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다른 윙 세이버, rd1=윙 세이버)] [include(틀:다른 뜻1, other1=트랜스포머: 비스트의 서막에서 등장하는 에어레이저, rd1=에어레이저(트랜스포머 시네마틱 유니버스))]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파일:external/images3.wikia.nocookie.net/Maximal_symbol.png|width=50]] }}} || ||<-2> [[파일:external/tfwiki.net/Airazorbwcgi.jpg|width=100%]] || ||<-2> '''{{{#fff {{{+1 에어레이저}}} [br]Airazor / エアラザー}}}''' || || '''{{{#fff 알트 모드}}}''' ||[[매(조류)|매]] || || '''{{{#fff 소속}}}''' ||[[맥시멀]] || || '''{{{#fff 성우}}}'''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2]]]] 폴린 뉴스톤, 에린 에바스[* 워 포 사이버트론 트릴로지.][br][[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2]]]] '''[[이와나가 테츠야]]''', [[타카하시 히나코]][* 워 포 사이버트론 트릴로지.] || [목차] == 개요 == [[트랜스포머 G1]] 세계관 중 [[비스트 워즈]]의 [[맥시멀]] 소속의 여성[* 일본판에선 남성.] [[트랜스포머]]이다. == 행적 == === Dawn of Future's Past === [[파일:external/tfwiki.net/Airazorbwdawn.jpg|width=300]] 사이버트론에선 여러 위험한 정찰임무를 성공적으로 끝내기로 유명한 크로미아10의 파일럿으로 당시 이름은 '''[[윙 세이버]]'''였다. [[황금 디스크]]를 [[메가트론(BW)|훔친 일당]]을 뒤쫓던 [[타이거트론|맥시멀 사령부 소속 엘리트 가드]]를 도와 [[다크사이드]]를 추적중 [[레이저비크(G1)|레이저비크]]와 버즈쏘우에게 공격당하던 액셀론을 구해내지만 크게 상처를 입어서 [[라이녹스]]가 응급처치 차원에서 스테이서스팟에 집어넣는다. === 비스트 워즈 애니메이션 === [[파일:external/tfwiki.net/Airazoraftermath.jpg]] 주 무장은 손목에서 발사되는 미사일. 추가 무장으로 프레데콘 측의 [[테러소어]]처럼 양 어깨에 총이 내장되어 있다. 시즌 1에서 마지막으로 추가된 맥시멀로 첫등장 당시 에어레이저의 [[프로토폼]]이 손상돼 라이녹스가 [[치토(BW)|치토]]의 데이터로 고쳤다.[* 이때 라이녹스가 치토에게 '''[[스파크(트랜스포머)|스파크]]'''를 설명하주는 중요한 장면이 나온다.] 비행능력자 [[옵티머스 프라이멀(BW)|옵티머스 프라이멀]]과 함께 1기 맥시멀에게 있어 귀중한 존재. 다른 맥시멀처럼 기지인 [[액셀론]]에 머물지 않고 [[타이거트론]]처럼 언제나 밖에서 돌아다니며 정찰을 하고 있는 경우가 많아서 상대적으로 등장은 그렇게 많지 않은 편. 다만 그 덕에 프레데콘의 음모로 비스트 모드로만 있게 된 동료 맥시멀들이 짐승 본능에 지배당했을 때 타이거트론과 더불어 멀쩡했다. 시즌 2에서는 치토가 비행능력을 얻고 [[실버볼트(BW)|실버볼트]]가 맥시멀에 들어오며 옵티머스도 [[트랜스메탈]] 육체를 얻으면서 로봇모드가 아니어도 비행이 가능해진지라 입지가 좁아졌다. 