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로스터)] ---- ||
'''{{{#fff 에우헤니오 수아레스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파일:2018 MLB 올스타전 로고.svg|height=70]][br]'''메이저 리그 베이스볼[br]올스타''' ||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2018년|{{{#ffffff 2018}}}]]''' || ---- ||<-5>
'''{{{#FFFFFF [[디트로이트 타이거스|{{{#FFFFFF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등번호 30번}}}''' || || [[닉 카스테야노스]][br](2013) || {{{+1 →}}} || '''에우헤니오 수아레스[br](2014)''' || {{{+1 →}}} || 알렉스 윌슨[br](2015~2018) || ||<-5> '''{{{#FFFFFF [[신시내티 레즈|{{{#FFFFFF 신시내티 레즈}}}]] 등번호 7번}}}''' || || 라몬 산티아고[br](2014) || {{{+1 →}}} || '''에우헤니오 수아레스[br](2015~2021)''' || {{{+1 →}}} || [[도노반 솔라노]][br](2022) || ||<-5> '''{{{#c4ced4 [[시애틀 매리너스|{{{#c4ced4 시애틀 매리너스}}}]] 등번호 28번}}}''' || || [[제이크 프랠리]][br](2021) || {{{+1 →}}} || '''에우헤니오 수아레스[br](2022~2023)''' || {{{+1 →}}} || 결번 || ||<-5> '''{{{#fff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fff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등번호 번}}}''' || || || {{{+1 →}}} || '''에우헤니오 수아레즈[br](2024~)''' || {{{+1 →}}}|| 현역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매리너스에우헤니오.png|width=100%]]}}} || ||<-2>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No.''' || ||<-2> '''{{{+2 에우헤니오 수아레스}}}[br]Eugenio Suárez''' || || '''본명''' ||에우헤니오 알레한드로 수아레스[br]Eugenio Alejandro Suárez || ||<|2> '''출생''' ||[[1991년]] [[7월 18일]] ([age(1991-07-18)]세)|| ||[[카라카스|카라카스 주]] 푸에르토 오다즈||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베네수엘라)]|| || '''신체''' ||180cm, 96kg|| || '''포지션''' ||[[3루수]], [[유격수]]|| || '''투타''' ||[[우투우타]]|| || '''프로입단''' ||2009년 국제 아마추어 자유계약 ([[디트로이트 타이거스|DET]])|| || '''소속팀'''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2014) [br] '''[[신시내티 레즈]] (2015~2021)''' [br] '''[[시애틀 매리너스]] (2022~2023)'''[br][[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2024~) || || '''계약''' ||2018 - 2024 / $66,000,000[*option team option $15,000,000 for 2025, with buyout $2,000,000] || || '''연봉''' ||2024 / $11,000,000|| || '''등장곡''' ||Goya Menor & Nektunez - Ameno Amapiano Remix (You Wanna Bamba) [br] Tercer Cielo - Creere || || '''SNS''' ||[[https://www.instagram.com/eugenio_suarez7/|[[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2]]]] || [목차] [clearfix] == 개요 ==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소속 [[3루수]]. == 선수 경력 == ===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타이거스수아레스.png|width=100%]]}}} || 2009년 국제 아마추어 자유계약으로 디트로이트 타이거스와 계약했다. [[마이너 리그 베이스볼|마이너리그]] 시절엔 장타력이 그렇게 뛰어나지 않았다. 하지만 당시 주전 유격수인 [[앤드류 로마인]]의 공격력이 너무 처참했기 때문에 콜업을 받았고 조금 더 나은 공격력을 선보였다. 수아레즈가 첫 풀타임을 보냈던 2014년 타이거즈는 [[맥스 슈어저]], [[저스틴 벌랜더]], [[릭 포셀로]] 원투쓰리 펀치에 시즌 중 영입한 [[데이비드 프라이스]] 등 막강한 선발투수진을 자랑했다. 하지만 에이스 슈어저가 FA로 [[워싱턴 내셔널스]]로 떠났고 그 공백을 메우기 위해 구단은 당시 레즈의 에이스였고 2014년 올스타에 선정되었던 알프레도 사이먼을 영입하기 위해 당시 주전 포지션이 없었던 신인 수아레즈를 제시해 트레이드가 성사된다.