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사전적 의미 == {{{+1 edge}}} [ed͡ʒ] | [[명사(품사)|n]]. [[모서리]], [[가장자리]]. 날카로움 ecg(고대 영어) > egg(중세 영어) > edge(근대 영어)의 어형 변화를 거쳤다.[[https://www.etymonline.com/word/edge#etymonline_v_29777|#]] === 한글 표기 '에지/엣지' === 'edge'는 [ed͡ʒ]로 발음되며, 이는 유사한 [ed͡ʑi]로 발음되는 '에지'로 옮길 수 있다. [[외래어 표기법]]에서도 'edge'에 대한 표기를 '에지'로 규정하고 있으나 '엣지'로 쓰는 곳도 많다. 아래 고유명사들도 발매 주체 측에서 '엣지'로 표기를 정한 것들이 꽤 있다. 본 문서에서는 이들 고유명사에 대해서는 각자의 표기를 인정하여 그대로 따르되 문서명은 외래어 표기법을 따른 '에지'로 두고 있다. 어말 '-dge'는 [[다중문자]]로, 어말 '-ge'와 똑같이 파찰음 [-d͡ʒ]로만 발음된다.[* 이는 무성음 [t͡ʃ\]의 표기로 종종 등장하는 '-tch'가 '-[[ch]]'와 발음이 동일한 것과 유사하다.] [[외래어 표기법]]에서 [d͡ʒ]가 모음 앞에 있을 때는 'ㅈ'으로만 표기하며,[* ginger/ˈd͡ʒɪnd͡ʒə(r)/: 진저] '-dge'나 '-ge'와 같은 형태로 어말에 오는 경우엔 'ㅣ'를 덧붙여 '지'로 표기한다.[* cage/keɪd͡ʒ/: 케이지] 'edge, bridge, sledge' 등 짧은 모음 뒤 '-dge'로 끝나는 영단어를 '-ㅅ지'로 표기하는 경우가 많은데 표기법상 'edge, bridge, sledge'는 각각 '에지, [[브리지]], 슬레지'라고 표기한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d'를 'ㅅ'에, 'ge'를 '지'에 대응하는 식으로 표기에 이끌려 종종 '-ㅅ지'로 표기하고 발음하는 경우가 많다.[* 음절 말 미파음 [ㄷ\]은 발음하지 않고 [-찌\]라고만 하는 사람도 많다. 무성 [[중복 자음]] 탈락 현상으로 볼 수 있다.] 일단 영어에서 어말 유성음이 앞 모음을 길게 하고 무성음으로 나는 경우가 많긴 하다. 일본어 표기의 영향일 수 있다는 의견이 있다. 과거에는 적당한 영어 교재가 없었기에 예전 세대들은 일어 교재로 영어를 공부했는데, 당시 일어 교재에는 '-dge'를 'ッ(촉음 기호) + ジ'로 표기했기에(예를 들어 [[저지|judge]] = ジャッジ) 여기서 영향을 받아 "-dge"를 '-ㅅ지'[-ㄷ찌]로 썼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 일본어에서 외래어를 옮길 때 '''짧은 모음'''을 지닌 음절 뒤 파열음, 파찰음을 그 음절 뒤에 ッ를 쓰고 파열음, 파찰음을 지닌 음절을 이어 쓰는 경우가 아주 많다. セット(set, 세트), ラッキ(lucky, 러키) 등.[* 장모음이나 이중 모음을 지닌 음절 뒤에 파열음, 파찰음이 올 때는 ッ 표기를 쓰지 않는다. パーク(park, 파크), マイク(mike, 마이크), ジョージ(George, 조지), タイツ(tights, 타이츠)] 사실 っ/ッ 표기는 일본 고유어나 한자어 표기 시에서는 '''무성음''' 앞에서만 가능하나,[* がっこう[学校, 학교\], がっち[合致, 합치\]. 후행 음절이 유성음(탁음)이면 촉음화가 일어나지 않아 かくぎょう[学業, 학업\]이 된다.] 외래어 표기 시에는 어째 '''유성''' 파열음, 파찰음 앞에도 적용한다.[* ドッグ(dog, 도그), エッジ(edge, 에지)] 발음은 무성음의 경우와 비슷하다. === [[은어(언어학)|은어]] edgy === 영미권 신조어이자 청소년 은어. 어원은 확실하지 않으나 'cutting-edge' + '~y' 라는 설도 있다. 남들 앞에서 [[쿨병|억지로 잘난 체하고 "쿨" 해 보이기 위해 갖은 애를 쓰는 것]]을 딱하다는 생각 절반에 비웃음 절반을 섞어서 표현하는 말. 