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99> '''언어별 명칭''' || || '''[[한국어]]''' || 에테르 || || '''[[영어]]''' || Æther, Aether, Ether || [목차] [clearfix] == 고대 철학에서 == 위쪽 [[하늘]]의 [[공기]]. 또는 위쪽 하늘. [[소크라테스]] 이전 [[신화]]와 [[자연철학]]에서부터 나오는 [[개념]]이다. 처음에는 [[아이테르]]라고 불렀으며 [[그리스 로마 신화]]의 대기의 [[신]]으로 등장한 [[아이테르]]에서 그 어원을 찾을 수 있다. 스콜라 [[라틴어]]에선 '에테르( /ˈe.ter/, [ˈɛːt̪ɛr] )' 고전 라틴어에선 '아'와 '이'를 한 번에 묶어서 발음하며 '아이테르'( /ˈae̯.tʰeːr/, [ˈäe̯t̪ʰeːr] ),라고 읽는다. 둘 다 맨 앞 음절에 [[악센트]]를 준다.[* [[라틴어]]에서 2음절 단어는 뒤에 강세를 붙이는 경우가 거의 없다. 예외는 앞 음절이 접두사인 경우 정도 말고는 없다.] 고대세계에서는 [[대기권]] 밖에 [[우주]] 공간이 있다는 것을 몰랐기 때문에 [[해]]나 [[별]] 같은 [[천체]]는 '위쪽 하늘'에 있다고 생각했다. 요즘 생각하는 것처럼 천상([[천당]])의 원소 같은 게 아니다. 에테르도 어디까지나 [[물질]]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언젠가는 멈추게 되는 지상의 물체와는 달리, 계속 움직이는 천체의 영원한 운동을 가능케 하는 요인이 있을 것으로 생각했고, 이에 따라 천체는 4원소와는 다른 에테르 또는 아이테르라는 제5원소로 이루어져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와 같이 본래 의미가 조금 변해서 아리스토텔레스 때에 오면서 천체의 운동 원인을 설명하기 위해 [[4원소설|4원소]]와는 다른 [[제5원소|다섯번째 원소]]로 규정한 것이다. 이후 대우주-소우주의 [[유비추론]]을 받아들인 [[연금술사]]에 의해 에테르는 지상계에도 있을 것이라는 관념으로 이어졌고, 이는 [[현자의 돌]]과도 연결되는 계기가 되었다. 에테르는 일종의 물질의 정수[* quintessential(정수의, 본질적인). quint(5)과 essence(원소)가 합성된 영어 단어이다.]로 여겼으며, [[증류]] 기술의 발달로 [[13세기]] 서유럽의 연금술사에 의해 [[포도주]]에서 순도 높은 [[에탄올]]을 추출할 수 있게 되면서, 에탄올은 [[식물]]의 정수로 여겨졌다고 한다. 또한 에탄올이 [[의료]] 용도로 쓰이면서[* 에탄올을 처음 의료용으로 사용한 것은 [[아랍]] 출신의 연금술사 [[알 라지]]다.] 에테르는 [[엘릭서]]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여겨졌다. 후에 연금술이 쇠퇴하고 아리스토텔레스 [[과학]]이 퇴출되기 시작하였지만, 에테르 개념은 사라지지 않았다. [[로버트 보일]]이 진공 실험을 통해 아리스토텔레스의 '진공은 존재할 수 없다'를 반박하려 하였을 때, [[토마스 홉스]][* 사회계약설 주장한 그 [[토마스 홉스]] 맞다. 전근대시대에는 학제간의 경계가 분명치가 않아서, [[뉴턴의 운동법칙]]을 발견했던 [[아이작 뉴턴]]이 [[기독교]] [[신학]]에 대해 연구를 했다던가, [[삼권분립]]의 개념을 처음으로 제안했던 [[정치학|정치학자]]인 [[몽테스키외]]가 소싯적에 [[물리학]]을 연구한 적이 있다던가하는 식으로, 문이과를 넘나드는 경우가 많았다.]