은 35.0.A.1.244로 해당 업데이트를 통해 터치 오류 문제가 해결되었다. 2016년 11월 11일, 한국 출시 모델 F8131의 안드로이드 6.0 마시멜로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6.0.1이며 빌드 버전은 35.0.A.1.297로 해당 업데이트를 통해 자이로 센서 오류 문제가 해결되었다. ==== [[안드로이드 누가|7.0 / 7.1 누가]] ==== 2016년 9월 24일, [[소니 모바일]] 내부 자료가 [[http://www.gsmarena.com/presentation_slide_leaks_sonys_nougat_update_roadmap-news-20689.php|유출]]되면서 안드로이드 7.0 누가 업그레이드가 2016년 10월 중에 실시될 것으로 확인되었다. 하지만, 예정 시일을 넘었지만 안드로이드 7.0 누가 업그레이드는 실시되지 않았다. 2016년 11월 3일, 글로벌 모델인 F8131의 안드로이드 7.0 누가 베타 테스트가 실시되었다. 해당 기기는 한국 출시 모델이지만, 한국 시장에서는 실시되지 않았다. 운영체제 버전은 7.0이며 빌드 버전은 39.2.A.0.248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6년 10월 1일이다. 안드로이드 6.0 마시멜로 대비 안드로이드 7.0 누가 베타 테스트 펌웨어를 통해, 멀티 윈도우 기능 추가, 새로운 알림 패널 기능 등 안드로이드 7.0 누가의 기본 기능을 포함해 스태미나 모드 개선, 기본 카메라 애플리케이션 기능 개선, 자이로 센서 오류 문제 해결 등이 이루어졌다. 2016년 11월 29일, 글로벌 모델인 F8131의 안드로이드 7.0 누가 업그레이드가 정식으로 실시되었다. 해당 기기는 한국 출시 모델이지만, 2016년 12월 2일 기준, 한국 시장에서는 실시되지 않았다. 운영체제 버전은 7.0이며 빌드 버전은 39.2.A.0.327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6년 11월 1일이다. 이후 2016년 12월 12일, 글로벌 모델 F8131 중 한국 출시 모델의 안드로이드 7.0 누가 업그레이드가 동일한 내용으로 실시되었다. [[2017년]] [[4월 25일]], 글로벌 모델인 F8131의 안드로이드 7.1 누가 업그레이드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7.1.1이며 빌드 버전은 41.2.A.2.199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7년 4월 1일이다. ==== [[안드로이드 오레오|8.0 오레오]] ==== 2017년 11월 27일, 글로벌 모델인 F8131의 안드로이드 8.0 오레오 업그레이드가 정식으로 실시되었다. 해당 기기는 한국 출시 모델이지만, 2017년 11월 27일 기준, 한국 시장에서는 실시되지 않았다. 최초 운영체제 버전은 8.0.0이며 빌드 버전은 41.3.A.0.401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7년 11월 1일이다. 이후 2017년 11월 30일, 글로벌 모델 F8131 중 한국 출시 모델의 안드로이드 8.0 오레오 업그레이드가 동일한 내용으로 실시되었다. 해당 업데이트를 통해 [[Wi-Fi]] 성능이 개선되었으나, [[GPS]] 및 [[블루투스]]의 수신률과 성능이 저조해졌다. == 논란 및 문제점 == === 터치 오류 논란 === 한국 출시 직후, 초기 물량에서 터치 오류가 발생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하드웨어 문제와 소프트웨어 문제 모두 지적되고 있으며 소프트웨어 문제일 경우, 기본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이 아닌 서드파티 키보드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면 해결되지만, 하드웨어 문제일 경우 자가 조치가 불가능[*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다이얼 [[애플리케이션]]에서 *#*#7378423#*#*를 눌러 서비스 테스트 모드를 키고, 두 점을 동시에 누르는 방식으로 터치 테스트를 진행했을때 두 점 사이에 선이 그어지면 불량인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해진다. 