[* 당시 타이거스의 주전 유격수는 보스턴 레드삭스에서 트레이드 해온 뒤 2014년을 부상으로 날렸지만 회복해 안정된 수비력을 보였던 [[호세 이글레시아스]]였고, 차선책인 3루수 자리는 당시 팀 최고의 타자 유망주였던 [[닉 카스테야노스]]의 자리였기 때문에 수아레즈의 자리가 없는 건 당연했다. 하지만, 정작 트레이드 해온 선발투수 사이먼이 폭망했다...] === [[신시내티 레즈]]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ugenio_Suárez_Cincinnati_Reds.jpg|width=100%]]}}} || 2015년엔 [[잭 코자트]]의 부상으로 인해 유격수를 보았다. 2016년부터는 [[토드 프레이저]]의 이적, [[잭 코자트]]의 복귀로 인해 3루로 고정되었고, 이때부터 풀타임 주전 3루수가 되면서 2할 중후반에 20~30개의 홈런을 치는 선수로 발전하였다. 2018년 5월 16일, 7년 6,600만 달러의 장기 계약을 맺었다. 2019년 커리어 최고 시즌을 만들었다. 49호 홈런을 때려내며 '''내셔널리그 역대 [[3루수]] 단일시즌 최다 홈런 기록'''을 세웠다.[* 종전 기록은 2004년 [[아드리안 벨트레]]와 1980년 [[마이크 슈미트]]의 48개.] [[피트 알론소]]에 이은 리그 홈런 2위. 올시즌 3루수로 최고의 활약을 보여주는 [[앤서니 렌던]]만 아니면 [[놀란 아레나도]]와 3루수 실버슬러거를 다퉈볼 수 있을 수준이다. 최종 성적은 159경기 타출장 .271/.358/.572 OPS .930, wRC+ 130, fWAR 4.3. 2020년에는 타율이 2할 초반대까지 크게 떨어지면서 15홈런 공갈포의 모습을 보였다. 이때만 해도 코로나 단축 시즌이라 삐끗할수도 있다고 생각했으나... 2021년에는 장타력 원툴 타자로 전락, 시즌 절반이 넘도록 1/2/3의 처참한 슬래시 라인을 이어나가면서 [[레딧]]의 신시내티 레즈 서브레딧에서 갤주로 등극하는 영예를 누렸다. 시즌 최종 성적은 145경기 .198/.286/.428 31홈런 fWAR -0.1 bWAR '''-0.5'''. 한때 1할 중반도 넘봤지만 시즌 막판에 약간 반등하며 역대 최악의 30홈런 타자가 되는 데에는 실패했다. 동포지션에 [[조나단 인디아]]라는 수준급의 신인이 나왔기에 이대로라면 3루 자리 탈환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2022년 3월 14일, [[제시 윈커]]와 함께 시애틀로 트레이드되었다. 댓가는 [[저스틴 던]], [[제이크 프랠리]], [[브랜든 윌리엄슨]], 추후 지명 선수 [[코너 필립스]] 등의 유망주 패키지. === [[시애틀 매리너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ugenio.jpg|width=100%]]}}} || 그런데 시애틀에서 깜짝 반등을 하고 있다. 사실 위 트레이드는 [[제시 윈커]]가 메인칩이고 수아레스는 연봉 덤핑에 가까웠는데, 윈커가 부진한 반면 오히려 수아레스가 잘하고 있다. 9월 11일 [[애틀랜타 브레이브스]]전에서는 9회초에 믿을 수 없는 대역전을 허용하면서 패색이 짙은 채 맞이한 9회말에 [[켄리 잰슨]]을 상대로 [[훌리오 로드리게스]]가 극적으로 동점 홈런을 기록하며 7:7이 된 후, 다시 잰슨의 93마일 패스트볼을 통타하여 끝내기 홈런을 기록하고 팀의 승리를 이끌었다. 시즌 최종 150경기 .236/.332/.459 OPS .791 31홈런 fWAR 4.1을 기록하며 다시 전성기 시절 성적을 회복했고, 시애틀의 21년만의 가을야구를 이끌었다. 포스트시즌에서도 맹타를 휘둘렀다. 2023년 타격이 다시 침체되었고 [[테오스카 에르난데스]]와 함께 리그 삼진 1, 2위를 경쟁중이다. 반면 3루 수비가 굉장히 탄탄해지면서 OAA 1,2위를 경쟁중이다. 5월 28일 피츠버그전에서 연장 10회에 끝내기 쓰리런을 쳤다. 162경기 전 경기에 출장했고 최종 성적은 .232/.323/.391 OPS .714 22홈런 fWAR 3.2. 작년과 비교해 컨택과 선구안은 그대로라 2년 연속으로 삼진왕을 먹었는데 장타력은 줄어들었다. 아메리칸리그 우타자 단일시즌 최다 삼진 신기록을 세운 건 덤. 그나마 수비가 매우 좋아져서 저 타격 성적에도 WAR은 나름 잘 찍혔지만. ===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 2023년 11월 22일,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로 트레이드됐다. 반대급부로 [[세비 자발라]], [[카를로스 바르가스]]가 시애틀로 간다. == 수상 내역 == || '''수상''' || ||[[파일:MLB 로고.svg|width=20]] '''올스타 (2018)''' || == 플레이 스타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에우헤니오수아레스홈런.gif|width=100%]]}}} || || '''에우헤니오 수아레스의 비거리 131M 홈런'''[* 2022년 8월 23일 VS [[워싱턴 내셔널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에우헤니오수아레스호수비.gif|width=100%]]}}} || || '''에우헤니오 수아레스의 호수비'''[* 2022년 6월 15일 VS [[미네소타 트윈스]]] || 매년 30홈런을 칠 수 있는 파워 히터다. 2018~2022 5년간 홈런 [[https://www.fangraphs.com/leaders/major-league?pos=all&stats=bat&lg=all&type=8&month=0&ind=0&qual=20&startdate=&enddate=&team=0&sortcol=4&sortdir=default&season1=2018&season=2022|순위]]에서 1위 [[애런 저지]](164개), 2위 수아레즈(160개)였을 정도다. 