는 로버트 보일이 행한 실험은 진공을 입증한 것이 아니라고 반박하기 위해 유리를 구성하는 원자보다 작은 원자로 에테르를 상정하였다. === 관련 문서 === * [[제5원소]] * [[원소설]] * [[아카샤]] * [[현자의 돌]] * [[연금술]] == 근대 철학에서 == [[임마누엘 칸트]]의 1796년에서 1803년까지 기록된 "자연과학의 형이상학적 기초원리에서 물리학으로의 이행"이라는 작업과 관련된 유고 13묶음의 통칭인 『유작(Opus postumum)』에서도 에테르 개념이 말년 칸트의 "이행"작업의 중심 개념으로 등장한다. == 화학에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에터)] R - O - R' 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화학결합물의 총칭이다. 공통적으로 유기물질의 용매로 쓰이거나 마취제로 사용되며 과거 음차명이 에테르였기 때문에 과거 교육과정에서 교육받은 사람들 중에서 간혹 위의 에테르와 헷갈리는 사람들이 있다. 현재는 [[대한화학회]]에서 [[에터]]로 부르기로 결정하였다. == 물리학에서 == === 개요 === [[물리학]]에서 빛의 [[매질]]이라 상상했던 가상의 물질로 '[[빛]]이 파동이라고 가정할 때 우주 공간에서 빛이 전달되려면 매질이 있어야 할 것이다.'라는 이유에서 우주공간을 가득 채우고 있는 물질로 가정되었다.자기력도 전달한다고 여겨졌다. 그러나 [[마이컬슨-몰리 실험]]에 의해, '우주 공간을 채우고 있는 빛의 매질'은 '''존재하지 않음'''이 밝혀지면서 그 존재가 부정되었다.[* 이전부터 [[뉴턴]]을 비롯하여 부정적으로 본 [[학자]]들이 있다.] 빛이 진공에서 진행할 수 있다는 점이 증명되었기 때문이다. [[암흑 물질]]과 [[암흑 에너지]]는 현대 과학에서 에테르와 유사한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이들은 이론적으로만 예측되고 모든 물질과 상호 작용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에테르와 유사하다. === 관련 문서 === * [[마이컬슨-몰리 실험]] * [[플로지스톤]] == 대중매체에서 == [include(틀:다른 뜻1, other1=BEMANI 시리즈의 수록곡, rd1=ÆTHER, other2=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에 등장하는 아티팩트, rd2=에테르(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실존하지 않는 허구의 물질로 판명된 이후 [[플로지스톤]]과 같이 각종 [[판타지]]에서 [[연금술]] 또는 [[마법]]과 관련된 소재로 더 자주 쓰이고 있다. === [[무속성]]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무속성)] === [[톱을 노려라!]]에서의 대체 과학 === 《[[톱을 노려라!]]》의 세계관에서는 대체 과학을 채택하여 에테르가 실존하고 있다는 설정으로 나온다. 이러한 에테르가 우주를 채우고 있기 때문에 우주를 항해 중인 [[함선]]이 에테르의 흐름에 흔들리거나 [[전투]]의 격렬함에 영향을 주기도 한다. 즉 해상에서의 전투와 유사한 효과를 내면서 자칫 심심할 수 있는 우주전에 효과를 부여하는 기능이라고 볼 수 있다. 거기에 [[일반 상대성 이론]]을 기반으로 한 [[쌍둥이 역설]]이 스토리에서 매우 중요하게 다뤄지는데 일반 상대성 이론과 에테르의 과학사적 관계, 즉 에테르를 부정하면서 그에 대한 해법으로 일반 상대성 이론이 나왔다는 것을 생각하면 아이러니한 설정이 아닐 수 없다. 