대부분의 경우 상대방이 자신을 'edgy' 하다고 말했다면 모욕이라고 보면 된다. 뭐 물론 지들끼리 "Man you're effin' edgy!" 이런 식으로 말하거나 한다면 이때는 상대방을 인정하는 것. 한마디로 '''[[중2병]]''' 이라는 뜻이다. 중2병 환자는 edgelord 라고도 한다. 사람을 표현할 수도 있지만 특정 물건이나 대중매체 작품 등을 표현할 수도 있다. 이때는 중2병 환자들이나 좋아할 만한 것이라는 비아냥의 의미를 갖는다. === 여담 === [[보그체]]의 일종으로 패션계에서 '엣지 [[있다]]'라는 표현을 자주 쓴다. 발음은 대개 /엗찌/이다. 대충 세련되고 멋있다는 뜻이다. 'edge'를 썼다고 해서 정말 무슨 [[드래곤볼]] [[피콜로(드래곤볼)|피콜로]] [[어깨뽕]]처럼(..) 진짜로 [[각]]져있다는 뜻은 아니다. 구글에 '엣지 있다'를 찾아보면 2009년 8~9월 방영된 드라마 [[스타일]]에 출연한 [[김혜수]]가 유행시켰다는 이야기가 많다.[[https://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09/07/27/2009072700779.html|#]] [[https://m.blog.naver.com/1soonmom/120092985609|#]] 검색결과 연도를 보면 그렇게 2009~2012년 경까지 유행했지만 그 뒤로는 잘 쓰이지 않는 것 같다. 도시 계획 용어 가운데 외곽 지역의 개발과 관련된 '[[베드 타운|edge city]]'라는 말이 있다. [[https://en.wikipedia.org/wiki/Edge_city|영문 위키백과 문서]] '엣지'로 적었을 때의 한국어 발음인 /엗찌/는 일본어에서 '야하다'라는 의미의 '[[H]]([[エッチ]])'[* [[헨타이]](hentai)의 앞 글자를 딴 것이라고 한다.]와 발음이 같다.[[http://m.jpnews.kr/a.html?uid=1302|#]] 일본어 이름 [[에이지|えいじ]]는 일본어 /えい/가 종종 장음 /えー/로도 발음되기 때문에[* 항상 그런 것은 아니다. [[일본어 장음 판별법]] 참고.] [[장음 표기]]를 하지 않는 한글 표기에서 '에지'가 되곤 한다. [[사이코메트러 에지]]의 아스마 에지가 그런 예이다. [[후치경음#치찰|후치경 마찰음]] 중 유성음인 [[Ʒ]]을 단독으로 부를 때 s를 'es(에스)'라고 부르는 것과 유사하게 ezh(에지)라고 부른다. 미국식으로는 간혹 [ž]으로 적기도 한다. == 이름 == === 실존인물 === * '''[[에지(프로레슬러)]]''': 현재 [[올 엘리트 레슬링|AEW]] 소속인 '''애덤 코플랜드'''가 과거 [[WWE]] 소속일 때의 링네임 * [[이호성(1997)|Edge]]: 프로게이머 이호성의 ID * [[엣지(인터넷 방송인)]]: [[아프리카TV]]의 [[BJ]] * [[디 에지|The Edge]]: [[U2]]의 기타리스트 === 가상인물 === * [[아스마 에지]]: [[사이코메트러 에지]]의 주인공. * エッジ: [[팬저 드래군]]의 등장인물: [[팬저 드래군]] RPG 아젤의 주인공. 성우는 [[이시다 아키라]]. * [[야마다 에이지]]: [[사립 저스티스 학원]]의 등장인물 * [[엣지 에드워드 제란다인]]: [[파이널 판타지 4]]의 등장인물. * [[에지 산다크]]: [[마브러브 얼터너티브 토탈 이클립스]]의 등장인물 * [[엣지 쇼트]]: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의 등장인물 * [[엣지 마스터]]: [[소울 칼리버 시리즈]]의 등장인물 * [[엣지 세인클라우스]]: [[슈퍼로봇대전 30]]의 등장인물 == 기타 고유명사 == * Edge city: 작품 [[마스크(영화)|마스크]]의 배경 도시: [[배트맨]]의 [[고담]]시와 막장으로 쌍벽을 이루는 도시이다. * [[Microsoft Edge]]: [[Internet Explorer]]의 하위호환을 포기하고 완전히 새로 만든 [[마이크로소프트]]의 차기 웹 브라우저이다. * [[Edge(게임)|Edge]]: 