심한 경우, 두 점을 멀티터치하면 슬라이드로 인식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이 같은 문제는 일본에서도 [[http://sumahoinfo.com/xperia-x-performance-touch-issue-tap-hannou-fuguai-gohantei-docomo-au-sov33-deresute|보고]]되고 있다. 해당 문제는 2016년 7월 23일에 진행된 안드로이드 6.0 마시멜로 마이너 업데이트를 통해 해결되었다. === 후면 및 모서리 흠집 현상 발생 === 측면 모서리에 흠집이 발생하고 그 정도가 심하다고 한다. 특히, 강남 소니 스토어 전시 기기에서 많이 확인된다고 한다. 이에 대해 소니 코리아는 전시 기기를 체험한 이용자들이 전시대에서 끼웠다 뺐다는 반복하면서 일어난 일이라고 설명했다. 엑스페리아 X 퍼포먼스는 후면은 금속 소재지만 측면이 일반 플라스틱 폴리머 재질에 코팅이 되어있는데, 이 코팅이 과거 삼성전자의 [[갤럭시 노트3]] 이전 기종들의 크롬 도금 테두리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던 코팅 벗겨짐, 흠집 및 찍힘 현상과 유사하게 코팅이 굉장히 잘 벗겨지고[* 기기 소독을 위해 알코올 등을 사용하면 코팅이 쉽게 벗겨진다고 한다.] 흠집이 쉽게 발생하여 큰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후면 패널은 금속 소재이긴 하지만 책상 등 후면과 맞닿을 수 있는 평평한 곳에 기기를 두고 손가락으로 밀기라도 하면 그대로 흠집이 발생할 만큼 측면 만큼은 아니지만 흠집에 취약하니 주의가 필요하다. === 리시버 규격 호환 문제 === 소니의 [[노이즈 캔슬링]]용 5극 규격과 일부 미국식 4극 규격을 지원하는 리시버의 호환 문제가 있다고 한다. 볼륨 조절이 가능한 일부 미국식 4극 규격을 지원하는 유선 리시버를 사용할 때, 청음 중 연결이 끊어져 다시 뺐다 끼워야 하거나 [[LG전자]]의 [[LG 쿼드비트 시리즈#s-3.1|Quad Beat HSS-F410]] 등 일부의 경우에는 아예 3.5 mm 단자의 삽입 여부를 인식하지 못하고 내장 스피커를 통해 사운드가 재생되는 문제가 있다고 한다. 특히, [[Apple|애플]]의 [[Apple EarPods|EarPods]]이나 [[BOSE]]의 IE2 등 [[Apple|애플]]의 MFi 규격[* Made for [[iOS]] Devices를 의미한다.]을 지원하는 리시버를 사용할 때는 [[구글 어시스턴트]]가 끊임없이 나오고 기기 볼륨이 무작위로 조절되며 사운드 역시 3.5 mm 단자를 통해서가 아닌 내장 스피커를 통해서 재생된다고 한다. 이에 대해 유럽식 4극 규격과의 호환성 문제를 제기하는 경우가 있지만, [[소니 모바일]]이 [[에릭슨]]과 결별한 이후부터는 유럽식 4극 규격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아무런 연관이 없다고 한다. [[소니 모바일]]은 미국식 4극 규격이나 소니의 [[노이즈 캔슬링]]용 미국식 4극 규격 호환 5극 규격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유럽식 4극 규격을 지원하는 리시버는 직접적으로 사용할 수가 없다. 따라서 제대로 사용하려면 리시버의 호환 여부를 먼저 확인하거나 마음 편하게 소니의 미국식 4극 규격을 지원하는 리시버 혹은 엑스페리아 및 워크맨 전용 5극 [[노이즈 캔슬링]]용 이어폰을 별도로 구매해 사용해야 한다. 또한, DAC나 블루투스 사용 시에는 발생하지 않지만, 3.5 mm 단자에 DSEE HX 혹은 ClearAudio+ 등의 내장 [[음장]]을 적용시켜 음악을 재생할 경우, ClearBass를 사용할 때 소리가 깨지면서 베이스가 더욱 강해지는 문제가 있다고 한다. 