가이낙스 덕후들의 [[SF]] 덕심과 장난기를 확인할 수 있는 부분이다. 이름만 에테르이지 실상 [[암흑물질]]이라고 봐도 무방한 설정이다. === [[TYPE-MOON/세계관]]에서의 [[에테르(TYPE-MOON/세계관)|설정]]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에테르(TYPE-MOON/세계관))] === [[양판소]]에 등장하는 가상의 물질(?) === 양판소에서 [[기]] = [[마나]]설이 너무 많이 퍼지게 되자, 그에 따른 대안으로 나타난 물질. 대충 '''"기와 마나는 동일한 물질이며, 현대 과학으로는 에테르라 불린다."'''라는 가정을 바탕으로 한다. 대체로 현대 사회에서는 이게 모자라서 아무것도 못하다가, 이게 넘치는 세상으로 넘어간 덕분에 지구에서 배웠던 [[무술]], [[마술]] 실력이 엄청나게 늘어났다는 설정으로 주인공의 [[먼치킨(클리셰)|먼치킨]]화를 정당화한다. === [[제노기어스]]에 등장하는 마력(?) === 일부의 사람이 발휘하는 마법과 같은 힘. 실제로는 사람이 진화의 과정에 대해 얻은, 사상 변이 기관 조할에의 직접 관여 능력이다. 통상 [[슬레이브 제네레이터]]와 같은 에너지 기관은 [[데우스]]를 개입시켜 [[조하르]]에 에너지 보충을 요청하여, 조할이 사상 변이에 의해 특정 좌표의 에너지 준위를 끌어올리는 것으로 구동하고 있지만, 에테르력은 도중에 데우스를 거치지 않아도도 사람이 가지는 강한 소망을 조하르가 직접 실현하는 형태로 실현된다. 각각의 소망에 근거한 사상 변이에 의해, 대상에의 타격이나 치유라고 하는 [[마법]]과 같은 효과를 가져오는 것이 가능해진다. [* 간단히 타 작품에서 주로 등장하는 '마나'의 설정을 생각하면 편하다.] [[데우스]]를 파괴하면 더 이상은 이 힘을 못 쓰게 된다. 기어도 [[제노기어스]]를 제외하고 작동불능. 즉 에테르력의 높음과는 실제의 에너지 발생력은 아니고, 잠재적인 조할에의 관여 능력의 높음이다. 아리스토텔레스가 4 원소설을 확장해 제창한, 제5의 원소(요소) 「에테르」의 명에 유래. 또 [[19세기]] 이전, 우주를 채워 광파를 전하는 매질이라고 생각되고 있던 가상 물질도 동명. 어원은 위의 2번째와 「상층의 공기」를 의미하는 희랍어로, [[연금술]]이나 마법 방법에 대해도 가끔 등장한다. 말하자면 명확한 설명을 할 수 없는 사상에 대해서 「적당한 성질을 가진다」 가상 물질, 가상 에너지의 대명사이다. 제노기어스 이후에도 제노 시리즈에 어떠한 형태의 에너지로써 고정 출연한다. === [[데몬베인 시리즈]]에서의 설정 === [[데몬베인 시리즈]]에서는 아리스토텔레스의 학설을 차용한 형태로 등장하며, [[우주]]를 구성하는 제5원소인 [[에테르]] 또는 [[아이테르]]를 가리키는 말로 '아에튤'이라 부른다. 작중에서는 영자(霊子)란 단어를 붙이고 "아에튤의 바다를 건너는 초인"이라는 쓴 경우 인물인 [[라반 슈뤼즈베리]]를 뜻한다. === [[TRPG]] [[D&D]]에 나오는 개념이자 차원 이름 === 2번 항목에서 취해온 개념이지만, 영문 철자는 1번 항목과 동일하다. 차원으로 다룰 때는 Ethereal Plane으로 표기한다. 인간이나 여타 [[필멸자]]가 사는 물질계를 구성하는 차원인 이너 플레인으로 정령계와 함께 물질계를 둘러싼 형태로 묘사된다. 깊은 에테르(Deep Ethereal)와 경계 에테르(Border Ethereal)로 크게 둘로 나뉜다. 둘은 연결되어 있지만 물리적이라기 보단 개념적으로 구분하는 듯하다. [[레이븐로프트]]의 근 에테르(Near Ethereal)라는 내부에서만 쓰이는 법칙도 있다. 기본적으로 물질계와 물리법칙 시간을 공유하는 듯하다. 데미플레인은 만들어진 형태에 따라 시공간과 중력 규칙이 달라지기도 한다. 