다만 180~200개의 삼진도 수반이 된다. 나이를 먹으면서 타율도 2할 초반대로 떨어져 점점 공갈포에 가까워지고 있다. 유격수 출신으로 준수한 3루 수비력을 보유했고 부상 없이 매년 150경기 이상 뛰는 건강함도 갖췄다. 팀의 간판까진 못되더라도 계산이 서는 상수로 둘 수 있는 선수로 평가할 수 있다. == 연도별 성적 == ||<-20>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파일:MLB 로고.svg|width=35]]]] {{{#FFFFFF '''에우헤니오 수아레스의 역대 MLB 기록'''}}} || || 연도 || 팀 || G || PA || H || 2B || 3B || HR || R || RBI || SB || BB || SO || AVG || OBP || SLG || OPS || wRC+ || fWAR || bWAR || || 2014 || [[디트로이트 타이거스|DET]] || 85 || 277 || 59 || 9 || 1 || 4 || 33 || 23 || 3 || 22 || 67 || .242 || .316 || .336 || .652 || 86 || 0.9 || 0.8 || || 연도 || 팀 || G || PA || H || 2B || 3B || HR || R || RBI || SB || BB || SO || AVG || OBP || SLG || OPS || wRC+ || fWAR || bWAR || || 2015 ||<|7> [[신시내티 레즈|CIN]] || 97 || 398 || 104 || 19 || 2 || 13 || 42 || 48 || 4 || 17 || 94 || .280 || .315 || .446 || .761 || 106 || 0.9 || 0.9 || || 2016 || 159 || 627 || 140 || 25 || 2 || 21 || 78 || 70 || 11 || 51 || 155 || .248 || .317 || .411 || .728 || 93 || 2.0 || 1.6 || || 2017 || 156 || 632 || 139 || 25 || 2 || 26 || 87 || 82 || 4 || 84 || 147 || .260 || .367 || .461 || .827 || 116 || 3.9 || 3.5 || || 2018 || 143 || 606 || 149 || 22 || 2 || 34 || 79 || 104 || 1 || 64 || 142 || .283 || .366 || .526 || .892 || 135 || 4.3 || 4.0 || || 2019 || 159 || 662 || 156 || 22 || 2 || 49 || 87 || 103 || 3 || 70 || '''189''' || .271 || .358 || .572 || .930 || 130 || 4.2 || 3.4 || || 2020 || 57 || 231 || 40 || 8 || 0 || 15 || 29 || 38 || 2 || 30 || 67 || .202 || .312 || .470 || .782 || 100 || 1.1 || 0.6 || || 2021 || 145 || 574 || 100 || 23 || 0 || 31 || 71 || 79 || 0 || 56 || 171 || .198 || .286 || .428 || .713 || 85 || -0.1 || -0.5 || || 연도 || 팀 || G || PA || H || 2B || 3B || HR || R || RBI || SB || BB || SO || AVG || OBP || SLG || OPS || wRC+ || fWAR || bWAR || || 2022 ||<|2> [[시애틀 매리너스|SEA]] || 150 || 629 || 128 || 24 || 2 || 31 || 76 || 87 || 0 || 73 || '''196''' || .236 || .332 || .459 || .791 || 130 || 4.1 || 3.9 || || 2023 || '''162''' || 694 || 139 || 29 || 0 || 22 || 68 || 96 || 2 || 70 || '''214''' || .232 || .323 || .391 || .714 || 102 || 3.2 || 2.3 || ||<-2>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 통산''' [br] (10시즌) || 1313 || 5330 || 1154 || 206 || 13 || 246 || 650 || 730 || 30 || 537 || 1442 || .248 || .332 || .456 || .788 || 111 || 24.4 || 20.5 || == 여담 == * 이름이 좀 긴 편이라 주로 'Geno(지노)'라고 불린다. [각주] [[분류:베네수엘라의 야구 선수]][[분류:1991년 출생]][[분류:2014년 데뷔]][[분류:카라카스 출신 인물]][[분류:내야수]][[분류:우투우타]][[분류:디트로이트 타이거스/은퇴, 이적]][[분류:신시내티 레즈/은퇴, 이적]][[분류:시애틀 매리너스/은퇴, 이적]][[분류: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현역]][[분류:베네수엘라의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참가 선수]][[분류: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참가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