다만, 서드파티 음악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한다면 해당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고 한다. === 자이로 센서 먹통 문제 === 펌웨어 업데이트 이후, [[http://forum.xda-developers.com/xperia-x-performance/help/xperia-x-performance-f8132-t3422906|일정 시간이 지나면 자이로 센서가 작동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이 경우, 기기를 재부팅하면 다시 재작동하지만, 이 역시 시간이 지나면 다시 작동하지 않기 때문에 근본적으로 해결이 되지 않는다고 한다. 이에 대해 소니 모바일은 2016년 10월 28일 기준으로 [[http://cafe.naver.com/x1smart/503354|약 2달 이내에 해당 문제를 수정한 펌웨어를 배포할 것]]이라 밝혔다. 이후, 2016년 11월 11일에 진행된 펌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해당 문제가 해결되었다. === [[Wi-Fi]] 호환성 문제 === [[Wi-Fi]] 공유기와 호환성을 심하게 가리는 문제가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주로 [[리얼텍]]이나 [[미디어텍]] 등의 칩셋을 탑재한 저가형 [[Wi-Fi]] 공유기와 [[브로드컴]] 칩셋을 탑재한 [[Wi-Fi]] 공유기 중 일부에서 발생하며 [[퀄컴]] 칩셋을 탑재한 [[Wi-Fi]] 공유기와 호환성은 좋다고 한다. 심지어 일부 저가형 [[Wi-Fi]] 공유기에서는 아예 인식을 못해서 인터넷 연결 자체가 안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구체적으로 경쟁사 [[스마트폰]]의 2.4 GHz 주파수 및 5 GHz 주파수 수신률 차이에 비해 매우 심한 수준으로 2.4 GHz 주파수에서의 전송 속도와 5 GHz 주파수에서의 수신률이 떨어지며 특히 5 GHz 주파수에서의 다운로드 속도는 2.4 GHz 주파수를 사용하는 [[Wi-Fi]] 802.11n 규격에 비해 다소 느리고 업로드는 아예 되다말다를 반복한다고 한다. 이에 대해 한국 내 모든 서비스를 위탁 받은 소니 코리아는 Wi-Fi 주파수 밴드 규격의 차이로 인한 문제라고 밝혔으며, 구체적으로는 한국 시장에 출시된 [[소니 모바일]]의 [[스마트폰]]은 미국 규격에 맞춰져 있어 한국 시장에 출시된 [[Wi-Fi]] 공유기의 Wi-Fi 주파수 밴드 표준과 호환성이 좋지 못하다고 한다. [[소니 모바일]]은 한국 시장에 정식으로 진출하지 않고 소니 코리아에 한국 내 모든 서비스를 위탁하는 방식으로 한국 시장 사업을 전개하고 있기 때문에 안드로이드 7.0 누가 업그레이드에 이어서 안드로이드 7.1 누가 업그레이드에서도 해당 문제를 해결하지 않았으나, 안드로이드 8.0 오레오 업그레이드에서 상당히 완화되어 속도 저하를 제외한 수신률 문제는 거의 해결되었다. 그러나 안드로이드 8.0 오레오 업그레이드 이후로는 [[GPS]]의 위치 오류가 잦아지는 문제와 [[블루투스]] 수신률이 매우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했기 때문에 사용자는 [[Wi-Fi]]와 [[GPS]] 및 [[블루투스]]를 선택해야 하는 상황이다. === 그 외 문제점 === * 안드로이드 8.0 오레오 업그레이드 이후, [[LG U+]]의 [[SIM]] 카드를 갑자기 인식하지 못하는 일이 발생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기기를 재부팅하면 해결되지만 갑자기 이동통신이 먹통이 되는 불편함이 있기 때문에 비판을 받고 있다. * 정규 클럭이 빅 클러스터가 2.2 GHz, 리틀 클러스터가 1.6 GHz로 설정되어 있지만 모든 [[CPU]] 코어를 구동시키는 풀로드 상황에서 스로틀링 현상이 심하다는 의견이 있다. 변인 통제가 제대로 되지 않았다는 것을 감안해도 [[CPU]] 동작 온도가 섭씨 30도 이상으로 올라가면 빅 클러스터의 [[CPU]] 클럭이 2.2 GHz에서 1.6 GHz로 떨어졌다 최대 1.4 GHz로 떨어져 버린다고 한다. 문제는 [[퀄컴 스냅드래곤 820 MSM8996]]은 동일한 [[CPU]] 아키텍처를 클럭에서 차등을 두어서 클러스터를 구분했기 때문에 한 쪽의 [[CPU]] 클럭이 낮아지면 성능 저하 역시 커져버린다고 한다. * 스로틀링 현상이 심하다는 의견이 있다. 모바일 AP의 온도가 섭씨 70도가 되면 1.1 GHz까지 떨어진다고 한다. 