프랑스 게임 * [[엣지 디스플레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일종 * [[Razer Edge]]: [[RAZER|Razer]] 사의 게이밍 [[태블릿 PC]] [[브랜드]] * [[에지(담배)]]: 담배 에지 * [[STI Edge]]: 미국 STI사의 [[자동권총]] * [[사이코메트러 에지]]: 일본 만화 * [[edge(Perfume)]]: [[Perfume]]의 노래 * [[EDGE(A.Z.M)]]: 걸그룹 [[A.Z.M]]의 싱글 앨범 * [[EDGE GAMES]]: 미국의 게임 회사 * [[엣지TV]]: 대한민국의 케이블TV 채널 === EDGE, 도트 그림 툴 === [include(틀:그래픽 툴)] [[일본]]의 [[http://takabosoft.com|TAKABO SOFT]]에서 제작한 [[도트]] 그림 툴. 한국에서는 도트를 찍는 사람이 많지 않고, 찍는 사람들도 대부분 [[그림판]]이나 [[포토샵]] 등을 사용하지만, 일본에서는 보통 이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도트를 찍는다. 프리웨어이지만 레이어 등 상당히 강력한 기능이 많은 것이 인기의 비결. 단점이라면 256색밖에 사용 못하는 정도이지만 사실 과거 아케이드 게임 등지에는 16색(당시 기기의 [[스프라이트(컴퓨터 그래픽)|스프라이트]] 하나에 쓸 수 있는 최대 색)으로도 충분히 표현해내었고, 256색이면 충분한 수준이다. 좀 더 다양한 기능이 있는 EDGE2도 있는데, 유료였지만 무료로 된 듯하다. 아이폰, 아이팟 터치용으로 나온 [[https://itunes.apple.com/jp/app/id329021851|EDGE touch]]도 있다. 이는 360엔으로, 유료이다. === EDGE, 통신규격 === ITU에서 지정한 이동통신 규격 하나. 휴대폰이 이 네트워크를 잡을 때 안테나에 띄우는 약자는 'E' 이다. 분류상으로는 2.5G(세대) 통신규격이지만 실제로는 2.75G로 분류하여 3세대 이동통신의 과도기적 통신규격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서비스하지 않고, [[중국연통]]을 비롯한 GSM을 사용하는 이동통신사에서 [[3G]]의 보조격으로 사용하고 있다. 주로 중국 내의 고속도로로 주행하거나 격오지인 경우에 대부분 잡히는 것이 이 EDGE. 속도는 3세대 이동통신보다 상당히 느리기 때문에(최대속도 384 Kbps), 이 네트워크로 온라인 게임을 할 생각은 추호도 하지 않는 것이 좋다. 카카오톡 사용시에 단문은 어느정도 참을 수 있는 정도의 딜레이를 보여주지만, 사진, 동영상 전송은 포기하는 게 정신건강에 좋다. === 끝 쪽이 휘어진 [[디스플레이]]의 이름 === [[엣지 디스플레이]] 문서 참고 == 'edge'가 들어가는 문서 == * [[SmartThings Edge]] * [[SmartThings Edge Driver]] * [[에지 조각]] * [[Edge of Sanity]] * [[엣지 오브 투모로우]] * [[미러스 엣지]] * [[드래곤 엣지]] * [[윈드 엣지 9]] * [[소울 엣지]] * [[포스 엣지]] * [[니드 포 스피드: 엣지]] * [[윈드 엣지 9]] * [[파트너 엣지 드라군]] * [[빅벤 엣지]] * [[블리딩 엣지]] * [[클러스터 엣지]] * [[서바이버(TV시리즈)/시즌38 엣지 오브 익스팅션]] * [[펄스 엣지]] * [[더블 엣지]] * [[엣지 디스플레이]] [include(틀:로그 누락 문서)] [include(틀:로그 누락 문서/기여자 내역, 문서명=에지)] [include(틀:로그 누락 문서/기여자 내역, 문서명=엣지)]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엣지, version=9)] [[분류:로그 누락 문서]][[분류:영어 단어]][[분류:동음이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