타이거트론와 함께 [[보크(BW)|보크]]의 [[플래닛 버스터]]의 폭발 때문에 발생한 퀀텀 서지의 영향으로 추락한 스테이시스 팟을 찾기 위해 세계일주를 떠나지만 보크의 새로운 무기의 시동에 휩쓸려 타이거트론과 함께 사라졌다. 이후에 어떻게 됐는지는 [[타이거호크]] 페이지를 참조. === [[트랜스포머 트랜스테크|트랜스테크]] === [[파일:external/tfwiki.net/Airazorwhitheredhope.jpg|width=300]] == 완구 == === 비스트 워즈 === [[파일:external/tfwiki.net/Airazorbwtoy1.jpg]] === [[워 포 사이버트론 트릴로지]] === * '''WFC-K14 디럭스 클래스 에어레이저''' ||
[[파일:item_tf_kd-09_01.jpg|width=100%]] || [[파일:item_tf_kd-09_06.jpg|width=100%]] || 얼굴과 팔다리가 좀 더 여성스럽게 가늘어졌다. === [[비스트 워즈: 초 생명체 트랜스포머 어게인|비스트 워즈 어게인]] === * '''BWVS-07 충신의 대결(忠臣の対決)''' ||
[[파일:BWVS-07 에어레이저_1.jpg|width=100%]] || [[파일:BWVS-07 에어레이저_2.jpg|width=100%]] || WFC-K14 디럭스 클래스 에어레이저의 리데코 제품이다. [[인페르노(BW)|인페르노]]와의 합본판 제품이다. == 기타 == 본래 남성 캐릭터로 등장할 예정이었으나 스토리 작가들이 완구를 보고 여성스럽다고 판단해서[* 확실히 다른 남성형에 비해 선이 가늘긴 하다.] 여성 캐릭터로 만들었다. 반면에 일본판에서는 '''완구를 더 팔기 위해서''' 남성으로 도로 성전환 됐다. 미국 원판에선 여자라는 점이 작중에서 특별히 강조되지 않았고 --한 번밖에 안 나온-- 타이거트론에 대한 연심도 의리로 수정돼서 위화감은 없었다. 그런데 시즌 2에서 보크의 무기에 의해 납치되기 전에 대놓고 손을 마주잡는 장면이 나와버리자 아예 작정하고 시즌 2에서 게이커플로 바꿔버렸다. 심지어 이쪽 대사가 더 찐했다. 한 시청자가 당연히 의문점을 가지고 지적하자 '''[[우정]]이 [[사랑]]으로 바뀐거야, 바뀐거지!(友情が愛に変わったんだよ、変心ってね!)'''라는 희대의 명답변을 남겼다. 그때부터인지 타카라에서 에어레이저를 발매 할 때 성별을 특별히 기재하지 않고 있다.[* 그런데 처음부터 남자로 만들 생각은 없었던 모양. 비스트 워즈가 방영하기 전 완구 광고에서는 에어레이저가 원판에 따라 "여성 전사"로 소개된적 있었다.] 트랜스메탈 버전 완구가 나왔는데, 거기선 아예 누가 봐도 여자인 걸 알 수 있게 가슴이 달려있다. 그래서 1999년부터 2000년까지 일본에서 연재된 만화에선 미국의 원판처럼 여자로 나왔다. 현재 일본에서도 원판이 많이 알려져서 2차창작에서는 그냥 그리는 사람 취향대로 성별이 왔다갔다 한다. [[파일:에어레이저_레전즈.jpg|?width=300]] '''공식''' 만화 [[트랜스포머 레전즈]]에서는 [[오토코노코]], 즉 남자로 나온다. 나올 때 마다 남자라고 확인사살을 시켜버린다(...). 직접 본인 입으로 남자니까 괜찮다고--뭘-- 말을 한다. [[워 포 사이버트론 트릴로지(애니메이션)|워 포 사이버트론 트릴로지]] 킹덤 편이 방영 전에 맥시멀, 프레데콘의 일본판 성우진이 어떻게 캐스팅 될 지 주목을 받았는데, 에어레이저의 성우는 여자 성우로 캐스팅되어서 미국판처럼 여자다.[* 사실 비스트 워즈 일본판 성우가 유지된건 프라이멀과 메가트론 뿐이다.] 성우는 타카하시 히나코(高橋雛子). [[분류:트랜스포머 비스트 워즈/등장인물]][[분류:윙 세이버]]