당연히 이 시점에서 벤치마크 애플리케이션으로 검수를 산출하면 엄청 떨어지며 이 때문에 고성능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할 때 제대로 사용할 수 없다고 한다. 다만, 반대급부로 발열 현상이 심하지는 않으며 CPU 보다는 GPU를 중점적으로 사용하는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할 때는 큰 문제가 없다고 한다. * 카메라 센서 자체의 제원은 매우 우수하지만 저조도 촬영 결과물의 품질이 매우 떨어진다고 한다. * [[엑스페리아 Z5]]와 비교할 때 FM 라디오, ANT+, MHL 3.0, 스몰 앱, 화면 녹화 그리고 스트랩 홀 등빠진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능들이 꽤 존재한다. * 한국의 이동통신 환경에서 [[소니 모바일]]의 [[스마트폰]]은 수신률이 들쭉날쭉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데 일부 기기에서 이동통신 전파가 상대적으로 약한 지역에서도 다른 기기들은 수신률이 크게 떨어지지 않은 상황에서 유난히 전파를 잡지 못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기기마다 편차가 있다고 하지만 그나마 상대적으로 양품의 기기를 뽑았다 하더라도 절대적인 기준에서는 수신률이 매우 [[https://cafe.naver.com/x1smart/522837|좋지않다]]고 한다. == 기타 == * [[NFC]] 센서가 기존 [[엑스페리아 Z 시리즈]]나 다른 제조사의 [[스마트폰]]들처럼 후면에 위치한 것이 아니라 전면 스피커 의 좌측에 위치하고 있다. 후면이 금속 재질이라서 데이터 송수신에 문제가 생길수도 있기 때문에 부득이하게 전면에 위치한 것으로 추정된다. * [[퀄컴 스냅드래곤 820 MSM8996]]을 모바일 AP로 탑재했지만 4K 동영상 촬영을 지원하지 않는다. 전작인 [[엑스페리아 Z5(제품군)|엑스페리아 Z5 제품군]]에서는 [[퀄컴 스냅드래곤/8XX 라인업/810(MSM8994)|사용된 AP]]의 발열 문제가 있음에도 지원이 되었는데, 기능이 누락된 것이다. 해당 기능은 이후 [[엑스페리아 XZ]]에서 다시 추가되었다. * 4G [[LTE]] Cat.9를 만족하지만, [[LG U+]]의 [[SIM]] 카드를 장착하면 4G [[LTE]] Cat.6까지만 작동한다고 한다. 그런데, [[KT]]의 4G [[LTE]] Cat.9와 속도차이가 별로 나지 않는다고 한다. * 방수 방진 기능을 주로 앞세웠던 [[소니 모바일]] 답지 않게 관련 마케팅 정도가 낮아졌다. 이는 침수 고장 사례가 빈번히 발생했고, 심지어 미국 시장에서는 [[http://www.thegear.net/15027|침수 피해를 입은 사용자에 의해 소송까지 당했다]]고 한다. 그 결과 등급 이상의 강한 수압이나 바닷물 등 순수한 물이 아닌 환경에서 사용하는 모습을 자제하고 그냥 기기 표면 위에 물을 뿌리는 정도로 표현했다. * 화이트 모델의 후면 패널의 색상이 실버 색상에 가깝다. 이 때문에, 순백을 원하고 주문했다가 호불호가 크게 갈릴 수 있다는 평가가 있다. 그래파이트 블랙 모델도 칠흑과는 거리가 멀고 말 그대로 [[흑연|그래파이트]] 색상에 가까우므로 색상 선택 전에 사전조사를 해야한다는 의견이 많다. * 한국 시장을 포함한 일부 국가 및 지역에는 출고가를 낮추기 위하여 번들 이어폰으로 [[소니 MH 시리즈|소니 MH410C]]를 제공한다. 그런데, 디자인이 카세트 테이프 시절 워크맨에 들어있던 번들 이어폰을 연상케 하며 심지어 볼륨조절 버튼도 없어 경쟁 제조사보다 약 10년 가량 역행하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을 받고 있다. == 홍보 영상 == [youtube(sQBUUdovewk)] 소니 코리아 공식 홍보 영상. [각주]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엑스페리아 X 시리즈/2016년, version=73, paragraph=2.4)] [[분류:소니 엑스페리아]][[분류:스마트 디바이스/2016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