물질계는 경계 에테르와 [[플로지스톤]][* [[스펠재머]]에서 우주의 허공을 구성하는 물질로 설정돼서 이렇게 나온다.]에 둘러싸인 모습을 취한다. 각종 에테르가 들어가는 마법이나 유령이나 괴물들이 모습을 감추는 것은 이 경계 에테르까지 가는 것이다. AD&D 시절에는 이 에테르를 통해 각종 다른 물질계를 여행할 수 있었으나, 3.0 이후 다른 물질계(혹은 캠페인 세팅) 여행은 그림자 차원으로 그 역할이 옮겨갔다. 깊은 에테르는 정령계를 품은 모습으로 묘사된다. 그래서 에테르계 내에선 각종 정령계를 색상을 통해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정령계와 인접해서 생기는 기상현상도 겪을 수 있다. 이 때문인지 포켓플레인이나 데미플레인과 같은 마법이나 초능력으로 만드는 인공 차원이 깊은 에테르 내에 생성된다. 또한 AD&D뿐 아니라 D&D3.5 끝까지 해명되지 않은 미답의 지역인 블랙 어비스라는 지대가 깊은 에테르의 심층부에 있다. 혹시 저곳을 통해 진짜(아우터 플레인에 위치한) [[어비스]]로 가는 것이 아니냐는 추정이 있다. 3.0 이후에는 우주법칙에 변동이 생겨서 일부 역할은 그림자 차원으로 넘어가기도 했고 아예 에테르 차원을 자신의 캠페인에서 뺄 수도 있다. 그러면 당연히 에테르 관련된 주문은 다 사용불가능에 데미 플레인도 못 만들게 된다. 근 에테르는 레이븐로프트 내의 에테르 관련 규칙을 처리할 때 나오는 유사 에테르계이다. 실제 경계 에테르나 깊은 에테르와는 이어지지 않았다. 들어올 땐 이어졌을진 모르지만. === [[원신]]의 남주인공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여행자(원신))] === [[매직 더 개더링]]에서 === [[매직 더 개더링]]의 카드들 중에서 Aether가 들어간 카드들은 정확한 카드명은 Æther라고 썼다. 예를 들어서 [[Aether Vial]]은 원래 Æther Vial이지만 링크의 편의상 그냥 Ae로 표기한다. [[칼라데시]] 이후로는 그런 거 없고, 그냥 Ae로 쓴다. ===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에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에테르(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 [[파이널 판타지 시리즈]]의 아이템 === MP 50을 회복하는 소모성 아이템. 상위템으로 대량의 MP를 회복[* 등장 작품에 따라 150 회복 혹은 전부 회복.]하는 드라이 에테르가 있다. === [[포켓몬스터]]에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에테르재단)] === 래퍼 [[나스(래퍼)|나스]]의 노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Ether(노래))] === [[승리의 여신: 니케]]의 등장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에테르(승리의 여신: 니케))] === [[마도 아카데미의 물리학자]]의 주인공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에테르(마도 아카데미의 물리학자))] [[분류:동음이의어]][[분류:폐기된 과학이론]][[분류:톱을 노려라!]][[분류:마력]][[분류:데몬베인 시리즈]][[분류:던전 앤 드래곤 시리즈]][[분류:제노기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